KR200358872Y1 -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 Google Patents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872Y1
KR200358872Y1 KR20-2004-0012882U KR20040012882U KR200358872Y1 KR 200358872 Y1 KR200358872 Y1 KR 200358872Y1 KR 20040012882 U KR20040012882 U KR 20040012882U KR 200358872 Y1 KR200358872 Y1 KR 200358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cap
floor panel
wiring cap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보
Priority to KR20-2004-0012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8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8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선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불필요한 틈새발생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에 의하면, 배선캡(30)에는 바닥패널(20)의 배선구(21)와 연통되어 전기 배선(40)을 안내하기 위한 인출구(31)가 마련되되, 이 인출구(31)에는 전기 배선작업 시에 공구를 통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개방편(32)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패널(20)의 배선구(21)를 통해 전기 배선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배선캡(30)으로부터 개방편(32)을 떼어낸 후 이를 배선구(21)에 덮는다. 그리고 전기 배선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방편(32)을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의 배선캡(30)을 덮기 때문에, 배선캡(30)과 바닥패널(20)과의 불필요한 공간(틈새)이 최소로 발생되며 이로 인해 제품 신뢰성 역시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ACCESS FLOOR PANEL}
본 고안은 악세스 플로어 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패널의 일측에 배선캡을 착탈 가능하게 구성하여 전기 배선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세스 플로어 패널은 전산실, 전기실, 방재실 등의 사무실에 설치되어 전기배선 등의 은폐, 습기차단, 바닥 인테리어를 위해 실내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 악세스 플로어 패널은 대체로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금속재 바닥패널과, 이 바닥패널의 네모서리부를 설치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떠받쳐 지지하는 지지부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전기 배선작업을 위해 바닥패널의 가장자리에는 개구부가 마련된다. 또한, 이 개구부에는 배선캡이 끼워져 결합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 개구부를 통해 전기 배선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종래 악세스 플로어 패널 구조에서는 바닥패널의 개구부를 통해 전기 배선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개구부가 그대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바닥패널 위에 카펫과 같은 바닥재를 덧씌워도 바닥이 평평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패널의 개구부를 통해 사무기기의 일부가 침몰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배선캡의 구조를 개선하여 전기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며 전기 배선작업 여부에 관계없이 불필요한 틈새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악세스 플로워 패널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선캡 구조를 발췌하여 보인 것이다.
도 3은 전기 배선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의 배선캡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와 도 5는 전기 배선작업을 하는 경우의 배선캡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지부재 20..바닥패널
21..배선구 22..단차부
23..끼움홈 30..배선캡
31..인출구 32..개방편
33..브릿지 34..결합돌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지부재를 통해 설치바닥으로부터 떠받쳐 지지되며 일측에는 전기 배선을 위해 단차지면서 개방된 배선구가 마련된 바닥패널과, 이 바닥패널과 동일면을 유지하면서 배선구를 덮는 금속재 배선캡을 갖춘 악세스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
배선캡에는 배선구와 연통되어 전기 배선을 안내하기 위한 인출구가 마련되되, 이 인출구에는 전기 배선작업 시에 공구를 통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개방편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방편은 배선캡의 인출구에 브릿지를 통해 연결되어 배선캡과 일체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선구의 단차부에는 끼움홈이 마련되며, 배선캡에는 끼움홈과 대응되게 이루어져 끼움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출구는 배선캡의 일측에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악세스 플로어 패널은 금속재 바닥패널(20)과, 이 바닥패널(20)을 설치바닥으로부터 떠받쳐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0)들을 구비하여 하나의 유닛을 구성하며, 이러한 유닛들을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실내 바닥을 이루게 되며 이의 내부를 통해서는 전기 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닥패널(20)은 금속판을 성형 가공하여 대체로 정사각 형태로 구성되며, 이의 네 모서리는 지지부재(10)를 통해 떠받쳐 지지된다. 이 때, 지지부재(10)들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바닥패널(20)을 수평으로 정확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패널(20)의 일측에는 전기 배선을 위해 단차지면서 개방된 배선구(21)가 마련되며, 이 배선구(21)에는 배선캡(30)이 착탈 식으로 조립되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선구(21)는 바닥패널(20)의 일측 중앙부위에 단차지면서 개방되게 이루어져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배선구(21)는 바닥패널(20)의 일측을 사각형태로 절결하여 개방되면서 단차지게 구성하였다. 이 때, 배선구(21)를 단차지게 구성한 것은 배선캡(30)이 배선구(21)에 정확하게 결합되면 바닥패널(20)과 동일면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배선구(21)의 단차부(22) 양측에는 끼움홈(23)이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는데, 여기에는 후술하는 배선캡(30)의 결합돌기(34)가 끼워져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배선캡(30)은 바닥패널(20)과 동일면을 유지하면서 배선구(21)를 덮도록 금속판을 소성 가공하여 이루어지며, 이의 양측에는 결합돌기(34)가 상호 대향되게 구성된다. 이 결합돌기(34)들은 배선구(21)의 끼움홈(23)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배선캡(30)이 배선구(21)를 덮은 상태로 견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배선캡(30)을 상측으로 들어내면 결합돌기(34)들이 끼움홈(23)으로부터 빠져나와 이의 분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배선캡(30)에는 배선구(21)와 연통되어 전기 배선을 안내하기위한 인출구(31)가 마련되며, 이 인출구(31)에는 전기 배선작업 시에 떼어낼 수 있도록 개방편(32)이 일체로 구성된다.
즉, 인출구(31)는 배선캡(3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배선구(21)와 연통되도록 배선캡(30)의 가장자리에 한 쌍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개방편(32)은 인출구(31)에 일체로 마련된 것으로, 전기 배선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공구를 통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이를 위해, 개방편(32)은 배선캡(30)의 인출구(31)와 브릿지(33)를 통해 연결된다. 결국, 개방편(32)은 배선캡(30)에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 평상 시 개방편(32)에 의해 인출구(31)가 막힌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공구를 통해 브릿지(33)를 떼어내게 되면 인출구(31)가 개방되게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배선캡의 사용상태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배선구(21)를 통해 배선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편(32)을 떼어내지 않은 상태로 배선캡(30)을 배선구(21)에 끼워 넣는다.
이 때, 배선캡(30)의 결합돌기(34)가 배선구(21)의 끼움홈(23)에 억지 끼움방식으로 끼워져 결합되기 때문에, 배선캡(30)은 결합된 상태가 견실하게 유지된다. 이 때, 배선캡(30)의 가장자리는 배선구(21)의 단차부(22)에 안착됨으로써, 배선캡(30)과 바닥패널(20)은 동일면으로 유지된다.
한편, 배선구(21)를 통해 전기 배선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출구(31)로부터 개방편(32)을 떼어낸다. 즉, 플라이어 등과 같은 공구를 통해 개방편(32)의 브릿지(33)를 잘라내면 개방편(32)이 용이하게 떨어져 나가며, 이로 인해 인출구(31)는 개방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배선(40)을 배선구(21)를 통해 뽑아낸 후 이를 인출구(31)내로 수용시킨다. 이 상태에서 배선캡(30)을 배선구(21)에 결합하면, 전기 배선(40)은 배선캡(30)의 인출구(31)를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인출된다. 이러한 것은 개방편(32)을 떼어낸 후 배선캡(30)을 결합하면, 인출구(31)와 배선구(21)가 연통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에 의하면, 배선캡에는 바닥패널의 배선구와 연통되어 전기 배선을 안내하기 위한 인출구가 마련되되, 이 인출구에는 전기 배선작업 시에 공구를 통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개방편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패널의 배선구를 통해 전기 배선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배선캡으로부터 개방편을 떼어내며 이를 배선구에 덮는다. 그리고 전기 배선작업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방편을 그대로 유지시킨 상태의 배선캡을 덮기 때문에, 배선캡과 바닥패널과의 불필요한 공간(틈새)이 최소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제품 신뢰성 역시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4)

  1. 지지부재(10)를 통해 설치바닥으로부터 떠받쳐 지지되며 일측에는 전기 배선을 위해 단차지면서 개방된 배선구(21)가 마련된 바닥패널(20)과, 상기 바닥패널(20)과 동일면을 유지하면서 상기 배선구(21)를 덮는 금속재 배선캡(30)을 갖춘 악세스 플로어 패널에 있어서,
    상기 배선캡(30)에는 상기 배선구(21)와 연통되어 전기 배선(40)을 안내하기 위한 인출구(31)가 마련되되,
    상기 인출구(31)에는 전기 배선작업 시에 공구를 통해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개방편(3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편(32)은 상기 배선캡(30)의 인출구(31)에 브릿지(33)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배선캡(30)과 일체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구(21)의 단차부(22)에는 끼움홈(23)이 마련되며,
    상기 배선캡(30)에는 상기 끼움홈(23)과 대응되게 이루어져 상기 끼움홈(23)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3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구(31)는 상기 배선캡(30)의 일측에 한 쌍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KR20-2004-0012882U 2004-05-10 2004-05-10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KR200358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882U KR200358872Y1 (ko) 2004-05-10 2004-05-10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882U KR200358872Y1 (ko) 2004-05-10 2004-05-10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872Y1 true KR200358872Y1 (ko) 2004-08-11

Family

ID=49435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882U KR200358872Y1 (ko) 2004-05-10 2004-05-10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8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6030B2 (en) Expandable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US6616005B1 (en) Modular faceplate assembly for an electrical box
US5479747A (en) Conduit connecting mechanism for a screen panel
US9490616B1 (en) In-floor electrical fitting
JP2005510022A (ja) 電気ボックス
US8222521B2 (en) Multi-piece coverplate assembly and modular device assembly
US20090211803A1 (en) Auxiliary support case for at least one piece of electrical equipment
US5789702A (en) Modular component of appliance housing
US8702446B2 (en) Devices for mounting electrical, audio, and video installations to walls and other flat surfaces
US9419422B2 (en) Devices for mounting electrical, audio, and video installations to walls and other flat surfaces
EP2246949B1 (en) Floor box that includes for different types of installations with different mechanism formats
KR200358872Y1 (ko) 악세스 플로어 패널의 배선캡
US5038000A (en) Wall mounting system for data communication connectors
JP4218646B2 (ja) 床配線システム
KR101048620B1 (ko) 이중 플로어용 배선접속장치 및 그 설치방법
JP7013324B2 (ja) 配線器具覆い具、及び配線器具覆い部材の設置構造
KR200388542Y1 (ko) 매입형 플러그 소킷
JP2750031B2 (ja) フロアパネル用床コンセント装置
JPH01231614A (ja) コンセントボックス
JP2024075372A (ja) 電気機器設置構造
JP4137848B2 (ja) 配線器具の配設装置
JPH0643295Y2 (ja) 間仕切パネル
KR100386863B1 (ko) 칸막이 부착타입 책상의 배선장치
JP2003235129A (ja) 簡易型インナーコンセント
JP2669730B2 (ja) インナーコンセントの取り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