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8080Y1 - 다용도 블록 - Google Patents

다용도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8080Y1
KR200358080Y1 KR20-2004-0010430U KR20040010430U KR200358080Y1 KR 200358080 Y1 KR200358080 Y1 KR 200358080Y1 KR 20040010430 U KR20040010430 U KR 20040010430U KR 200358080 Y1 KR200358080 Y1 KR 200358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ultipurpose
hole
mol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용
Original Assignee
동산콘크리트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산콘크리트산업(주) filed Critical 동산콘크리트산업(주)
Priority to KR20-2004-0010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80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8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80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 및 배열하여 사용되는 입체 블록에서 상기 블록의 외측 일면과 이에 대향되는 타면을 연통한 관통구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시켜 통수성 및 통공성을 향상시키고 운반을 용이하게 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입체구조물인 다용도 블록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용도블록은 육면 이상의 외면을 갖는 다면체로, 일측외면과 이에 대향되는 타측외면을 연통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관통구로 인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다용도블록은, 다수개의 분리가능한 형틀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어 경량화가 가능하고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블록{Universal Block}
본 고안은 다용도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 및 배열하여 사용되는 입체 블록에서 상기 블록의 외측 일면과 이에 대향되는 타면을 연통한 관통구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시켜 통수성 및 통공성을 향상시키고 운반을 용이하게 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입체구조물인 다용도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 건축 등의 분야에서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구조를 갖는 블록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예컨데, 경사지에 따라 시공하는 법면용블록, 철근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옹벽용블록, 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단면이 "U"자 모양 또는 구형모양으로 형성되는 측구용블록, 또는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경계용블록 등이 있다. 이러한 블록은 각각의 용도에 따르는 형상, 크기, 중량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목적 또는 시공현장의 상황 등에 따라 적절하게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블록은 각각의 용도에 맞는 형상, 구조, 중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즉, 수로를 형성하기 위해 약한 강도를 지닌 측구용블록을 토압에 견디어 흙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강한 강도를 지닌 옹벽용블록의 대체물로 사용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적합한 강도를 지닌 블록을 시멘트로 양생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예로 종래에 사용되는 옹벽용블록은 토압에 견디는 강도를 지녀야 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블록의 중량이 증대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의 블록을 다른 목적을 갖는 건설현장에 사용하면 다수개로 적층되는 블록으로 단위면적당 하중이 증가되어 지반이 침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됨으로 반드시 용도에 맞는 블록의 사용을 요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방법으로 특수한 형태의 블록을 양생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거푸집과 형틀을 사용해야 하는등 제조에 곤란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면 이상의 외면을 갖는 다면체인 다용도 블록으로 상기 외면 중 2면 이상의 면에 연통한 관통구에 의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시켰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에의한 경량화로 운반이 용이하고, 통풍성 및 통수성이 향상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다용도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블록의 실시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형틀을 도시한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형틀이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일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다용도블록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단면도이며,
도 10a, b는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a, b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문양판이 결합된 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 다용도블록
110, 210, 310, 410, 510 : 관통구
120, 220, 320, 420, 520 : 공간부
130, 530 : 거푸집 131, 531 : 상틀
140, 540 : 형틀 141, 541 : 주형틀
142, 542 : 보조형틀 350, 450 : 사면부
500a : 홈 600 : 문양판
610 : 문양 620 : 강선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용도 블록은,
육면 이상의 외면을 갖는 다면체로, 일측외면과 이에 대향되는 타측외면을 연통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관통구로 인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면체란 입방체 및 직방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내부 중심의 일점을 기준으로 하여 다수개의 관통구가 상기 다면체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관통구의 각 축은 상기 다면체 내부 중심에 있는 일점에 모두 겹치거나 공유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에는 충전재를 충전하여 다면체인 다용도 블록의 총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다용도블록은 복수의 다용도블록을 적층 또는 배열하는 방법으로 정연케하여 구조체를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용도 블록은 외면 중 적어도 2면 이상의 외면에 연통한 공간부를 갖고 있어 액체나 기체등이 유통될 수 있는 입구와 출구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통수성이나 통풍성이 우수하며, 이에 따라 공극률이 높기 때문에 다용도블록의 경량화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다용도블록의 제조에 있어서, 거푸집에 시멘트를 타설하여 응고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시멘트를 타설하기 이전에 관통구형상의 원주형틀을 미리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주형틀은 관통구의 수만큼 개별적인 보조형틀을 결합하여 이루어져 다용도블록의 제조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였다.
예컨데, 관통구가 2일 경우에는 상기 다용도블록의 일면과 이에 대향되는 타면을 연통하는 관통구 크기와 동일한 원주형틀에 이에 교차하는 다른 보조형틀을 겹쳐 구성하되, 상기 보조형틀은 상기 원주형틀과 겹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다용도블록은 다용도블록의 내부 일점을 중심으로 다수의 관통구가 겹치거나 중복되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조후 원주형틀 및 보조형틀을 각각의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취출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다용도블록은 적층 또는 배열할 경우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가 서로 직교한 형상이기 때문에 통풍성 및 통수성 등의 확보가 용이하여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용도블록의 관통구는 원형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다수를 적층할 경우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원형의 관통구는 응력을 분산시켜 응력의 집중으로 인한 피로파괴가 발생하기 어려움으로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구는 상술한 원형 이외에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같이 다용도블록의 내부 일점에 다수의 관통구 축이 겹치게 형성한다. 따라서 양생시 후에도 관통구를 형성하기 위한 형틀을 형틀의 축방향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형틀 제거로 생성된 공간부에 의해 통풍성과통수성의 확보가 가능하여 높은 공극률을 필요로 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등 사용목적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용도블록은 입방체 또는 직방체의 다면체로서 복수의 다용도블록을 적층 배열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적층하거나 배열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관통구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를 서로 내통시키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외면 자체가 평면으로 형성된 입방체이므로 안정한 적층이 가능하며,
적층한 후에는 보조수단으로 강선을 다용도블록의 관통구에 삽설하여 다용도블록을 서로 체결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더욱 견고한 다용도블록 구조체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상기 강선의 단부에는 관통구에 걸릴 수 있는 문양판을 더 장착하여 측면에서 강선이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에 표출되는 문양판의 면상에는 다양한 문양을 각인시켜 미감을 더욱 자아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다용도블록은 공간부에 중량조정용의 충전재를 충전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다용도블록 자체의 중량보다 더 큰 중량을 필요로 하는 구조체를 구축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등 중량조정의 요구에 따라 충전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중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조정을 위한 충전재로는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으나, 통풍성과 통수성을 저하를 최대한으로 할 수 있는 쇄석등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블록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블록의 실시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의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형틀을 도시한 사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형틀이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일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용도블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육면을 갖는 입방체로 각면에는 관통구(11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110)는 입방체의 일측외면에서 이에 대향되는 타측외면을 연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다용도블록에는 x, y, z축을 각각 갖는 3개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다용도블록의 내부에는 관통구에 의해 공간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복수의 다용도블록(100)을 적층 배열한 경우 전연하게 한 상태의 구조체를 구축할 수 있고 안정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사용목적이 확대되고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용도블록의 공간부(120)는 입방체의 6면 전면에 대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공극률이 높고 공간부가 형성된 부피만큼 경량화된 것이다.
또한, 상기 다용도블록(100)의 공간부(120) 형성은, 다용도블록을 제조하기 위해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시멘트 양생할 시, 관통구 또는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한 형틀을 미리 삽입하여 시멘트를 타설하며, 양생후에는 다수의 블럭형태인 형틀을 취출하여 다용도블록을 수득하는 것이다.
이 때 사용되는 형틀(1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용도블록(100)의 일면과 이와 대향되는 타면을 연통시키기 위한 원기둥의 주형틀(141)과 상기 주형틀의 중심일점에서 직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보조형틀(142)로 구성된다. 즉, x, y, z축 중 어느 한 축인 z축에 형성된 원기둥이 주형틀(141)이라고 하면, 나머지 x, y축의 원기둥이 보조형틀(142)이 되데, 상기 x, y축의 보조형틀은 주형틀과 겹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만으로 형성된다. 다시말하면, 다용도블록의 내부 일점을 중심으로 x, y, z축을 따라 원기둥의 주형틀(141) 및 보조형틀(142)을 구성하되 상기 보조형틀(142)은 주형틀(141)과 겹치는 부분을 제거한 나머지부분으로만 구성되어 주형틀(141)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형틀(140)을 이용하여 관통구(110)를 형성시키면 내부의 공간부(120)도 원주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하중이 더해질 경우 하중이 원주의 외면을 따라 분산되어 하중의 집중으로 인한 피로파괴를 제거할 수 있는 등 내구성이 우수해진다.
상술한 형틀(140)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다용도블록(100)을 제조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방체형상의 거푸집(130) 내에 형틀(140)을 배치하고 상틀(131)을 장착한 후 상틀(131)의 개구된 부분으로 콘크리트 또는 시멘트를 충전한다.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콘크리트는 경화되며, 이때 상틀(131) 및 거푸집(130)을 떼어내고 형틀(140)을 구성하는 주형틀(141) 및 보조형틀(142)을 그 축방향으로 빼내면 내부에 공간부(120)가 형성된 다용도블록(100)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원주상의 형틀(140)은 주형틀(141) 및 보조형틀(142)의 축을 직교하도록 배치하고 형성하였기 때문에 양생 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분리되는 형틀(140)에 의해 복잡한 거푸집(130)의 사용없이 공간부(120)를 갖는 다용도블록(100)을 형성할 수 있어 용이한 제조가 가능하다.
도 5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에 따른 다용도블록(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실시형태의 다용도블록(200)은, x, y, z 축에 각각 형성된 다각형의 관통구(210) 즉, 사각형의 모서리부분이 모따기가 된 형태의 관통구(210)에 의해 공간부(220)가 형성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콘크리트 경화 후 관통구를 형성하는 형틀의 분리가 용이해지고, 공간부(220)는 관통구의 축이 직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었으며, 복수의 다용도블록을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적층 및 배열하는 경우 각각의 공간부 사이를 연통시킨 상태에서 각종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구조물에 있어서도 통풍성, 통수성 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목적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6 ~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인 실시예3과 실시예4를 도시한 것으로, 도 6은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다용도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제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다용도블록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A-A단면도이다.
도시된 다용도블록(300, 400)은 모서리부분 및 근처에 해당하는 부분을 모따기하고 이에 사면부(350, 450)를 형성한 입방체인 다면체 형상이다. 따라서, 상기다용도블록(400)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면부(450)를 서로 면접시키는 것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 하기 위해 보조바를 별도로 장착할 필요없이 적층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사면부(450)와 인접하는 다용도블록의 사면부(450)가 서로 접하여 지지함으로 안정성도 양호하다.
또한, 수직방향 수평방향에 인접하는 다용도블록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복수의 다용도블록이 형성하는 구조체 전체의 공극률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사면부(350, 450)가 형성된 다용도블록(300, 400)의 관통구(320, 420)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적층 및 배열에 있어서도 순차적인 적층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정거리 이격하여 사면부(450)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적층하는것 모두 가능하다. 즉, 사용환경에 따라 적층 및 배열하는 방법을 달리하여 공극률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a, b는 본 고안에 따른 제5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제조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제5실시예의 다용도블록(500)은 외형이 입방체형상이고, 입방체를 구성하는 6면 중 5면은 관통구(5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일측면에만 관통구가 형성되지 않은 것이다. 이러한 구조도 상술한 형틀(540)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주형틀(541) 일측을 짧게 형성함에 의해 제조가능하다.
상기 구조를 갖는 다용도블록(500)은 폐구된 부분을 하측으로 하여 다수개를수평방향으로 배열함으로서 수평방향의 통수성 및 통풍성을 확보할 수 있고, 횡방향의 연속한 유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용도블록의 밑면에 오목한 홈(500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량조절을 위해 공간부에 충전재를 충전할 경우에도 상기 홈(500a)이 충전재를 지지하게 됨으로 충전재의 유지기능도 우수하고 충전재의 증감에 따라서 다용도블록(500)의 중량조절도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다용도블록은 일측면을 제외하고 다른 면이 관통구(510)에 의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공극률이 높고, 다용도블록 자체 중량이 경량하고, 외형이 입방체 형상이기 때문에 복수의 다용도블록을 배열할 경우 정연한 상태가 얻어지고 안정성도 양호하며, 폭넓은 분야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관통구(510)를 형성하기 위한 형틀(540)은 다수개가 분리되는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경화후 다용도블록(500)에서 용이하게 분리가능함으로 복잡한 거푸집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등 제조가 용이하다. 이러한 형틀(540)에 의해 형성된 관통구(510) 또는 관통구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520)는 서로 직교한 형상이기 때문에 복수의 다용도블록을 수평방향의 면적에 배열할 경우 각각의 공간부를 연통시킬 수 있어 용도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본 실시예의 다용도블록(500)도 거푸집(530)에 분리가능한 형틀(540)을 삽설한 후 상틀(531)을 안치하고 콘크리트 및 시멘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형틀(540)중 주형틀(541)은 보조형틀(542)과 교차되는 일점을 중심으로 어느 일측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여 일측만 폐구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타설된 시멘트 및 콘크리트가 경화된 후에는 상기 형틀(540)을구성하는 주형틀(541) 및 보조형틀(542)을 각각의 축방향으로 취출하여 수득한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문양판이 결합된 블록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문양판(600)은 다용도블록의 관통구(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를 갖고 있으며, 외측인 외부로 표출되는 부분에는 다양한 문양(610)이 각인되어 있으며, 내측인 다용도블록의 내부에는 강선(620)이 고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문양판(600)은 다수개의 다용도블록(100)이 배열된 다용도블록 구조체의 일측외면에 형성된 관통구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다용도블록 구조체의 타측외면에 형성된 관통구에 삽입되며, 상기 두 문양판(600) 내측에는 강선(620)에 의해 서로 긴밀하게 결합된다. 이와같은 구조에서 상기 일축방향으로 설치된 강선(620)의 인장력에 의해 강선의 축방향으로 다용도블록(100) 각각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에 표출되는 부분인 문양판(600)의 외면에 각종 문양(610)이 양각되어 있어, 상기 문양(610)에 의해 블록 구조체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양판(600)은 다수개가 적층 및 배열되는 다용도블록의 x, y, z축에 따라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문양판의 외주면은 문양이 형성된 부분이 강선과 연결된 부분보다 다소 큰 지름을 갖도록한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다용도블록의 관통구 내로 삽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선(620)은 인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일정크기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용도블록은, 다수개의 분리가능한 형틀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되어 경량화가 가능하고 비교적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틀은 다용도블록의 외면과 직교하는 축을 갖도록 형성하여 시멘트 및 콘크리트의 경화후 다용도블록에서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고, 상기 형틀에 의해 형성된 관통구는 다용도블록 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형태로 공간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복수의 다용도블록을 적층 및 배열할 경우 각각의 공간부를 연통시킬 수 있거 통풍성 및 통수성의 확보가 가능하여 사용목적의 확대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구가 원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수를 적층할 경우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원형의 관통구는 응력을 분산시켜 응력의 집중으로 인한 피로파괴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압축강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피로파괴를 감소시키는 등 내구성을 향상시킨 유용한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7)

  1. 육면 이상의 외면을 갖는 다면체로, 일측외면과 이에 대향되는 타측외면을 연통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관통구로 인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나 또는 다수개의 관통구는 관통구 각각의 축이 다면체 중심의 일점에 겹치거나 공유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블록.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블록.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는 입방체 또는 직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에는, 중량을 조정하기 위해 충전재를 충전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블록.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에는 관통구와 동일한 크기로 일측에 문양이 형성되고 타측에 강선이 연결되어, 상기 강선에 의해 다수의 블록을 견고하게 결착시키는 문양판이 더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블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판의 외주면은, 문양이 형성된 부분이 강선과 연결된 부분보다 큰 지름을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블록.
KR20-2004-0010430U 2004-04-14 2004-04-14 다용도 블록 KR200358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430U KR200358080Y1 (ko) 2004-04-14 2004-04-14 다용도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430U KR200358080Y1 (ko) 2004-04-14 2004-04-14 다용도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8080Y1 true KR200358080Y1 (ko) 2004-08-05

Family

ID=4934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430U KR200358080Y1 (ko) 2004-04-14 2004-04-14 다용도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80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99B1 (ko) 2006-07-10 2007-04-19 백종선 하천 시설용 다용도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99B1 (ko) 2006-07-10 2007-04-19 백종선 하천 시설용 다용도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1640B1 (en) Rapidly locking building/lock components, bridge keys and locking keys to construct uniform whole locked building members and entire locked structures on-the-fly
US6588168B2 (en) Construction blocks and structures therefrom
US7160057B2 (en) Protective element for a breakwater or wave-retarding construction
CZ473289A3 (en) Self-supporting forming elements, particularly for casting masonry and other concrete structures
EP2758603B1 (en) Retaining wall block
KR101985676B1 (ko) 3차원 프린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KR200358080Y1 (ko) 다용도 블록
WO1999003659A1 (fr) Bloc de beton, joint pour ce dernier et structure faite de blocs de beton
AU2019277210B2 (en) Void former
JPH1136314A (ja) ブロック用接手及びこれを用いたブロック構造体
CN101027450A (zh) 用于构造挡墙的模块化建筑元件及其构造方法
KR20060069245A (ko) 토목구축물용 블록의 제조방법
JP5627304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マス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JP6231519B2 (ja) 構築用組みブロック
JPH11105024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体
JPH04179730A (ja) ソイルセメント柱列体
CN103046512A (zh) 一种八边形隔层错排互锁可灌孔的新型挡墙砌块
JP6786808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2007126952A (ja) 織布状の組積状態を形成する点対称造形原則による組積ブロックの形状設計方法及び組積ブロック、並びにそれを用いた組積ブロック構造物
JP3246283B2 (ja) 組積み用コンクリート型枠およびこの組積み用コンクリート型枠を利用したコンクリート施工方法
CA2674558A1 (en) Building blocks with mating coupling means for constructing wall and associated method
WO2002033178A1 (fr) Structure unitisee de genie civil, unite utilisee et procede de construction de cette structure
JP2002250043A (ja) 壁面保護ブロック
JPH11107282A (ja) 壁体構造
KR20000009260A (ko) 입방틀형 블록, 입방틀형 블록 제조장치 및 사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