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602Y1 - 접철식 방석 - Google Patents

접철식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602Y1
KR200357602Y1 KR20-2004-0011502U KR20040011502U KR200357602Y1 KR 200357602 Y1 KR200357602 Y1 KR 200357602Y1 KR 20040011502 U KR20040011502 U KR 20040011502U KR 200357602 Y1 KR200357602 Y1 KR 200357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bottom piece
piece
fold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재천
Original Assignee
변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재천 filed Critical 변재천
Priority to KR20-2004-0011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6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철식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이 40내지 60cm 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3 내지 7cm인 정사각형의 바닥편; 상기 바닥편의 대응각이 곡률진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닥편의 각 면에 상기 바닥편과 상응한 높이로 상하의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제 1절편; 제 2절편; 제 3절편; 제 4절편으로 이루어진 접철식 방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내지 제 4절편을 접었을 때에 상기 제 1내지 제 4절편의 상기 호 형상으로 인해 상기 바닥편의 상부 중앙부위에 마름모 형상의 중공부가 발생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절편을 펼쳤을 때에는 전체적으로 각 부위가 곡률진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방석에 의하면, 정사각형 형태의 기본 바닥편의 각 면에 접철편이 부착되어 있어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접고 펼치는 것이 용이하며 또한 접철편을 펼친 상태의 크기 역시 정사각형이 되어 기존 방석의 장점을 그대로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철식 방석{FOLDED CUSHION}
본 고안은 접철식 방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편에 부착된 4개의 절편이 접철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높이 조절 및 크기 조절이 가능한 방석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석은 일반적으로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사각형상의 형태로 내부에 푹신한 솜 등이 충진되어 있는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방석은 주로 거실이나 음식점 등에서 딱딱한 지면에서 사용자의 둔부에 전달되는 항력을 적절하게 방지하여 사용자의 착석 상태를 안락하게 보장하는 것이 주목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재질의 소재로 인해 사용자가 장시간 앉아 있어도 불편함을 호소하지 않을 수가 있는데 실제로는 장시간 방석에 착석하게 되면 사용자의 둔부 부위 또는 둔치 부위에 압박이 오게 되는 불편함을 겪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방석의 두께가 이미 한정되어 있어 방석 두께의 조절이 불가능하며 더불어 크기 역시 고정되어 사용자가 요망하는 크기로 조절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0290352호는 접이식 방석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필요에 따라 방석의 접철편을 접어서 사용가능하게 하여 크기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접철편에 지퍼식 개폐장치를 장착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상기 실용신안의 특징이다.
하지만, 상기 실용신안에 의하면 접철편의 크기가 고정편의 크기와 상응하지 않아 실제 접었을 때 사용자의 둔부가 안착되는 지점이 불확실하게 되며 또한 접철편의 길이만큼 일 방향으로 크기가 연장되는 정도이기 때문에 그 대응방향인 세로 방향의 크기 조절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퍼식으로 탈부착 되는 방식으로 접철편이 분실될 수 있는 소지가 다분하여 관리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 마저 존재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선행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석의 크기 조절이 사방으로 가능하고 두께 조절 역시 사용자의 안락함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가능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석을 저었을 때 중앙부위에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사용자의 둔부를 안락하게 안착시킬 뿐 아니라 소형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서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히는 부분에 고정 수단을 제공하여 고정력을 강화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방석의 전체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방석이 접혔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방석의 고정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편 50: 제 4절편
20: 제 1절편 60: 중공부
30: 제 2절편 100: 고정수단
40: 제 3절편 150: 연결단추
본 고안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석의 구조에서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크기조절의 편의성과 높이 조절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석의 구조에 주목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방석은 일면이 40내지 60cm 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3 내지 7cm인 정사각형의 바닥편(10); 상기 바닥편(10)의 대응각이 곡률진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닥편(10)의 각 면에 상기 바닥편(10)과 상응한 높이로 상하의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제 1절편(20); 제 2절편(30); 제 3절편(40); 제 4절편(50)으로 이루어진 접철식 방석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내지 제 4절편(20,30,40,50)을 접었을 때에 상기 제 1내지 제 4절편(20,30,40,50)의 상기호 형상으로 인해 상기 바닥편(10)의 상부 중앙부위에 마름모 형상의 중공부(60)가 발생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절편(20,30,40,50)을 펼쳤을 때에는 전체적으로 각 부위가 곡률진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방석은 상기 바닥편(10) 및 상기 제 1내지 제 4절편(20,30,40,50)의 내부는 쿠션재로 되어 있고 외부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편(10) 및 상기 제 1내지 제 4절편(20,30,40,50)이 접합하는 면에는 벨트로 테이프 또는 연결단추의 고정수단(100,15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해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석이 펼쳐져 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바닥편(10)은 정사각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바닥편(10)의 두께는 대략 3 내지 7cm이고 각 면의 길이는 40내지 6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닥편(10)의 내부는 쿠션재로 구성되고 이 쿠션재를 감싸는 방식으로 외부커버는 합성수지재로 제작이 된다.
제 1절편 내지 제 4절편(20,30,40,50)은 바닥편(10)의 각 면에 각각 접합되어 있도록 구성이 된다. 각 절편(20,30,40,50)의 높이 또는 두께는 바닥편(10)과 동일하고 각 절편(20,30,40,50)을 접었을 때에는 방석은 2단 구조를 가지게 되어 그 두께가 대략 6 내지 14cm가 된다.
각 절편(20,30,40,50)은 기본적으로 밑면이 바닥편(10)과 접합이 되어 있는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밑면의 대응각 부위는 호 형상으로 곡률지게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각 절편(20,30,40,50)을 펼쳤을 때에는 각 절편(20,30,40,50)의 2개의 면이 서로 연결되어 일직선을 이루며 또한 이러한 방석의 펼친 상태의 전체 형상은 대략 60 내지 90cm의 길이를 갖는 정사각형으로 된다. 보다 자세히는 끝부분이 약간 곡률진 형태의 정사각형이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석의 각 절편(20,30,40,50)을 접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1 내지 제 4절편(20,30,40,50)의 2면은 도 2에 나타난 것처럼 정사각형인 바닥편(10)의 양 대각선 방향에 일치하도록 구성이 된다. 다시 말해, 삼각형 형상을 가진 절편(20,30,40,50) 중 바닥편(10)과 접합하지 않은 2개의 면은 상기 절편(20,30,40,50)을 접었을 때 바닥편(10)과 대응 모서리에서 연장된 2개의 대각선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절편(20,30,40,50)을 접었을 때에는 각 절편(20,30,40,50)의 종단 부위 즉, 밑면에 대한 대응각 부위가 곡률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곡률진 부분만큼의 대략적으로 마름모형상을 가진 중공부(60)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절편(20,30,40,50)이 접혔을 때 모아지는 각 부위가 곡률진 형상을 가지는 이유는 각 절편(20,30,40,50)이 보다 용이하게 접히는 것을 돕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중공부(60)가 바닥 쪽으로 위치하게 할 수도 있고 또한 중공부(60)를 사용자 측에 위치하게 하여 사용자의 곡률진 일 측 둔부의 형상을 적절하게 수용하게 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무게를 방석에 분산시키게 하여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편의에 맞게 본 고안에 따른 방석을 사용하게 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중공부(60)는 그 내부에 소정 크기의 물건을 보관할 수도 있는 역할을 제공하기도 한다. 중공부(60)의 크기는 각 절편(20,30,40,50)의 끝부분의 곡률 상태 및 정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3은 각 절편(20,30,40,50)과 바닥편(10)과 접합 상태 및 본 고안에서 추가로 제공하는 고정 수단(100)을 도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1절편 내지 제 4절편(20,30,40,50)과 바닥편(10)의 접합 부위는 박음질처리 등을 통하여 접합이 되어 있는데, 바닥편(10)의 상측면 부위가 각 절편(20,30,40,50)과 접합되어 바닥편(10)의 내측으로 각 절편(20,30,40,50)이 접히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편(10) 및 각 절편(20,30,40,50)의 두께로 인해 그 반대방향, 즉 바닥편의 바깥방향으로는 접혀지지 않도록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방석의 접합 부위에는 각 절편(20,30,40,50)을 접었을 때 그 접합을 보장하기 위하여 각 절편(20,30,40,50)이 접합되는 면에는 연결 단추(150)가 삽입되어 있다. 연결 단추(150)는 암수 구분이 있으며 각 절편(20,30,40,50)의 좌측 접합면은 암 연결단추, 각 절편의 우측 접합면은 수 연결단추로 이루어져 각 절편(20,30,40,50)을 접었을 때 좌우측의 연결단추(150)의 맞물림으로 고정이 될 수가 있다.
또한, 바닥편(10) 및 제 1내지 제 4절편(20,30,40,50)이 접합하는 면에는 벨트로 테이프 또는 연결단추의 고정수단(100)이 삽입되어 있어서, 각절편(20,30,40,50)을 펼쳤을 때의 각 절편(20,30,40,50)의 고정력을 보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방석의 구성 및 작용을 상술한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고안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철식 방석에 의하면, 정사각형 형태의 기본 바닥편의 각 면에 접철편이 부착되어 있어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접고 펼치는 것이 용이하며 또한 접철편을 펼친 상태의 크기 역시 정사각형이 되어 기존 방석의 장점을 그대로 가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철편을 접었을 때 발생하는 중공부의 제공으로 사용자는 둔부를 보다 편리하게 안착시킬 수가 있으며 그 내부에 소형 물건을 보관할 수 있고, 접고 펼쳤을 때의 고정력을 보장한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일면이 40내지 60cm 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3 내지 7cm인 정사각형의 바닥편(10);
    상기 바닥편(10)에 접합된 밑면의 대응각에 해당하는 종단부가 곡률진 호 형상으로 이루어진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상기 바닥편(10)의 각 면에 상기 바닥편(10)과 상응한 높이로 상하의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제 1절편(20); 제 2절편(30); 제 3절편(40); 제 4절편(50)으로 이루어진 접철식 방석으로서,
    상기 제 1 내지 제 4절편(20,30,40,50)을 접었을 때에 상기 제 1내지 제 4절편(20,30,40,50)의 종단부의 상기 호 형상으로 인해 상기 바닥편(10)의 상부 중앙부위에 발생되는 마름모 형상의 중공부(6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절편(20,30,40,50)을 펼쳤을 때에는 전체적으로 각 부위가 곡률진 정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방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편(10) 및 상기 제 1내지 제 4절편(20,30,40,50)이 접합하는 면에는 밸트로 테입 또는 연결단추의 고정수단(10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방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내지 제 4절편(20,30,40,50)끼리 접합되는 면의 좌우측에는 교대로 암수 연결단추(15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방석.
KR20-2004-0011502U 2004-04-26 2004-04-26 접철식 방석 KR200357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02U KR200357602Y1 (ko) 2004-04-26 2004-04-26 접철식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502U KR200357602Y1 (ko) 2004-04-26 2004-04-26 접철식 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602Y1 true KR200357602Y1 (ko) 2004-07-30

Family

ID=49348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502U KR200357602Y1 (ko) 2004-04-26 2004-04-26 접철식 방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6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2813A (en) Foldable chair
AU2006221161B2 (en) A baby carrier
US7779492B2 (en) Self-storing combination blanket and neck roll assembly
US7520010B2 (en) Foldable circular baby changing pad having annular storage area and perimeter handles with ends at fold lines
US9693638B1 (en) Reconfigurable pillow with dual infant support pillows
US20060200906A1 (en) Pillow blanket
US20180368587A1 (en) Portable privacy baby changing pad
US4609225A (en) Folding chair with membrane shell
US6969120B2 (en) Foldable baby&#39;s chair
KR200357602Y1 (ko) 접철식 방석
KR102181190B1 (ko) 가방형 의자
KR101250519B1 (ko) 등받이 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휴대용 매트
JP3174072U (ja) マットレス
KR200492815Y1 (ko) 휴대용 접이식 등받이 의자
JP5527703B1 (ja) 腰部包囲座布団
KR200476071Y1 (ko) 접이식 매트리스
JP3234094U (ja) 組立分解容易な揺り椅子
EP1079718A1 (en) Towel-mat with a frame member and removably attached membranes
KR20130006647U (ko) 자유변형 가구
KR102362299B1 (ko) 좌식의자로 변형이 가능한 접이식 매트
KR102370266B1 (ko) 가방겸용 유아용 침장
CN208709255U (zh) 多功能折叠防潮垫及可拼接防潮垫
JP4808286B1 (ja) 携帯用正座椅子
JPS6017166Y2 (ja) ソフア兼用マツトレス
CN201759707U (zh) 方便携带的腰椎顶靠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