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218Y1 - 제환기 - Google Patents

제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218Y1
KR200357218Y1 KR20-2004-0011620U KR20040011620U KR200357218Y1 KR 200357218 Y1 KR200357218 Y1 KR 200357218Y1 KR 20040011620 U KR20040011620 U KR 20040011620U KR 200357218 Y1 KR200357218 Y1 KR 200357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rollers
alignment plate
forming rollers
dif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상준
Original Assignee
안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준 filed Critical 안상준
Priority to KR20-2004-0011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2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2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청심환이나 은단과 같은 구형상의 환약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이용되는 제환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20) 위에 설치되어 약재를 납작한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기(30)와, 압출기(30)의 출구(32) 밑에 위치하여 이 압출기(30)로부터 압출되는 압출물(12)을 더욱 납작한 형태로 성형하는 가압롤러(40)(42)와, 가압롤러(40)(42)에 의해 납작하게 성형되는 가압물(14)을 소정 폭으로 절단하는 커팅기구(50)와, 커팅기구(50)를 통해 절단된 절단물(16)을 진향방향(F1)과 나란한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면서 동시에 구(球)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환형홈(80k)(82k)을 갖고 동일방향으로 차동회전하는 복수의 차동성형롤러(80)(82) 및 가압롤러(40)(42)와 커팅기구(50), 차동성형롤러(80)(8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90)(92)(94)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기계 내부를 동력실과 성형실로 구분하는 격벽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실 내부를 물청소할 때 동력실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계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되어 설치면적 및 기계제작비용을 낮추며, 환약의 성형속도를 향상시키고, 저점도 약재의 성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환기{Pill Manufacturing Machine}
본 고안은 청심환이나 은단과 같은 구형상의 환약을 대량으로 제조하는 이용되는 제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 내부에 방수대책을 하여 물청소가 가능하도록 하고, 기계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시켜 설치면적 및 제작비용을 낮추며, 환약의 성형속도를 향상시키고, 저점도 약재의 성형에 적합하도록 한 제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약(丸藥)은 가루로 만든 약재에 꿀, 풀 등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둥근 모양으로 빚은 약을 지칭한 것으로, 부형제의 종류에 따라 밀환(蜜丸), 호환(湖丸), 수환(水丸), 약즙환, 엑스환 등이 있으며, 복용이 간편하고 휴대와 저장이 가능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분말상의 약재료를 환약으로 대량 제조하는 종래의 환약재조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에 실용신안등록 제20-0193399호(등록일자: 2000. 6.10.)와, 실용신안등록 제20-0266960호(등록일자: 2002. 2. 22.)로 게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환약재조장치를 이용해서 환약을 제조하다 보면 투입된 약재나 이형을 위한 가루로 인해 기계 내부가 오염되는데, 이를 방치하면 굳어서 고장을 유발하고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여 비위생적으로 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청소해 주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 환약재조장치는 수분에 약한 전동모터가 다수의 롤러와 서로 격리되지 않고 기계 내부에 한군데 수용되어 있었기 때문에 물청소가 곤란하여 일일이 걸레로 닦거나 스크래퍼 등으로 긁어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청소가 깨끗이 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기계 내부를 청소할 때 고압세척기 또는 증기세척기를 이용하거나 물을 뿌리면 전동모터로 수분이 침투하여 누전이나 감점 등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으며, 기계의 고장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환약재조장치는 드럼, 진동장치 등 제작이 어렵고 정밀도를 요하는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과 제작시간을 증가시키고 설치면적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진동발생을 위한 장치들은 심한 소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기계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환약성형시 진동에 의존하는 환약재조장치들은 점도가 거의 없는 저점도 약재를 성형물로써 이용하는 경우 이러한 약재는 응집력이 약하기 때문에 진동을 가할 때 가루로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방수대책을 세움으로써 물청소가 가능하며,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여 설치면적 및 기계제작비용을 낮추고, 약재의 성형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점도가 거의 없는 저점도 약재를 이용한 성형이 가능한 제환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 위에 설치되어 약재를 납작한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기와, 압출기의 출구 밑에 위치하여 이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압출물을 더욱 납작한 형태로 성형하는 가압롤러와, 가압롤러에 의해 납작하게 성형되는 가압물을 소정 폭으로 절단하는 커팅기구와, 커팅기구를 통해 절단된 절단물을 진향방향과 나란한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면서 동시에 구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환형홈을 갖고 동일방향으로 차동회전하는 복수의 차동성형롤러 및 가압롤러와 커팅기구, 차동성형롤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로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좌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우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에 적용된 가압롤러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에 적용된 환봉성형롤러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에 적용된 차동성형롤러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좌측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우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상면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제환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저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2 : 압출물 14 : 가압물
16 : 절단물 18 : 환약
20 : 본체 22 : 동력실
24 : 성형실 26 : 격판
30 : 압출기 32 : 출구
40,42 : 가압롤러 50 : 커팅기구
51a,51b : 피봇가이드 51g : 직선안내면
52a,52b : 슬라이드샤프트 53 : 나이프홀더
54 : 커터 55a,55b : 커팅스프링
56a,56b : 제 1캠팔로워 57a,57b : 커팅용캠
58a,58b : 탈거스프링 59a,59b : 제 2캠팔로워
60a,60b : 탈거용캠 61,62 : 캠축
63,64 : 기어군 C1 : 회전중심
F1 : 진향방향 70,72 : 환봉성형롤러
80,82 : 차동성형롤러 80k,82k : 환형홈
90,92,94 : 구동모터 200 : 수평정렬판
202 : 톱니 220 : 수직정렬판
222 : 홈 240 : 스크래퍼
300 : 왕복운동기구 302 : 가동판
304 : 구동축 306 : 편심캠
308 : 요동암 310 : 브래킷
400 : 직선안내기구 500 : 안내판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 위에 설치되어 약재를 납작한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기(30)와, 압출기(30)의 출구(32) 밑에 위치하여 이 압출기(30)로부터 압출되는 압출물(12)을 더욱 납작한 형태로 성형하는 가압롤러(40)(42)와, 가압롤러(40)(42)에 의해 납작하게 성형되는 가압물(14)을 소정 폭으로 절단하는 커팅기구(50)와, 이 커팅기구(50)를 통해 절단된 절단물(16)을 진향방향(F1)과 나란한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면서 동시에 구(球)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환형홈(80k)(82k)을 갖고 동일방향으로 차동회전하는 복수의 차동성형롤러(80)(82) 및 가압롤러(40)(42)와 커팅기구(50), 차동성형롤러(80)(8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90)(92)(94)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압출기(30)는 상측에 약재를 투입하기 위한 호퍼(34)가 위치되며, 그 호퍼(34) 아래쪽에는 스크류(도시 않됨)가 내장되고, 앞쪽으로는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출구(32)가 설치되며, 후방측에는 내부의 스크류를 구동하기 위한 감속모터(36)와 동력전달을 위한 체인전동장치(38)가 설치된다.
또, 상기 가압롤러(40)(4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플랜지(42m)(42n)를 형성하여 가압물(14)이 옆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본체(20)에 설치된 구동모터(92)로부터 발생된 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구동모터(92)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감속하여 가압롤러(40)(42)로 전달하기 위해서 복수의 스프로킷휠(45)(46)(47)(48)과 체인(49a)(49b)에 의해 전달된다.
상기 커팅기구(50)는 본체(20)의 좌우측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그 회전중심(C1)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직선안내면(51g)을 갖는 피봇가이드(51a)(51b)와, 피봇가이드(51a)(51b)의 직선안내면(51g)에 각각 미끄럼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샤프트(52a)(52b)와, 슬라이드샤프트(52a)(52b)의 선단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나이프홀더(53)와, 나이프홀더(53)에 설치되어 가압물(14)을절단하기 위한 커터(54)와, 피봇가이드(51a)(51b)와 슬라이드샤프트(52a)(52b) 사이에서 반발하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드샤프트(52a)(52b)에 커팅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커팅스프링(55a)(55b)과, 슬라이드샤프트(52a)(52b)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 1캠팔로워(56a)(56b)에 구름접촉하여 이 슬라이드샤프트(52a)(52b)를 직선운동시키는 커팅용캠(57a)(57b)과, 슬라이드샤프트(52a)(52b)와 본체(20) 사이에 설치되어 이 슬라이드샤프트(52a)(52b)를 통해 절단물(16)을 이탈시키기 위한 탈거스프링(58a)(58b)과, 제 1캠팔로워(56a)(56b)와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슬라이드샤프트(52a)(52b)에 설치된 제 2캠팔로워(59a)(59b)에 구름접촉하여 슬라이드샤프트(52a)(52b)를 회전중심(C1)을 기점으로 회동시키는 탈거용캠(60a)(60b) 및 커팅용캠(57a)(57b)과 탈거용캠(60a)(60b)에 연결된 캠축(61)(62)에 설치되고 구동모터(90)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군(63)(64)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커팅스프링(55a)(55b)은 예컨대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고, 탈거스프링(58a)(58b)은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차동성형롤러(80)(82) 중 환약(18)을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동성형롤러(80)가 다른 차동성형롤러(82)보다 더 빠른 회전수를 갖도록 이들 차동성형롤러(80)(82)에 각각 직결된 두 개의 기어(80g)(82g)중 환약(18)을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동성형롤러(80)에 연결된 기어(80g)가 다른 차동성형롤러(82)에 연결된 기어(82g)보다 잇수가 많은 것을 사용하였으며, 예컨대 기어비는 18:20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기어(80g)(82g)는 서로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사이의 동력전달기어(83)를 매개로 하여 회전하며, 체인(84)과 스프로킷휠(85)(86)을 통해 본체(20)에 설치된 구동모터(94)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양측의 기어(80g)(82g) 중 어느 하나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본체(20)를 구동모터(90)(92)(94)가 위치된 후방의 동력실(22)과, 앞부분의 롤러들이 위치한 성형실(24)로 구획하는 격판(26)을 본체(20)에 설치하여 물청소시 물이 동력실(2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첨부도면 도7 내지 도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의 구성은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구성만을 설명하면, 커팅기구(50)와 차동성형롤러(80)(82)의 사이에 커팅기구(50)로부터 절단된 절단물(16)을 환봉형상으로 성형하여 차동성형롤러(80)(82)로 공급하는 환봉성형롤러(70)(72)를 구비하였다.(일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음)
즉, 커팅기구(50)와 차동성형롤러(80)(82) 사이를 넓게 띄우고 그 사이에 환봉성형롤러(70)(72)를 위치시켰으며, 도면상에서는 일실시예에서 차동성형롤러(80)(82)가 위치하던 자리에 환봉성형롤러(70)(72)가 위치되며, 차동성형롤러(80)(82)는 그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환봉성형롤러(70)(72)에도 차동성형롤러(80)(82)에서와 같은 잇수가 다른 기어(70g)(72g)를 설치하고, 회전방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사이에 동력전달기어(98)를 위치시켜 사각형의 단면형태를 갖는 절단물(16)을 사이에 두고 차동회전되면서 굴려 원형으로 성형하게 된다.
그리고, 하나의 구동모터(94)를 이용하여 환봉성형롤러(70)(72)와 차동성형롤러(80)(82)에 모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복수의 스프로킷휠(100)(102)(104)(106)과 체인(108)(110)을 구동모터(94)와 환봉성형롤러(70)(72)와 차동성형롤러(80)(82) 사이에 설치하였다.
첨부도면 도10 내지 도16은 밑으로 떨어지는 절단물(16)을 정렬시키기 위한 정렬장치를 부가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롤러(40)(42)와 차동성형롤러(80)(82)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출몰하면서 낙하하는 절단물(16)을 수평하게 받는 수평정렬판(200)과, 상기 커팅기구(50)와 연동하면서 수평정렬판(200)을 전후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왕복운동기구(300)와, 수평정렬판(200)을 수평방향으로 직선안내하기 위한 직선안내기구(400)와, 수평정렬판(200)의 상측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수평정렬판(200)과 함께 후진하려는 절단물(16)을 정지시켜 하측의 차동성형롤러(80)(82)와 나란하게 정렬하는 수직정렬판(220)을 구비하여 낙하하는 절단물(16)을 정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구동축(304)은 본체(20)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베어링하우징(309)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기 수직정렬판(220)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커터(54)의 저면에 밀착하여 커터(54)가 후진할 때 커터(54)의 저면에 부착한 찌꺼기를 긁어서 제거하는 스크래퍼(240)를 구비하여 찌꺼기가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수평정렬판(200)과 수직정렬판(220)은 서로 엇갈리게 교호로 형성된 방형파(方形波) 모양의 톱니(202)와 홈(222)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였다.
하편, 왕복운동기구(300)는 직선안내기구(400)에 의해 전후로 직선안내되는 가동판(302)의 앞부분에 수평정렬판(200)을 설치하고, 구동축(304)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캠(306)에 미끄럼 결합된 요동암(308)의 선단을 브래킷(310)을 통해 상기 가동판(302)에 핀결합하여 편심캠(306)의 편심량에 따라 가동판(302)이 수평정렬판(200)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직선안내기구(400)는 본체(20)의 좌우측 내측 벽면에서 전후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직선안내레일(402)과, 이 직선안내레일(402)에 구름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더(404)와, 슬라이더(404)에 수직면에 설치되는 수직판(406)과, 좌우측의 수직판(406) 밑을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크로스빔(408)으로 구성하였으며, 그 좌우측 수직판(406)의 상단부에는 상기 가동판(302)이 얹혀진 상태로 좌우로 가로질러서 설치된다.
또,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정렬판(200)과 차동성형롤러(80)(82) 사이에 밑으로 낙하하는 절단물(16)을 두 차동성형롤러(80)(82) 사이로 안내하는 안내판(500)을 설치하였으며, 이 안내판(500)은 예컨대 원호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먼저 압출기(30)에 구비된 호퍼(34)에 약재를 투입한 다음 압출기(30)를 구동하기 위한감속모터(36)를 구동하게 되면, 감속모터(36)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체인전동장치(38)를 통해 압출기(30)에 내장된 스크류로 전달되면서 호퍼(34)에 투입된 약재를 압출하게 되는데, 이때 장방형의 구멍을 갖는 출구(32)로부터 납작한 압출물(12)이 배출되면서 하측에 위치한 가압롤러(40)(42)로 연속하여 떨어지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92)와 스프로킷휠(45)(46)(47)(48) 및 체인(49a)(49b)에 의해 회전하는 가압롤러(40)(42) 사이로 떨어지는 압출물(12)은 가압롤러(40)(42) 사이로 진입되면서 더욱 납작하게 가압되어 더 얇은 두께의 평판모양으로 성형된다.
이후 가압롤러(40)(42)로부터 배출되는 납작한 평판형태의 가압물(14)이 연속해서 밑으로 배출되다가 그 밑에 위치한 커팅기구(50)에 의해 가느다란 막대모양으로 절단된다.
즉, 커팅기구(50)의 동작은 먼저 커팅기구(5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90)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이 기어군(63)(64)을 통해 캠축(61)(62)으로 전달되면, 커팅용캠(57a)(57b)과 탈거용캠(60a)(60b)에 의해 슬라이드샤프트(52a)(52b)가 전후로의 직선운동과 피봇가이드(51a)(51b)의 회전중심(C1)을 기점으로 한 회전운동을 반복하면서 가압물(14)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여 절단물(16)을 만들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샤프트(52a)(52b)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 1캠팔로워(56a)(56b)에 구름접촉하고 있는 커팅용캠(57a)(57b)이 회전하여 캠축(61)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커팅용캠(57a)(57b)의 높은변곡점이 제 1캠팔로워(56a)(56b)에 점점 가까워지게 되면, 커팅스프링(55a)(55b)이 압축되고 슬라이드샤프트(52a)(52b)가 피봇가이드(51a)(51b)에 형성된 직선안내면(51g)에 의해 직선안내되면서 커팅용캠(57a)(57b)에 의해 전방측으로 전진하게 되고 동시에 나이프홀더(53)에 설치된 커터(54)가 밑으로 떨어지고 있는 가압물(14)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샤프트(52a)(52b)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 2캠팔로워(59a)(59b)에 구름접촉하고 있는 탈거용캠(60a)(60b)도 회전하여 캠축(62)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짧은 거리에 위치한 탈거용캠(60a)(60b)의 낮은변곡점이 제 2캠팔로워(59a)(59b)에 점점 가까워지게 되면, 인장스프링인 탈거스프링(58a)(58b)에 의해 슬라이드샤프트(52a)(52b)가 피봇가이드(51a)(51b)의 회전중심(C1)을 기점으로 해서 회동되면서 동시에 나이프홀더(53)에 설치된 커터(54)가 상승하게 된다.
그 다음 슬라이드샤프트(52a)(52b)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 1캠팔로워(56a)(56b)에 구름접촉하고 있는 커팅용캠(57a)(57b)이 계속 회전되다가 캠축(61)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위치한 커팅용캠(57a)(57b)의 낮은변곡점이 제 1캠팔로워(56a)(56b)에 점점 가까워지게 되면, 커팅스프링(55a)(55b)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진되었던 슬라이드샤프트(52a)(52b)가 후진되면서 동시에 나이프홀더(53)에 설치된 커터(54)에 의해 가압물(14)이 절단되어 절단물(16)이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드샤프트(52a)(52b)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 2캠팔로워(59a)(59b)에 구름접촉하고 있는 탈거용캠(60a)(60b)도 계속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캠축(62)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탈거용캠(60a)(60b)의 높은변곡점이 제 2캠팔로워(59a)(59b)에 점점 가까워지게 되면, 탈거스프링(58a)(58b)에 신장되고 슬라이드샤프트(52a)(52b)가 피봇가이드(51a)(51b)의 회전중심(C1)을 기점으로 회동되면서 동시에 나이프홀더(53)에 설치된 커터(54)가 하강하여 절단물(16)을 가압물(14)로부터 완전하게 분리하게 된다.
또, 커팅기구(50)의 동작은 반복되며, 일정한 폭의 막대모양으로 절단된 절단물(16)은 낙하 중간에 정렬장치에 의해 정렬과정을 거친 다음 차동성형롤러(80)(82)를 통과하면서 구형태로 성형된다.
이와 같은 정렬장치에 의한 정렬작용은 첨부도면 도10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54)에 의해 절단된 막대모양의 절단물(16)은 좌우 양단의 절단속도차이 또는 커터(54)와의 간섭 때문에 균형이 깨져 삐뚤어진 상태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가압롤러(40)(42)와 차동성형롤러(80)(82) 사이에 위치하는 수평정렬판(200)이 커팅기구(50)와 연동하는 왕복운동기구(3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출몰하면서 밑으로 떨어지는 절단물(16)을 수평한 상태로 받아 정렬시킨 다음 후진할 때 절단물(16)을 수직정렬판(220)의 수직면에 밀착시켜 좌우양단을 정렬시킨 다음 밑으로 낙하시키게 된다.
즉, 왕복운동기구(300)는 커팅기구(50)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되는데, 구동축(304)이 회전되면, 이 구동축(304)에 설치된 편심캠(306)이 회전되면서 요동암(308)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이때 가동판(302)이 직선안내기구(400)를 구성하고 있는 직선안내레일(402)과 슬라이더(404)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직선운동만 하도록 구속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판(302)에 설치된 수평정렬판(200)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왕복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수평정렬판(200)의 앞단에 형성된 톱니(202)는 수직정렬판(220)의 하단에 형성된 홈(222)으로부터 출몰하면서 스크래퍼(240)와 수직정렬판(220) 사이로 낙하는 절단물(16)을 받게 되며, 후진할 때는 받은 절단물(16)을 다시 밑으로 떨어뜨리게 된다.
이때 수평정렬판(20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전후로 움직이기 때문에 절단물(16)이 낙하 도중 기울어도 수평정렬판(200)에 의해 수평한 상태로 정렬되며, 또 수평정렬판(200)이 후진될 때 수직으로 설치되어 버티고 있는 수직정렬판(220)에 절단물(16)이 밀착하여 전후방향으로 정렬되며, 수평정렬판(200)으로부터 떨어지는 절단물(16)은 다시 안내판(500)에 의해 두 차동성형롤러(80)(82) 사이로 안내된다.
그리고, 수직정렬판(22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스크래퍼(240)는 커터(54)가 후진할 때 커터(54)의 저면에 붙어 있는 찌꺼기를 긁어내는 역할을 하여 커터(54)의 저면에 찌꺼기가 잔류하여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차동성형롤러(80)(82)는 구동모터(94)와 스프로킷휠(85)(86), 체인(84)에 의해 구동되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잇수를 갖는 기어(80g)(82g)에 의해 다른 회전수로 회전되며, 중간의 동력전달기어(83)에 의해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전수의 차이에 의해 사이를 통과하는 절단물(16)을 위아래로 굴리면서 구모양으로 성형된다.
즉, 차동성형롤러(80)(82)를 통과하는 절단물(16)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동성형롤러(80)(82)의 외주면에 형성된 반구형의 환형홈(80k)(82k)을 통과하면서 구형상으로 성형되며,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양측의 차동성형롤러(80)(82)에 의해 위로 올라가려는 힘과 밑으로 내려가려는 힘을 동시에 받게 되는데, 결국 높은 회전수를 갖는 차동성형롤러(80)에 의해 힘을 받는 방향인 아래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는 본체(20)를 후방의 동력실(22)과, 전방의 성형실(24)로 구획하는 격판(26)이 구비되어 있는데, 성형실(24)을 물로 청소할 때 격판(26)에 의해 동력실(2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팅기구(50)에 의해 절단된 절단물(16)이 우선 환봉성형롤러(70)(72)에 의해 환봉형태로 성형된 다음 차동성형롤러(80)(82)로 향하게 되어 환약(18)을 더욱 정밀한 치수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즉, 환봉성형롤러(70)(72)는 차동성형롤러(80)(8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94)에 의해 구동되며, 차동성형롤러(80)(82)에서와 마찬가지인 양측 환봉성형롤러(70)(72)에 직결된 기어(70g)(72g)의 회전수 차이에 의해 사이를 통과하는 막대모양의 절단물(16)을 환봉형상으로 굴려서 성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기계 내부를 동력실과 성형실로 구분하고 동력실로의 물유입을 차단하는 격판에 의해 성형실 내부만을 고압세척이나 증기세척과 같은 세척효율이 높은 물청소가 가능하게 되어 위생적으로 되며, 기계의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계제작비를 낮출 수 있고, 절단 후 성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약의 성형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진동장치가 배제되어 있기 때문에 점도가 거의 없는 저점도 약재의 성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평정렬판과 수직정렬판에 의해 삐뚤어지게 낙하는 절단물을 중간에서 받아 정렬한 다음 차동성형롤러로 떨어뜨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성형불량률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형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커터의 저면에 밀착하도록 설치된 스크래퍼에 의해 커터의 밑 부분에 부착된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터에 부착된 찌꺼기가 성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터에 부착된 찌꺼기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커팅불량품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안내판에 의해 절단물이 차동성형롤러 사이로 진입하기 전 차동성형롤러에 닿아 진입에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성형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본체(20) 위에 설치되어 약재를 납작한 형태로 압출하는 압출기(30)와;
    상기 압출기(30)의 출구(32) 밑에 위치하여 이 압출기(30)로부터 압출되는 압출물(12)을 더욱 납작한 형태로 성형하는 가압롤러(40)(42)와;
    상기 가압롤러(40)(42)에 의해 납작하게 성형되는 가압물(14)을 소정 폭으로 절단하는 커팅기구(50)와;
    상기 커팅기구(50)를 통해 절단된 절단물(16)을 진향방향(F1)과 나란한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면서 동시에 구(球) 형상으로 성형하도록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환형홈(80k)(82k)을 갖고 동일방향으로 차동회전하는 복수의 차동성형롤러(80)(82) 및;
    상기 가압롤러(40)(42)와 커팅기구(50), 차동성형롤러(80)(82)를 구동하는 구동모터(90)(92)(9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구(50)는 본체(20)의 좌우측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그 회전중심(C1)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직선안내면(51g)을 갖는 피봇가이드(51a)(51b)와;
    상기 피봇가이드(51a)(51b)의 직선안내면(51g)에 각각 미끄럼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샤프트(52a)(52b)와;
    상기 슬라이드샤프트(52a)(52b)의 선단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나이프홀더(53)와;
    상기 나이프홀더(53)에 설치되어 가압물(14)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54)와;
    상기 피봇가이드(51a)(51b)와 슬라이드샤프트(52a)(52b) 사이에서 반발하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드샤프트(52a)(52b)에 커팅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커팅스프링(55a)(55b)과;
    상기 슬라이드샤프트(52a)(52b)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 1캠팔로워(56a)(56b)에 구름접촉하여 이 슬라이드샤프트(52a)(52b)를 직선운동시키는 커팅용캠(57a)(57b)과;
    상기 슬라이드샤프트(52a)(52b)와 본체(20) 사이에 설치되어 이 슬라이드샤프트(52a)(52b)를 통해 절단물(16)을 이탈시키기 위한 탈거스프링(58a)(58b)과;
    상기 제 1캠팔로워(56a)(56b)와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슬라이드샤프트(52a)(52b)에 설치된 제 2캠팔로워(59a)(59b)에 구름접촉하여 슬라이드샤프트(52a)(52b)를 회전중심(C1)을 기점으로 회동시키는 탈거용캠(60a)(60b) 및;
    상기 커팅용캠(57a)(57b)과 탈거용캠(60a)(60b)에 연결된 캠축(61)(62)에 설치되고 구동모터(90)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군(63)(6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차동성형롤러(80)(82) 중 환약(18)을 배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차동성형롤러(80)가 다른 차동성형롤러(82)보다 더 빠른 회전수를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기구(50)와 차동성형롤러(80)(82)의 사이에 커팅기구(50)로부터 절단된 절단물(16)을 환봉형상으로 성형하여 차동성형롤러(80)(82)로 공급하는 환봉성형롤러(70)(72)를 더 구비하여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를 구동모터(90)(92)(94)가 위치된 후방의 동력실(22)과, 앞부분의 롤러들이 위치한 성형실(24)로 구획하는 격판(26)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40)(42)와 차동성형롤러(80)(82)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출몰하면서 낙하하는 절단물(16)을 수평하게 받는 수평정렬판(200)과;
    상기 커팅기구(50)와 연동하면서 수평정렬판(200)을 전후방향으로 구동하기위한 왕복운동기구(300)와;
    상기 수평정렬판(200)을 수평방향으로 직선안내하기 위한 직선안내기구(400)와;
    상기 수평정렬판(200)의 상측에 수직으로 위치되어 수평정렬판(200)과 함께 후진하려는 절단물(16)을 정지시켜 하측의 차동성형롤러(80)(82)와 나란하게 정렬하는 수직정렬판(22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정렬판(220)과 일정한 간격을 이루도록 수직으로 설치되고, 커터(54)의 저면에 밀착하여 커터(54)가 후진할 때 커터(54)의 저면에 부착한 찌꺼기를 긁어서 제거하는 스크래퍼(240)가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정렬판(200)과 수직정렬판(220)은 서로 엇갈리게 교호로 형성된 방형파(方形波) 모양의 톱니(202)와 홈(22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운동기구(300)는 직선안내기구(400)에 의해 전후로 직선안내되는 가동판(302)의 앞부분에 수평정렬판(200)을 설치하고, 구동축(304)에 의해 회전하는 편심캠(306)에 미끄럼 결합된 요동암(308)의 선단을 브래킷(310)을 통해 상기 가동판(302)에 핀결합하여 편심캠(306)의 편심량에 따라 가동판(302)이 수평정렬판(200)과 함께 전후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정렬판(200)과 차동성형롤러(80)(82) 사이에 밑으로 낙하하는 정렬된 절단물(16)을 두 차동성형롤러(80)(82) 사이로 안내하는 안내판(500)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환기.
KR20-2004-0011620U 2004-04-27 2004-04-27 제환기 KR2003572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20U KR200357218Y1 (ko) 2004-04-27 2004-04-27 제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20U KR200357218Y1 (ko) 2004-04-27 2004-04-27 제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218Y1 true KR200357218Y1 (ko) 2004-07-23

Family

ID=4943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620U KR200357218Y1 (ko) 2004-04-27 2004-04-27 제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21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387B1 (ko) * 2011-09-03 2013-06-17 김경란 구형물 성형장치
KR102265082B1 (ko) 2020-09-10 2021-06-14 정희옥 부형제 사용없이 마손도를 감소시키는 식품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387B1 (ko) * 2011-09-03 2013-06-17 김경란 구형물 성형장치
KR102265082B1 (ko) 2020-09-10 2021-06-14 정희옥 부형제 사용없이 마손도를 감소시키는 식품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1470B2 (ja) 製丸機
CN111923483B (zh) 一种片状药片的挤压成型设备
KR200357218Y1 (ko) 제환기
US5030078A (en) Apparatus for food product manufacture
CN209618420U (zh) 一种化纤材料用螺杆挤压机
CN1192939C (zh) 一种用于对填充材料进行包封的装置
CN104365711A (zh) 一种条状面坯的剪切装置
KR200391365Y1 (ko) 제환기
KR200442601Y1 (ko) 구형물 제조장치
CN113580605B (zh) 一种热熔胶制备方法
US1010174A (en) Confectionery-machine.
CN111905858A (zh) 一种花生油生产用原料粉碎装置
CN113579152A (zh) 一种电力电容器铝壳加工用挤压机的送料器
CN211020835U (zh) 一种具有短程快插的棒糖杆扦插装置
CN211060457U (zh) 一种片冰装置
JPS589676A (ja) 球状食品成形装置
US871650A (en) Dough-divider.
CN2517258Y (zh) 面团辗压暨供给之装置
CN210906046U (zh) 抛丸微丸机组
CN110091379A (zh) 一种块茎或块根切丁机
CN216324918U (zh) 一种电力电容器铝壳加工用挤压机的送料器
CN203525807U (zh) 粒断机及在该粒断机中使用的粒断刀
CN220548521U (zh) 一种改性pa材料切粒装置
CN218901751U (zh) 一种多工位摇摆颗粒机
RU2201068C2 (ru) Измельчитель корнепл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