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194Y1 - 케이블용 덕트 - Google Patents
케이블용 덕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7194Y1 KR200357194Y1 KR20-2004-0010714U KR20040010714U KR200357194Y1 KR 200357194 Y1 KR200357194 Y1 KR 200357194Y1 KR 20040010714 U KR20040010714 U KR 20040010714U KR 200357194 Y1 KR200357194 Y1 KR 200357194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block
- coupling
- cover
- cab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로 연결된 단위블럭 내에 케이블들(70)이 설치된 상태로 소정의 장소에 매설되는 케이블용 덕트(1)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 전면측 및 배면측이 개방되고 양측면에는 요철부(11)가 형성되는 다수의 덕트블럭(10)과, 서로 인접한 상기 덕트블럭들(10)의 전면측 및 배면측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0)와, 상기 덕트블럭(10)의 일측 상부에 그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덮개(30)와, 상기 덮개(30)의 타측을 덕트블럭(10)의 타측 상부로 결합시키는 잠금부재(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덕트블럭(1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노반 내로 결합되는 고정봉(50)을 더 포함함으로써 노반 내에 확실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1)는 덕트블럭(10)으로부터 덮개(30)가 분리되지 않고, 소정의 유지보수원을 제외한 일반인들은 상기 덮개(30)를 개방할 수 없으며, 매설시에 노반에 대한 덕트블럭(10)의 상대이동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덕트블럭들(10) 사이의 결합을 매우 견고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케이블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연결된 단위블럭들 내에 통신케이블, 전력케이블 등과 같은 케이블들이 설치된 상태로 소정의 장소에 매설되는 케이블용 덕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선로의 측면에는 예를 들어 통신케이블, 전력케이블 등과 같은 케이블들이 소정의 덕트 내에 배열된 상태로 매설되게 되는데, 도 1에는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용 덕트(100)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용 덕트(100)는 상측, 전면측 및 배면측이 개방되고 상단에는 덮개와의 결합을 위한 상부결합돌기(111)가 형성되며 전면측 및 배면측에는 다른 인접덕트블럭들(110)과의 결합을 위한 측면결합돌기(113) 및 측면결합홈(115)이 각각 형성되는 덕트블럭(110)과, 상기 덕트블럭(110)의 상부결합돌기(111)에 상응하는 하부결합돌기(121)을 구비하여 상기 덕트몸체(110)의 상측을 밀폐시키는 덮개(120)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용 덕트(100)는 덕트블럭(110)과 덮개(120)가 서로 분리가능하여 누구라도 덮개(120)를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덮개(120)가 분실되거나 내부의 케이블들이 고의적으로 파손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고, 선로 측면 내으로의 매설시에 덕트블럭(110)의 측면 및 하부면이 노반과 일체화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예를 들어, 진동과 같은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 상기 덕트블럭(110) 자체가 노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용 덕트(100)는 덕트블럭(110)과 또 다른 덕트블럭(110)과의 결합이 견고하지 않은 구조이므로 인접하는 덕트블럭들(110) 사이의 결합부가 예를 들어, 진동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덕트블럭으로부터 덮개가 분리되지 않고, 소정의 유지보수원을 제외한 일반인들은 상기 덮개를 개방할 수 없으며, 선로 측면 내으로의 매설시에 노반에 대한 덕트블럭의 상대이동이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하는 덕트블럭들 사이의 결합이 매우 견고한, 케이블용 덕트를 제공하기 위한 과제를 기초로 한다.
상기 과제는 덮개가 덕트블럭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잠금부재에 의해 덕트블럭 상으로 결합되고, 블럭몸체의 양측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블럭몸체의 하부면으로는 고정봉이 관통되어 노반 내로 결합되고, 인접하는 덕트블럭들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들에 걸쳐 끼워넣어지는 결합부재에 의해 인접하는 덕트블럭들이 서로 결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에 의해 해결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용 덕트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에 있어서, 인접한 블럭몸체들의 결합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에 있어서, 블럭몸체와 덮개의 잠금구조도.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5b는 격벽이 설치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의 사용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블용 덕트
10 : 덕트블럭
11 : 요철부
12 : 결합홈
13 : 맞물림부
14 : 힌지결합부
15 : 결합공
16 : 홈
17 : 관통공
18 : 격벽
20 : 결합부재
30 : 덮개
31 : 힌지결합부
32 : 측면홈
33 : 결합공
40 : 잠금부재
50 : 고정봉
70 : 케이블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1)에 있어서, 인접한 블럭몸체들(10)의 결합구조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1)에 있어서, 블럭몸체(10)와 덮개(30)의 잠금구조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1)는 서로 연결된 단위블럭들 내에 케이블들(70)이 배열된 상태로, 예를 들어 철로 측면과 같은 소정의 장소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측, 전면측 및 배면측이 개방되고 양측면에는 요철부(11)가 형성되는 다수의 덕트블럭(10)과, 서로 인접한상기 덕트블럭들(10)의 전면측 및 배면측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0)와, 상기 덕트블럭(10)의 일측 상부에 그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덮개(30)와, 상기 덮개(30)의 타측을 덕트블럭(10)의 타측 상부로 결합시키는 잠금부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1)는 상기 덕트블럭(1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노반 내로 결합되는 고정봉(50)을 더 포함함으로써 노반 내에 확실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블럭(10)은 전면측 및 배면측 단부에서 다른 덕트블럭들(10)과 결합됨으로써 케이블들(7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측, 전면측 및 배면측이 개방되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덕트블럭(10)은 또한 운반 또는 설치시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콘크리트재가 아닌 고강도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블럭(10)의 양측면에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요철부(11)가 형성되는데, 상기 요철부(11)는 덕트블럭(10)의 매설시 그 사이사이에 토사 또는 콘크리트가 채워짐으로써, 덕트블럭(10)에 예를 들어, 진동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덕트블럭(10)이 노반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덕트블럭(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1)는 하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덕트블럭(10)이 노반 내로 안정적으로 매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요철부(11)는 덕트블럭(1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핀(fin)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덕트블럭(10)의 전면측 및 배면측 상부에는 결합홈(12)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홈(12)은 서로 인접하는 덕트블럭들(10)의 결합홈들(12)에 걸쳐 끼워져 고정되는 결합부재(20)의 삽입공간을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덕트블럭(10)의 전면측 및 배면측 하단에는 인접한 상기 덕트블럭들(10)에 상응하는 맞물림부(13)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맞물림부들(13)은 인접한 상기 덕트블럭들(10)이 결합부재(20)에 의해 서로 결합될 경우에 서로 맞물려짐으로써, 결합부재(20)와 함께 서로 인접한 상기 덕트블럭들(10)이 더욱 확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덕트블럭(10)의 일측 상부에는 덮개(30)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14)가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결합부(14)는 덮개(30)의 힌지결합부(31)와 연동되어 상기 덮개(30)가 상기 덕트블럭(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덕트블럭(10)의 상측을 개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덕트블럭(10)의 타측 상부에는 결합공(15)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공(15)은 덮개(30) 상에 형성되는 결합공(33)에 일치됨으로써 이렇게 일치된 결합공들(33, 15) 내로 잠금부재(40)가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덕트블럭(10)의 하부에는 다수의 홈(16)이 형성되고, 이 홈(16)에는 관통공(17)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17)은 차후에 설명될 고정봉(50)이 관통되어 노반 내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홈(16)은 고정봉(50)의 결합 완료시에 상기 고정봉(50)의 머리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홈(16)은 다수개가 덕트블럭(10)의 중앙부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덕트블럭(10) 내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격벽(18)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격벽(18)은 케이블들(70)이 설치되는 내부공간을 분할하는 것으로, 이것은 케이블들(70)이 종류 또는 굵기에 따라 분할되어 설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격벽(18)은 특히, 통신케이블과 전력케이블의 분할 설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력케이블의 주위에 발생하는 자기장과 같은 영향이 통신케이블에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신케이블에 의해 전송되는 신호에 노이즈(noise)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덕트블럭들(1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된 상태에서 소정의 결합부재(2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상기 결합부재(20)는 예를 들어, 진동과 같은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서로 인접된 덕트블럭들(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인접하는 덕트블럭들(10)의 전면측 및 배면측 상부에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결합홈들(12)에 걸쳐 끼워넣어져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재(20)가 결합홈들(12)에 걸쳐 끼워넣어진 상태에서 상기 덮개(30)가 블럭몸체(10) 상으로 잠금부재(40)에 의해 체결되는 관계로, 상기 결합부재(20)는 덮개(30)를 개방하기 전에는 상기 결합홈들(12)로부터 분리될 수 없으므로, 상기 결합부재(2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덕트블럭들(10)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없게 된다.
상기 덕트블럭(10)의 상부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덮개(30)가 결합되어 상기 덕트블럭(10)의 개방된 상부면을 개폐하게 되는데, 상기 덮개(30)는 매설시 지표면 상으로 노출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덕트블럭(10)의 상부면으로부터 개폐됨으로써 그 내부로 통신케이블 및 전력케이블과 같은 케이블들(70)이 설치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30)는 운반 또는 설치시의 파손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덕트블럭(10)과 마찬가지로 콘크리트재가 아닌 고강도 합성수지재로 성형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30)의 일측에는 상기 덕트블럭(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4)에 상응하는 힌지결합부(31)가 형성되는데, 상기 힌지결합부(31)는 상기 덕트블럭(10)의 힌지결합부(14)에 맞물려져 상기 덮개(30)가 덕트블럭(10)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30)의 타측에는 상기 덕트블럭(10)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공(13)에 상응하는 위치에 홈(32)이 형성되고, 상기 홈(32) 내에는 상기 덕트블럭(10)의 결합공(15)에 상응하는 결합공(33)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공(33)은 덮개(30)가 상기 덕트블럭(10) 상으로 덮여질 경우에 상기 덕트블럭(10)의 결합공(15)에 일치됨으로써, 잠금부재(40)가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홈(32)은 잠금부재(40)의 결합 완료시에 잠금부재(40)의 머리부가 놓여지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덮개(30)의 타측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의 잠금부재(40)에 의해 덕트블럭(10)의 타측 상부로 결합되는데, 상기 잠금부재(40)는 덕트블럭(10)의 일측에 그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덮개(30)의 타측을 상기 덕트블럭(10)의 타측에 견고히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잠금부재(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덮개(30)가 덕트블럭(10) 상으로 덮여질 경우에 상기 덮개(30)의 타측 상부의 홈(32) 내에 형성되는 결합공(33)과, 이에 일치되도록 상기 덕트블럭(10)의 타측 상부에 형성되는 결합공(15)을 차례로 관통하여 그 머리부가 상기 홈(32) 내에 수용되도록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잠금부재(40)는 삼각볼트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30)의 홈(32) 내에 머리부가 위치되도록 체결되어 특수도구에 의해서만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특정된 유지보수원 외의 일반인들이 고의적으로 상기 덮개(30)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재(40)가 삼각볼트로 형성될 경우에, 상기 결합공들(15, 33)에는 상응하는 나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덕트블럭(10)은 고정봉(50)에 의해 노반 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고정봉(50)은 덕트블럭(10)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노반 내로 매설되어 상기 덕트블럭(10)을 노반에 확실히 고정시킴으로써, 덕트블럭(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부(11)와 함께, 상기 덕트블럭(10)의 노반에 대한 상대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봉(50)은 해머 등을 이용하여 머리부를 타격함으로써, 덕트블럭(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홈(16) 내의 관통공(17)을 관통하여, 결합 완료시에 상기 고정봉(50)의 머리부가 상기 홈(16) 내에 수용되도록 노반 내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1)의 사용상태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5b는 격벽(18)이 설치된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1)의 사용상태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1)를 이용하여 케이블들(70)을 매설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철도선로의 양측면과 같은 매설장소를 적절히 심굴하여 설치공간을 형성한 후, 상기 설치공간 내로 각각의 덕트블럭들(10)을 선로를 따라 서로 인접되도록 설치한 다음, 덮개(30)를 개방한 상태에서 결합부재(20)를 이용하여 상기 인접한 덕트블럭들(10)을 일체로 결합한 후, 상기 덕트블럭들(10)의 양측으로 토사를 채워넣고 다지거나 또는 콘크리트 시공을 함으로써 덕트블럭(10)을 매설한다.
여기서, 상기 덕트블럭(10) 및 덮개(30)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직선형으로 형성되지만, 선로의 형상에 따라 곡선형, 각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적절히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덕트블럭들(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요철부(11)는 하부로 갈수록 확장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덕트블럭들(10)이 설치공간 내에 안정적으로 매설될 수 있게 한다.
그 다음에, 상기 덕트블럭들(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홈(16) 내의 관통공(17)을 통해 해머 등을 이용하여 고정봉(50)을 노반 내로 박아넣어 고정시킨 후, 덕트블럭들(10)의 내부공간에 케이블(70)들을 설치한다.
여기서, 도 5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덕트블럭들(10)의 내부공간에 격벽(18)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케이블들(70)의 설치에 앞서 상기 격벽(18)을 먼저 설치한 후, 종류 및 굵기 등에 따라 케이블들(70)을 적절히 분리되어 설치한다.
그 다음에는 덮개(30)를 덕트블럭(10) 상으로 덮고, 특정 유지보수원들이 아닌 일반인들이 용이하게 덮개(30)를 개방할 수 없도록 잠금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덮개(30)를 덕트블럭(10)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케이블들(70)의 매설이 완료된다.
차후에 케이블(70)의 교환 또는 유지보수가 필요할 경우에는 특정도구를 이용하여 잠금부재(40)를 분리하여 덮개(30)만을 개방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한 후 다시 잠금부재(40)를 이용하여 상기 덮개(30)를 덕트블럭(10) 상에 고정시키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용 덕트는 덮개가 덕트블럭에 힌지결합된 상태로 소정의 잠금부재에 의해 덕트블럭 상으로 결합됨으로써 덕트블럭으로부터 덮개가 분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유지보수원만이 상기 덮개를 개방할 수 있고, 블럭몸체의 양측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뿐만 아니라 블럭몸체의 하부면으로는 고정봉이 관통되어 노반 내로 결합됨으로써 노반에 대한 덕트블럭의 상대이동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덕트블럭들의 양단이 결합부재에 의해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인접하는 덕트블럭들 사이의 결합이 매우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 상측, 전면측 및 배면측이 개방되고 양측면에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다수의 덕트블럭;서로 인접한 상기 덕트블럭들의 전면측 및 배면측을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상기 덕트블럭의 일측 상부에 그 일측이 힌지결합되는 덮개; 및상기 덮개의 타측을 덕트블럭의 타측 상부로 결합시키는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덕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블럭의 하부면을 관통하여 노반 내로 결합되는 고정봉을 더 포함함으로써 노반 내에 확실히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덕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블럭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요철부는 하부로 갈수록 확장되어, 상기 덕트블럭이 노반 내로 안정적으로 매설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덕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블럭의 전면측 및 배면측 상부에는 결합홈이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서로 인접하는 덕트블럭의 결합홈들에 걸쳐 끼워넣어져 서로 인접한 상기 덕트블럭들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덕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블럭의 타측 상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타측에는 홈이 형성되며 이 홈에 상기 결합공에 상응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재는 삼각볼트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들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덮개의 홈 내에 그 머리부가 위치되도록 체결되어, 특수도구에 의해서만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덕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덕트블럭 내에는 격벽이 설치됨으로써 케이블들이 구분되어 배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용 덕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0714U KR200357194Y1 (ko) | 2004-04-19 | 2004-04-19 | 케이블용 덕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0714U KR200357194Y1 (ko) | 2004-04-19 | 2004-04-19 | 케이블용 덕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7194Y1 true KR200357194Y1 (ko) | 2004-07-27 |
Family
ID=4943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0714U KR200357194Y1 (ko) | 2004-04-19 | 2004-04-19 | 케이블용 덕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7194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0153B1 (ko) * | 2012-12-11 | 2014-07-02 |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 개폐식 케이블 덕트 |
-
2004
- 2004-04-19 KR KR20-2004-0010714U patent/KR200357194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0153B1 (ko) * | 2012-12-11 | 2014-07-02 |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 개폐식 케이블 덕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17745B2 (en) | Recess former for concrete panels | |
US7131300B1 (en) | Seal guard | |
KR100650392B1 (ko) | 옹벽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1571556B1 (ko) | 외장패널을 구비하는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 |
KR200357194Y1 (ko) | 케이블용 덕트 | |
JPH08246407A (ja) | 覆工方法および覆工板 | |
JP2019178522A (ja) | 地中埋設用側溝材、および地中埋設用側溝材の蓋ロック具 | |
KR200212019Y1 (ko) | 조립식 암거 | |
JPH11140994A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 |
KR101301058B1 (ko) | 케이블 수용 경계석 | |
KR20030030338A (ko) | 지하공동구조물 | |
KR100680157B1 (ko) | 전기통신 맨홀 누수방지시설 | |
JP2019199798A (ja) |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工法 | |
JPH09184189A (ja) | U字溝蓋の施錠装置 | |
KR200421737Y1 (ko) | 강봉으로 연결하는 조립식 피씨 암거. | |
KR200193604Y1 (ko) | 조립식 암거 | |
KR100995364B1 (ko) | 맨홀 장치 | |
KR200186121Y1 (ko) | 맨홀뚜껑의 록킹장치 | |
JP3235323U (ja) | 地下構造物用蓋の沈下防止部材と、これを用いた地下構造物用蓋の沈下防止ユニット | |
JP7477411B2 (ja) | 鋼殻エレメントの接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JP3322590B2 (ja) | 地下構造物用蓋の施錠構造 | |
JP2519176B2 (ja) | 組立式溜枡及びそれを用いる側溝構築工法 | |
JP4749914B2 (ja) | アンダーパストンネルのアプローチ部における仕切り設備構築構造および仕切り設備構築方法 | |
DE502005002258D1 (de) | Fertigteil aus Beton für Stützwände mit Geogitterrückverhängung | |
JP6318285B1 (ja) | トラフ及び電線共同溝用トラ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