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364B1 - 맨홀 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364B1
KR100995364B1 KR1020080023767A KR20080023767A KR100995364B1 KR 100995364 B1 KR100995364 B1 KR 100995364B1 KR 1020080023767 A KR1020080023767 A KR 1020080023767A KR 20080023767 A KR20080023767 A KR 20080023767A KR 100995364 B1 KR100995364 B1 KR 100995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frame
locking
manhole cov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402A (ko
Inventor
백석만
Original Assignee
백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석만 filed Critical 백석만
Priority to KR1020080023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3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54Non-circular covers, e.g. hexagonal, elliptic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심에 개구부가 형성된 맨홀 프레임과 상기 맨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맨홀 뚜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빗물 등의 수분이 전기통신 케이블이 배선된 맨홀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하고, 상판의 모서리부를 곡선 처리하여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맨홀의 바닥면보다 상부에서 배선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선을 정리하는 동시에 전기 누전이나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맨홀의 뚜껑에 잠금장치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간단한 도구로 쉽게 맨홀 뚜껑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고의에 의해 맨홀 뚜껑이 열리거나 분실될 우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맨홀, 맨홀 뚜껑, 맨홀 프레임, 잠금장치, 수분침입방지홈

Description

맨홀 장치{MANHOLE DEVICE}
본 발명은 맨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설치되는 맨홀에 적용되어 방수 기능, 잠금 기능, 배선 정리 기능을 제공하고, 모서리를 곡선처리한 맨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로 설치되는 각종 케이블의 보호 관리를 위해 상기 케이블의 분기점과 연결부위에는 맨홀(예를 들어, 전기통신용 맨홀이나 하수도 맨홀, 교통신호기 맨홀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맨홀은 선로의 분기나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해빙기에 선로의 파손을 방지하며 또한 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맨홀 뚜껑이 상부에 놓여지게 된다.
이처럼 각종 케이블을 지하에 설치하기 위한 작업은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맨홀을 시공한 후, 이에 각종 케이블을 설치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종래에 설치되는 맨홀의 시공을 살펴보면, 먼저 케이블의 선로 상에 맨 홀이 설치될 위치에 적정 깊이로 흙을 파서 규격에 맞게 거푸집을 만든 후,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해 적정 시간 동안 양상한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고 콘크리트로 타설되어 형성된 맨홀 주위에 흙 되 메우기 작업을 하고 맨홀 내에서 케이블의 연결 작업을 하여 작업이 마무리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통신용 맨홀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전기통신용 맨홀은 맨홀(1)의 양측벽(2)에 케이블(3)이 관통되는 배선홀(2a)이 형성되어, 케이블(3)이 배선홀(2a)을 통해 맨홀(1)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4) 등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맨홀에 의하면 맨홀(1)의 배선홀(2a)을 통해 지중의 지하수가 유입되어 맨홀(1) 내부에서 케이블(3)이 물에 잠겨 전기 누전이나 감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도 블럭의 이상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해 사각 형태의 맨홀 뚜껑이 노면에 그대로 돌출된 경우에, 각진 모서리로 인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부주의로 인해 부상의 위험이 있고, 맨홀 뚜껑이 노면에 설치되어 있어 외부의 충격이나 고의에 의해 열려 사고의 위험성과 분실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 등의 수분이 전기통신 케이블이 배선된 맨홀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하고, 상판의 모서리부를 곡선 처리하여 부상의 위험 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맨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맨홀의 바닥면보다 상부에서 배선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선을 정리하는 동시에 전기 누전이나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맨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맨홀의 뚜껑에 잠금장치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간단한 도구로 쉽게 맨홀 뚜껑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고의에 의해 맨홀 뚜껑이 열리거나 분실될 우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맨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장치는, 중심에 개구부가 형성된 맨홀 프레임과, 상기 맨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맨홀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 뚜껑의 내측면에는 잠금장치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 프레임의 내벽에 배선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과 뚜껑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 프레임은 상기 맨홀 뚜껑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부분에 수분침입방지홈을 설치하고, 상기 맨홀 뚜껑은 그 테두리가 돌출 연장되어 상기 수분침입방지 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침입방지홈의 바닥면에는 패킹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 뚜껑은 손잡이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의 양측 다리 부분이 통과되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양측 다리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접힘/펼침 동작이 가능하도록 양측 다리 부분에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로킹 프레임; 및 상기 로킹 프레임에 끼워지고 길이 방향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기어부가 형성된 로킹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 프레임은 상기 로킹 플레이트가 삽입/이탈되는 키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맨홀 뚜껑은 상기 로킹 프레임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패킹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막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은 탈,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맨홀 장치에 따르면, 빗물 등의 수분이 전기통신 케이블이 배선된 맨홀 내부에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하고, 상판의 모서리부를 곡선 처리하여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맨홀의 바닥면보다 상부에서 배선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선을 정리하는 동시에 전기 누전이나 감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맨홀의 뚜껑에 잠금장치를 부착하여 외부에서 간단한 도구로 쉽게 맨홀 뚜껑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 충격이나 고의에 의해 맨홀 뚜껑이 열리거나 분실될 우려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 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뚜껑이 맨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맨홀 뚜껑에 부착된 형태가 도시된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 의 패킹부가 관통홈에 삽입되는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치는 맨홀 프레임(100), 맨홀 뚜껑(200), 잠금 장치(300), 지지봉(120)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맨홀 프레임(100)은 중심에 개구부(101)가 형성되고, 맨홀 주위의 지반에 시공된다. 이러한 맨홀 프레임(100)은 양측 내벽에 케이블이 관통되는 배선홀(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맨홀 프레임(100)은 지하에 매설되어 케이블이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00a)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a)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보강되어 상기 맨홀 뚜껑(200)이 결합되는 뚜껑 프레임(100b)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맨홀 뚜껑(200)은 상기 맨홀 프레임(100)의 뚜껑 프레임(100b)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101)를 개폐시킨다.
또한, 상기 맨홀 프레임(100)은 4개의 모서리 부분이 모두 라운드(rounding) 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 프레임(100b)에는 잠금장치(300)의 반대측에 상기 맨홀 뚜껑(200)이 프레임에 걸릴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 프레임(100)의 뚜껑 프레임(100b)에는 상기 맨홀 뚜껑(200)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부분에 수분침입방지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침입방지홈(130)의 바닥면에 고무 재질의 패킹 부재(140)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맨홀 뚜껑(200)은 그 테두리가 돌출 연장되어 상기 수분침입방지 홈(130)에 삽입되도록 돌출부(201)가 형성되고, 상기 잠금 장치(300)가 부착되는 면이 돌출되어 보강부의 기능을 하도록 단턱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 장치(300)는 상기 맨홀 뚜껑(20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맨홀 뚜껑(200)이 상기 맨홀 프레임(100)에 잠금 고정되거나,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봉(120)은 상기 맨홀 프레임(100)의 내벽에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어 배선부가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데, 상기 배선홀(110)이 형성된 위치 정도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봉(120)은 배선이 바닥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면서 배선을 지지하고 있어 배선 정리뿐만 아니라 전기 누선이나 감전 사고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맨홀 뚜껑(200)은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손잡이(220)는 평상시 돌출되지 않도록 인입되었다가 관리자가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맨홀 뚜껑(200)에는 상기 손잡이(220)의 양측 다리 부분이 통과되는 통과홀(221)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20)의 양측 다리 하단에는 인출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상기 통과홀(221)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222)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20)는 접힘/펼침 동작이 가능하도록 양측 다리의 중간 부분에 힌지 구조로 이루어지는 절곡부(223)가 형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손잡이(220)는 인입/인출 동작과 접힘/펼침 동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 다.
상기 맨홀 뚜껑(200)은 손잡이(220)가 설치되어 있는 면이 상기 손잡이(220)가 인입/인출 또는 접힙/펼침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로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손잡이(220) 모양과 대응되는 넓이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잠금 장치(300)는 로킹 프레임(310)과 로킹 플레이트(320)를 포함하는데, 상기 잠금 장치(300)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맨홀 뚜껑(200)에는 로킹 플레이트(320)가 설치되고, 상기 맨홀 프레임(100)에는 키삽입홈(105)이 형성된다.
상기 로킹 프레임(310)은 내부가 관통된 사각면체로서, 상기 맨홀 뚜껑(200)의 단턱부(210)에 부착되며 2개의 고정구(311)와 1개의 나사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는 상기 로킹 프레임(3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 볼트(240)가 삽입된 후 일정 거리 이동하도록 길이 방향의 슬라이딩 홈(321)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3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길이로 가공한 기어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321)은 상기 로킹 프레임(310)의 고정구(3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322)는 상기 슬라이딩 홈(321)의 반대측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홈(321)은 적정 길이로 절개되어 있어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가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면서, 고정 볼트(240)에 의해 잠금 위치 또는 잠금 해제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 볼트(240)는 로킹 플레이트(320)를 가이드 할 뿐만 아니라 잠금장치(300)를 맨홀 뚜껑(200)의 단턱부(2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는 로킹 프레임(310)에 삽입/이탈이 가능하도록 상기 로킹 프레임(310)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고, 상기 로킹 프레임(310)의 길이보다는 길게 형성된 사각면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가 로킹 프레임(310)에 틈새 없게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키삽입홈(105)은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도록 하고, 잠금 해제시에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의 일단이 이탈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 뚜껑(200)은 상기 로킹 프레임(310)의 나사홈(312)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220)는 상기 관통홀(230)을 막을 수 있는 패킹부(224)가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224)는 상기 관통홀(230)을 통해 빗물이나 기타 수분이 스며드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230)은 '+'자 드라이버나 기타 간단한 도구가 삽입되면, 상기 도구가 상기 나사홈(312)을 통과해 상기 기어부(322)에 접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기어부(322)는 '+'자 드라이버의 회전에 의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랙(rack) 형상의 기어로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도구를 좌측 방향으로 돌리면 로킹 플레이트(32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삽입홈(105)에 삽입되고, 상기 도구를 우측 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키삽입 홈(105)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가 슬라이딩 홈(321)의 좌측 끝단에 닿을 때까지 좌측 방향으로 돌려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가 키삽입홈(105)에서 삽입되어 잠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가 상기 슬라이딩 홈(321)의 우측 끝단에 닿을 때까지 우측 방향으로 돌려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가 상기 키삽입홈(105)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잠금이 해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는 항상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단에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미도시)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의 일단이 상기 키삽입홈(105)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의 타단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데, 잠금 해제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되어 있다가 잠금시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치는, 맨홀 프레임(100)의 개구부(101)의 상부에 맨홀 뚜껑(20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상기 맨홀 프레임(100)의 재질은 콘트리트이고, 상기 맨홀 뚜껑(200)의 재질은 주물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맨홀 뚜껑(200)은 상기 맨홀 프레임(100)에 형성되어 있는 수분침입방 지홈(130)에 삽입되도록 맨홀뚜껑(200)의 테두리에 돌출부(20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맨홀 뚜껑(200)과 맨홀 프레임(100)이 이중 구조로 결합되어 빗물이나 지면에서 흘러들어오는 수분의 직접적인 유입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 뚜껑(200)의 하부에 형성된 단턱부(210)에는 잠금 장치(300)가 설치되어 있는데, 로킹 프레임(310)에 끼워져 있는 로킹 플레이트(320)가 맨홀 프레임(100)의 키삽입홈(105)에 삽입/이탈되면서 잠금/해제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단턱부(210)에 고정되는 자금장치(300)를 고정하는 고정 볼트(240)가 상기 로킹 프레임(310)의 고정구(311)와 로킹 플레이트(320)의 슬라이딩 홈(321)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의 길이방향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 홈(321) 내에서 좌우 이동하게 된다.
먼저, 상기 잠금 장치(300)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는 키삽입홈(105)에서 이탈되고, 상기 고정 볼트(240)는 슬라이딩 홈(321)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우측의 고정 볼트(240)가 슬라이딩 홈(321)의 우측 끝단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가 키삽입홈(105)에 어느 정도 걸쳐 있는 상태이므로 완전히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반대로, 상기 잠금 장치(300)가 잠금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는 상기 키삽입홈(105)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볼트(240)는 상기 슬라이딩 홈(321)의 좌측 끝단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좌측의 고정 볼트(240)가 슬라이딩 홈(321)의 좌측 끝단에 닿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로킹 플레이트(320)가 키삽입홈(105)에 충분 히 삽입되어 있지 않으므로 단단히 잠겨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사용자는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만 가지고도 맨홀 뚜껑(200)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상기 고정 볼트(240)와 슬라이딩 홈(321)을 이용하여 상기 잠금 장치(300)가 완전히 잠겨있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 장치(300)가 잠겨있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나 외압에 의해 맨홀 뚜껑(200)이 열리거나 분실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맨홀 프레임(10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지지봉(120)은 배선홀(110)을 관통한 케이블이 직접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배선을 정리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쉽게 케이블을 확인할 수 있고, 전기 누선이나 감전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 프레임(100)과 맨홀 뚜껑(200)의 모서리 부분이 모두 라운딩 처리되어 있어 기존의 각진 모서리를 가지는 맨홀 구조보다 부상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맨홀 뚜껑(200)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220)는 평상시 맨홀 프레임(100)의 개구부(101) 쪽으로 인입되어 있는 상태이고, 관리자가 필요할 때마다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맨홀 장치는 전기통신 맨홀, 전기통신 핸드홀, 통신 맨홀 등의 사각 형태의 맨홀에서 구현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맨홀 장치는 하수도용 맨홀, 오수 관로용 맨홀 등과 같이 원형 맨홀이나 기타 각형 맨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 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통신용 맨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맨홀 뚜껑이 맨홀 프레임에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가 맨홀 뚜껑에 부착된 형태가 도시된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의 패킹부가 관통홈에 삽입되는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맨홀 프레임 120 : 지지봉
200 : 맨홀 뚜껑 210 : 단턱부
220 : 손잡이 230 : 관통홀
300 : 잠금 장치

Claims (13)

  1. 맨홀 장치에 있어서,
    중심에 개구부가 형성된 맨홀 프레임과,
    상기 맨홀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맨홀 뚜껑과,
    상기 맨홀 뚜껑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나사홈이 형성되고 내부가 관통된 로킹 프레임과, 상기 로킹 프레임에 끼워지고 길이 방향의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나사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기어부가 형성된 로킹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프레임의 내벽에 배선을 지지하는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과 뚜껑 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프레임은 상기 맨홀 뚜껑의 테두리가 삽입되는 부분에 수분침입방지홈을 설치하고, 상기 맨홀 뚜껑은 그 테두리가 돌출 연장되어 상기 수분침입방지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침입방지홈의 바닥면에는 패킹 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뚜껑은 손잡이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의 양측 다리 부분이 통과되는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의 양측 다리 하단에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접힘/펼침 동작이 가능하도록 양측 다리 부분에 절곡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프레임은 상기 로킹 플레이트가 삽입/이탈되는 키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 뚜껑은 상기 로킹 프레임의 나사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관통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된 패킹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을 막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탈,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장치.
KR1020080023767A 2008-03-14 2008-03-14 맨홀 장치 KR100995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767A KR100995364B1 (ko) 2008-03-14 2008-03-14 맨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767A KR100995364B1 (ko) 2008-03-14 2008-03-14 맨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402A KR20090098402A (ko) 2009-09-17
KR100995364B1 true KR100995364B1 (ko) 2010-11-19

Family

ID=4135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767A KR100995364B1 (ko) 2008-03-14 2008-03-14 맨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5635B1 (ko) * 2014-10-28 2015-04-07 김상수 지중저압 접속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302Y1 (ko) * 2003-10-29 2004-01-24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한 손잡이 구조물
KR200369960Y1 (ko) * 2004-09-09 2004-12-14 지운용 맨홀뚜껑 보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302Y1 (ko) * 2003-10-29 2004-01-24 주식회사 준별에프알피산업 빗물 유입 방지를 위한 손잡이 구조물
KR200369960Y1 (ko) * 2004-09-09 2004-12-14 지운용 맨홀뚜껑 보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402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75067B (zh) 一种便于维护电缆的防盗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95364B1 (ko) 맨홀 장치
KR101126666B1 (ko) 수직배수 유도형 네일옹벽
JP6474994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せん断補強方法
KR101229425B1 (ko)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JP5149098B2 (ja) ダム堤体の仮締切装置及び仮締切工法
KR100650147B1 (ko) 건축물 지중매설 고압케이블 보호용 블록 구조물
JP2019178522A (ja) 地中埋設用側溝材、および地中埋設用側溝材の蓋ロック具
KR102325687B1 (ko) 토사 침투 방지구조를 갖는 상수도관 밸브용 보호통
US7178290B2 (en) Manhole cover having a locking crossbar
KR20080074523A (ko) 케이블 매설용 트로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80157B1 (ko) 전기통신 맨홀 누수방지시설
KR100770769B1 (ko) 패널 옹벽에 플라스틱재의 보강재 결합구조
JP4436218B2 (ja) コンクリート矢板
KR101278168B1 (ko) 하수관거용 사각맨홀
KR102616865B1 (ko) 지중 통신케이블용 보호판
KR100850306B1 (ko) 지중전력 케이블 보호구조
KR20140003425U (ko) 선박용 이중잠금 맨홀구조
JP2008223337A (ja) 基礎杭の施工方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中空杭内周壁の洗浄装置
KR101457875B1 (ko) 토류판 유출수 유도 및 밀폐장치
KR100531250B1 (ko) 건축단지의 조성을 위한 기초공사용 토류판구조
JP2892564B2 (ja) 地下構造物用蓋の孔閉塞機構
JP6114073B2 (ja) 浸水防止装置
KR101288401B1 (ko) 맨홀 뚜껑 잠금장치
JP3322590B2 (ja) 地下構造物用蓋の施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