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396A -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 Google Patents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396A
KR20110126396A KR1020100046051A KR20100046051A KR20110126396A KR 20110126396 A KR20110126396 A KR 20110126396A KR 1020100046051 A KR1020100046051 A KR 1020100046051A KR 20100046051 A KR20100046051 A KR 20100046051A KR 20110126396 A KR20110126396 A KR 20110126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ver
manhole
lid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9425B1 (ko
Inventor
김진섭
이해군
최훈창
정창화
윤정권
박근식
이용희
Original Assignee
(주)태성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성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태성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00046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425B1/ko
Publication of KR2011012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63Hinged connection of cover to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1Steel; Iron in cast iron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 뚜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일부가 지중으로 매설되는 맨홀프레임과 상기 맨홀프레임 상부 내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맨홀을 개폐하는 맨홀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뚜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은 복수의 단위 맨홀뚜껑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위 맨홀뚜껑은 상기 맨홀프레임으로부터 힌지 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맨홀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절첩식 맨홀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hinge type manhole cover}
본 발명은 맨홀 뚜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맨홀뚜껑은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 구성되며, 각 단위 맨홀뚜껑의 일 부위가 맨홀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절첩식으로 개폐 가능한 절첩식 맨홀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은 통풍이나 관거(管渠)의 연락으로 이용되며 지중 시설에 대한 출입구의 역할도 하게 되며 도로 내지 보도를 포함한 노면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맨홀은 설치 장소와 용도에 따라 그 구조 및 형상이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시공하기가 수월한 원형이 가장 많고 이 밖에 사각형 내지 타원형 등도 있다.
맨홀의 개구부는 주위를 철로 만든 틀이나 돌로 테두리를 형성하고 지름이 60cm 정도인 주철 또는 철근 콘크리트제인 맨홀뚜껑을 덮는다.
공지 기술에 따른 맨홀 뚜껑 장치는 통상 맨홀과 상기 맨홀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맨홀뚜껑 및 상기 맨홀뚜껑을 안착시키며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통로가 형성된 맨홀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종래에 이러한 맨홀 뚜껑 장치는 대부분 그 맨홀뚜껑이 맨홀프레임의 상단부 내측에 단순히 얹혀져 지지되는 상태로 삽입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기 때문에 차량 및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도로 니 인도 상에 설치된 경우 종종 그 맨홀뚜껑이 임의로 벗겨져 나가거나 불안정한 결합상태로 되어 안전사고 내지 분실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맨홀뚜껑에 잠금장치가 마련된 맨홀 뚜껑 장치도 다수 제시된 바 있으나 대부분 잠금장치가 쉽게 파손되거나 고장이 발생하여 오히려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일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은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맨홀 뚜껑이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 구성하고 각 단위 맨홀뚜껑을 맨홀프레임에 힌지 결합시켜 개폐가 용이함과 더불어 분실을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절첩식 맨홀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는 맨홀의 상부에 위치하는 맨홀프레임과 상기 맨홀프레임 상부 내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맨홀을 개폐하는 맨홀뚜껑을 포함하는 맨홀 뚜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은 복수의 단위 맨홀뚜껑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위 맨홀뚜껑은 상기 맨홀프레임으로부터 힌지 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되어 맨홀이 개폐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각 단위 맨홀뚜껑은 그 끝단부에 힌지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맨홀프레임은 각 단위 맨홀뚜껑의 힌지부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부재와 대응하는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위 맨홀뚜껑이 상기 수용부의 측면으로부터 힌지부재를 관통하는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힌지핀의 적어도 일측은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연장된 일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 설치되어 힌지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을 더 포함함으로써 맨홀뚜껑의 분실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맨홀뚜껑은 단부가 서로 접하는 제1뚜껑 및 제2뚜껑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뚜껑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지지턱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뚜껑의 단부에는 상기 제1지지턱과 대응하여 상기 제1지지턱의 적어도 일측면에 접하는 제2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지지턱 및 제2지지턱은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홀 및 상기 고정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턱 및 제2지지턱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로 구성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맨홀뚜껑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하나의 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 단위 맨홀뚜껑은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에 수용되되 요홈부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는 맨홀뚜껑이 복수의 단위 맨홀뚜껑으로 구성되어 맨홀뚜껑의 전체적인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어 개폐가 용이함과 더불어 폐쇄 시의 경우 양측 끝 단부가 힌지 결합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맨홀뚜껑을 맨홀프레임에 맞추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맨홀뚜껑이 힌지 결합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의 일 구성인 고정수단 및 손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의 일 구성인 고정수단(40) 및 손잡이(5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10)과 맨홀프레임(20) 및 맨홀뚜껑(30)을 구성되어 있다.
이때 일 구성인 상기 맨홀뚜껑(30)은 복수의 단위 맨홀뚜껑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위 맨홀뚜껑이 상기 맨홀프레임(20)으로부터 힌지 결합되어 있어 상향으로 회동시켜 맨홀(1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맨홀뚜껑(30)이 복수의 단위 맨홀뚜껑으로 구성되어 맨홀뚜껑(30)의 전체적인 무게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폐쇄 시의 경우 양측 끝 단부가 힌지 결합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맨홀뚜껑(30)을 맞추기가 용이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맨홀뚜껑(30)이 힌지 결합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분실의 우려가 없다.
본 발명의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맨홀(10)은 지중 시설에 대한 출입구의 역할을 하는 관 형상의 통로로서 사람이 출입 가능하도록 내측에 사다리와 같은 시설물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10)은 통로가 지중 내에 매설되어 있고 상부의 개구부는 도로 또는 보도 등의 노면 상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맨홀프레임(20)은 상기 맨홀(10)의 상부에 위치하며 그 일부가 상기 맨홀(10)과 함께 지중에 매설되거나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고정 설치의 일 예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프레임(20)의 외주면에 그 둘레를 따라 플랜지(22)를 형성하고 볼트 등을 통해 지면에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의 체결홀(23)이 플렌지(22) 상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맨홀프레임(20)은 상기 맨홀(10)의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맨홀뚜껑(30)이 안착되는 구조를 갖는데 일 예로서,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뚜껑(3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는 지지부(21)가 맨홀프레임(20)의 상부 내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바, 지지부(21)의 상부면에 상기 맨홀뚜껑(30)이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맨홀뚜껑(30)은 상기 지지부(21)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맨홀(10)의 개구부가 개폐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맨홀뚜껑(30)은 복수의 단위 맨홀뚜껑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위 맨홀뚜껑은 상기 맨홀프레임(20)으로부터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 부위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맨홀(10)의 개구부가 개폐된다.
여기서 상기 맨홀뚜껑(30)이 분리되는 갯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맨홀뚜껑(30)의 중심측으로부터 양 등분되어 있는 예를 제시한다.
상술한 맨홀뚜껑(30)과 맨홀프레임(2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맨홀뚜껑(30)은 단부가 서로 접하는 제1뚜껑(31)과 제2뚜껑(32)으로 분리 구성되며, 제1뚜껑(31) 및 제2뚜껑(32)은 그 끝단부에 힌지부재(3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맨홀프레임(20)은 상기 힌지부재(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그 외측면에 상기 힌지부재(300)와 대응하는 수용부(20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뚜껑(31) 및 제2뚜껑(32)이 지지부(21)에 안착되었을 때, 힌지부재(300)는 각각의 수용부(200)에 삽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200)의 측면으로부터 힌지부재(300)를 관통하는 힌지핀(400)이 마련되며, 상기 힌지핀(400)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뚜껑(31) 및 제2뚜껑(32)은 상기 맨홀프레임(20)의 수용부(200)로부터 회동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힌지핀(400)은 적어도 일측이 상기 수용부(200)의 외측면으로 일부가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장된 일측에는 힌지핀(4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핀(500)이 결합될 수 있는 바, 상기 힌지핀(400)의 연장된 일측에는 관통홀(410)이 형성되며 상기 이탈방지핀(500)은 상기 관통홀(410)에 삽입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뚜껑(31) 및 제2뚜껑(32)은 단부가 서로 접하는데, 그 접면의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뚜껑(31)의 단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1지지턱(33)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뚜껑(32)의 단부에는 상기 제1지지턱(33)과 대응하여 상기 제1지지턱(33)의 적어도 일측면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2지지턱(34)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턱(33)은 제1뚜껑(31)의 단부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경우, 이와 대응하게 제2지지턱(34)은 제2뚜껑(32)의 단부의 상부측에 형성됨으로써 양 지지턱은 서로 중첩되는 것이다.
이처럼 제1뚜껑(31)과 제2뚜껑(32)의 단부가 중첩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1뚜껑과 제2뚜껑의 접면을 통해 직접적으로 이물질이 맨홀(10)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접면의 지지하중을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중첩 구조를 가지는 제1뚜껑(31)과 제2뚜껑(32)은 고정홀(41)과 고정볼트(42)를 포함한 고정수단(40)에 의해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홀(41)은 상기 제1지지턱(33) 및 제2지지턱(34)에 형성되되, 양 지지턱이 중첩되었을 때 서로 상응하는 위치 다시 말해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홀(41)의 내주연은 상기 고정볼트(42)와의 결합을 위해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턱(33) 및 제2지지턱(34) 중 노면으로 노출되는 어느 한 지지턱에 형성되는 고정홀(41)은, 상기 고정볼트(42)와의 결합 시 고정볼트(42)의 머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상부측의 내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볼트(42)는 양 지지턱이 중첩되었을 때 상기 고정홀(4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턱(33)과 제2지지턱(34)을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뚜껑(31)과 제2뚜껑(32)은 맨홀(10)의 폐쇄 시에는 상기 고정수단(40)을 통해 고정됨과 더불어 맨홀(10)의 개방 시에는 관리자에 의해 용이하게 맨홀뚜껑(30)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50)가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뚜껑(31)과 제2뚜껑(32)은 그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요홈부(6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50)는 제1뚜껑(31)과 제2뚜껑(32)에 형성되는 요홈부(600)에 결합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600)에 수용되되, 요홈부(600)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있어 힌지 결합 부위를 기준으로 상향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50)는 평상 시에는 상기 요홈부(600)에 수용되어 있어 맨홀뚜껑(3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개방 시에만 상향으로 회동시켜 손잡이(5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도 1 내지 도 3에서 제시하는 맨홀뚜껑(30)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맨홀뚜껑(30)의 형상이 도 1 내지 도 3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형태를 포함하여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 : 맨홀 20 : 맨홀프레임
21 : 지지부 30 : 맨홀뚜껑
31 : 제1뚜껑 32 : 제2뚜껑
33 : 제1지지턱 34 : 제2지지턱
40 : 고정수단 41 : 고정홀
42 : 고정볼트 50 : 손잡이
200 : 수용부 300 : 힌지부재
400 : 힌지핀 410 : 관통홀
500 : 이탈방지핀 600 : 요홈부

Claims (6)

  1. 맨홀(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맨홀프레임(20)과 상기 맨홀프레임(20) 상부 내측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21) 및 상기 지지부(21)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도록 안착되어 맨홀(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맨홀뚜껑(30)을 포함하는 맨홀 뚜껑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30)은 복수의 단위 맨홀뚜껑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위 맨홀뚜껑은 상기 맨홀프레임(20)으로부터 힌지 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되어 맨홀(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맨홀뚜껑은 그 끝단부에 힌지부재(3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맨홀프레임(20)은 각 단위 맨홀뚜껑의 힌지부재(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힌지부재(300)와 대응하는 수용부(2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단위 맨홀뚜껑이 상기 수용부(200)의 측면으로부터 힌지부재(300)를 관통하는 힌지핀(4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400)의 적어도 일측이 상기 수용부(200)의 외측면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연장된 일측에는 관통홀(4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410)에 삽입 설치되어 힌지핀(4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맨홀뚜껑(30)은 단부가 서로 접하는 제1뚜껑(31) 및 제2뚜껑(32)으로 분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뚜껑(31)의 단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제1지지턱(33)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뚜껑(32)의 단부에는 상기 제1지지턱(33)과 대응하여 상기 제1지지턱(33)의 적어도 일측면에 접하는 제2지지턱(3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턱(33) 및 제2지지턱(34)은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고정홀(41) 및
    상기 고정홀(41)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지지턱(33) 및 제2지지턱(34)을 고정시키는 고정볼트(42)로 구성되는 고정수단(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 맨홀뚜껑은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는 요홈부(60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홈부(600)에 수용되되 요홈부(600)의 내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상향으로 회동되는 손잡이(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KR1020100046051A 2010-05-17 2010-05-17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KR101229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051A KR101229425B1 (ko) 2010-05-17 2010-05-17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051A KR101229425B1 (ko) 2010-05-17 2010-05-17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396A true KR20110126396A (ko) 2011-11-23
KR101229425B1 KR101229425B1 (ko) 2013-02-05

Family

ID=4539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051A KR101229425B1 (ko) 2010-05-17 2010-05-17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4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26B1 (ko) * 2013-01-24 2013-08-08 주식회사 정원주철 힌지부 비개방형 잠금 소형 철개
CN103334460A (zh) * 2013-07-22 2013-10-02 刘立新 一种防盗、防丢失窨井盖
KR20170072785A (ko) * 2015-12-17 2017-06-27 이규철 강관파일에 설치되는 이물질유입 방지캡
JP2021042550A (ja) * 2019-09-10 2021-03-18 大成建設株式会社 立坑工事用の作業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008B1 (ko) * 2015-04-07 2015-11-13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역류 해소용 맨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333Y1 (ko) 2001-11-19 2002-03-09 주식회사 평화기술감리단 맨홀용 덮개
KR200402143Y1 (ko) 2005-08-24 2005-11-25 김향숙 하수도용 맨홀 결합장치
KR100816002B1 (ko) 2006-10-04 2008-03-21 주식회사 동희산업 차량용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
KR100929566B1 (ko) 2008-12-26 2009-12-04 최광철 도난방지용 맨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226B1 (ko) * 2013-01-24 2013-08-08 주식회사 정원주철 힌지부 비개방형 잠금 소형 철개
CN103334460A (zh) * 2013-07-22 2013-10-02 刘立新 一种防盗、防丢失窨井盖
CN103334460B (zh) * 2013-07-22 2016-05-11 刘立新 一种防盗、防丢失窨井盖
KR20170072785A (ko) * 2015-12-17 2017-06-27 이규철 강관파일에 설치되는 이물질유입 방지캡
JP2021042550A (ja) * 2019-09-10 2021-03-18 大成建設株式会社 立坑工事用の作業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9425B1 (ko)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425B1 (ko)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KR101977528B1 (ko) 다기능 안전맨홀덮개
US6640495B1 (en) Safety hatch for preventing fall-through and unauthorized entry
US7216459B1 (en) Access hatch cover assembly with lift-assist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KR101395414B1 (ko) 다기능 맨홀덮개
KR20170053423A (ko) 개방구의 안전 커버장치
KR101774934B1 (ko) 잠금이 용이한 맨홀
US7683256B1 (en) Lockable insert for wire access pit
KR101217932B1 (ko) 맨홀 잠금장치
KR20130041538A (ko) 회전 잠금식 맨홀 뚜껑 조립체
KR102100139B1 (ko) 천정설치용 공동주택의 전기 단자 함체
KR100929566B1 (ko) 도난방지용 맨홀
KR100796622B1 (ko) 맨홀 뚜껑의 이탈방지 구조
US7607858B1 (en) Secure manhole accessway
KR200442997Y1 (ko) 매설용 배전선의 간섭방지용 지중관
JP4855365B2 (ja) 地下構造物用転落防止装置
KR200221892Y1 (ko) 맨홀
KR101095952B1 (ko) 맨홀틀과 맨홀뚜껑의 방수 결합구조
KR20090012331U (ko) 맨홀 안전커버
KR100557279B1 (ko) 맨홀뚜껑
KR200336571Y1 (ko) 맨홀의 안전장치
KR101774935B1 (ko)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KR100677909B1 (ko) 맨홀 뚜껑 개폐장치
KR200212754Y1 (ko) 잠금수단을 구비한 맨홀의 속뚜껑장치
RU60547U1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рышки лю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