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935B1 -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 Google Patents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935B1
KR101774935B1 KR1020170015382A KR20170015382A KR101774935B1 KR 101774935 B1 KR101774935 B1 KR 101774935B1 KR 1020170015382 A KR1020170015382 A KR 1020170015382A KR 20170015382 A KR20170015382 A KR 20170015382A KR 101774935 B1 KR101774935 B1 KR 101774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inge
wall
handle
manho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운
전성훈
김성용
박재영
정미화
Original Assignee
(주)대신환경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신환경기술 filed Critical (주)대신환경기술
Priority to KR1020170015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9Annular 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5Y2900/612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되는 벽체와 수직하도록 벽체의 내면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대가 형성되고,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커버부, 벽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부, 힌지부에 형성되는 힌지축 및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커버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핸들부의 일측은 커버부의 하부 일측까지 연장되며, 커버부는 핸들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핸들부의 일측이 회전하면서 커버부의 일측 하단부를 들어올림에 따라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구조의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EASY OPEN MANHOLE COVER}
본 발명은 개방이 편한 하수 맨홀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의 일측에 함입된 힌지부와 체결되면서 맨홀뚜껑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를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시켜 지렛대원리로 맨홀뚜껑을 오픈시키는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manhole)이란 인간의 삶의 편익을 도모하기 위해 지반 아래에 매설되는 여러 간접 기반 시설이다. 예컨대 상수, 하수, 가스 관로 및 각종 통신, 체신 케이블 등과 같은 다양한 관로 및 지하 케이블을 지상에서 출입을 하며 유지관리 및 보수를 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이러한 맨홀의 구조는 맨홀 본체와 이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설치되며 이러한 통로를 통해 관리자는 유지관리를 할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맨홀로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맨홀의 끝 부분에는 원형이나 사각형의 형태로 맨홀뚜껑이 덮여 있으며 이러한 맨홀뚜껑은 차도, 보도 및 하천 둔치 등에 설치되어 있으며 철제나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하므로 자체무게로 인하여 받침틀에서 이탈하는 경우는 없으나 강우시 수위 상승으로 인해 무거운 맨홀뚜껑이 부력을 받아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맨홀뚜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4051호의 선등록된 맨홀뚜껑 잠금 및 분리장치는 잠금장치 볼트를 이용하여 맨홀뚜껑의 잠금과 풀림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구조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볼트를 이용하기에는 뚜껑의 무게가 무거워 볼트 조임부를 맞추기에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시 볼트가 녹이 발생하여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회전 잠금 방식에 제공되는데 이러한 회전 잠금 방식 또한 뚜껑의 무게가 무거워 사용자의 힘으로 뚜껑을 회전시켜 정확하게 받침틀에 장착시킬 수 없어 별도의 기계를 이용하여 뚜껑을 개폐시켜야 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수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맨홀뚜껑은 맨홀내부와 맨홀외부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맨홀뚜껑은 유지관리 및 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맨홀뚜껑을 개폐하는데 필요한 개폐용 홈이 있으며, 작업자는 개폐용 홈에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 도구를 삽입하여 맨홀뚜껑을 열고 닫는다. 그러나,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 도구를 사용하여 맨홀뚜껑을 열고 닫을 시 보통 2명의 작업자가 양쪽에서 개폐도구를 사용하여 맨홀뚜껑을 연다.
따라서, 관련된 유지 보수자들이 주기적 또는 비상시 맨홀뚜껑을 열고 닫을 시 장시간 작업으로 인한 효율 저하, 뚜껑의 무게를 감당해야 하는 작업의 난이도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상당한 고충을 격고 있으며, 긴 시간과 인력투입으로 인한 경제성, 업무 저하 및 각종 안전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벽체의 일측에 함입된 힌지부와 체결되며, 맨홀뚜껑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시켜 지렛대 원리로 맨홀뚜껑을 오픈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되는 벽체,
상기 벽체와 수직하도록 상기 벽체의 내면에 고정되는 하부지지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커버부,
상기 벽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형성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커버부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의 일측은 상기 커버부의 하부 일측까지 연장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핸들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핸들부의 일측이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일측 하단부를 들어올림에 따라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대는, 중앙이 관통 형성되는 판형상의 원판 및 상기 원판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핸들부가 수납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홈이 형성되는 수납 홈, 상기 커버부의 하부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함입부 및 상기 커버부의 지름선상에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O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핸들부의 타측부분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 홈의 타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공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사각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수용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원통형 막대형상의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상기 힌지부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일단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 일측까지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에 걸리도록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은 맨홀뚜껑을 완전히 들어내지 않고도 용이하게 오픈시킬 수 있도록 맨홀뚜껑의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를 벽체에 함입된 힌지부와 결합시켜 지렛대원리로 단일의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맨홀뚜껑을 오픈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한 하수 맨홀뚜껑의 핸들부를 사용하여 맨홀뚜겅을 오픈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3은 도 1의 평면도 이고, 도 4는 도 1의 개략적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의 핸들부를 사용하여 맨홀뚜겅을 오픈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100)은 벽체(110), 하부지지대(120), 커버부(130), 힌지부(140), 힌지축(150) 및 핸들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벽체(110)는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되는 것으로, 맨홀로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및 강우에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제 및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하부지지대(120)는 벽체(110)와 수직하도록 벽체 내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후술하는 커버부(130)가 안착되도록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면으로부터 지하방향으로 커버부(130)의 두께만큼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지지대(120)는 원판(121) 및 한 쌍의 돌출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원판(121)은 중앙이 관통 형성되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너츠 모양으로 중앙이 관통 형성되고 테두리가 일정 넓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121)의 테두리 부분이 벽체(110)의 상부 내측에 매립됨으로써, 하부지지대(120)가 벽체(110)의 내면과 수직하도록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 쌍의 돌출부(122)는 원판(121)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벽체(110)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커버부(130)의 하부가 한 쌍의 돌출부(122)에 안착되더라도 안정적인 지지대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핸들부(160)를 회동시 주변 구조물과 간섭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커버부(130)는 하부지지대(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하부지지대(1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의 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130)는 화물차 및 보행자의 통행 시 발생하는 충격으로 커버부(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일정한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부(130)는 철제 및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130)는 수납 홈(131), 함입부(132) 및 O링(133)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 홈(131)은 핸들부(160)이가 수납되도록 커버부(130)의 상부에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커버부(130)의 상부를 일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긴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함입부(132)는 맨홀뚜겅(130)의 하부 일측에 함몰 형성된다.
O링(133)은 커버부(130)의 지름선상에 삽입되며, 한 쌍의 돌출부(12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O링은 커버부(130)가 한 쌍의 돌출부(122)에 안착되는 경우에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부(130)는 핸들부(160)의 타측부분을 파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130)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고, 수납 홈(131)의 타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공간부(134)를 더 포함한다.
힌지부(140)는 벽체(110)의 일측에 함입되어 형성되며, 본체(141) 및 수용 홀(142)을 포함한다.
본체(141)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커버부(130)와 인접한 부분은 커버부(130)의 곡률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 홀(142)은 본체(141)의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관통형성 되며, 핸들부(16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핸들부(160)의 지름보다 넓은 면적으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힌지축(150)은 힌지부(140)의 내부에 양단이 고정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힌지축(150)은 양단이 나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힌지부(140)의 내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핸들부(160)는 힌지축(15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커버부의 하부면을 지지 한다. 또한, 핸들부(160)는 일측이 힌지부(14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과 연결되는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핸들부(160)는 그립부(161), 체결부(162), 연장부(163) 및 돌출부(164)를 포함한다.
그립부(161)는 원통형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커버부(130)의 직경만큼의 길이로 형성된다.
체결부(162)는 그립부(161)의 일단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힌지부(140)와 체결된다. 이를 위해, 체결부(162)는 수용 홀(142)에 삽입되고, 힌지부(140)의 내부에 위치하는 힌지축(150)과 결합 된다.
연장부(163)는 체결부(162)의 일단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맨홀뚜겅(130)의 하부 일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64)는 연장부(163)의 말단에 형성되며, 함입부(132)에 걸리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이 편한 하수 맨홀뚜껑(100)의 개방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10)의 내측 상부에 하부지지대(120)가 설치되어있다. 하부지지대(120)는 테두리 부분이 벽체(110)의 내측에 매립됨으로써, 커버부(130)가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한 쌍의 돌출부(122)는 하부지지대(120)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벽체(110)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커버부(130)는 전술한 한 쌍의 돌출부(122)의 상부에 얹혀짐으로써, 벽체(1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핸들부(160)는 커버부(1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커버부(130)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핸들부(160)는 원통형 막대형상의 그립부(161)와 그립부(161)의 일단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140)의 내측에 형성된 힌지축(150)과 결합되는 체결부(162)와 체결부(162)의 일단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130)의 하부 일측까지 연장된 연장부(163) 및 연장부(163)의 일단에 형성되며, 커버부(130)의 하부 일측에 오목하게 함몰된 함입부(132)에 대응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커버부(130)는 핸들부(1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핸들부(160)의 일측이 회전하면서 상기 맨홀뚜껑의 일측 하단부를 들어올림에 따라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설명하면, 핸들부(160)를 사용하여 커버부(130)를 개방시키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30)의 상부에 구비된 핸들부(160)의 타측을 잡고 들어올린다. 즉, 그립부(161)를 잡고 들어올리면 힌지부(140)의 내측에 형성된 힌지축(150)과 체결된 체결부(162)는 힌지축(150)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한다. 이와 동시에, 연장부(163)는 그립부(161)가 들어올려진 회전각과 동일한 각으로 회전되어 그립부(161)와 평행을 이룬다. 이때, 연장부(163)의 일단에 함입부(132)와 대응하도록 돌출 형성된 돌출부(164)는 함입부(132)를 들어올림으로써, 커버부(130)의 일측이 상향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그립부(161)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161)가 들어올려진 회전각만큼 동일한 각으로 회전되는 연장부(163)는 지상에 노출된다. 그리고 돌출부(164)는 함입부(132)를 들어올리되, 걸림쇠 역할을 하여 맨홀뚜겅(130)이 돌출부(164)에 얹혀지게 된다. 이때, 커버부(130)의 타측은 한 쌍의 돌출부(122)로부터 이탈하여 원판(121)의 타측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커버부(130)를 잡고 타측방향으로 접으면 맨홀을 덮고 있는 커버부(130)가 완전히 개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130)은 지렛대 원리를 이용한 핸들부(160)를 사용하여 별도의 도구 없이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개방이 편한 하수 맨홀뚜껑 110 : 벽체
120 : 하부지지대 121 : 원판
122 : 한 쌍의 돌출부 130 : 맨홀뚜껑
131 : 수납 홈 132 : 함입부
133 : O링 134 : 공간부
140 : 힌지부 141 : 본체
142 : 수용 홀 150 : 힌지축
160 ; 핸들부 161 : 그립부
162 : 체결부 163 : 연장부
164 : 돌출부

Claims (6)

  1.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되는 벽체;
    상기 벽체와 수직하도록 상기 벽체의 내면에 고정되면서, 중앙이 관통 형성되는 판형상의 원판; 및 상기 원판의 상부 양측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하부지지대;
    상부에 홈이 형성되는 수납 홈, 하부 일측에 함몰 형성되는 함입부; 및 상기 한 쌍의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O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부에 안착되는 커버부;
    상기 벽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힌지부;
    상기 힌지부에 형성되는 힌지축; 및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커버부의 하부면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커버부의 하부 일측까지 연장되는 핸들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막대형상의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일단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상기 힌지부와 체결되는 체결부;
    상기 체결부의 일단과 직각을 이루도록 절곡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 일측까지 연장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에 걸리도록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핸들부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핸들부의 일측이 회전하면서 상기 커버부의 일측 하단부를 들어올림에 따라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핸들부의 타측부분을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부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 홈의 타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사각형상의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중앙부로부터 일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수용 홀을 포함하는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6. 삭제
KR1020170015382A 2017-02-03 2017-02-03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KR101774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82A KR101774935B1 (ko) 2017-02-03 2017-02-03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382A KR101774935B1 (ko) 2017-02-03 2017-02-03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935B1 true KR101774935B1 (ko) 2017-09-19

Family

ID=60033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382A KR101774935B1 (ko) 2017-02-03 2017-02-03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93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499B1 (ko) 맨홀 뚜껑용 개폐장치
KR102003905B1 (ko) 맨홀뚜껑 받침대 잠금장치
KR101774934B1 (ko) 잠금이 용이한 맨홀
KR101774935B1 (ko)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KR100505738B1 (ko) 체인 고리를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내 맨홀 뚜껑 잠금구조
KR100880208B1 (ko) 잠금장치를 갖는 맨홀조립체
KR20210043333A (ko) 맨홀 및 제수변의 뚜껑 잠금장치
KR20110126396A (ko)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KR20180134539A (ko) 개폐가 용이한 맨홀뚜껑
KR200436607Y1 (ko) 지렛대용 맨홀 뚜껑의 잠금장치
KR100796622B1 (ko) 맨홀 뚜껑의 이탈방지 구조
KR20200132502A (ko) 맨홀 덮개 구조체
KR101846536B1 (ko) 잠금이 용이한 맨홀
KR100653924B1 (ko) 점검구가 설치된 상하수도·전기·통신용 맨홀뚜껑
JP4951424B2 (ja) 鉄蓋開閉装置
KR200205762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20100134232A (ko) 이중구조 방수맨홀뚜껑
KR200221892Y1 (ko) 맨홀
KR200436686Y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JP3618194B2 (ja) 埋設きょう
JP4191530B2 (ja) 鉄蓋開閉構造
KR200233274Y1 (ko) 맨홀뚜껑 안전잠금장치
KR100312736B1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KR101124894B1 (ko) 유류저장탱크맨홀의 잠금장치
KR102096701B1 (ko)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