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934B1 - 잠금이 용이한 맨홀 - Google Patents

잠금이 용이한 맨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934B1
KR101774934B1 KR1020170027555A KR20170027555A KR101774934B1 KR 101774934 B1 KR101774934 B1 KR 101774934B1 KR 1020170027555 A KR1020170027555 A KR 1020170027555A KR 20170027555 A KR20170027555 A KR 20170027555A KR 101774934 B1 KR101774934 B1 KR 10177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lower plate
pair
latches
shaf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창운
전성훈
김성용
박재영
정미화
Original Assignee
(주)대신환경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신환경기술 filed Critical (주)대신환경기술
Priority to KR1020170027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27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잠금이 용이한 맨홀에 관한 것으로, 상판 및 하판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커버부와 상기 하판의 일면 중앙에 위치하며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의 축부, 상기 커버부와 상기 축부의 내부를 지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는 핸들부 그리고 상기 하판의 일면에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한 쌍의 걸림쇠 및 상기 한 쌍의 걸림쇠와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축부에 타측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잠금이 용이한 맨홀{EASY LOCKING MANHOLE}
본 발명은 잠금이 용이한 맨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부를 용이하게 잠그고 개방시킬 수 있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맨홀(manhole)이란 인간의 삶의 편익을 도모하기 위해 지반 아래에 매설되는 여러 간접 기반 시설이다. 예컨대 상수, 하수, 가스 관로 및 각종 통신, 체신 케이블 등과 같은 다양한 관로 및 지하 케이블을 지상에서 출입을 하며 유지관리 및 보수를 하기 위한 시설물이다.
이러한 맨홀의 구조는 맨홀 본체와 이 본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설치되며 이러한 통로를 통해 관리자는 유지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맨홀로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맨홀의 끝 부분에는 원형이나 사각형의 형태로 맨홀뚜껑이 덮여 있으며 이러한 맨홀뚜껑은 차도, 보도 및 하천 둔치 등에 설치되어 있으며 철제나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하므로 자체무게로 인하여 받침틀에서 이탈하는 경우는 없으나 강우시 수위 상승으로 인해 무거운 맨홀뚜껑이 부력을 받아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맨홀뚜껑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34051호의 선등록된 맨홀뚜껑 잠금 및 분리장치는 볼트를 이용하여 잠금과 풀림 및 분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구조의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볼트를 이용하기에는 뚜껑의 무게가 무거워 볼트 조임부를 맞추기에 상당한 인력과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시 볼트가 녹이 발생하여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뚜겅의 무게로 인하여 유지 보수자들이 무거운 뚜껑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위험이 있었다.
이에 따라 회전 잠금 방식에 제공되는데 이러한 회전 잠금 방식 또한 뚜껑의 무게가 무거워 사용자의 힘으로 뚜껑을 회전시켜 정확하게 받침틀에 장착시킬 수 없어 별도의 기계를 이용하여 뚜껑을 개폐시켜야 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수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맨홀뚜껑은 맨홀내부와 맨홀외부를 완전히 밀폐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맨홀뚜껑은 유지관리 및 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맨홀뚜껑을 개폐하는데 필요한 개폐용 홈이 있으며, 작업자는 개폐용 홈에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 도구를 삽입하여 맨홀뚜껑을 열고 닫는다. 그러나, 대형 일자형 드라이버 도구를 사용하여 맨홀뚜껑을 열고 닫을 시 보통 2명의 작업자가 양쪽에서 개폐도구를 사용하여 맨홀뚜껑을 연다.
따라서, 관련된 유지 보수자들이 주기적 또는 비상시 맨홀뚜껑을 열고 닫을 시 장시간 작업으로 인한 효율 저하, 뚜껑의 무게를 감당해야 하는 작업의 난이도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상당한 고충을 겪고 있으며, 긴 시간과 인력투입으로 인한 경제성, 업무 저하 및 각종 안전사고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판 및 하판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커버부의 내측에 축부가 배치되고, 핸들부로 축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부와 한 쌍의 걸림쇠를 연결한 연결부가 한 쌍의 걸림쇠를 수평이동 시킴에 따라, 한 쌍의 걸림쇠의 일부분이 홀더부에 수용됨으로써, 커버부가 잠기는 새로운 구조의 잠금이 용이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판 및 하판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커버부,
상기 하판의 일면 중앙에 위치하며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의 축부,
상기 커버부와 상기 축부의 내부를 지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는 핸들부,
상기 하판의 일면에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한 쌍의 걸림쇠 및
상기 한 쌍의 걸림쇠와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축부에 타측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상기 커버부는 상기 상판의 일면에 홈이 형성되는 수납 홈 및 상기 커버부의 테두리 단부면에 상기 한 쌍의 걸림쇠의 위치와 대응하여 개방형성 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상기 하판은 상기 하판의 일면에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 배치되는 베어링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상기 하판은 상기 하판의 일면 중앙에 상기 축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 홈 및 상기 삽입 홈의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 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상기 축부는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 상기 회전 레일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축부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 및 상기 축부의 일단 중앙에 단차를 이루며 함입 형성되는 체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상기 핸들부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틱부, 상기 스틱부의 일단에 교차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립부, 상기 스틱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1 체결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체결부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부를 수직하게 상향 이동 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체결 홈에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상기 한 쌍의 걸림쇠는 일측이 호를 이루는 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상기 연결부는 막대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기어부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상기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되는 벽체, 상기 벽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홀더부 및 상기 벽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상기 핸들부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걸림쇠가 상기 홀더부의 방향으로 수평이동 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쇠의 일측이 상기 홀더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커버부가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핸들부로 커버부의 내측에 배치된 축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부와 한 쌍의 걸림쇠를 연결한 연결부가 한 쌍의 걸림쇠를 수평 이동시킴에 따라 한 쌍의 걸림쇠의 일측이 벽체 설치된 홀더부에 수용되는 구조를 통해 안전하고 용이하게 커버부를 잠그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판의 일면에 복수개로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부는 한 쌍의 걸림쇠를 일직선으로 수평 이동시키도록 하여 한 쌍의 걸림쇠의 일부분이 홀더부에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축부에 형성된 기어부는 연결부에 형성된 나사산부와 맞물림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축부를 회전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홀더부는 벽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홈이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걸림쇠가 벽체의 내측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수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판 및 한 쌍의 걸림쇠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하판 및 한 쌍의 걸림쇠의 주변에 벽체 및 홀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핸들부를 회전 시 한 쌍의 걸림쇠가 이동하여 홀더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에 따라 축부 및 연결부가 브라켓 구조에 의해 연결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하판 및 한 쌍의 걸림쇠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하판 및 한 쌍의 걸림쇠의 주변에 벽체 및 홀더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핸들부를 회전 시 한 쌍의 걸림쇠가 이동하여 홀더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에 따라 축부 및 연결부가 브라켓 구조에 의해 연결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커버부(100), 축부(200), 핸들부(300) 한 쌍의 걸림쇠(400) 및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상판(110) 및 하판(120)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커버부(100), 하판(120)의 일면 중앙에 위치하며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의 축부(200), 커버부(100)와 축부(200)의 내부를 지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며, 축부를 회전시키는 핸들부(300), 하판(120)의 일면에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한 쌍의 걸림쇠(400) 및 한 쌍의 걸림쇠(400)와 일측이 고정되고 축부(200)에 타측이 연결되는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버부(100)는 노면에 지하로 사람이 출입할 수 있게 구멍을 만든 맨홀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원형의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밖에 사각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00)는 상판(110) 및 하판(120)이 이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판 형상이며, 수납 홈(130) 및 개구부(140)를 포함한다.
상판(110)은 커버부(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중앙부분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핸들부(300)가 삽입되는 삽입구의 역할을 한다.
하판(120)은 커버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후술하는 축부(200)와 결합하도록 상판(110)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판(120)은 가이드 레일부(121) 및 베어링볼(122)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 레일부(121)는 하판(120)의 일면에 일직선상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걸림쇠(400)의 일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볼(122)은 가이드 레일부(121)에 배치되며, 각각의 레일에 복수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베어링볼(122)은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이드 레일부(121)에 결합하기 위해 베어링축을 포함하며, 베어링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이드 레일부(121) 및 베어링볼(122)은 후술하는 한 쌍의 걸림쇠(400)가 수평 이동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하판(120)은 삽입 홈(123) 및 회전 레일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 홈(123)은 하판(120)의 일면 중앙에 축부(20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된다.
회전 레일부(124)는 삽입 홈(123)의 내측을 따라 형성된다. 즉, 후술하는 돌기부(220)가 삽입되도록 회전 레일부(124)의 내측이 오목하게 함입되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판(120)은 축부(200)의 일측이 삽입 홈(123)에 결합 시 축부(200)를 지지하도록 삽입 홈(123)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단차부(125)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수납 홈(130)은 상판(110)의 일면에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커버부(100)를 잠그기 위해 사용되는 핸들부(3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개구부(140)는 커버부(100)의 테두리 단부면에 한 쌍의 걸림쇠(400)의 위치와 대응하여 개방 형성되며, 한 쌍의 걸림쇠(400)가 일직선으로 수평 이동하여 커버부(100)의 테두리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통로이다.
본 발명의 축부(200)는 하판(120)의 일면 중앙에 위치하며 내부가 관통된 원기둥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축부(2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축부(200)는 핸들부(400)가 삽입되도록 중앙이 관통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판(120)의 상면에 형성된 삽입 홈(123)에 결합되어 핸들부(400)의 일방향 회전에 위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축부(200)는 기어부(210), 돌기부(220) 및 체결 홈(230)을 포함한다.
기어부(210)는 축부(20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돌기부(220)는 회전 레일부(124)에 결합되도록 축부(200)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220)는 회전 레일부(124)의 궤적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축부(200)를 일방향으로 회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체결 홈(230)은 축부(200)의 일단 중앙에 단차를 이루며 함입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 홈(230)은 후술하는 제1 체결부(330)가 삽입 결합되도록 제1 체결부(33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핸들부(300)는 커버부(100)와 축부(200)의 내부를 지나도록 수직하게 연장되며 축부(20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핸들부(300)는 스틱부(310), 그립부(320), 제1 체결부(330) 및 제2 체결부(340)를 포함하고, 핸들부(300)를 수직하게 상향 이동 시 제1 체결부(330)는 체결 홈(230)에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스틱부(310)는 수직하게 막대형상으로 연장 형상된다. 여기서 비록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틱부(310)는 말단이 나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제1 체결부(330) 및 제2 체결부(340)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제1 체결부(330) 및 제2 체결부(340)의 중앙이 암나사 형태로 관통되고, 스틱부(310)의 말단은 수나사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립부(320)는 스틱부(310)의 일단에 교차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적당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330)는 스틱부(310)의 타단에 형성되며, 체결 홈(23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부(330)는 체결 홈(2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체결 홈(230)의 형상이 사각형, 삼각형 및 다각형인 경우 제1 체결부(330)도 사각형, 삼각형 및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체결부(330) 및 체결 홈(23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제2 체결부(340)는 제1 체결부(33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체결부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 체결부(340)의 일면이 하판(120)에 맞닿게 됨으로써, 커버부(100)의 개방 시 제2 체결부(340)가 하판(120)을 지지하여 커버부(100)를 들어올리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한 쌍의 걸림쇠(400)는 하판(120)의 일면에 서로 마주보며 위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걸림쇠(400)는 일측이 호를 이루는 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판(120)의 상면에 얹혀져 있으며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한 쌍의 걸림쇠(400)는 하판(120)의 외주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나, 핸들부(300)의 회전에 의해 하판(120)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결부(500)는 한 쌍의 걸림쇠(400)와 일측이 고정되고 축부(200)에 타측이 연결된다. 그리고 연결부(500)는 축부(200)와 한 쌍의 걸림쇠(400)를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축부(200)의 회전에 따라 한 쌍의 걸림쇠(400)를 수평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500)는 바디(510) 및 나사산부(520)를 포함하고, 나사산부(520)는 기어부(210)에 맞물리도록 한다.
바디(51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나사산부(520)는 바디(51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기어부(210)와 맞물리도록 한다.
한편, 비록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는 하판(120)의 지름선상에 위치하며, 연결부(500)의 일측에 위치하여 연결부(5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판(1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600), 홀더부(700) 및 지지부(800)를 더 포함한다.
벽체(600)는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되는 것으로, 맨홀로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일정 넓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충격 및 강우에도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철제 및 콘크리트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홀더부(700)는 벽체(60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홀더부(700)는 한 쌍의 걸림쇠(400)가 하판(120)의 외주면보다 돌출되는 경우 한 쌍의 걸림쇠(400)의 테두리 일부분이 홀더부(700)에 수용되도록 공간(s)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홀더부(700)는 벽체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내주면을 따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부(700)는 한 쌍의 걸림쇠(400)가 벽체(600)의 내측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수용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800)는 벽체(600)의 내측에 결합되고, 커버부(100)의 하부를 지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핸들부(300)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축부(200)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걸림쇠(400)가 수평 이동함에 따라 한 쌍의 걸림쇠(400)의 일측이 홀더부(700)에 수용됨으로써, 커버부(100)가 잠기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각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이 용이한 맨홀의 잠금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벽체(600)의 내측에 지지부(800)가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800)는 벽체(600)의 상부로부터 커버부(100)의 두께만큼 벽체(600)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커버부(100)가 벽체(60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홀더부(700)는 벽체(60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며, 한 쌍의 걸림쇠(400)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핸들부(300)는 커버부(100)와 축부(200)의 내부를 지나도록 수직하게 연장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핸들부(300)를 수직하게 상향 이동 시 제1 체결부(330)는 체결 홈(230)에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사용자는 수납 홈(130)에 수용된 그립부(310)를 잡고 수직하게 상향 이동시킨다. 이때, 스틱부(320)의 일단에 결합된 제1 체결부(330)가 축부(200)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 홈(230)에 삽입되며 체결되고, 제2 체결부(340)는 하판(120)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한편,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10)를 잡고 스틱부(320)를 중심으로 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축부(200)는 핸들부(300)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한다. 이때, 축부(200)와 연결된 연결부(500)는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축부(200)는 회전운동을 하고, 연결부(500)는 나사산부(520)가 기어부(210)에 맞물림으로써, 기어의 회전에 따라 직선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기어부(210)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기어부(210)와 나사산부(520)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랙&피니언 기어와 유사한 원리를 지닌다.
이와 같이, 연결부(500)가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연결부(500)의 일측에 고정된 한 쌍의 걸림쇠(400)가 연결부(50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걸림쇠(400)는 하판(120)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부(121)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수평이동을 한다. 그리고 한 쌍의 걸림쇠(400)는 하판(12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홀더부(700)의 내부로 일부분이 수용된다. 따라서, 커버부(100)는 한 쌍의 걸림쇠(400)가 홀더부(700)에 수용되면 개방할 수 없는 구조를 이루며 잠기도록 한다.
아울러,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에 따라 축부 및 연결부가 브라켓 구조에 의해 연결되는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축부(20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500‘)는 바디(510’), 브라켓(520‘) 및 고정핀(530’)을 포함한다.
바디(510‘)는 축부(200’)와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브라케(520‘)에 연결된다.
브라켓(520‘)은 바디(510’)의 타측과 연결되고 한 쌍의 걸림쇠(400)와 일측이 고정된다. 또한 브라켓(520‘)은 제1 부재(521’) 및 제2 부재(522‘)가 이격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ㄷ‘자 형상을 이루고, 제1 부재(521’) 및 제2 부재(522‘)는 각각 관통되는 홀(523’)을 포함한다.
고정핀(530‘)은 브라켓(520‘)과 바디(510‘)의 타측을 연결시키기 위해 홀(523’)에 삽입되는 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500‘)는 핸들부(300)를 일방향으로 회전 시 축부(200’)가 회전하면서 연결부(500‘)를 회전시킨다. 이때, 바디(510‘)의 타측은 제1 부재(521’) 및 제2 부재(522‘)사이에 위치하여 제1 부재(521’) 및 제2 부재(522‘)와 유격을 가지도록 한다. 즉, 브라켓(520’)과 연결부(500‘)가 유격을 가짐으로써, 연결부(500’)가 회전되더라도, 브라켓(520‘)에 고정된 한 쌍의 걸림쇠(400)가 회전하지 않고, 유격된 거리만큼 일직선상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디(510‘)는 중앙부분이 링크 결합되어 축부(200’)의 회전이 크더라도 링크에 의해 한 쌍의 걸림쇠(400)를 직선왕복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미도시)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커버부 110 : 상판
120 : 하판 121 : 가이드 레일부
122 : 베어링볼 123 : 삽입 홈
124 : 회전 레일부 130 : 수납 홈
140 : 개구부 200, 200‘ : 축부
210 : 기어부 220 : 돌기부
230 : 체결 홈 300 : 핸들부
310 : 스틱부 320 : 그립부
330 : 제1 체결부 340 : 제2 체결부
400 : 한 쌍의 걸림쇠 500, 500‘ : 연결부
510, 510‘ : 바디 520 : 나사산부
520‘ : 브라켓 530’ : 고정핀
600 : 벽체 700 : 홀더부
800 : 지지부

Claims (10)

  1. 상판 및 하판이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 형상의 커버부;
    상기 하판의 일면 중앙에 위치하며 내부에 홈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축부에 일체형으로 삽입 결합되어 상기 축부를 회전시키는 핸들부;
    상기 하판의 일면에 서로 마주보며 위치하는 한 쌍의 걸림쇠; 및
    상기 한 쌍의 걸림쇠와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축부에 타측이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은
    상기 하판의 일면에 일직선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 레일부; 및
    상기 가이드 레일부에 배치되는 베어링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테두리 단부면에 상기 한 쌍의 걸림쇠의 위치와 대응하여 개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기 하판의 일면 중앙에 상기 축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삽입 홈; 및
    상기 삽입 홈의 내측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는
    상기 축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부;
    상기 회전 레일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축부의 일측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 및
    상기 축부의 일단 중앙에 단차를 이루며 함입 형성되는 체결 홈을 포함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스틱부;
    상기 스틱부의 일단에 교차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립부; 및
    상기 스틱부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홈에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걸림쇠는
    일측이 호를 이루는 판형상의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막대 형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부는 상기 기어부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이 용이한 맨홀은
    지중에 수직하게 매설되는 벽체;
    상기 벽체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홀더부; 및
    상기 벽체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걸림쇠가 상기 홀더부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걸림쇠의 일측이 상기 홀더부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커버부가 잠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이 용이한 맨홀.
KR1020170027555A 2017-03-03 2017-03-03 잠금이 용이한 맨홀 KR10177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55A KR101774934B1 (ko) 2017-03-03 2017-03-03 잠금이 용이한 맨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55A KR101774934B1 (ko) 2017-03-03 2017-03-03 잠금이 용이한 맨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4934B1 true KR101774934B1 (ko) 2017-09-05

Family

ID=59924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555A KR101774934B1 (ko) 2017-03-03 2017-03-03 잠금이 용이한 맨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9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107A (ko) * 2018-10-08 2020-04-17 한국전력공사 개구부용 덮개
SE2050432A1 (en) * 2020-04-16 2021-07-20 Niclas Thoerner Service Ab A lid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temporary use of a lid arrangement for renewal of an asphalt top layer
KR20210137672A (ko) * 2020-05-11 2021-11-18 양충재 맨홀의 철개 주변 보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741Y1 (ko) * 1998-09-08 2001-04-02 나남열 맨홀 인상용 높이 조절재
KR100654909B1 (ko) * 2006-08-31 2006-12-14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이탈방지기능을 갖는 상수도 맨홀 뚜껑
KR100954177B1 (ko) * 2009-09-23 2010-04-20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상하수도 맨홀뚜껑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741Y1 (ko) * 1998-09-08 2001-04-02 나남열 맨홀 인상용 높이 조절재
KR100654909B1 (ko) * 2006-08-31 2006-12-14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이탈방지기능을 갖는 상수도 맨홀 뚜껑
KR100954177B1 (ko) * 2009-09-23 2010-04-20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상하수도 맨홀뚜껑 잠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107A (ko) * 2018-10-08 2020-04-17 한국전력공사 개구부용 덮개
KR102485201B1 (ko) * 2018-10-08 2023-01-06 한국전력공사 개구부용 덮개
SE2050432A1 (en) * 2020-04-16 2021-07-20 Niclas Thoerner Service Ab A lid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temporary use of a lid arrangement for renewal of an asphalt top layer
SE543780C2 (en) * 2020-04-16 2021-07-20 Niclas Thoerner Service Ab A lid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temporary use of a lid arrangement for renewal of an asphalt top layer
WO2021211029A1 (en) * 2020-04-16 2021-10-21 Niclas Thörner Service AB A lid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temporary use of a lid arrangement for renewal of an asphalt top layer
KR20210137672A (ko) * 2020-05-11 2021-11-18 양충재 맨홀의 철개 주변 보수장치
KR102388525B1 (ko) 2020-05-11 2022-04-20 양충재 맨홀의 철개 주변 보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2891B2 (en) Bollard assembly
KR101774934B1 (ko) 잠금이 용이한 맨홀
US5827007A (en) Entrance-deterring cap for manhole openings
US11008728B2 (en) Manhole device
US6488440B1 (en) Hole cover device and method for covering a hole
KR102003905B1 (ko) 맨홀뚜껑 받침대 잠금장치
KR101846536B1 (ko) 잠금이 용이한 맨홀
KR101506392B1 (ko) 다기능 프레임이 구비된 맨홀덮개
US8393823B2 (en) Manhole cover security and removal
CA2309584A1 (en) Support post securing system
KR101240285B1 (ko) 부양 기능을 갖는 잠금형 맨홀
KR100588479B1 (ko) 맨홀 뚜껑 개폐장치
CA2963069A1 (en) Security lid
KR20110126396A (ko) 절첩식 맨홀 뚜껑 장치
KR200436607Y1 (ko) 지렛대용 맨홀 뚜껑의 잠금장치
KR100929566B1 (ko) 도난방지용 맨홀
US5509754A (en) Driveway security post
KR101784246B1 (ko) 건축용 소화전 보호장치
KR200310041Y1 (ko) 맨홀뚜껑 개폐장치
KR101774935B1 (ko) 개방이 용이한 하수 맨홀뚜껑
RU60547U1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рышки люка
KR20040009695A (ko) 맨홀커버의 잠금장치
KR100519113B1 (ko) 상하수도 맨홀 뚜껑 잠금장치
US9834903B2 (en) Underground security barrier
KR200292720Y1 (ko) 맨홀커버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