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017Y1 -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017Y1
KR200357017Y1 KR20-2004-0012720U KR20040012720U KR200357017Y1 KR 200357017 Y1 KR200357017 Y1 KR 200357017Y1 KR 20040012720 U KR20040012720 U KR 20040012720U KR 200357017 Y1 KR200357017 Y1 KR 200357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ischarge port
port
inlet port
fuel 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2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순행
Original Assignee
허순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순행 filed Critical 허순행
Priority to KR20-2004-0012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0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02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rotary parts, e.g. fan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04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 F02M29/06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generating whirling motion of mixture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어댑터를 별도로 교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짐으써, 연료관의 차종별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 연료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양단에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가 구비된 케이스(50)와, 상기 유입포트(53)측에 구비되며 그 외주면에는 나선홈(55)이 형성된 분쇄구(56)와, 상기 분쇄구(56)와 토출포트(54) 사이에 구비된 오리피스(59)와, 이 오리피스(59)와 상기 토출포트(54) 사이에 동축상으로 교호되도록 배치된 회전 및 비회전 분쇄관(57,58)을 포함하는 연료절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의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에는 연결어댑터(60)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상기 연결어댑터(60)를 매개로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절감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연료절감장치{Fuel sav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
본 고안은 자동차 연료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연료관의 차종별 호환성을 향상시키고, 누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 연료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연료절감장치의 구성도로서, 일단에 유입포트(11)가 형성되고 이 유입포트(11)에는 유입단관(1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관형상의 제1 케이스(10)와, 일단에 토출포트(21)가 형성되고 이 토출포트(21)에는 토출단관(2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관형상의 제2 케이스(20)와, 이 제1 및 제2케이스(10,20)를 나사식으로 연결하고 중앙에 오리피스(32)가 형성된 연결구(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스의 내부에는 제1 케이스(10)의 유입포트(11)에 인접 배치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홈(14)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중앙에는 연료진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을 따라 오목홈(15)이 형성된 원통형의 제1 회전분쇄구(13)와, 이 제1 회전분쇄구(13)에 밀착 배치되고 중앙에 분사공(16)이 형성된 가속구(17)와, 이 가속구(17)에 밀착배치되고 제1 회전분쇄구(13)와 서로 반대방향의 나선홈(14)이 형성된 제2 회전분쇄구(18)가 포함된다. 상기 제2 케이스의 내부에는 제2케상기 제2 케이스(20)의 토출포트(22)에 인접 배치되며 외주면에 회전방향을 따라 나선회전돌기(23)가 형성된 다수개의 회전분쇄관(24) 및 이 회전분쇄관(24)과 동축상으로 교호되도록 배치되며 외주면에 회전방향을 따라 직선회전돌기(25)가 형성된 다수개의 비회전분쇄관(26)가 포함된다. 상기 제1 케이스(10)와 연결구(30) 및 제2 케이스(20)와 연결구(30)의 연결부위에 각각 오링(34)이 설치된다.
이러한 연료절감장치는 내연기관이나 외연기관의 연료 공급라인에 유입단관(12)과 토출단관(22)이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연료탱크에서 연료관(미도시됨)을 거쳐 상기 유입단관(12)를 통해 유입된 연료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분쇄구(13,16)의 나선홈(14)을 따라 유동되면서 오목홈(15)에서 와류와 충돌을 일으킴과 동시에 상기 분쇄구(13,16)가 회전되어 연료가 1차적으로 미세한 입자로 분쇄된다. 이렇게 분쇄된 연료는 계속해서 상기 연결구(30)의 오리피스(32)를 통해 제2 케이스(20)의 회전 및 비회전분쇄관(24,26) 사이로 가속 분사되어, 상기 회전 및 비회전분쇄관(24,26) 외주면의 각 돌기에 부딪치면서 2차로 더 미세한 입자로 분쇄되면서 상기 토출단관(22)을 통해 엔진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연료의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연소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그런데, 차종별로 연료관의 구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연료절감장치는 유입단관(12)과 토출단관(22)이 제1 및 제2 케이스(10,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유입단관(12)과 토출단관(22)만 별도로 교체가 불가능하고 교체 시에는 상기 연료절감장치를 통째로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0)와 연결구(30) 및 제2케이스(20)와 연결구(30)의 연결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오링(34)은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녹거나 밀봉 파손되기때문에, 누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료관의 구경이 차종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 연료절감장치의 호환성을 향상시키고 장시간 사용에 따른 밀봉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연료절감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료절감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케이스 51, 52. 제1 및 제2 케이스
53. 유입포트 54. 토출포트
55. 나선홈 56. 분쇄구
57. 회전분쇄관 58. 비회전분쇄관
59. 오리피스 60. 연결어댑터
62. 오링 64. 고무코팅층
본 고안에 따르면, 양단에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가 구비된 케이스(50)와, 상기 유입포트(53)측에 구비되며 그 외주면에는 나선홈(55)이 형성된 분쇄구(56)와, 상기 분쇄구(56)와 토출포트(54) 사이에 구비된 오리피스(59)와, 이 오리피스(59)와 상기 토출포트(54) 사이에 동축상으로 교호되도록 배치된 회전 및 비회전 분쇄관(57,58)을 포함하는 연료절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의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에는 연결어댑터(60)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상기 연결어댑터(60)를 매개로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절감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50)는 순차적으로 유입포트(53), 제1 회전분쇄구(70), 가속구(72), 제2 회전분쇄구(74)가 배치되어내장된 제1 케이스(51)와, 제2 회전분쇄구(74)와 토출포트(54) 사이에 구비되며 동축상으로 교호되도록 배치된 회전 및 비회전분쇄관(57,58)이 내장된 제2 케이스(52)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51,52)를 연결하고 중앙에 오리피스(59)를 구비하는 연결구(76)와, 상기 케이스(50)의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에는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연결어댑터(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51)와 연결구(76) 및 제2케이스(52)와 연결구(76)의 연결부위에는 오링(62)이 개재되고, 상기 케이스(50)의 둘레부에는 고무코팅층(64)이 구비되며, 상기 고무코팅층(60)에 의해 상기 연결어댑터(60)를 제외한 케이스(50)의 둘레부가 밀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절감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양단에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가 형성된 관형상의 케이스(50)와, 상기 유입포트(53)측에서 토출포트(54)측으로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 회전분쇄구(70), 가속구(72), 제2회전분쇄구(74), 오리피스(59)와, 동축상으로 교호된 다수개의 회전 및 비회전분쇄관(57,58)과, 상기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어댑터(6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50)는 일단에 유입포트(53)가 형성된 제1케이스(51)와, 일단에 토출포트(54)가 형성된 제2케이스(52)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앙의 연결구(76)를 매개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51,52)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구(76)는 그 중앙부에오리피스(59)가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51)의 내부에는 분쇄구(56)가 구비되며, 상기 분쇄구(56)는 유입포트(53)측에 인접된 제1 회전분쇄구(70)와, 이 제1 회전분쇄구(74)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2 회전분쇄구(7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분쇄구(70,74) 사이에는 그 중앙에 분사공(75)이 형성된 가속구(72)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분쇄구(70,74)의 외주면 중앙에는 원주 방향으로 오목홈(73)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73)의 양측에는 나선홈(55)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케이스(5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회전 및 비회전분쇄관(57,58)이 동축상으로 교호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분쇄관(57)의 외주면에는 나선형 회전돌기(78)가 구비되고, 상기 비회전분쇄관(58)에는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의 직선형 회전돌기(79)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유입된 연료가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분쇄구(70,74), 가속구(72), 오리피스(59), 회전 및 비회전분쇄관(57,58)을 통과하면서 와류, 충돌 및 가속분사 현상을 일으켜 미세한 입자로 분쇄되어, 엔진에 공급된다.
상기 연결어댑터(60)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관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일단부 둘레에는 상기 케이스(50)의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에 착탈 가능하도록 나사부(63)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플랜지(65)가 형성되며, 그 타단부는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어댑터(60)를 케이스(50)와 별도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차종에 따라 연료관(미도시됨)의 구경이 달라지더라도 상기 연결어댑터(60)만 따로 교체하면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50)의 둘레부를 밀봉하도록 고무코팅층(64)이 더 구비된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고무코팅층(64)의 끝단이 상기 연결어댑터(60)의 플랜지(65) 둘레부를 감싸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어댑터(60)를 제외한 케이스(50)의 둘레부가 상기 고무코팅층(64)에 의해 밀봉되어 보호되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50)와 연결구(76)의 연결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오링(62)을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녹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차량운행 중에 발생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상기 고무코팅층(64)이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50)의 내부를 흐르는 연료가 상기 고무코팅층(64)에 의해 보온되기 때문에, 동절기에도 연료의 적정온도를 유지하여 외부의 낮은 온도에 의해 연료의 와류, 충돌 및 분산 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스(50)의 양단부에 유입포트(53) 및 토출포트(54)에 연결어댑터(60)가 나사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연결어댑터(60)만 별도로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차종별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교체비 등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연료절감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

  1. 양단에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가 구비된 케이스(50)와, 상기 유입포트(53)측에 구비되며 그 외주면에는 나선홈(55)이 형성된 분쇄구(56)와, 상기 분쇄구(56)와 토출포트(54) 사이에 구비된 오리피스(59)와, 이 오리피스(59)와 상기 토출포트(54) 사이에 동축상으로 교호되도록 배치된 회전 및 비회전 분쇄관(57,58)을 포함하는 연료절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의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에는 연결어댑터(60)가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며, 상기 연결어댑터(60)를 매개로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는 순차적으로 유입포트(53), 제1 회전분쇄구(70), 가속구(72), 제2 회전분쇄구(74)가 배치되어 내장된 제1 케이스(51)와, 제2 회전분쇄구(74)와 토출포트(54) 사이에 구비되며 동축상으로 교호되도록 배치된 회전 및 비회전분쇄관(57,58)이 내장된 제2 케이스(52)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51,52)를 연결하고 중앙에 오리피스(59)를 구비하는 연결구(76)와, 상기 케이스(50)의 유입포트(53)와 토출포트(54)에는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 연결어댑터(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51)와 연결구(76) 및 제2케이스(52)와 연결구(76)의 연결부위에는 오링(62)이 개재되고, 상기 케이스(50)의 둘레부에는 고무코팅층(64)이 구비되며, 상기 고무코팅층(60)에 의해 상기 연결어댑터(60)를 제외한 케이스(50)의 둘레부가 밀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KR20-2004-0012720U 2004-05-07 2004-05-07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KR200357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720U KR200357017Y1 (ko) 2004-05-07 2004-05-07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2720U KR200357017Y1 (ko) 2004-05-07 2004-05-07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699A Division KR100748233B1 (ko) 2005-04-06 2005-04-06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017Y1 true KR200357017Y1 (ko) 2004-07-21

Family

ID=4934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2720U KR200357017Y1 (ko) 2004-05-07 2004-05-07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0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410A1 (ko) * 2010-04-29 2011-11-03 주식회사 월드그린 차량용 연료절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410A1 (ko) * 2010-04-29 2011-11-03 주식회사 월드그린 차량용 연료절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233B1 (ko)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US3273805A (en) Pressurized fluid nozzle assembly
JP2019063986A (ja) 内部構造体
KR200357017Y1 (ko)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CN102667271B (zh) 具有密封元件的同轴阀
US6289934B1 (en) Flow diffuser
KR101896376B1 (ko) 통합 유량 제어 밸브
CN103403337B (zh) 用于开关或测量流体的阀装置
US5088689A (en) Removable discharge sleeve in a disk valve
KR100919064B1 (ko) 차량용 연료절감기
KR101727302B1 (ko) 연료 효율 향상장치
JP7355377B2 (ja) 流体供給装置
CA2848130A1 (en) Containment shell for a magnetic coupling with improved fluid flow
AU2004200634C1 (en) Seal and pressure relief for steam injection heater
KR101681205B1 (ko) 연료 활성화장치
KR100827430B1 (ko) 차량용 연료절감기
CA2266869A1 (en) Fluid mixing-jetting apparatus, fluid mixer and snowmaker
KR20100050651A (ko) 차량용 연료절감기
KR102091247B1 (ko) 열매체유 분쇄 가열장치
CN204455025U (zh) 组合式粉煤烧嘴
KR100921189B1 (ko) 퍼펙트 밀
CN205518029U (zh) 一种砂磨机壳体及砂磨机
CN208098493U (zh) 点胶阀
KR100921190B1 (ko) 그라인딩 효율성을 개선한 탑 밀
CN117552785B (zh) 磨砂射流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