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064B1 - 차량용 연료절감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절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064B1
KR100919064B1 KR1020070057403A KR20070057403A KR100919064B1 KR 100919064 B1 KR100919064 B1 KR 100919064B1 KR 1020070057403 A KR1020070057403 A KR 1020070057403A KR 20070057403 A KR20070057403 A KR 20070057403A KR 100919064 B1 KR100919064 B1 KR 100919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housing
chamber
mounting unit
diameter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277A (ko
Inventor
전혁재
허순행
Original Assignee
전혁재
허순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혁재, 허순행 filed Critical 전혁재
Priority to KR102007005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064B1/ko
Publication of KR20080109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9/00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 F02M29/04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 F02M29/08Apparatus for re-atomising condensed fuel or homogenising fuel-air mixture having screens, gratings, baffles or the like having spirally-wound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복수의 분쇄구가 장착되는 제1챔버와 내경측을 향하여 다수의 연료유도관이 구비되는 제2챔버가 하우징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챔버의 내경측에 제1장착유니트를 개재하여 그 외경측에 제1커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2챔버의 내경측 역시 제2장착유니트를 개재하여 그 외경측에 제2커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및 그 양측에 장착되는 제1,2커버부재에 유로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고압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누설을 방지토록 하고, 고압의 연료에 의한 하우징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연료유도관, 연결홈, 유도홈, 장착유니트

Description

차량용 연료절감기{a device for reduce the fuel}
도1은 종래의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분해도 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절감기의 연료유도관 적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연료절감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유입포트 4... 배출포트
6... 하우징 8... 연료유도관
10... 유도홈 12,14... 연결홈
22... 분쇄구 26... 배출공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절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연료절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분쇄구가 장착되는 제1챔버와 내경측을 향하여 다수의 연료유도관이 구비되는 제2챔버가 하우징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챔버의 내경측에 제1장착유니트를 개재하여 그 외경측에 제1커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2챔버의 내경측 역시 제2장착유니트를 개재하여 그 외경측에 제2커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및 그 양측에 장착되는 제1,2커버부재에 유로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고압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누설을 방지토록 하고, 고압의 연료에 의한 하우징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연료절감기는 연료로 사용되는 가솔린이나 디젤유의 입자를 활성화시켜, 연료를 엔진의 연소실로 분사하였을 때 공기중의 산소와 원활히 혼합되어 완전연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효율을 높이고 연료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본원발명의 출원인이 공개특허공보 2007-20953호에 차량용 연료절감기를 제시한 바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양단에 유입포트(2)와 배출포트(4)가 형성되면서 내경측에 제1,2챔버(16)(81)가 구비된 원통형의 하우징(6)과, 둘레면에 나선방향의 유도홈(10)이 형성되며 서로 다른 지름으로 구성되어 서로 동축상으로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2챔버(18)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료유도관(8)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챔버(16)에는 외주면에 나선홈(20)이 형성된 한쌍의 분쇄 구(22)와, 이 분쇄구(22)의 사이에 배치되는 오리피스(24)가 구비되고, 상기 연료유도관(8)은, 그 외주면에 유도홈(10)과 교차되는 복수개의 연결홈(12,14)이 연료유도관(8)의 길이방향에 형성되며, 연료가 유입되는 배출공(26)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료절감기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제1,2챔버(16)(18)가 나사결합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구성으로 고압이 작용하거나 외부와의 간섭시 그 연결부가 분리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고, 상기 제1,2챔버(16)(18)의 내측에 구비되는 분쇄구(16) 및 연료유도관(18)이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곧바로 노출토록 되어 고압의 유체공급시 이를 통한 누설이 발생되므로써 연료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없게 되며, 분쇄구(20)가 오리피스(24)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구성을 이를 통한 유체의 유입으로 정확한 분쇄효과의 구현이 힘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고, 고압의 연료에 의한 하우징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며, 분쇄구에 의한 분쇄효과를 극대화 시키도록 하고, 분쇄구와 연료유도관이 하나의 하우징에 각각 장착되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분쇄구가 장착되는 제1챔버와 내경측을 향하여 다수의 연료유도관이 적층되는 제2챔버가 하우징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챔버의 내경측에 제1장착유니트를 개재하여 그 외경측에 제1커버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2챔버의 내경측 역시 제2장착유니트를 개재하여 그 외경측에 제2커버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 및 그 양측에 장착되는 제1,2커버부재에 유로가 형성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장착유니트는, 그 내경측에 분쇄구를 양측으로 분리 장착토록 분리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 역시 유로가 형성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를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연료유도관은, 그 높이방향에서 나선형상으로 연결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유도홈을 교차하는 방향에서 연결하도록 연결홈이 구비는 차량용 연료절감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분해도 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단면도 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절감기의 연료유도관 적층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절감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본 발명의 연료절감기는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로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료절감기는, 양단에 연료공급라인과 연결되거나 역류방지밸브(70)를 갖는 바이패스라인(75)에 연결되는 유입포트(2)와 배출포트(4)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입포트(2) 또는 배출포트(4)는, 하우징(6)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커버부재(33) 또는 제2커버부재(35)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 일측면 내경 또는 외경측에 나사결합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은, 소정의 공간을 갖으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제1,2챔버(16)(18)가 양측으로 구분설치되고, 내측에 형성되는 유로(50c)를 통하여 연결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2챔버(16)(18)의 개방되는 상부에는 밀폐링(44)(42)를 개재하여 제1커버부재(33) 또는 제2커버부재(35)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1,2커버부재(33)(35)는 연료의 유동이 가능토록 유로(50a)(50d)이 각각 형성된다.
계속하여, 상기 제1,2커버부재(33)(35)는 상기 제1,2챔버(16)(18)에 각각 내장되는 제1,2장착유니트(75)(73)를 통하여 하우징(6)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2장착유니트(75)(73)의 외경측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 대응토록 상기 제1,2챔버(16)(18) 및 제1,2커버부재(33)(35)의 내경측에 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제1장착유니트(75)는, 그 내경측에 분쇄구(22)를 양측으로 분리하는 분리판(75-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75-1) 역시 유로(50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분쇄구(22)는, 그 둘레에 나선홈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장착유니트(73)는, 그 내경측에 다수의 연료유도관(8)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연료유도관(8)은, 그 높이방향에서 나선형상으로 연결되거나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유도홈(10)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은 그 교차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연결홈(12)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며, 상부에 연료가 다음의 연료유도관으로 유동하는 유동홈(26)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7에서와 같이, 하우징(6)이 제1,2챔버(16)(18)를 동시에 구비하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외부요인이나 고압의 유체통과시 압력으로 인한 하우징(6)의 분리를 완벽하게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의 개방공간에 각각 결합되어 밀폐되는 제1,2챔버(16)(18)를 형성하도록 하는 제1,2커버부재(33)(35)는 하우징(6)에 직접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6)에 일차 결합되는 별도의 제1,2장착유니트(75)(73)를 통하여 연결되어 유체의 압력이 하우징(6)과 제1,2커버부재(33)(35)의 연결부에 직접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제1,2장착유니트(75)(73)의 연결부에 먼저 작용한 후 작용토록 되어 압력에 의해 누설을 완벽하게 차단토록 한다.
또한, 고압이 작용하는 제1,2챔버(16)(18)가 이중의 벽체를 갖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제공한다.
계속하여, 상기 제1챔버(16)에 장착되는 제1장착유니트(75)는 별도의 오리피스가 아닌 오리피스기능을 갖는 분리판(75-1)이 그 내경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 으로 유체가 이동되는 통로를 단일화 시켜 하나의 분쇄구(22)에 의해 분쇄완료한 후 다른 분쇄구에 공급토록 하여 분쇄효과를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하우징에 장착되는 연료유도관 및 분쇄구의 동작을 유체의 흐름방향에 따라 설명하면, 유입포트(2)로 유입된 연료가 하나의 분쇄구(22)에 형성되는 나선홈(20)을 통과하면서 1차로 분쇄되어 입자화 된 후 분리판에 형성되는 유로(50b)를 통과하여 다른 분쇄구에 공급되어 1차로 분쇄 입자화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16)에 구비되는 복수의 분쇄구(22)로서 입자화되어 활성화 된 연료는 제2챔버(18)에 배치된 각 연료유도관(8A)(8B)(8C)(8D)(8E)(8F)을 통과하면서 2차로 입자가 활성화된 후 제2커버부재(35)에 형성되는 유로(50d)를 통하여 배출된 다.
이때, 상기 연료유도관(8)의 사이를 흐르는 연료는 유도홈(10)을 통하여 일방향으로 흐르는 연료가 유도홈에 교차되는 연결홈(12)을 통하여 분산되어 흐르게 되므로 서로 충돌하게 되어 분산이 용이하게 이루어 진다.
계속하여, 상기 연료유도관(8)에 형성되는 유도홈(10)은 그 교차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연결홈(12)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는 구성으로 나선상으로 연결되거나 수평방향에 분리되어 이격설치되어 그 효과는 동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상기 하우징(6)에 결합되는 제1,2커버부재(33)(35)는 연료공급라인에 연결될 수 있으나, 역류방지밸브(70)를 갖는 바이패스라인(75)에 연결되어 연료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일정이상에서 역류되는 연료는 다시 한번 분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1,2장착유니트를 통하여 하우징을 2중구조로 형성하여 고압으로 유입되는 연료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하우징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며, 제1장착유니트에 의해 복수의 분쇄구를 완전 분리하여 분쇄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제1,2챔버를 갖는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하여 분쇄구와 연료유도관이 하나의 하우징에 각각 장착하여 간섭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5)

  1. 하나 이상의 분쇄구가 장착되는 제1챔버와 내경측을 향하여 복수의 연료유도관이 구비되는 제2챔버가 하우징의 양측에 분리되어 일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분쇄구가 수납토록 하면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장착유니트를 개재하여 하우징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커버부재로서 제1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연료유도관이 수납토록 하면서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2장착유니트를 개재하여 하우징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커버부재로서 제2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 및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2커버부재를 통하여 연료가 이동하도록 하우징 및 그 양측에 장착되는 제1,2커버부재에 유로가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차량용 연료절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유니트는, 그 내경측에 복수의 분쇄구를 양측으로 분리 장착토록 분리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에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유도관은, 그 높이방향에서 나선형상으로 연결되는 유도홈이나 수평방향으로 이격되어 분리설치되는 유도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유도홈이 구비되며, 상기 유도홈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연결하도록 복수의 연결홈이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1,2커버부재는, 역류방지밸브를 갖는 바이패스라인이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버부재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커버부재의 일측면 내경 및 외경측에 나사결합되는 구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입포트 및 배출포트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절감기
KR1020070057403A 2007-06-12 2007-06-12 차량용 연료절감기 KR100919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403A KR100919064B1 (ko) 2007-06-12 2007-06-12 차량용 연료절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403A KR100919064B1 (ko) 2007-06-12 2007-06-12 차량용 연료절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277A KR20080109277A (ko) 2008-12-17
KR100919064B1 true KR100919064B1 (ko) 2009-09-24

Family

ID=4036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403A KR100919064B1 (ko) 2007-06-12 2007-06-12 차량용 연료절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0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32B1 (ko) 2013-11-14 2015-03-19 주식회사 에코워치 차량용 연료절감기
KR20230133481A (ko)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이누리 자동차 연료활성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6410A1 (ko) * 2010-04-29 2011-11-03 주식회사 월드그린 차량용 연료절감기
KR101222222B1 (ko) * 2011-10-12 2013-01-16 허성우 효율개선 구조의 역류방지기가 구비된 차량용 연료절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1746A (ko) * 1998-04-29 1999-11-15 김영신 자동차의 연료절감기
JP3070983U (ja) * 2000-02-14 2000-08-22 陳喜財 流体処理機
KR20000068170A (ko) * 1997-06-13 2000-11-25 황호종 연료 활성화 장치
KR20040005552A (ko) * 2002-07-09 2004-01-16 김성모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감소 연료절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8170A (ko) * 1997-06-13 2000-11-25 황호종 연료 활성화 장치
KR19990081746A (ko) * 1998-04-29 1999-11-15 김영신 자동차의 연료절감기
JP3070983U (ja) * 2000-02-14 2000-08-22 陳喜財 流体処理機
KR20040005552A (ko) * 2002-07-09 2004-01-16 김성모 내연기관용 배기가스 감소 연료절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432B1 (ko) 2013-11-14 2015-03-19 주식회사 에코워치 차량용 연료절감기
KR20230133481A (ko)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이누리 자동차 연료활성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277A (ko)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3381B2 (ja) 燃料送出システム
KR100919064B1 (ko) 차량용 연료절감기
CN108758027A (zh) 一种单向阀门
CN106968755B (zh) 一种能够减弱涡流现象的机油冷却模块壳体
CN103403337B (zh) 用于开关或测量流体的阀装置
CN101389890B (zh) 阀,尤其加热器阀和这种阀的插入件
KR100748233B1 (ko) 자동차 연료절감장치
CN201087160Y (zh) 一种结构改进的净水器
KR101504432B1 (ko) 차량용 연료절감기
CN102258897B (zh) 燃油滤清器
CN104343601A (zh) 用于可更换式或外壳式过滤器的过滤器头
CN204921094U (zh) 一种曲轴箱通风系统油气分离分离器总成
KR101180047B1 (ko) 연료절감 및 매연저감 장치
KR100827430B1 (ko) 차량용 연료절감기
KR101222222B1 (ko) 효율개선 구조의 역류방지기가 구비된 차량용 연료절감기
CN206786122U (zh) 一种节流组件及包含该节流组件的多功能复合阀
CN205877306U (zh) 一种泵用安全阀及其双螺杆泵
CN108979922B (zh) 一种燃油滤清器
CN207334226U (zh) 一种疏水阀万向连接器
CN202612730U (zh) 一种异径过滤止回阀
CN202381319U (zh) 一种集装式机械密封装置
KR100593330B1 (ko) 연료 절감장치
CN205479395U (zh) 用于污泥泵中的单向阀组件
CN204419297U (zh) 一种滤清器总成、冷却滤清总成及发动机
CN202645793U (zh) 燃料旋塞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