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083Y1 - 단추 - Google Patents
단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56083Y1 KR200356083Y1 KR20-2004-0012047U KR20040012047U KR200356083Y1 KR 200356083 Y1 KR200356083 Y1 KR 200356083Y1 KR 20040012047 U KR20040012047 U KR 20040012047U KR 200356083 Y1 KR200356083 Y1 KR 20035608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tton
- present
- elderly
- locking groove
- fasten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Landscapes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추에 관한 것으로서, 손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한 장애인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나 노인 등의 노약자들도 손쉽게 단추를 채우고 풀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형의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 하단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의해 일측이 장식부 하단에 부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걸림홈이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는 단추본체와; 상기 걸이부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체결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단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단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단추를 채우고풀 수 있어 어린아이나 노인, 특히 손을 자유롭게 쓰기 어려운 장애인 등과 같은 사람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단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추는 다양한 형태와 모양을 갖도록 제조되어 오고 있으며, 의복의 전면 부위나 소매 등에 부착하여 의복을 채우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용도를 갖는 단추는 대부분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왔으며, 내부에는 소정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의 단추는 일반적으로 바늘을 사용하여 통공에 실을 통과시켜 단추가 의복에 부착되도록 하여 왔다.
단추가 부착된 소매나 의복의 전면 반대쪽에는 단추가 끼워지는 단추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단추구멍에 단추를 끼워 넣어 소매나 의복 정면을 채우게 된다.
그러나,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단추구멍이 작게 형성되는 관계로 추를 단추구멍에 끼워 넣어 소매나 의복을 채우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린아이나 노인들 및 손이 불편한 장애인들에게는 상기한 방식으로 단추를 채우는 것은 매우 힘들고 채우데 소비되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종래의 단추가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손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한 장애인을 포함하여 노약자 등 누구나 손쉽게 단추를 채우고 풀 수 있어 편의성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단추를 연구한 끝에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손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한 장애인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나 노인 등의 노약자들도 손쉽게 단추를 채우고 풀 수 있도록 한 단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단추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단추가 의복이나 소매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단추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추본체
11 : 장식부 12 : 접착부
13 : 걸이부
131 : 걸림홈
20 : 체결구
21 : 체결돌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원형의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 하단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의해 일측이 장식부 하단에 부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걸림홈이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는 단추본체와; 상기 걸이부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체결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단추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 단추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단추가 의복이나 소매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단추의 체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추는 원형의 장식부(11)와, 상기 장식부(11) 하단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부(12)와, 상기 접착부(12)에 의해 일측이 장식부(11) 하단에 부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걸림홈(131)이 형성된 걸이부(13)를 포함하는 단추본체(10)와, 상기 걸이부(13)의 걸림홈(131)에 삽입되는 체결돌기(21)가 구비된 체결구(20)로 이루어진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단추는 소매나 의복의 일측에 부착되는 단추본체(10)와, 소매나 의복의 타측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단추본체(10)에 걸려지는 체결구(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단추는 손을 사용하는 것이 불편한 장애인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나 노인 등의 노약자들도 손쉽게 단추본체(10)에 체결구(20)를 걸어 단추를 채우거나 단추본체(10)에서 체결구(20)를 빼내어 단추를 풀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단추본체(10)는 원형의 장식부(11)와, 상기 장식부(11) 하단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부(12)와, 상기 접착부(12)에 의해 일측이 장식부(11) 하단에 부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걸림홈(131)이 형성된 걸이부(1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장식부(11)는 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문양이나 장식을 형상할 수 있다. 접착부(12)는 장식부(11) 하단에 걸이부(13)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며, 우레탄계 접착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공지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걸이부(13)는 내부에 걸림홈(131)이 형성된"ㄷ"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걸림홈(131)은 후술하는 체결구(2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단추본체(10)는 소매나 의복의 일측에 부착되며, 소매나 의복에 부착시 장식부(11)가 외측으로 들어나게 부착됨과 아울러 걸이부(13)는 내측으로 들어나게 부착된다.
체결구(20)는 상기한 단추본체(10)의 걸이부(13)의 걸림홈(13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중앙에 체결돌기(2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체결구(20)는 단추본체(10)가 부착된 소매나 의복의 반대쪽에 부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체결돌기(21)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부착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단추를 의복이나 소매에 부착할 경우 체결구(20)의 체결돌기(21)를 단추본체(10)의 걸이부(13)의 걸림홈(131)에 삽입하면 용이하게 단추를 채울 수 있으며, 반대로 단추를 채운 상태에서는 체결구(20)의 체결돌기(21)를 단추본체(10)의 걸이부(13)의 걸림홈(131)에서 빼내면 용이하게 단추를 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단추는 어린아이나 노인과 같은 노약자를 비롯하여 손을 자유롭게 쓰기 어려운 장애인들 역시 쉽고 간편하게 단추를 채우고 풀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 단추의 작동관계를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단추본체(10)는 소매나 의복의 일측에 부착되며, 체결구(20)는 단추본체(10)가 부착된 정되는 소매나 의복의 타측에 부착된다(도 2 참조). 이때, 체결구(20)에 형성된 체결돌기(21)를 단추본체(10)의 걸림부에 형성된걸림홈(131)에 삽입시키면 단추가 채워지게 된다(도 3 참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대로 실시하면 단추가 풀어지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추는 어린아이나 노인과 같은 노약자뿐만 아니라 손을 자유롭게 쓰지 못하는 장애인들이 쉽고 간편하게 단추를 채우고 풀 수 있어 편의성을 크게 개선시킨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따라서 본 고안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자명하게 도출가능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1)
- 원형의 장식부와, 상기 장식부 하단에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에 의해 일측이 장식부 하단에 부착되고, 내부에 소정의 걸림홈이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는 단추본체와; 상기 걸이부의 걸림홈에 삽입되는 체결돌기가 구비된 체결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단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2047U KR200356083Y1 (ko) | 2004-04-29 | 2004-04-29 | 단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12047U KR200356083Y1 (ko) | 2004-04-29 | 2004-04-29 | 단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56083Y1 true KR200356083Y1 (ko) | 2004-07-14 |
Family
ID=4934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2047U KR200356083Y1 (ko) | 2004-04-29 | 2004-04-29 | 단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56083Y1 (ko) |
-
2004
- 2004-04-29 KR KR20-2004-0012047U patent/KR20035608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36509A1 (en) | Magnetically Clasping Clothing Fastener for Presenting an Adornment | |
JP2002282040A (ja) | 付け爪 | |
KR200356083Y1 (ko) | 단추 | |
JP6197210B1 (ja) | タオルクリップ | |
KR102113743B1 (ko) | 단추 | |
JP3141848U (ja) | 装飾カバー | |
KR200164345Y1 (ko) | 피복용 단추 | |
JP4846487B2 (ja) | かばんの構成部材同士の連結構造 | |
KR200333235Y1 (ko) | 자석단추 | |
KR200414765Y1 (ko) | 액세서리 겸용 고정구 | |
KR200458065Y1 (ko) | 와이셔츠 깃 고정구 | |
JPH0755928Y2 (ja) | カフスボタン | |
KR200260775Y1 (ko) | 단추 장식용 장식구 | |
JP3062331U (ja) | 装身用ピン類のための歩数計 | |
KR200246452Y1 (ko) | 벨트 고정 장치 | |
CN218942464U (zh) | 一种可加入香料的项链 | |
JP3124534U (ja) | 止め具付きレザーフラワーリボン | |
US2644209A (en) | Separable button attaching device | |
JP6732268B1 (ja) | ランドセルカバー | |
KR20190136871A (ko) | 돌출부에 끼워 고정시키는 장식물 | |
USD450464S1 (en) | Coordinate loop garment hanger | |
JP2009207842A (ja) | 装飾カバー | |
JPH0715446Y2 (ja) | カフスボタン | |
JPS6125435Y2 (ko) | ||
KR200230438Y1 (ko) | 악세사리 겸용 의복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