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768Y1 -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768Y1
KR200355768Y1 KR20-2004-0011616U KR20040011616U KR200355768Y1 KR 200355768 Y1 KR200355768 Y1 KR 200355768Y1 KR 20040011616 U KR20040011616 U KR 20040011616U KR 200355768 Y1 KR200355768 Y1 KR 200355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arm
screw
rota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고신
Original Assignee
우방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방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방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1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7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7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8Drums or other coil-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16Unwinding or uncoiling
    • B21C47/18Unwinding or uncoiling from reel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에 브라켓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 이 스크류와 평행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상·하브라켓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스크류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가 정·역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바를 타고 승·하강하는 블록과; 상기 상·하브라켓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블록이 승·하강할 때 이 블록과 접촉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블록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 상태로 위치되어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을 받침지지하는 암; 및 상기 블록이 승강할때 수직 상태로 위치한 암을 회전시켜 수평 상태로 위치시키며, 상기 블록이 하강할때 수평 상태로 위치한 암을 회전시켜 수직 상태로 위치시키는 회전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이다.

Description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A free end support device of an un-coiler unit pivot}
본 고안은 언코일러장치(un-coiler uni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arm)을 이용하여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을 받침 지지함으로써, 코일뭉치의 자중에 의해 회전축이 아래로 처지거나, 코일뭉치를 풀어줄 때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회전축이 코일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언코일러장치는 구동수단이 구비된 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구동수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를 감싸고 외측으로 확장 및 복원 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뭉치가 끼워지는 드럼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언코일러장치는 드럼에 코일뭉치를 끼워주면, 드럼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코일의 내측부를 가압하여 클램핑한 후 코일을 당겨주면,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코일을 풀어준다.
그러나, 언코일러장치는 드럼에 끼워지는 코일뭉치의 자중에 의해 회전축이 아래로 처짐으로써, 그만큼 오차가 발생하여 사용상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의 일예로 예컨대, 코일이 사용되는 묵적물은 회전축이 처지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이 풀어지는 위치에 세팅되는데, 상기와 같이 회전축이 처짐으로 인하여 목적물에 풀어지는 코일이 처진만큼 오차가 발생하여 목적물의 정확한 위치에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목적물에 공급되는 코일을 수작업으로 바르게 위치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코일을 당겨주는 인장력에 의해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기울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암(arm)을 이용하여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을 받침 지지함으로써, 코일의 자중에 의해 회전축이 아래로 처지거나, 코일을 풀어줄때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코일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지지장치의 특징은, 상·하부에 브라켓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 이 스크류와 평행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상·하브라켓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스크류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가 정·역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바를 타고 승·하강하는 블록과; 상기 상·하브라켓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블록이 승·하강할 때 이 블록과 접촉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와; 상기 블록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 상태로 위치되어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을 받침지지하는 암; 및 상기 블록이 승강할때 수직 상태로 위치한 암을 회전시켜 수평 상태로 위치시키며, 상기 블록이 하강할때 수평 상태로 위치한 암을 회전시켜 수직 상태로 위치시키는 회전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의 평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암이 수직상태로 위치한 것을 나타낸도면.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암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도면.
도 6c는 본 고안에 따른 암이 언코일러장치의 회전축을 받침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언코일러장치
2 : 회전축
10 :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20 : 프레임
30 : 모터
40 : 스크류
50 : 가이드바
60 : 블록
70 : 리미트스위치
80 : 암
90 : 회전수단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20)과;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체결되어, 이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스크류(40)와; 상기 스크류(40)의 일측에 이 스크류(40)와 평행하도록 상기 프레임(20)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바(50)와; 상기 스크류(40)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바(50)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40)가 정·역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바(50)를 타고 승·하강하는 블록(60)과;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60)이 승·하강할 때 이 블록(60)과 접촉하여 모터(3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70)와; 상기 블록(6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상태로 위치하여 언코일러장치(1) 회전축(2)의 자유단을 받침지지하는 암(80)과; 상기 블록(60)의 승·하강시 상기 암(8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90);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언코일러장치(1)의 일측 임의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30)와 상기 스크류(40) 및 상기 가이드바(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상·하부에 브라켓(21)(23)이 결합된다.
상기 모터(30)는 상부브라켓(21)의 상면에 설치되며, 정·역회전한다.
상기 스크류(40)는 상단부가 모터(30)와 연결되며, 하단부는 하부브라켓(2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한다.
상기 가이드바(50)는 상기 스크류(40)의 일측 임의 위치에 이 스크류(40)와 평행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상·하브라켓(21)(23)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블록(60)은 상기 스크류(40)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바(50)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40)가 모터(30)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바(50)를 타고 승·하강한다.
그리고, 후술할 암(8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을 갖는 결합편(61)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70)는 상기 블록(60)의 상·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브라켓(21)(23) 각각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30)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40)에 의해 상기 블록(60)이 가이드바(50)를 타고 승·하강하여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이 블록(60)과 접촉하여 모터(3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리미트스위치(70)와 접촉하는 블록(60)은 일측부에 터치플레이트(63)가 결합 설치됨이 사용상 바람직하다.
상기 암(80)은 후방부에 상기 블록(60)의 결합편(61)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관통공을 갖는 결합돌기(81)가 형성되며, 전방부는 언코일러장치(1) 회전축(2)의 자유단을 받침 지지할 수 있도록 호 형상의 받침부(8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80)은 수직 상태에서 상기 회전수단(90)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하게되면 자중에 의해 수평 상태로 회전하게된다.
상기 회전수단(90)은 상기 암(80)의 일단부에 곡면 처리되게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91)과, 상기 블록(60)이 승·하강할 때 걸림턱(91)과 면접촉하여 상기 암(80)을 수평 및 수직 상태로 회전시키는 걸림돌기(93) 및 상기 암(80)이 수평 상태로 위치할 때 상기 걸림턱(91)과 접촉하여 암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스톱퍼(95)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턱(91)은 상기 블록(60)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암(80)의 회전축 대향면에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91)은 상기 걸림돌기(93)와 면접촉하여 상기 암(80)을 회전시킴으로써, 완만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턱(91)의 한계(L)는 상기 암(80)을 수평 및 수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걸림돌기(93)와 접촉하는 부분까지를 말한다.
상기 걸림돌기(93)는 상기 걸림턱(91) 일측의 프레임(20)상에 설치되어 상기 블록(60)이 승강할 때 걸림턱(91)과 접촉하여 상기 암(80)을 일정각도 회전시키고, 상기 블록(60)이 하강할 때 걸림턱(91)과 접촉하여 암(80)을 수직 상태로 회전시킨다.
상기 스톱퍼(95)는 상기 암(80)이 수평 상태로 위치할 때 상기 걸림턱(91)과 접촉하여 암의 수평을 유지시킬수 있도록 상기 블록(60)의 일측 하부에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의 동작을 도 4a, 도 4b,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 본 고안에 따른 암이 수직상태로 위치한 것을 나타낸도면이며,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암이 회전하는 상태를 나타낸도면이고,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암이 언코일러장치의 회전축을 받침 지지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코일뭉치가 언코일러장치(1)의 회전축(2)에 세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터(30)를 구동(정회전)시키면, 이 모터(30)에 의해 스크류(40)가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40)와 체결되고, 가이드바(50)가 관통되게 조립된 블록(60)이 상기 가이드바(50)를 타고 승강한다.
이때, 상기 블록(6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수직상태의 암(80)도 같이 승강하며, 상기 암(80)이 소정 높이 승강하게되면, 이 암(80)의 후방부에 돌출형성된 걸림턱(91)이 걸림돌기(93)와 면접촉하여 수직상태의 암(80)을 일정각도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암(80)은 일정 각도 회전하게되면 자중에 의해 수평 상태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암(80)이 수평상태가 되면 상기 블록(60)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스톱퍼(95)에 상기 걸림턱(91)이 면접촉하여 상기 암(80)의 수평을 유지한다.
계속해서, 상기 블록(60)이 상승하여 상기 암(80)의 받침부가 언코일러장치(1)의 회전축(2)을 받침 지지할 때 상기 블록(60)의 일측면에 결합된 터치플레이트(63)가 상부리미트스위치(70a)와 접촉함으로써, 모터(30)의 구동을 정지시켜 블록(60)의 승강을 멈추게된다.
그런 다음에, 언코일러장치(1)의 회전축(2)에 세팅된 코일뭉치를 풀어준다.
코일을 풀어주는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상기 모터(30)를 구동(역회전)시켜 상기 블록(60)을 하강시키면, 상기 회전축(2)을 받침 지지하던 수평상태의 암(80)도 따라서 하강한다.
그리고, 상기 암(80)이 일정높이 하강하면 상기 걸림턱(91)이 상기 걸림돌기(93)와 면접촉하면서 수평상태의 암(80)을 수직상태로 회전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암(80)이 수직상태로 위치한 후 상기 블록(60)이 소정 높이 하강하면, 상기 블록(60)의 터치플레이트(63)가 하부리미트스위치(70b)와 접촉하여, 모터(30)의 구동을 정지시켜 암(80)의 상태를 원위치시킨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암을 이용하여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을 받침 지지함으로써, 코일뭉치의 자중에 의해 회전축이 아래로 처지거나, 코일을 풀어줄때 발생하는 인장력에 의해 코일을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회전축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코일이 사용하고자하는 목적물에 바르게 위치함으로서 사용자가 별도의 교정작업을 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언코일링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하부에 브라켓을 갖는 프레임;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일측에 이 스크류와 평행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상·하브라켓에 고정설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스크류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바가 관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스크류가 정·역회전할 때 상기 가이드바를 타고 승·하강하는 블록;
    상기 상·하브라켓 각각에 설치되며, 상기 블록이 승·하강할 때 이 블록과 접촉하여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리미트스위치;
    상기 블록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 상태로 위치되어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을 받침지지하는 암;
    상기 블록이 승강할때 수직 상태로 위치한 암을 회전시켜 수평 상태로 위치시키며, 상기 블록이 하강할때 수평 상태로 위치한 암을 회전시켜 수직 상태로 위치시키는 회전수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암의 일단부에 곡면 처리되게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 일측의 프레임 상에 설치되고, 상기 블록이 승·하강할 때 걸림턱과 접촉하여 상기 암을 수평 및 수직 상태로 회전시키는 걸림돌기; 및 상기 암이 수평 상태로 위치할 때 상기 걸림턱과 접촉하여 암의 수평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블록의 일측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스톱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KR20-2004-0011616U 2004-04-27 2004-04-27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KR200355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16U KR200355768Y1 (ko) 2004-04-27 2004-04-27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616U KR200355768Y1 (ko) 2004-04-27 2004-04-27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768Y1 true KR200355768Y1 (ko) 2004-07-08

Family

ID=49347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616U KR200355768Y1 (ko) 2004-04-27 2004-04-27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7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7109A (zh) * 2021-08-31 2021-12-14 安徽东海裕祥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双托举卷料开卷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87109A (zh) * 2021-08-31 2021-12-14 安徽东海裕祥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化双托举卷料开卷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2008B2 (ja) ミシンの糸通し装置及び糸通し装置を備えたミシン
US5984605A (en) Panel lifting apparatus
KR200355768Y1 (ko) 언코일러장치 회전축의 자유단 지지장치
JP2001328797A (ja) 収納用昇降装置
JP2007167919A (ja) 金型取付装置
JP4280985B2 (ja) 車両用シートの着脱補助装置
JP2012214280A (ja) 塔上クレーンの作業域規制装置
JP2012249800A (ja) 昇降装置
JP3455526B2 (ja) ドラム缶吊り具
JP4416181B2 (ja) 架空送電線のねじれ防止ダンパーの取外し機
JP6544794B2 (ja) 昇降式上下二段駐輪装置
CN216446429U (zh) 窗扇安装辅助装置
KR102644693B1 (ko) 포장용 수동 랩핑기
JP6185380B2 (ja) 辷り出し窓の開閉装置
CN219640123U (zh) 一种可调式灯杆
JP2004154185A (ja) テーブル装置における昇降脚の昇降動作の拘束解除操作機構
JPH10241448A (ja) 照明器具用昇降装置
JPH09165200A (ja) コンテナ運搬用車両
JP3859210B2 (ja) 幕板の支持装置
JP2000017834A (ja) 仮設足場用ブラケット
JP2007261730A (ja) ワーク保持装置
JP3907189B2 (ja) 建築物の外壁パネル取付用吊り治具及び取付機構
JP3650755B2 (ja) ロールホルダー
JP2004035161A (ja) 吊り具
JP2002145599A (ja) 吊り秤付きドラムポ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