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825Y1 -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 - Google Patents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825Y1
KR200352825Y1 KR20-2004-0008646U KR20040008646U KR200352825Y1 KR 200352825 Y1 KR200352825 Y1 KR 200352825Y1 KR 20040008646 U KR20040008646 U KR 20040008646U KR 200352825 Y1 KR200352825 Y1 KR 200352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bag
guide groove
tapping
bas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석
Original Assignee
최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석 filed Critical 최현석
Priority to KR20-2004-0008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8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8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5/00Thread-cutting tools; Die-heads
    • B23G5/02Thread-cutting tools; Die-heads without means for adjustment
    • B23G5/06Taps
    • B23G5/064Taps with weakened shank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탭(50)을 구성하는 자루(52)의 상부에 원주를 따라 유도홈(56)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탭(50)에 큰 부하가 걸릴 경우, 자루(52)와 탭핑부(53)의 경계면(54)에서 파단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상기 유도홈(56)에서 파단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재가공과 모재(55) 폐기를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The tap with a groove}
본 고안은 탭의 자루 상부에 유도홈을 가공하여 탭핑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을 유도하여 모재에 잔류된 탭의 일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탭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탭은 모재에 드릴링 작업 후, 상기 드릴링 홀에 탭을 돌려 넣음으로써 모재에 암나사를 성형시키는 툴로서, 밀링 , 탭핑 머시인 및 드릴링 머시인과 같은 기계 또는 핸들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가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탭이 탭핑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탭이 탭핑하는 중 파단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탭핑부가 제거된 후의 모재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그 구조와 실례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일반적으로 탭(10)은 상부에 밀링의 척이나 핸들의 조오에 장착되며 사각기둥 형상인 홀딩부(11)와 연이어 홀딩부(1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기둥형의 자루(12)가 형성된다. 아울러, 자루(12)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암나사를 성형시키는 수나사 형상의 탭핑부(13)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이 적용된 탭(10)의 경우,
모재(15)에 드릴링 홀을 가공한 후, 상기 홀에 탭(10)을 이용하여 암나사를 형성할 때 탭(10)에 큰 부하가 걸림으로써, 탭핑부(13)와 자루(12)의 경계면(14)에서 파단이 발생하게 된다.
그 이유는 재질 자체가 취성이 큰 초경합금인데다가, 자루(12)의 단면 지름보다 탭핑부(13)의 외경이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자루(12)와 탭핑부(13)의 경계면(14)에서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응력 집중 현상은 당해 종사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현상이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경우, 모재(15)에 박힌 탭핑부(13)를 제거하기 위해 전용기를 이용하여 녹여서 제거하게 되는데, 상기 전용기는 고가여서 일반 중소 기업에서는 비용 부담 때문에 보유하기가 어렵다. 아울러, 고가의 전용기를 구입해서 탭핑부(13)를 제거하더라도 모재(15)에 가공된 탭핑홀의 나사골에는 칩(17)이 잔류하게 되어 나사 체결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재(15)의 타 위치에 탭홀을 가공하기도 하지만, 이 경우 모재(15)가 재 기능을 하기가 어렵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작업으로 인해서 작업이 지연되어 비효율적이며, 재가공이 불가능할 때에는 작업 중이던 모재(15)를 폐기하게 되어 자재의 낭비를 초래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탭의 자루 상부에 원주를 따라 유도홈을 가공하여 탭에 큰 부하가 걸릴 경우, 자루와 탭핑부의 경계면에서 파단이 발생하기 전에 상기 유도홈에서 먼저 파단 현상을 유발시켜, 길게 남아있는 자루를 탭핑 가공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용이하게 탭핑부를 모재로부터 이탈시켜, 모재에 탭핑을 재가공할 필요가 없고, 모재의 폐기를 방지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탭이 탭핑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탭이 탭핑하는 중 파단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탭핑부가 제거된 후의 모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의 파손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A,B,C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의 또 다른 유도홈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50: 탭 51: 홀딩부
52: 자루 53: 탭핑부
54: 경계면 55: 모재
56: 유도홈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의 파손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 A,B,C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의 또 다른 유도홈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인 탭(50)은 상부에 밀링의 척이나 핸들의 조오와 같은 도구에 장착할 수 있도록 사각기둥 형상인 홀딩부(51)와, 연이어 홀딩부(5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원기둥형의 자루(52)가 형성되고, 상기 자루(52)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암나사를 성형시키는 수나사 형상의 탭핑부(53)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탭(50)을 이용하여 탭핑 가공 시, 과부하에 의하여 탭(50)이 파단되어 탭(50)의 탭핑부(53)가 모재(55)에 잔류되더라도 용이하게 상기 탭핑부(53)를 제거할 수 있는 탭(50)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기 자루(52)에 탭핑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과부하에 의한 파단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도홈(56)이 원주를 따라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유도홈(56)은 파단 후, 탭핑부(53)에 일체로 연결되는 자루(52)가 길수록 이탈이 용이하기 때문에 자루(52)의 상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도홈(56)은 도면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성형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또 다른 예와 같이 삼각형, 사각형, 예각형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모재(55)에 드릴링 작업을 한 후, 탭핑 작업을 할 시, 회전 동력이 홀딩부(51)를 이어 유도홈(56) 아울러 자루(52)와 탭핑부(53)로 전달되게 된다.
이 때, 탭(50)에 큰 부하가 걸릴 경우, 종래 처럼 자루(52)와 탭핑부(53)의 경계면(54)에서 파단되지 않고, 자루(52)에 별도로 형성한 상기 유도홈(56)에서 파단된다.
그 이유는 상기 유도홈(56)의 단면적이 경계면(54)의 단면적보다 적어서 응력 집중이 더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계면(54)에서 파단되는 응력보다 적은 응력에서 상기 유도홈(56)의 파단 현상이 유발됨으로써 경계면(54)에서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도홈(56)에서 파단된 탭(50)은 경계면(54)부터 파단된 자루(52)까지 상당한 길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자루(52)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탭핑부(53)를 모재(55)의 손상없이 모재(55)로부터 이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탭의 홀딩부 아래에 연이어지는 자루의 상부에 유도홈을 가공함으로써 탭에 큰 부하가 걸릴 시, 경계면에서의 파단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유도홈에서 파괴됨으로써 길게 잔류되어 있는 자루를 돌려 손쉽게 탭핑부를 모재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재가공과 모재를 폐기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단에 도구에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홀딩부(51)와,
    상기 홀딩부(51)의 하방에 형성되는 자루(52)와,
    상기 자루(52)의 하방에 형성되는 탭핑부(53)로 구성되는 탭(50)에 있어서,
    상기 자루(52) 상부에 원주를 따라 과부하 시, 파단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홈(5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
    .
KR20-2004-0008646U 2004-03-29 2004-03-29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 KR2003528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646U KR200352825Y1 (ko) 2004-03-29 2004-03-29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646U KR200352825Y1 (ko) 2004-03-29 2004-03-29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825Y1 true KR200352825Y1 (ko) 2004-06-07

Family

ID=4943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646U KR200352825Y1 (ko) 2004-03-29 2004-03-29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8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58A1 (ko) * 2015-08-31 2017-03-09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158A1 (ko) * 2015-08-31 2017-03-09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KR20170026911A (ko) * 2015-08-31 2017-03-09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KR101717084B1 (ko) * 2015-08-31 2017-03-20 주식회사 제노스 치아 임플란트 식립용 드릴링 드라이버
CN108135674A (zh) * 2015-08-31 2018-06-08 基诺斯有限公司 牙齿植入用打钻器
EP3345568A4 (en) * 2015-08-31 2018-09-12 Genoss Co., Ltd. Drilling driver for placing dental implant
CN108135674B (zh) * 2015-08-31 2020-08-18 基诺斯有限公司 牙齿植入用打钻器
US10779841B2 (en) 2015-08-31 2020-09-22 Genoss Co., Ltd. Drilling driver for placing dental impl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90546C (en) Tool for removing screws with damaged heads
CA2154583C (en) Tool for extracting broken bolts and the like
RU2420371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раничения подачи режущего инструмента к обрабатываемой детали в процессе сверления
JP2016112634A (ja) 切削工具及びこの切削工具を備えた切削装置
HUP0303119A2 (hu) Hegyesvéső
CN105835002A (zh) 一种螺栓断裂取出装置
KR200352825Y1 (ko) 파단 유도홈이 형성된 탭
US20180231045A1 (en) Method for Setting a Screw
KR101044046B1 (ko) 회전공구용 공구홀더
KR102230524B1 (ko) 드릴천공 중앙잔재물 배출이 용이한 다이아몬드세그먼트를 구비하는 코어드릴
JP2006247790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SU1745129A3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добычной машины
CN104801778B (zh) 一种夹头固定弹性调径式倒角器
US20020034413A1 (en) Connecting member
KR100956248B1 (ko) 절삭공구의 구조
KR20130044541A (ko) 절삭 공구
CN110695923B (zh) 一种用于取出断裂螺栓的装置
JP3230073U (ja) コイルスレッドインサート用工具
CN210817625U (zh) 一种耐用式pcb铣刀
CN205496718U (zh) 折断后可快速取出的丝锥
KR200247280Y1 (ko) 앵커볼트 고정구
JPH06210509A (ja) 回転切削工具
JPH0825142A (ja) ねじタップ
CN104801771B (zh) 一种夹头限位锁紧式可调位倒角器
KR20000072416A (ko) 일정 부분이 파괴되는 암나사 절삭가공용 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