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377Y1 - 간이 화장실 - Google Patents

간이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377Y1
KR200352377Y1 KR20-2004-0008012U KR20040008012U KR200352377Y1 KR 200352377 Y1 KR200352377 Y1 KR 200352377Y1 KR 20040008012 U KR20040008012 U KR 20040008012U KR 200352377 Y1 KR200352377 Y1 KR 200352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divided
fixing
main body
simpl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0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주)효성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성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효성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04-00080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3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3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6Public W.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단일의 부스가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分割) 형성되어 부스의 제작은 물론이거니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특히 운반시에 더욱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간이 화장실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이 분할 형성되는 부스 어셈블리와, 이 부스 어셈블리의 분할된 영역들을 물리적인 고정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스 어셈블리는 분할된 부스 영역들의 적층 결합에 의해 단일의 부스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분할된 부스 영역들의 결합방향과 동일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간이 화장실{easy frame toilet}
본 고안은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의 부스가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부스의 제작은 물론이거니와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특히 운반시에 더욱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간이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이 화장실은 각종 야외 행사장이나 공원, 운동장 등에 설치되어 용변이나 세면 등을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부스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화장실 부스는 오수가 저장되는 오수저장부와, 이 오수저장부의 상측에 위치하며 용변이나 세면 등을 위해 외부와 차단이 가능한 상태의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와, 이 본체의 상측면에서 햇볕이나 빗물 등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루프부로 대분되며, 이들 각 부분들은 예를들면, 가벼우면서 내구성 및 내화학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몰드형성과 같은 방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단일의 부스 영역을 제공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간이 화장실은 성형성 및 내구성 등을 감안하여 주로 1인용의 소형 크기로 제작되었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각종 편의장치들이 구비되고 여러 사람이 동시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공간이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되어 2인 이상이 구획된 공간에서 동시에 사용이 가능한 대형의 크기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간이 화장실은 단일의 부스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오수저장부와 본체부 그리고 루프부 등이 일체로 성형된 구조이므로 이와 같은 일체형 부스를 예를들면, 몰드성형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하면 만족할 만한 성형성 및 내구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그 구조상 부분적인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면 부스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부스의 유지보수 등에 과다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2인용 이상의 대형 부스의 경우 상기한 문제점들에 의해 제작 및 유지보수 등이 더욱 어렵게 되며, 간이 화장실의 특성상 잦은 운반 및 재설치 등이 이루어지므로 대형의 부스를 일체로 제작하더라도 이에 따른 운반 및 설치 등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스 영역이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분할 형성되어 부스의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이거니와 설치 및 운반시에 더욱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간이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이 분할 형성되는 부스 어셈블리와, 이 부스 어셈블리의 분할된 영역들을 물리적인 고정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스 어셈블리는 분할된 부스 영역들의 적층 결합에 의해 단일의 부스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분할된 부스 영역들의 결합방향과 동일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셋팅되는 간이 화장실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전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전체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결합정면도.
도 4는 도 1의 본체부의 실내공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5는 도 1의 고정부재에 의해 오수저장부와 본체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1의 고정부재에 의해 본체부와 루프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단면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체결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단면도.
도 8는 도 6의 다른 체결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는 부스 어셈블리(2)와, 이 부스 어셈블리(2)의 분할된 영역들을 물리적인 고정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4)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스 어셈블리(2)가 도 1에서와 같이 3개의 영역 즉, 오수를 저장하는 오수저장부(B1)와, 이 오수저장부(B1)의 상측에 위치하며 외부와 차단이 가능한 실내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B2) 그리고, 이 본체부(B2)의 상측에 위치하는 루프부(B3)가 분할 형성되어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분리 가능하게 적층 결합되는 구조를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먼저, 상기와 같이 분할 형성되는 부스 어셈블리(2)의 각부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오수저장부(B1)는 일정량의 오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와 같은 박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재질은 내구성은 물론이거니와 내화학성 등이 우수한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고 몰드 성형으로 제작된다.
상기 오수저장부(B1)는 후술하는 본체부(B2)가 설치된 후 상측으로부터 일정한 하중이나 압력이 가해지거나 외부의 급격한 온도변화 등에도 표면의 처짐이나 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내구성 향상을 위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저장부(B1)의 성형시 내측 또는 외측 표면에 예를들면, 보강리브 등이 일체로 성형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B2)는 상기 오수저장부(B1)의 상측에 설치되어 용변 처리 등을 위한 실내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수저장부(B1)의 테두리에 대응하여 도 1에서와 같은 측벽판넬(6a)들이 설치되어 도 4에서와 같은 실내 공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도면에서와 같은 격벽판넬(6b)들에 의해 4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 형성된 4인용 구조를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 구획된 공간에는 각각 도어(6c)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획된 4개의 공간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용변을 위한 변기나 세면기 등이 설치되며, 이 각각의 공간에서 처리된 오수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오수저장부(B1)측에 뚫려진 4개의 홀(8)들을 통해 배수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측벽판넬(6a)이나 격벽판넬(6b)은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 또는 끼움 결합 등에 의해 도 1에서와 같은 구조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 판넬(6a,6b)들은 예를들면, 겨울철이나 여름철 외부 온도에 대한 단열 효과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한 이중 단열판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B2)의 실내 공간부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실내 조명을 위한 조명장치와 내부의 불쾌한 냄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환풍기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B2)가 상기 오수저장부(B1)의 상측면에 설치된 후 지면에서 상기 본체부(B2) 내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은 계단(10)이 설치된다.
상기 루프부(B3)는 상기 본체부(B2)의 상측면에서 이 본체부(B2)의 분할된 공간부들의 상측 개구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3개의 루프 플레이트(12)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루프플레이트(12)들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유리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B2)에 설치될 때에 이 본체부(B2)의 분할된 공간들의 개구측에서 일정한 간격을 갖으며 이격 설치되어 원활하게 환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루프플레이트(12)들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들로 이루어지면 햇볕 등이 외부에서 상기 본체부(B2)의 분할된 실내 공간들로 투과됨은 물론이거니와 실내 공간들에서도 상기 루프플레이트(12)를 통하여 외부를 관망할 수 있으므로 실내 분위기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할된 오수저장부(B1)와 본체부(B2) 그리고 루프부(B3)들은 고정부재(4)에 의해 도 2에서와 같이 적층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4)가 나사의 조임력에 의해 분할된 영역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체결구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상기 고정부재(4)에 의해 상기 오수저장부(B1)와 본체부(B2)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오수저장부(B1) 측에는 너트(14a)가 위치하고 이 너트(14a)에 대응하여 상기 본체부(B2)측에서 볼트(14b)가 체결되면서 상기 오수저장부(B1)와 본체부(B2)의 결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체결 조임력이 작용하면서 고정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4)는 상기 오수저장부(B1)와 본체부의(B2) 테두리 영역에 도 2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이격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볼트(14b)와 너트(14a)의 체결에 의해 상기 오수저장부(B1)와 본체부(B2)를 고정할 때에는 이들의 결합 영역에서 더욱 향상된 지지력을 확보한 상태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오수저장부(B1)와 본체부(B2)의 테두리 영역에 대응하여 도면에서와 같은 금속 재질의 프레임틀(F)을 설치하여 이들 프레임틀(F)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14b)와 너트(14b)가 체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B2)와 루프부(B3)를 고정할 때에도 상기 오수저장부(B1)와 본체부(B2)를 고정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예를들면, 도 6에서와 같은 체결구 즉, 볼트(14b)와 너트(14a)를 상기 본체부(B2)와 루프부(B3)의 셋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체결 조임력이 작용하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체결하면 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본체부(B2)와 루프부(B3)의 결합측 테두리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고정부재(4)가 이격 설치되어 균일한 체결력을 얻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볼트(14b)와 너트(14a)의 체결에 의해 상기 본체부(B2)와 루프부(B3)를 고정할 때에도 이들의 체결 영역에서 더욱 향상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B2)와 루프부(B3)의 테두리 영역에 각각 금속 재질의 프레임틀(F)을 설치하여 이 프레임틀(F)을 사이에 두고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볼트(14b)와 너트(14a)가 체결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4) 즉, 볼트(14b) 및 너트(14a)와 같은 체결구가 상기 분할된 부스 영역(B1,B2,B3)들의 셋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셋팅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오수저장부(B1)와 본체부(B2) 그리고 루프부(B3)의 체결 영역에서 상기 볼트(14b)와 너트(14a)가 도면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체결되어 상기 분할된 영역(B1,B2,B3)들의 결합방향에 대응하여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체결력이 작용하도록 셋팅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본 고안의 목적을 만족하는 체결 구조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가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4)가 볼트(14b) 및 너트(14a)와 같은 체결구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나사 결합에 의한 조임력에 의해 분할된 부스 영역(B1,B2,B3)들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 또한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와 같은 볼트나 너트와 같은 체결구 이외에도 핀이나 후크 등을 이용하여 이미 잘 알려진 방법으로 끼움 결합하여 이들의 체결에 의해 분할된 영역(B1,B2,B3)들을 고정하는 체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부스 어셈블리(2)가 도 1에서와 같이 3개의 영역 즉, 오수저장부(B1)와 본체부(B2) 그리고 루프부(B3)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적층 고정되면서 단일이 부스 영역을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이 화장실은, 부스 영역이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 형성되고 고정부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적층 고정되면서 단일의 부스 영역을 제공하는 구조이므로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이거니와 운반 및 설치시에 더욱 향상된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와 같이 부스 영역이 분할 형성되면 자체 내구성의 향상은 물론이거니와 부분적인 유지보수가 가능하여 이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 및 너트 또는 핀이나 후크 등과 같은 체결구를 이용하여 이들의 체결 조임력으로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간단한 조임 또는 끼움 동작에 의해 부스를 용이하게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다.

Claims (4)

  1. 2개 또는 그 이상의 영역이 분할 형성되는 부스 어셈블리와, 이 부스 어셈블리의 분할된 영역들을 물리적인 고정력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스 어셈블리는 분할된 부스 영역들의 적층 결합에 의해 단일의 부스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분할된 부스 영역들의 결합방향과 동일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셋팅되는 간이 화장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볼트 및 너트, 핀, 후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된 부스 영역의 결합면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체결되는 간이 화장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 어셈블리는 루프 영역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되는 간이 화장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스 어셈블리는 실내 영역이 2인용 또는 그 이상의 공간을 갖도록 구획 형성되는 간이 화장실.
KR20-2004-0008012U 2004-03-23 2004-03-23 간이 화장실 KR200352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012U KR200352377Y1 (ko) 2004-03-23 2004-03-23 간이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012U KR200352377Y1 (ko) 2004-03-23 2004-03-23 간이 화장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377Y1 true KR200352377Y1 (ko) 2004-06-05

Family

ID=49346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012U KR200352377Y1 (ko) 2004-03-23 2004-03-23 간이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3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3490A1 (en) Dome type structure
CN102444206B (zh) 可交叠组合之预制式模块建筑
US20060260214A1 (en) Portable enclosure in particular for sanitary purposes
JP3664416B2 (ja) 建物の柵構造
US200401542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tiles to curtain wall mullions
US20060265978A1 (en) Window kit
KR200352377Y1 (ko) 간이 화장실
CN202202580U (zh) 可交叠组合之预制式模块建筑
JP4368734B2 (ja) 組立ハウス
KR200357790Y1 (ko) 통풍이 가능한 개집
KR20100011605U (ko) 조립식 경량칸막이
JPS5838815Y2 (ja) 建築物又は構築物の面構造
JPH0716398Y2 (ja) 簡易トイレ。
JPH0512441Y2 (ko)
JP2531774Y2 (ja) 床パネル
KR200369137Y1 (ko) 조립식 간이 화장실의 환풍구조
JPH076249Y2 (ja) ベランダ構造
JPH043077Y2 (ko)
KR950006768Y1 (ko)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JPH11210207A (ja) 床化粧材の敷設構造
TWI606165B (zh) 一種組合屋的建構流程
JPS6338862Y2 (ko)
JP2006283489A (ja) 仮設住宅
JP2591581B2 (ja) 蔵型収納付き建物
JPS61256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