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2120Y1 -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 - Google Patents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2120Y1
KR200352120Y1 KR20-2004-0005207U KR20040005207U KR200352120Y1 KR 200352120 Y1 KR200352120 Y1 KR 200352120Y1 KR 20040005207 U KR20040005207 U KR 20040005207U KR 200352120 Y1 KR200352120 Y1 KR 200352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alking
main body
auxiliary
walk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2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찬열
Original Assignee
곽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찬열 filed Critical 곽찬열
Priority to KR20-2004-00052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21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2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2120Y1/ko
Priority to JP2004290557A priority patent/JP4014050B2/ja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시에 널리 사용되는 강관의 형태를 개선하여 보행과 운반이 편리한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200)와; 상기 본체(100) 상면에 형성된 보행부(300)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ㄱ'자 형상의 보조구(410)를 상기 보행부(300) 양측면에 대향되도록 부착하여 형성시킨 보조보행부(400)와; 상기 보행부(300) 상면에 다수개 형성된 고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이동이 편하고 안전하며, 결합대상물과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이 편리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steel pipe setting walking supporter}
본 고안은 건축이나 토목공사시에 널리 사용되는 강관의 형태를 개선하여 보행과 운반이 편리한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관이라 함은 강철로 형성되어, 원통형, 사각형, H형 등 단면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건축재료를 의미하며, 각종 결합대상물인 벽체, 띠장, 파일, 버팀재 등에 결합된다.
상기 강관은 특히 지하옹벽이나 굴착벽의 붕괴를 막기 위한 가시설 가설시 싸이드파일, 띠장, 포스트파일, 버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관을 이용한 가시설은, 옹벽이나 굴착벽을 따라 세로로 싸이드파일을 박고 싸이드파일 사이에 토류판이나 토류벽을 완성한 벽체에 수평지지력을 보완하기 위해 가로로 띠장을 설치하고, 벽체에 결합된 띠장을 상호 연결하여 굴착공간상에 일정 간격으로 가로, 세로로 강관을 설치하고 이들을 연결시켜 버팀재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종래의 강관이 버팀재 등으로 사용된 경우에는, 공사공간상에 가로, 세로로 복잡하게 얽혀 있으면서 벽체를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작업자는 자유자재로 공사공간상을 이동하여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강관은 작업자가 보행하기에는 보행면적이 좁게 형성되어 이동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공구등을 들고 이동할 경우에는 추락할 염려가 있어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다.
특히 상기 강관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작업자는 거의 보행이 불가능하게 되어 원통형상의 강관은 벽체 붕괴를 막기 위한 가시설 가설시 가로로 형성된 버팀재로서는 전혀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강관은 단순히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단면이 원이나 사각, H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형태와 크기가 다양한 공사공간상에서는 강관 상호간을 서로 연결하여 길게 이어서 사용할 필요가 있게 되는데, 종래에는 강관의 양단부를 철근으로 연결시키거나 용접을 하여 사용하였다.
이는 특히 연결부위가 하중에 의해 견뎌내지 못하여 구조물 자체가 붕괴될 위험이 있으며, 작업자가 상기 연결부위를 작업자가 일일이 연결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또한 분리작업시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비생산적,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강관은 그 운반시 철근 등으로 작업자가 일일이 두세군데를 묶어 크레인 등으로 운반하거나, 작업자가 협력하여 운반을 하게 되는데, 이 또한 작업자가 운반시키고자 하는 강관에 철근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철근이 미끄러져 빠지는 경우에는 상당히 위험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강관에 보조보행부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이동시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고, 플랜지부를 설치하여 결합대상물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고리부를 설치하여 운반이 편리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 종래 기술에 따른 강관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의 측면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의 사시도.
도 4 - 본 고안에 따른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의 적용예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강관 100 : 본체
200 : 플랜지부 300 : 보행부
400 : 보조보행부 410 : 보조구
500 : 고리부 600 : 난간대
610 : 손잡이대 611 : 결합공
620 : 회동핀 630 : 받침구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된 보행부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ㄱ'자 형상의 보조구를 상기 보행부 양측면에 대향되도록 부착하여 형성시킨 보조보행부와; 상기 보행부 상면에 다수개 형성된 고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은, 측면에 상하로 접혀지는 난간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난간대는, 상기 보조보행부 측면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측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된 손잡이대와; 상기 손잡이대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에 끼워져 상기 보조보행부 측면에 고정되게 형성된 회동핀과; 상기 손잡이대의 타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보행부 측면에 고정되게 형성된 받침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이동이 편하고 안전하며, 결합대상물과의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운반이 편리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강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의 적용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은 본체(100), 플랜지부(200), 보행부(300), 보조보행부(400), 고리부(5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기존의 강관의 재질, 형상과 동일하다. 즉 원통형상이나사각빔형상, H빔형상등으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는 비어 있는 형태이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원통형상의 강관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플랜지부(2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플랜지부(200)는 상기 본체(100)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폭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어 단부를 따라 나사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부(200)는 인접한 강관과의 연결시,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인접 강관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200)와 나사결합공을 맞추어 나사결합시키거나, 사용자가 편리한데로 상기 플랜지부(200)를 클립 등에 끼워 상기 클립을 고정시키는 방법 등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나사나 클립은 상기 플랜지부(200) 단부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게 하여, 강관과 강관, 강관과 다른 결합대상물간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보행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된 것으로, 공사현장에 설치된 강관에 있어서, 작업자가 이동시 발을 딛는 부분을 말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보행부(40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보조보행부(40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행부(300)를 다소 넓혀 작업자가 안전하고 편안히 답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본체(100)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보행부(300)가 곡면으로 형성되어 보행하기에 상당히 위험하므로 상기 보조보행부(400)가 보행을 보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보행부(40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구(410)를 상기 보행부(300) 양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대향되도록 부착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행부(300)의 너비가 다소 연장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조구(410)는 철판이나 앵글 등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와 용접되어 결합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리부(500) 상기 보행부(300) 상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부(500)는 철근을 'U'자형으로 구부려 형성시켜, 단부를 상기 보행부(300)에 용접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고리부(500)는 강관의 운반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상기 고리부(500)에 크레인 등을 걸고 원하는 장소에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은, 공사공간상에 설치되어 있을 때,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다른 장소로의 더욱 안전한 이동을 위해 측면에 상하로 접혀지는 난간대(600)가 더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난간대(600)는 손잡이대(610), 회동핀(620), 받침구(63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대(610)는, 판상이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단부에 결합공(6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대(610)는 작업자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보조보행부(400) 측면에 나란히 눕혀 놓게 되며,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세워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대(610)는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보행부(400) 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다양한 갯수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공(611)은 상하 관통되는 통공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611)은 후술할 회동핀(620)이 결합되는 부분이며, 타측에 형성된 결합공(611)은 밧줄등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동핀(620)은, 상기 손잡이대(610)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611)에 끼워져 상기 보조보행부(400) 측면에 고정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핀(62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손잡이대(610)가 상하로 회동되게 된다.
상기 받침구(630)는, 상기 손잡이대(610)의 타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보행부(400) 측면에 고정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구(630)는 'ㄴ'자 형상이나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대(61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보조보행부(400) 측면에 나란히 눕혀 놓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손잡이대(610)가 하측으로 무단히 기울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은, 상기 고리부(500)를 통해 운반이 편리하며,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200)를 인접한 강관이나 다른 결합대상물에 결합하여 연결시키므로서, 건축공사나 토목공사시에 가시설의 가설시에 버팀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보행부(300)와 상기 보조보행부(400)로 안전하게 답지하여 원하는 장소에 쉽고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높은 위치에 상기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이 설치된 경우에는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더 도모하기 위하여, 상기 난간대(60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난간대(600)를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난간대(6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받침구(630)에 걸려서 상기 보조보행부(400) 측면에 나란히 눕혀져 있는 상기 손잡이대(610)를 상기 회동핀(620)을 중심으로 세우고, 상기 손잡이대(610) 타측에 형성된 결합공(611)과 인접된 손잡이대(610)에 형성된 결합공(611)에 밧줄 등을 연결하여 상기 손잡이대(610)가 세워진 상태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밧줄은 고정벽체 등에 소정 높이로 묶여져 있게 되며, 작업자가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손잡이대(610)나 밧줄을 잡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상기 고리부를 통해 운반이 편리하며,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인접한 강관이나 다른 결합대상물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건축공사나 토목공사시에 가시설의 버팀재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보행부와 상기 보조보행부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본체 상면으로 안전하게 답지하여 원하는 장소에 쉽고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난간대에 의해 작업자는 더욱 더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능률이 개선시키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잇다.

Claims (3)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양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200)와;
    상기 본체(100) 상면에 형성된 보행부(300)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ㄱ'자 형상의 보조구(410)를 상기 보행부(300) 양측면에 대향되도록 부착하여 형성시킨 보조보행부(400)와;
    상기 보행부(300) 상면에 다수개 형성된 고리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은,
    측면에 상하로 접혀지는 난간대(60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대(600)는,
    상기 보조보행부(400) 측면에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측단부에 결합공(611)이 형성된 손잡이대(610)와;
    상기 손잡이대(610)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611)에 끼워져 상기 보조보행부(400) 측면에 고정되게 형성된 회동핀(620)과;
    상기 손잡이대의 타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보조보행부 측면에 고정되게 형성된 받침구(6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
KR20-2004-0005207U 2004-02-23 2004-02-27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 KR200352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207U KR200352120Y1 (ko) 2004-02-27 2004-02-27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
JP2004290557A JP4014050B2 (ja) 2004-02-23 2004-10-01 鋼管仮施設工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207U KR200352120Y1 (ko) 2004-02-27 2004-02-27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2120Y1 true KR200352120Y1 (ko) 2004-06-04

Family

ID=4934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207U KR200352120Y1 (ko) 2004-02-23 2004-02-27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21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4944C (en) Bridge overhang bracket
JP5901873B2 (ja) 法面用仮設足場の設置方法
KR100646178B1 (ko) 강관 가시설 공법
KR200352120Y1 (ko) 보행부가 설치된 강관
US5301918A (en) Form assembly for construction of concrete culverts
EP1270815A1 (en) Method of constructing structures useful as catwalks and building scaffolds on slopes, and catwalk and building scaffold constructed thereby
US5492197A (en) Frame parts for temporary ladder
KR200429240Y1 (ko)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한 보강재
KR100838317B1 (ko) 타워크레인의 타워고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03568A (ko) 거치형 띠장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신속 관로 시공 방법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KR102444870B1 (ko) 고소작업용 합벽지지대 설치장치
JP4014050B2 (ja) 鋼管仮施設工法
JP3841499B2 (ja) 斜面作業用足場及び斜面作業用足場の架設方法
CN211036969U (zh) 钻孔灌注桩钢筋笼导向装置
CN106836242A (zh) 深基坑锚索张拉装配式操作平台
JP3862151B2 (ja) 落下防止用ロープの張設用支柱
KR20130004798A (ko) 비개착 지하구조물의 시공에 적용되는 벽체 트렌치 토압 지지 방법
KR101003039B1 (ko) 인양수단을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사각강관 버팀보
KR200294830Y1 (ko) 거푸집용 비계의 지지구조
JP3547505B2 (ja) 山留め補強材
JP2764697B2 (ja) 管路布設におけるケーブル保護管の搬入装置
CN215948934U (zh) 一种施工升降机标准节承重支撑架装置
JP2018003349A (ja) 吊り込み式の足場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工事用桟橋の架設方法
CN214653051U (zh) 一种人工挖孔桩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