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1967Y1 - 전화기송신음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송신음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1967Y1
KR200351967Y1 KR2019980025543U KR19980025543U KR200351967Y1 KR 200351967 Y1 KR200351967 Y1 KR 200351967Y1 KR 2019980025543 U KR2019980025543 U KR 2019980025543U KR 19980025543 U KR19980025543 U KR 19980025543U KR 200351967 Y1 KR200351967 Y1 KR 200351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volume control
control signal
amplifi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2539U (ko
Inventor
홍성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80025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1967Y1/ko
Publication of KR200000125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5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1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1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특수한 상황에서 통화자가 작은 목소리로 통화를 하는 경우나 노인이나 환자 등 목소리의 세기가 작게 나오는 사람이 통화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상대방에게 불편함이 없이 통화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 송신 음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은,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 스위치(10); 상기 음량조절 스위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의 음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20);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값을 저장하는 저장장치(30);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되는 음량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증폭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화기 송신음량 조절장치
본 고안은 전화기 송신 음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말하자면 특수한 상황에서 통화자가 작은 목소리로 통화를 하는 경우나 노인이나 환자 등 목소리의 세기가 작게 나오는 사람이 통화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상대방에게 불편함이 없이 통화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 송신 음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는 송신하는데에 있어서, 송신 음량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목소리가 작은 사람이나 또는 노약자나 환자 등 목소리가 크지 않은 사람 등과 통화할 때에 수신자는 그 소리가 작아서 잘 알아듣기 힘든 경우가 있다.
그리고, 야간이나 회의 도중과 같이 주위 사람이 듣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작은 목소리로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상대방이 알아듣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종래에는 수신자가 수화기의 리시버(receiver) 부분에 증폭기를 설치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상대방으로부터 들려오는 음성을 증폭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수신자가 대화하다가 상대방으로부터 들려오는 소리가 작은 경우, 수신 음량을 조절하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해당 버튼의 동작에 의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송신자의 조절이 아닌 수신자의 조절이므로, 송신자의 음량뿐만 아니라 선로 전송에 따른 왜곡 및 잡음 등도 같이 증폭되고, 또 선로 전송에 따른 음성의 감쇄로 인하여 수신 음량은 증대되더라도 전달 상태는 여전히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수한 상황에서 통화자가 작은 목소리로 통화를 하는 경우나 노인이나 환자 등 목소리의 세기가 작게 나오는 사람이 통화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상대방에게 불편함이 없이 통화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 송신 음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송신 음량 조절장치를 적용한 블럭도,
도 2는 도 1에서 증폭부의 상세회로도,
도 3은 도 1에서 제어부의 동작순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정 입력수단; 상기 음량조정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의 음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값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되는 음량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증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화기 송신 음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은 다단으로 직렬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음량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는 연산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송신 음량 조절장치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송신 음량 조절장치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절 스위치(switch, 10);
상기 음량조절 스위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의 음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20);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값을 저장하는 저장장치(30);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되는 음량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증폭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증폭장치(40)의 구성은,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입력되는 음량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는 제1증폭부(41);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1증폭부(4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증폭부(42);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제2증폭부(4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3증폭부(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증폭부(41)의 구성은,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연산증폭기(OP41)와, 상기 제1연산증폭기(OP41)의 입력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상기 제1연산증폭기(OP41)의 출력단자로 연결되는 제1저항(R41A)과, 상기 제1연산증폭기(OP41)의 입력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는 제2저항(R41B)과,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입력되는 음량신호를 상기 제2저항(R42B)의 타측단자 또는 상기 제1연산증폭기(OP41)의 출력단자로 연결하는 제1제어 스위치(SW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증폭부(42)와 제3증폭부(43)의 구성은 상기 제1증폭부(41)의 구성과 동일하며,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음량조절 스위치는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명령을 받아들여 그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20)는 상기 음량조절 스위치(1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의 음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저장장치(30)는 상기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값을 저장하고, 증폭장치(40)는 상기 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송신되는 음량을 증대 또는 감소시킨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어부(2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어부(20)를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 processor)로 구성한 경우, 제어부(20)는 도 3과 같이 프로그램된 순서에 따라 동작한다.
즉, 조절 스위치(1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S10), 그러한 경우, 제어부(20)는 상기 저장장치(30)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음량 제어 신호값을 읽어와서, 상기 조절 스위치(10)로부터 입력된 신호가 음량의 증폭도를 더 높이라는 신호인지 더 낮추라는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
상기 단계(S20)에서 음량 증폭도를 높이라는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음량 증폭도를 높이는 음량 제어신호를 상기 증폭장치(40)로 출력하고(S30), 그 값을 저장장치(30)에 저장시킨다(S50).
그러나, 상기 단계(S20)에서 음량 증폭도를 낮추라는 신호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음량 증폭도를 낮추는 음량 제어신호를 상기 증폭장치(40)로 출력하고(S40), 그 값을 저장장치(30)에 저장시킨다(S50).
상기와 같이 제어신호를 출력한 상태에서 제어부(20)는 다시 사용자의 음량 조절 스위치(10) 조작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로 돌아간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증폭장치(4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증폭장치(40)가 3차의 연산증폭기를 이용한 증폭부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도 제1제어신호(CS1), 제2제어신호(CS2), 제3제어신호(CS3)로 구성되며, 각각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증폭부(41)와, 제2증폭부(42)와, 제3증폭부(43)가 증폭 기능이 제어된다.
즉, 상기 제1제어신호(CS1)가 하이(high)의 신호로 인가되면 제1증폭부(41)의 제1스위치(SW41)가 온(on)되어 입력되는 음량신호를 제1연산증폭기(OP41)의 반전입력단자로 연결시켜 증폭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1제어신호(CS1)가 로우(low)의 신호로 인가되면 제1증폭부(41)의 제1스위치(SW41)가 오프(off)되어 입력되는 음량신호를 제1연산증폭기(OP41)의 출력단자로 연결시켜 증폭 동작없이 전달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으로 제2증폭부(42)와 제3증폭부(43)가 각각 제2음량 제어신호(CS2)와 제3음량 제어신호(CS3)에 따라 증폭 동작이 제어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증폭부(41, 42, 43)의 증폭도는 각각 해당하는 연산증폭기(OP41, OP42, OP43)의 자체 증폭도 뿐만 아니라, 내부의 저항들에 의해서도 조절 가능하다.
음량 증폭 변화율을 넓게 하려면, 증폭부의 수를 늘리는 방법도 있고, 한편으로는 각각의 증폭부의 증폭률을 다르게 설정하여 각각의 증폭부가 구동되고 안되는 것에 따라 증폭률의 변화를 많이 주는 방법이 있다.
즉, 제1증폭부(41)의 증폭률을 2배로 하고, 제2증폭부(42)의 증폭률을 4배로 하고, 제3증폭부(43)의 증폭률을 8배로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이하, 상기의 동작을 실례를 들면서 설명한다.
전화기 사용자가 통화를 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저장장치(30)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음량 제어신호를 읽어 와서, 그에 따라 전송되는 음량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저장되어 있는 값이 보통의 음량에 해당하는 증폭도를 가지고 있는데, 지금의 상황이 사용자가 목소리를 크게 내지 못하는 상황인 경우, 즉, 사용자가 목소리가 작은 사람이라든지, 또는 목이 아픈 환자 및 노약자인 경우, 사용자는 조절 스위치(10)를 이용하여 증폭도를 높이라는 명령을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0)에 그 신호가 인가되어 제어부(20)는 프로그램된 내용에 따라 음량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증폭장치(40)를 제어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음성이 종전에 비하여 증폭되어 전송되고, 상기 사용자와 대화중인 상대방은 사용자의 목소리가 작더라도 정확하게 말을 알아들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상황이 반전되어 목소리를 크게 낼 수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음량조절 스위치(10)를 조절하여 음량의 증폭도를 낮추는 명령을 인가한다.
그러면, 제어부(20)는 그에 따라 프로그램된 순서로 해당하는 음량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증폭장치(40)는 그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음량 증폭률을 낮춘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와 대화중인 상대방은 적절한 목소리로 사용자와 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20)의 구성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량조절 스위치(10)에 따라 그 값이 가감되는 업다운 카운터(up/down counter)로 구성되어도 된다.
즉, 상기 업다운 카운터는 항상 그 값을 가지고 있으며, 음량조절 스위치(10)의 조절에 따라 그 값이 가감되므로, 별도의 저장장치(30)가 없어도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전화기 사용자가 목소리를 크게 낼 수 없는 상황에서도 정확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으며,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유선 전화기나 무선 전화기 및 휴대용 전화기 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된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특수한 상황에서 통화자가 작은 목소리로 통화를 하는 경우나 노인이나 환자 등 목소리의 세기가 작게 나오는 사람이 통화를 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 상대방에게 불편함이 없이 통화 내용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용자가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음량조정 입력수단; 상기 음량조정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만큼의 음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값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되는 음량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는 증폭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화기 송신 음량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폭수단은 다단으로 직렬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량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음량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는 연산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송신 음량 조절장치.
KR2019980025543U 1998-12-18 1998-12-18 전화기송신음량조절장치 KR200351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43U KR200351967Y1 (ko) 1998-12-18 1998-12-18 전화기송신음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543U KR200351967Y1 (ko) 1998-12-18 1998-12-18 전화기송신음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539U KR20000012539U (ko) 2000-07-05
KR200351967Y1 true KR200351967Y1 (ko) 2004-08-26

Family

ID=4934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543U KR200351967Y1 (ko) 1998-12-18 1998-12-18 전화기송신음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196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10B1 (ko) * 2003-03-29 2010-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송신게인 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539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2369A (en) Communication process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H09168046A (ja) 送話器、それを用いた電話機及び電話機の音声入力補償方法
JPH05183621A (ja) 電話機
KR200351967Y1 (ko) 전화기송신음량조절장치
JPH0522382A (ja) 電話機
JPH09181817A (ja) 携帯電話機
JP324168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4134935B2 (ja) インターホン機器
KR100207819B1 (ko) 난청자용 전화기
KR20000056077A (ko) 음성 증폭기의 자동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JPH10290282A (ja) ハンズフリー制御回路
KR200306837Y1 (ko) Wll 단말기의 송화음량 조절장치
JPH0435144A (ja) 電話機
KR1009171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 음량 조절방법
KR200203369Y1 (ko) 수화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전화기
JP3034658U (ja) 電話機の音量調整装置
JPH02250455A (ja) 電話機のスピーカ音量可変方式
KR0131450Y1 (ko)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JPS63272254A (ja) 電話装置
KR200226155Y1 (ko) 휴대 전화기의 수신 음량 자동 조절 제어 장치
JPH06252987A (ja) 音声通信装置
JPH06291815A (ja) 電話装置
JPH0645961A (ja) 無線電話機
KR20050011048A (ko) 음량 조절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JPH07231276A (ja) 携帯用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