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450Y1 -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450Y1
KR0131450Y1 KR2019960007546U KR19960007546U KR0131450Y1 KR 0131450 Y1 KR0131450 Y1 KR 0131450Y1 KR 2019960007546 U KR2019960007546 U KR 2019960007546U KR 19960007546 U KR19960007546 U KR 19960007546U KR 0131450 Y1 KR0131450 Y1 KR 0131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amplifier
signal
microphone
predetermined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7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552U (ko
Inventor
김병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07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450Y1/ko
Publication of KR9700595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5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능시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별도로 시스템내에 내장하고 송신 음성이 라인 이외로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화기능시 편리함을 도모하도록 한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음성 입력을 위한 외부 마이크가 연결되거나 전화기능 전용 내장 마이크가 연결되는 마이크 잭과; 스피커의 음성 송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토글 스위치와; 마이크 잭으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제1증폭기와; 제1증폭기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모뎀에 인가하는 제2증폭기와; 토글 스위치의 동작 유무에 따라 제1증폭기의 출력 음성신호와 접지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3증폭기와; 모뎀에서 얻어지는 수신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4증폭기와; 제3증폭기 및 제4증폭기에서 얻어진 음성신호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코덱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제1도는 종래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내장 마이크 102 : 토글 스위치
103,104 : 제1 및 제2증폭기 105 : 모뎀
106 : 멀티플렉서 109 : 코덱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 피시(PC)의 음성 송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능시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별도로 시스템내에 내장하고 송신 음성의 스피커 송출을 제어토록하여 전화기능시 편리함을 도모하도록 한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피시에는 데이타 통신을 위한 많은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음성 송출을 위한 기능도 구비되어 있다.
특히, 음성 기능은 노래방 기능을 위해 구비되어 있으나 이를 이용하여 전화기능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화기능이 구비된 종래의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는 첨부된 도면 제1도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의 연결을 위한 마이크 잭(1)과, 상기 마이크 잭(1)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음성 증폭부(2)와, 상기 음성 증폭부(2)에서 증폭된 음성을 전화 라인을 통해 상대측으로 전달하고 상대측으로 부터 전송된 음성은 수신하는 모뎀(3)과, 상기 음성 증폭부(2)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를 스피커(5)로 송출하기 위한 코덱(4)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화기능을 위해 사용자가 마이크 잭(1)에 마이크를 연결하고 마이크에 송신 음성을 입력하면, 그 입력되는 송신 음성은 마이크 잭(1)을 통한 후 음성 증폭부(2)에 인가된다.
음성 증폭부(2)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제1증폭기(2a)로 소정 레벨 증폭하게 되고, 그 증폭된 음성신호를 다시 제2증폭기(2b)로 소정 레벨 증폭하여 모뎀(3)에 전달을 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한 제1증폭기(2a)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를 다시 제3증폭기(3c)로 소정 레벨 증폭하여 코덱(4)에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뎀(3)은 전화 라인이 연결되는 라인 연결부(3a)로 송신할 음성을 출력하게 되고, 이로써 상대방에게 음성이 전달된다.
아울러 코덱(4)은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5)로 전달하여 외부로 송출이 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성 송신장치는 마이크 잭에 마이크를 연결하고 마이크에 입을 근접시킨 후 음성을 입력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으며, 더욱이 음성 송신시 스피커를 통해 자신의 음성이 송출되므로 더욱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스피커의 볼륨을 높게 설정한 경우에는 자신의 음성이 너무 크게 들리므로 주변의 소음으로 작용하고 더불어 스피커의 볼륨을 다시 작게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기능시 음성을 송신하기 위한 마이크를 별도로 시스템내에 내장하고 송신 음성이 라인 이외로 송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화기능시 편리함을 도모하도록 한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음성 입력을 위한 외부 마이크가 연결되거나 전화기능 전용 내장 마이크가 연결되는 마이크 잭과; 스피커의 음성 송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토글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 잭으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모뎀에 인가하는 제1증폭부와; 상기 토글 스위치의 동작 유무에 따라 상기 제1증폭부의 출력 음성신호와 접지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고 상기 모뎀에서 얻어지는 수신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증폭부와; 상기 제2증폭부에서 얻어진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는 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제2도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입력을 위한 외부 마이크가 연결되거나 전화기능 전용 내장 마이크(100)가 연결되는 마이크 잭(101)과; 스피커의 음성 송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토글 스위치(102)와; 상기 마이크 잭(101)으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한 제1증폭기(103)와; 상기 제1증폭기(103)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모뎀(105)에 인가하는 제2증폭기(104)와; 상기 토글 스위치(102)의 동작 유무에 따라 제1증폭기(103)의 출력 음성신호와 접지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106)와; 상기 멀티플렉서(106)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3증폭기(107)와; 상기 모뎀(105)에서 얻어지는 수신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4증폭기(108)와; 상기 제3증폭기(107) 및 제4증폭기(108)에서 얻어진 음성신호를 스피커(110)로 송출하는 코덱(109)으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멀티미디어 피시를 이용하여 전화를 할 경우, 사용자는 본체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내장 마이크(100)에 바로 음성을 입력한다.
이렇게 내장 마이크(100)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마이크 잭(101)을 통한 후 제1증폭기(103)에서 소정 레벨로 증폭되어 출력되어진다.
한편, 사용자는 토글 스위치(102)를 조작하여 스피커(110)의 음성 출력 여부를 결정한다.
즉, 토글 스위치(102)를 오프한 경우에는 멀티플렉서(106)에 입력되는 선택신호(S)가 하이신호(VCC)가 되고, 이와는 달리 토글 스위치(102)를 온 시킨 경우에는 선택신호(S)가 로우신호가 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토글 스위치(102)를 조작하여 스피커(110)의 음성 출력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증폭기(103)에서 소정 레벨로 증폭된 음성신호는 제2증폭기(104)에서 다시 소정 레벨로 증폭되어 모뎀(105)에 인가되며, 모뎀(105)은 인가되는 송신 음성을 전화 라인이 연결되는 라인 연결부(105a)를 통해 전화 라인으로 전송함으로써 상대방은 음성을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1증폭기(103)에서 증폭된 음성신호는 멀티플렉서(106)의 Y1입력단에 입력되어지며, 이때 멀티플렉서(106)는 사용자가 조작한 토글 스위치(102)의 동작 유무에 따라 상기한 Y1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Y0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접지신호(무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는 스피커(110)로 자신의 음성을 듣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토글 스위치(102)를 오프시키게 되며, 토글 스위치(102)의 오프로 인해 선택신호(S)는 하이신호(VCC)가 되므로 멀티플렉서(106)는 Y1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시키게 된다.
이렇게 출력되는 신호는 제3증폭기(107)에서 소정 레벨로 증폭된 후 코덱(109)에 인가되고, 코덱(109)은 그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110)로 송출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송신 음성을 듣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송신 음성이 스피커(110)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토글 스위치(102)를 온 시키면 멀티플렉서(106)에 인가되는 선택신호(S)는 로우신호가 된다.
이렇게 선택신호(S)가 로우신호가 되면 멀티플렉서(106)는 Y0입력단으로 입력되는 무신호를 선택하여 출력시키게 되고, 그 무신호는 제3증폭기(107)에서 소정 레벨로 증폭되어 코덱(109)에 인가되지만 상기한 무신호는 접지신호이므로 실제적으로 스피커(11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없다.
한편, 상기한 연결부(105a)를 통해 수신되는 상대방 음성신호는 모뎀(105)에서 신호 처리된 후 제4증폭기(108)에서 소정 레벨로 증폭되어 코덱(109)에 인가되며, 코덱(109)은 그 수신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110)로 전달 함으로써 사용자는 수신 음성신호를 듣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의 소정 위치에 전화기능 전용 마이크를 내장함으로써 전화기능시 음성 입력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음성 송신시 자신의 음성이 스피커로 송출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소음 발생도 억제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멀티미디어 피시의 성능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

  1. 음성 입력을 위한 외부 마이크가 연결되거나 전화기능 전용 내장 마이크가 연결되는 마이크 잭과; 스피커의 음성 송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토글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 잭으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모뎀에 인가하는 제1증폭부와; 상기 토글 스위치의 동작 유무에 따라 상기 제1증폭부의 출력 음성신호와 접지신호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상기 멀티플렉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고 상기 모뎀에서 얻어지는 수신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증폭부와; 상기 제2증폭부에서 얻어진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는 변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KR2019960007546U 1996-04-08 1996-04-08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KR0131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546U KR0131450Y1 (ko) 1996-04-08 1996-04-08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7546U KR0131450Y1 (ko) 1996-04-08 1996-04-08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52U KR970059552U (ko) 1997-11-10
KR0131450Y1 true KR0131450Y1 (ko) 1998-12-15

Family

ID=19453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7546U KR0131450Y1 (ko) 1996-04-08 1996-04-08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45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52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2369A (en) Communication process device and method therefor
KR0131450Y1 (ko)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GB2331429A (en) Ambience-sensitive telephone alerting system
JPH09181817A (ja) 携帯電話機
KR200351967Y1 (ko) 전화기송신음량조절장치
KR100543623B1 (ko) 자동 볼륨조정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US5852774A (en) Sidetone level reduction circuit and method
KR200188067Y1 (ko) 음성데이터 송수신장치
KR100619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음량 조정이 가능한 이어폰-마이크장치
KR100263207B1 (ko) 전화기의노이즈를감소시키는회로및방법
JPH0522382A (ja) 電話機
JP3034550U (ja) 電話機
JPH033021Y2 (ko)
KR0121115Y1 (ko) 전화기의 송수화회로
KR20010001428U (ko) 전화 통화 음량 자동조정장치
KR100293387B1 (ko) 교환기의 음성접속장치
KR2005005778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오디오 루프백을 이용한 음량증폭장치
KR100934655B1 (ko) 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음량 조절 방법
JPH04280545A (ja) 複合コーデック
KR1009171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벨 음량 조절방법
KR1004969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조절 방법
KR20010091273A (ko) 배경음재생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KR19990013738U (ko)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JPH01305753A (ja) 電話機
JPH05103052A (ja) コーデイツ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