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3207B1 - 전화기의노이즈를감소시키는회로및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노이즈를감소시키는회로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3207B1
KR100263207B1 KR1019970051534A KR19970051534A KR100263207B1 KR 100263207 B1 KR100263207 B1 KR 100263207B1 KR 1019970051534 A KR1019970051534 A KR 1019970051534A KR 19970051534 A KR19970051534 A KR 19970051534A KR 100263207 B1 KR100263207 B1 KR 100263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signal
ring
ring signal
switc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1007A (ko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1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3207B1/ko
Publication of KR1999003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1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3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3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9Arrangements of transmitters, receivers, or complete sets to prevent eavesdropping, to attenuate local noise or to prevent undesired transmission; Mouthpieces or receiv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8Anti-side-tone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회로 및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노이즈가 증폭부로 유입되지 못 하도록 하고, 대기상태에서 노이즈 성분이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전화기의 링신호가 송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증폭기로 입력되는 링신호
를 겁지로 바이패스하고, 상기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증폭기를 통해 증폭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를 완전히 차단한다. 또한, 전화기의 링신호가 송출되는 상태에서 링신호가 입력되는 증폭기의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증폭된 링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링신호가 송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화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전화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기는 회로 및 방법
본 발명은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는 벨소리가 송출될때에는 노이즈 레벨보다 큰 전화벨소리에 가려져 사용자가 노이즈 성분을 느낄 수 없다. 하지만, 벨소리가 송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인 조용한 환경에서 전화기의 스피거로 출력되는 노이즈는 사용자의 귀에 거슬린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화기에서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에서 벨소리가 송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시 링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화기에서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링신호가 송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인 경우 링신호를 입력받는 증폭기의 입력단을 접지로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호처리부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송출부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전화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신호처리부(100)와 메모리(110)와 키입력부(120)와 통화회로부(130)와 링감지부(140)와 송출부(150)와 RF송수신부(160)로 구성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신호처리부(1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MPU(101)와 BML(102)와 SDR(103)와 DSP(104)와 CODEC(105)으로 구성되며, 디지털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MPU(101)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유니트(Micro Process Unit)로써,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BML(102)는 버스트 모드 로직(Burst Mode Logic)으로 구현되며, MPU(101)의 제어하에 동기화된 슬롯 단위의 각종 디지털 음성신호 및 제어신호를 RF송수신부(160) 또는 SDR(103)으로 전송한다. SDR(103)은 시스템 데이터램(System Data RAM)으로써, MPU(101)의 제어하에 DSP(104)로부터 전송되는 샘플링 데이터를 입출력한다. DSP(104)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로써, MPU(101)의 제어하에 CODEC(105)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ADPCM으로 엔코딩하고, ADPCM신호를 선형 PCM 음성 데이터로 디코딩한다. 또한, DSP(104)는 CODEC(105)로부터 음성신호를 전송받아 데시메이션(decimation)하고, 음성데이터를 CODEC(105)로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한다. 게다가, DSP(104)는 MPU(101)의 제어하에 에코 제거, 다이얼톤 발생, 뮤트, 사이드 톤 발생, 볼륨 조정, 자동 제어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1O)는 EEPROM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제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입력부(120)는 숫자키 및 다수의 기능키로 구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진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신호처리부(100)로 입력한다. 통화회로부(130)는 국선(C.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신호처리부(100)로 전달하고, 신호처리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국선으로 출력한다. 링감지부(140)는 국선으로부터 전송되는 링신호를 검출하고, 그에 대응되는 신호를 신호 처리부(100)로 전송한다. 송출부(15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스위칭부(151)와 제2스위칭부(152)와 증폭기(153)와 스피커(154)와 저항(R3)과 캐패시터(C1)로 구성된다. 제1스위칭부(151)는 저항(R1, R2)과 트랜지스터(Q1,Q2)와 노이즈 필터용 코일(L1)로 구성되며, 신호 처리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온/오프된다. 제2스위칭부(152)는 트랜지스터(Q3)로 구현되며, 신호 처리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온/오프된다. 송출부(150)는 신호 처리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증폭기(153)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또한, 송출부(150)는 신호 처리부(100)로부터 전송되는 링신호를 증폭기(153)를 통해 증폭하여 스피커(154)로 출력한다. 즉, 송출부(150)는 신호 처리부(100)로부터 링신호를 전송받는 경우 신호 처리부(1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1스위칭부(151)가 온됨에 따라 증폭기(153)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제2스위칭부(152)가 오프됨에 따라 전송된 상기 링신호를 증폭기(153)로 입력한다. 증폭기(153)는 입력된 링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54)로 출력한다. 한편, 송출부(150)는 신호 처리부(100)로부터 링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제1스위칭부(151)를 오프시켜 증폭기(153)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제2스위칭부(152)를 온시켜 송출부(150)를 유입되는 노이즈가 증폭기(15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에서 노이즈가 증폭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제410단계에서 MPU(101)는 링감지부(140)로부터 링감지 여부에 대응되는 신호를 인가받아 착신 여부를 판단한다. 착신 상태가 아닌 경우 제420단계에서 MPU(101)는 송출부(150)를 제어하여 증폭기(153)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증폭기(153)로 입력되는 신호를 차단시킨다. 즉, 착신 상태가 아닌 경우 제1스위칭부(151)는 MPU(101)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오프되어 증폭기(153)의 전원을 차단한다. 다시 말하면, 링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1스위칭부(151)는 MPU(101)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키고, 트랜지스터(Q2)를 턴오프시켜 증폭기(153)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게다가, 착신 상태가 아닌 경우 제2스위칭부(152)는 MPU(101)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온되어 증폭기(153)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지(ground)로 패스시킨다. 즉, 링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MPU(101)는 제2스위칭부(152)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Q3)를 턴온시킴으로써, 증폭기(153)로 입력되는 신호를 접지쪽으로 패스시킨다. 따라서, 링신호가 송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송출부로 인가되는 노이즈를 접지로 바이패스시킴으로써, 증폭기로 노이즈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노이즈가 감소된다.
한편, 링감지부(140)에서 링이 감지되어 착신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430단계에서 MPU(101)는 송출부(150)를 제어하여 증폭기(153)로 전원을 공급하여 입력된 링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54)로 출력한다. 즉, 착신 상태인 경우 MPU(101)는 송출부(150)를 제어하여 증폭기(153)로 전원을 인가하고, 입력되는 링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54)로 송출한다. 다시 말하면, 착신 상태인 경우 제1스위칭부(151)는 MPU(101)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온되어 증폭기(153)로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착신 상태인 경우 제1스위칭부(151)는 MPU(101)로부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시키고, 트랜지스터(Q2)를 턴온시켜 증폭기(153)로 전원을 공급한다. 게다가, 착신 상태인 경우 제2스위칭부(152)는 MPU(101)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오프되어 링신호를 증폭기(153)로 링신호를 입력한다. 즉, 링이 검출되는 경우 MPU(101)는 제2스위칭부(152)로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트랜지스터 Q3를 턴오프시킴으로써, 증폭기(153)로 링신호를 입력한다. 따라서, 증폭기(153)는 동작 전원을 공급받고, 입력되는 링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54)로 송출한다.
스피커(154)로 링신호가 송출되는 경우 제440단계에서 MPU(101)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착신에 대한 응답 여부를 판단한다. 즉, MPU(101)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착신 응답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착신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착신에 대한 응답이 있는 경우 MPU(101)는 제420단계에의 제어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함으로써, 증폭기(153)로 노이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착신에 대한 응답이 없는 경우 제450단계에서 MPU(101)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아 착신이 종료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MPU(101)는 키입력부(120)로부터 착신 종료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입력받으면, 착신에 대한 종료인 것으로 판단한다. 착신에 대한 종료인 경우 MPU(101)는 제420단계의 제어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함으로써, 증폭기(153)로 노이즈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달리 착신에 대한 종료가 아닌 경우 MPU(101)는 제430단계부터의 제어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적인 링신호가 아닌 주기적인 링신호인 강우 벨소리가 송출되는 동안에 제1스위칭부(151)를 온시켜 증폭기(153)로 전원을 공급하고, 벨소리가 송출되지 않는 동안에 제1스위칭부(151)를 오프시켜 증폭기(153)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링신호가 송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화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노이즈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용한 환경에서 전화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귀에 거슬리게 들리는 노이즈를 링신호가 송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전화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회로에 있어서,
    국선으로부터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링신호의 감지 여부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링감지부와,
    상기 링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원을 상기 증폭기로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1스위칭부와,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링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입력 또는 차단시키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제2스위칭부와,
    상기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링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링감지부로부터 링신호의 감지 여부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2스위칭부로 인가하여 상기 제1스위칭부와 상기 제2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노이즈를 줄이는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감지부로부터 링신호의 감지에 대응되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온시켜 상기 증폭기의 동작 전원을 상기 증폭기로 공급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감지부로부터 링신호의 감지에 대응되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제2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상기 링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입력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부로 링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제1스위칭부를 오프시켜 상기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제2스위칭부를 온시켜 상기 증폭기로 입력되는 신호를 차단시키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회로.
  5.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국선으로부터 착신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단 결과로 착신 요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링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의 동작전원을 차단시키고, 상기 증폭기의 입력단을 접지로 바이패스시키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단 결과로 착신 요구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증폭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링신호를 상기 증폭기로 입력하여 증폭된 링신호를 스피커로 송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착신 요구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스피커로 링신호의 송출을 중지시키고, 상기 증폭기의 동작전원을 차단시키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방법.
  6.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링신호가 송출되는 상태에서 상기 링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증폭기로 입력된 링신호를 증폭한 후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과,
    링신호가 송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링신호가 입력되는 증폭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증폭기로 입력되는 링신호를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방법.
KR1019970051534A 1997-10-08 1997-10-08 전화기의노이즈를감소시키는회로및방법 KR100263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534A KR100263207B1 (ko) 1997-10-08 1997-10-08 전화기의노이즈를감소시키는회로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1534A KR100263207B1 (ko) 1997-10-08 1997-10-08 전화기의노이즈를감소시키는회로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007A KR19990031007A (ko) 1999-05-06
KR100263207B1 true KR100263207B1 (ko) 2000-08-01

Family

ID=19522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534A KR100263207B1 (ko) 1997-10-08 1997-10-08 전화기의노이즈를감소시키는회로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32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4406A (ko) * 1992-05-09 1993-12-22 정용문 음성데이타 통신회로 및 방법
KR940001655A (ko) * 1992-06-29 1994-01-11 이헌조 전화기의 벨울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4406A (ko) * 1992-05-09 1993-12-22 정용문 음성데이타 통신회로 및 방법
KR940001655A (ko) * 1992-06-29 1994-01-11 이헌조 전화기의 벨울림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1007A (ko) 199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3462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ransmitting voice level and calling sound level
JPH09168046A (ja) 送話器、それを用いた電話機及び電話機の音声入力補償方法
KR20040073224A (ko) 유/무선 전화기의 착신음 발생장치 및 그 방법
US4715062A (en) Speakerphone control circuit having low gain stat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in of speakerphone
KR100263207B1 (ko) 전화기의노이즈를감소시키는회로및방법
KR100327731B1 (ko) 스피커폰통화종료시통화로자동절단회로및자동대기방법
JPH0276423A (ja) コードレス電話通信方式
KR0114677Y1 (ko) 전화기의 착신 신호음 자동조절장치
GB2331429A (en) Ambience-sensitive telephone alerting system
KR100304531B1 (ko) 핸드프리전화기자동응답장치
KR100543623B1 (ko) 자동 볼륨조정장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JPH01252053A (ja) ハンズフリーフォーンの送話音制御装置
KR100362561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스피커 출력 신호의 처리 방법
KR0131450Y1 (ko)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KR200226155Y1 (ko) 휴대 전화기의 수신 음량 자동 조절 제어 장치
KR100247192B1 (ko) 무선전화기에서의 측음억제 방법
KR20000026419A (ko) 휴대폰의 착신 모드 자동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KR970011413B1 (ko) 전화기의 스피커폰 통화시 자동 루프 오프 장치 및 방법
KR0151531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다양한 녹음메세지를 송출하는 방법
JPH07231276A (ja) 携帯用無線電話装置
KR100690835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음성통화시 외부잡음 제거방법
JP2000295336A (ja) 側音調節装置および側音調節方法
KR19990056199A (ko) 휴대단말기의 근접센서를 이용한 음성신호세기 조정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36355B1 (ko) 고막손상 방지를 위한 스피커 폰의 점증적 볼륨 제어 방법및 그 이동통신 단말기
JPH05260159A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