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731B1 - 스피커폰통화종료시통화로자동절단회로및자동대기방법 - Google Patents

스피커폰통화종료시통화로자동절단회로및자동대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731B1
KR100327731B1 KR1019950019491A KR19950019491A KR100327731B1 KR 100327731 B1 KR100327731 B1 KR 100327731B1 KR 1019950019491 A KR1019950019491 A KR 1019950019491A KR 19950019491 A KR19950019491 A KR 19950019491A KR 100327731 B1 KR100327731 B1 KR 100327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phone
call
tone
input
speaker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8972A (ko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1974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277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1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731B1/ko
Priority to DE19621550A priority patent/DE19621550C2/de
Priority to SE9602046A priority patent/SE521122C2/sv
Priority to CH01445/96A priority patent/CH693659A5/de
Priority to US08/674,846 priority patent/US6055309A/en
Publication of KR970008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7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무선전화기에서 스피커폰 통화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대기상테로 전환하는 방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스피커폰 키를 재입력하여야 통화로가 차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수신되는 비지톤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스피커폰 통화모드에서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방법 및 통화로 자동차단 회로를 구현하였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 스피커폰 기능을 구비한 무선전화기를 포함한 전화기제품.

Description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통화로 자동절단 회로 및 자동대기 방법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서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자동으로 통화로를 차단하는 회로 및 자동대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피커폰 통화시 비지톤이 검출되면 통화로를 차단하는 회로를 구현하고 자동으로 대기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무선전화기 또는 일반전화기는 스피커폰 기능으로 전화를 걸거나 받을 경우에 상기 전화기의 스피커폰 키를 누른 다음 통화를 하게되며, 통화가 종료되어 대기상태로 전환 시키기 위해 다시 스피커폰 키를 눌러야 통화로가 절단되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스피커폰을 사용 할 때에는 보통 움직이고 있거나, 다른 일을 하면서 통화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통화가 종료한 후 다시 스피커폰키를 눌러서 통화로를 절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만일 스피커폰 통화후 상기 스피커폰 키를 다시 누르는것을 잊었을 경우에는 전화기는 계속 통화중 모드로 남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톤 검출부를 구비하여 스피커폰 통화중 비지톤이 검출되면 자동으로 통화로를 차단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블럭 구성도로서,
CPU(10)는 무선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자동으로 스피커폰 통화로를 차단하는 동작을 제어한다. 훅크 릴레이(12)는 훅크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CPU(10)의 제어에 의해 전화라인과 음성처리부(16)를 연결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훅크 릴레이(12)는 스피커폰 키가 입력되면 상기 CPU(10)의 제어를 받아 절제되어 스피커폰 통화로를 형성하며, 통화종료신호인 비지톤이 검출되면 상기 CPU(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피커폰 통화로를 차단시킨다. 전자스위치(14)는 상기 음성처리부(16)와 RF부(26)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통화종료신호인 비지톤이 검출되면 상기 CPU(10)의 제어를 받아 스피커폰의 스피커(20) 및 마이크(24)를 차단한다. 상기 음성처리부(16)는 상기 CPU(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음성처리부(16)와 상기 전화라인으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및 각종 톤신호를 해당 파트로 분배하여 전송한다. 제1중폭부(18)는 상기 전자 스위치(14)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스피커(20)로 출력한다. 제2증폭부(22)는 상기 마이크(24)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전자스위치(14)를 통하여 상기 음성처리부(16)로 출력한다. 상기 RF부(26)는 상기 음성처리부(16)에 연결되며,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로 각종 톤신호 및 음성신호를 송출한다. DTMF발생부(28)는 상기 음성처리부(16)와 CPU(1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CPU(10)로 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처리부(16)로 출력한다. DTMF수신부(30)는 상기 음성처리부(16)로 부터 입력되는 DTMF신호를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CPU(10)에 제공한다. 톤신호검출부(32)는 상기 음성처리부(16)와 CPU(1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음성처리부(16)에서 출력되는 각종 턴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CPU(10)에 제공한다. 링검출부(34)는 전화라인과 상기 CPU(10)에 연결되며, 상기 전화라인을 통하여 입력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CPU(10)에 제공한다. 표시부(36)는 상기 CPU(10)로 부터 제공되는 데이타를 표시한다. 키입력부(38)는 다수의 키로 구성되며, 상기 키 조작에 따라 발생하는 키 데이타를 상기 CPU(10)에 제공한다. 메모리부(40)는 각종 기능들을 서비스하기 위한 기능 테이블들을 저장한다. 상기 메모리(40)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DSP(42)는 상기 CPU(10)의 제어를 받아 코덱(44)으로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음성합성 또는 분석처리한다. 상기 코텍(44)은 상기 음성처리부(16)와 RF부(26)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며, 아날로그신호를 신호처리에 용이한 디지탈화된 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DSP(42)에 제공하거나, 상기 DSP(42)로 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처리부(16)로 출력한다. 롬(46)은 상기 DSP(42)에서 음성합성 및 분석처리시 요구되는 프로그램 및 디지탈메세지를 저장한다. 램(48)은 상기 DSP(42)에서 처리된 음성데이타를 일시적으로 보관한다. 송수화부(50)는 상기 음성처리부(16)에 연결되며, 일반적인 전화통화시 음성신호를 재생 또는 송출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자동 대기상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로서,
스피커폰 키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스피커폰 키가 입력되면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동작하는 과정과,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통화중 통화종료신호인 비지톤이 검출되면 통화로를 차단하는 과정과,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통화중 스피커폰 키가 재입력되면 통화로를 차단하고 스피커폰 통화모드를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1도를 참조하여 제2도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CPU(10)는 제2도 52과정에서 키입력부(3a)로 부터 스피커폰 키 입력이 있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52과정에서 키입력부(38)로 부터 스피커폰 키가 입력되면 상기 CPU(10)는 54과정에서 훅크 릴레이(12)와 전자스위치(14)를 절체하여 스피커폰 통화루프를 형성하며, 56과정에서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동작중 상기 CPU(10)는 58과정에서 스피커폰 키가 재 입력되는가를 감지하며, 상기 스피커폰 키가 재 입력되면 62과정으로 진행하여 상기 CPU(10)는 상기 훅크 릴레이(12)와 전자스위치(14)를 절제하여 상기 스피커폰의 통화루프를 차단한다. 하지만 상기 58과정에서 스피커폰 키가 재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CPU(10)는 60과정에서 톤신호검출부(30)를 통하여 통화종료신호인 비지톤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60과정에서 비지톤이 검출되면 상기 CPU(10)는 상기 62과정에서 상기 훅크 릴레이(12)와 전자스위치(14)를 절체시켜 스피커폰 통화로를 차단한다. 그렇지않고 상기 60과정에서 비지톤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56 과정으로 진행하여 스피커폰 통화모드로 계속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에서 스피커폰 통화가 종료된 후 상대방이 전화를 끊었을 경우 수신되는 통화종료신호인 비지톤이 검출되면 자동으로 통과루프를 차단 시키므로 통화종료 후 사용자가 스피커폰 키를 재 입력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자동대기 상태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CPU 12: 훅크릴레이
14: 전자스위치 16: 음성처리부
18: 제1증폭부 20: 스피커
22: 제2증폭부 24: 마이크
26: RF부 28: DTMF발생부
30: DTMF수신부 32: 톤신호검출부
34: 링검출부 36: 표시부
38: 키입력부 40: 메모리
42: DSP 44: 코덱
46: 롬 48: 램
50: 송수화부

Claims (6)

  1. 전화라인으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및 각종 톤신호를 해당 파트로 분배하여 전송하는 음성처리부와, 스피커폰 통화모드에서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를 구비한 무선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자동 대기방법에 있어서,
    스피커폰 키가 입력되면 스피커폰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스피커폰 통화로가 형성되면 전화라인으로 부터 입력되는 톤신호를 검출하는 톤 검출과정과,
    상기 톤 검출과정에서 톤신호가 검출될시 상기 스피커폰 통화로를 절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자동 대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톤신호는 통화종료를 알리는 비지톤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자동 대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라인과 음성처리부를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훅크릴레이를 절체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처리부와 입출력부를 연결 또는 차단하도록 전자스위치를 절체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자동 대기방법.
  4. 전화라인으로 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및 각종 톤신호를 해당 파트로 분배하여 전송하는 음성처리부와, 스피커폰 통화모드에서 음성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부를 구비한 무선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통화로 자동차단 회로에 있어서,
    스피커폰 키가 입력되면 스피커폰의 통화로를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스피커폰 통화로가 형성되면 전화라인으로 부터 입력되는 톤신호를 검출하는 톤 검출수단과,
    상기 톤 검출수단에서 톤신호가 검출될시 상기 스피커폰 통화로를 절단하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통화로 자동차단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톤신호는 통화종료를 알리는 비지톤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통화로 자동차단 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라인과 음성처리부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훅크릴레이 수단과,
    상기 음성처리부와 입출력부를 연결 또는 차단하는 전자스위치 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폰 통화종료시 통화로 자동차단 회로.
KR1019950019491A 1995-07-04 1995-07-04 스피커폰통화종료시통화로자동절단회로및자동대기방법 KR100327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491A KR100327731B1 (ko) 1995-07-04 1995-07-04 스피커폰통화종료시통화로자동절단회로및자동대기방법
DE19621550A DE19621550C2 (de) 1995-07-04 1996-05-29 Automatisches Freisprech-Verfahren für ein schnurloses Telefon sowie zugehöriger Schaltkreis
SE9602046A SE521122C2 (sv) 1995-07-04 1996-05-29 Metod och krets för att automatiskt återställa en trådlös telefon med högtalarfunktion i standbyläge då ett samtal avslutats
CH01445/96A CH693659A5 (de) 1995-07-04 1996-06-10 Schaltung zur automatischen Trennung des Fernsprechweges und Verfahren zur automatischen Umschaltung in einen Bereitschaftszustand nach Beendigung eines Lauthörtelefon-Gespräches in einem sc
US08/674,846 US6055309A (en) 1995-07-04 1996-07-03 Circuit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utting off a speech path and converting to a standby state upon completion of speakerphone speech in a cordless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491A KR100327731B1 (ko) 1995-07-04 1995-07-04 스피커폰통화종료시통화로자동절단회로및자동대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8972A KR970008972A (ko) 1997-02-24
KR100327731B1 true KR100327731B1 (ko) 2002-07-31

Family

ID=1941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491A KR100327731B1 (ko) 1995-07-04 1995-07-04 스피커폰통화종료시통화로자동절단회로및자동대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055309A (ko)
KR (1) KR100327731B1 (ko)
CH (1) CH693659A5 (ko)
DE (1) DE19621550C2 (ko)
SE (1) SE521122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040B1 (ko) * 1997-12-11 2000-04-01 윤종용 자동 통화절단 장치 및 방법
US20030104842A1 (en) * 2001-11-30 2003-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s-free speakerphone device for mobile terminals
EP2046000A1 (en) * 2007-10-04 2009-04-08 Orchid Electronics Schweiz GmbH Method for the reduction of radiation of a wireless radio telecommunication system
TWI450567B (zh) * 2009-11-23 2014-08-21 Hon Hai Prec Ind Co Ltd 可避免竊聽的電話
CN102075610A (zh) * 2009-11-23 2011-05-25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可避免窃听的电话
CN111586241B (zh) * 2020-04-08 2021-09-24 深圳震有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4103A (en) * 1978-09-29 1982-02-02 Plantronics, Inc. Telephone answering system with simulated dial tone disconnect protection
JPS60178759A (ja) * 1983-12-27 1985-09-12 Hashimoto Corp 電話自動応対録音方式
JPS61224548A (ja) * 1985-03-28 1986-10-06 Toshiba Corp 電話機
DE3545150A1 (de) * 1985-12-17 1987-06-19 Krone Ag Schaltungsanordnung fuer ein bedienelement eines fernsprechendgeraetes, insbesondere fernsprechapparates
US4790002A (en) * 1986-08-08 1988-12-06 Dictaphone Corporation Telephone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telephone device
US4922529A (en) * 1988-12-06 1990-05-01 Kiel David J Automatic hangup apparatus for restoring service to off-hook telephones
US5138651A (en) * 1989-02-23 1992-08-11 Fujitsu Limited Cordless loud speaking telephone
US4907258A (en) * 1989-04-12 1990-03-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ey telephone apparatus
US4932046A (en) * 1989-07-28 1990-06-05 First Data Resources Inc. Telephone programming system for automated calling
JP2566673B2 (ja) * 1990-09-25 1996-12-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ードレス電話機システムの留守応答モニタ方式
AT395665B (de) * 1990-11-20 1993-02-25 Austria Mikrosysteme Int Schaltungsanordnung fuer eine schleifenstromgespeiste fernsprechteilnehmerstation
GB2255687B (en) * 1991-05-07 1994-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adio telephone apparatus
KR940002146B1 (ko) * 1991-05-27 1994-03-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핸드프리 작동의 유무선 전화기
JP3222503B2 (ja) * 1991-10-03 2001-10-29 株式会社東芝 無線電話機および無線電話システム
US5276916A (en) * 1991-10-08 1994-01-04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speaker and microphone
US5297198A (en) * 1991-12-27 1994-03-22 At&T Bell Laboratories Two-way voice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US5224151A (en) * 1992-04-01 1993-06-29 At&T Bell Laboratories Automatic handset-speakephone switching arrangement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5471523A (en) * 1993-07-14 1995-11-28 Voysys Corporation Telephone call and voice processing system
JPH07264280A (ja) * 1994-03-24 1995-10-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0151447B1 (ko) * 1994-09-16 1998-11-02 김광호 스피커 폰의 통화로 자동 형성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9602046D0 (sv) 1996-05-29
US6055309A (en) 2000-04-25
SE9602046L (sv) 1997-01-05
SE521122C2 (sv) 2003-09-30
DE19621550A1 (de) 1997-01-16
KR970008972A (ko) 1997-02-24
CH693659A5 (de) 2003-11-28
DE19621550C2 (de) 199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467B1 (ko) 통화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0164372B1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KR100327731B1 (ko) 스피커폰통화종료시통화로자동절단회로및자동대기방법
KR100715118B1 (ko) 통신장치
KR950007979B1 (ko) 전화기의 장거리전화 제어 시스템
KR0169424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자동응답메세지 송출 방법
KR0148466B1 (ko) 무선전화기에서 고정장치의 스피커폰을 이용하여 통화형성하는 방법
KR0122538B1 (ko) 팩시밀리의 라인 접속 장치 및 방법
KR100506212B1 (ko) 키폰시스템에서디사국선을이용한메시지기록방법
KR100242410B1 (ko) 전화단말기에서통화시볼륨제어장치및방법
KR100215722B1 (ko) 통화중 입력 전화번호 기억방법 및 장치
KR100754642B1 (ko) 디지털 전화기에서 스피커폰 장치 및 방법
KR920005048Y1 (ko) 온 후크 자동 다이얼링 장치
KR100208763B1 (ko) 전화단말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전화수신방법
KR19990026363A (ko) 전화기에서 착신측의 상태를 나타내는 방법
KR100255324B1 (ko) 전화기의 음성 호출 방법
KR200190597Y1 (ko) 신호 입출력 단자를 내장한 전화기
KR970011530B1 (ko) 키폰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9980034818A (ko) 전화기의 통화시간 경보방법
KR19990049845A (ko) 무선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다이얼링 방법
JPH0213596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KR19980023371U (ko) 벨 및 수신메세지 오프/온 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20000007279A (ko) 무선 단말기의 자동응답 방법
KR19980021365A (ko) 수신된 다이얼링 톤을 이용한 단축 다이얼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48187A (ko) 무선전화기에서 자동 수신 통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