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738U -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738U
KR19990013738U KR2019970027014U KR19970027014U KR19990013738U KR 19990013738 U KR19990013738 U KR 19990013738U KR 2019970027014 U KR2019970027014 U KR 2019970027014U KR 19970027014 U KR19970027014 U KR 19970027014U KR 19990013738 U KR19990013738 U KR 199900137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analog
digital
ds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숙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7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738U/ko
Publication of KR19990013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738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의 본체에 연계되어 화면 출력을 담당하며, 시스템 본체와 연동하여 전화 통화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화 통화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는 DSP에 의해 압축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USB제어부 및 USB허브를 통해 시스템 본체의 모뎀으로 제공되어 상대측으로 음성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음성신호는 USB허브 및 USB제어부를 통해 DSP로 제공되며, 이는 압축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Description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A DISPLAY APPARATUS HAVING TELEPHONE CALL FUNCTION)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컴퓨터 시스템(computer system)의 본체에 연계되어 화면 출력을 담당하며, 시스템 본체와 연동하여 전화 통화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의 일 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컴퓨터 시스템은 USB(Universal Serial Bus)를 이용하여 각 부분이 연계된 컴퓨터 시스템의 일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모니터(10)와, 중앙처리장치(CPU) 등을 탑재하고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본체(20)와, 상기 모니터(10)에 연계된 포인팅디바이스(pointing device) (30)와, 키보드(keyboard)(40)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컴퓨터 시스템의 기본 구성으로서 이에 부가하여 여러 장치들을 연계하여 사용가능하다. 예컨대, 프린터(printer), 플롯터(ploter) 등의 출력장치를 연계하여 사용 가능하다.
한편, 컴퓨터 시스템이 멀티미디어(multi media) 기능을 구비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 발전하면서 새롭게 모니터에 여러 장치가 장착되고 있다.
일 예로서, 도 1을 참조하여, 모니터(10)의 전면 상단에 마이크(mike)(12)가 장착되어 있으며, 좌/우 측면에는 스피커(speaker)(1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12)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시스템본체(20)로 제공되어 처리된다. 또한 상기 모니터(10)는 시스템본체(20)에 구비된 사운드처리장치(미도시됨)로부터 제공된 음성신호가 상기 스피커(14)를 통해 출력된다.
현재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기능 외에도 통신기능도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전화라인과 연결된 모뎀(MODEM)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신 기능은 데이터 통신 기능으로서 일반적인 전화 통화와는 다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일반적인 전화 통화를 위해서 별도의 전화기를 이용하여야 했다. 물론,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된 모뎀을 이용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독립된 장치로서 이 장치를 컴퓨터 시스템 연결하고 별도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한다. 이러한 경우는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구입 비용을 발생 시키며, 또한 장치를 연결하고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화 통화 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컴퓨터 시스템의 일 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 모니터 12 : 마이크
14 : 스피커 20 : 시스템본체
30 : 포인팅디바이스 40 : 키보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에 연계되어 화면 출력을 수행하며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는 : 음성 입력에 따른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와;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와;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압축/재생하는 DSP와; 상기 압축된 음성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DSP로부터 디지털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로부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의 출력을 제공받아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시스템 본체로 송수신하는 USB허브; 및 상기 USB허브를 제어하는 USB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화 통화시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고, 이는 DSP에 의해 압축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USB제어부 및 USB허브를 통해 시스템 본체의 모뎀으로 제공되어 상대측으로 음성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음성신호는 USB허브 및 USB제어부를 통해 DSP로 제공되며, 이는 압축되어 메모리에 저장되며,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증폭되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신규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음성 입력용 마이크(12)와, 스피커(14)와, A/D 변환을 위한 ADC(Analog Digital Converter)(51)와, 디지털 신호의 처리를 위한 DSP(Digital Signal Processor)(52)와, 음성 데이터 정장을 위한 메모리(53)와, D/A변환을 위한 DAC(54)와, 신호 증폭을 위한 증폭부(55)와, USB제어부(56)와, USB 허브(USB Hub)(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USB허브(57)에는 포인팅디바이스(30)와 키보드(40)가 연결되며, 이는 시스템 본체에 USB 케이블로 연계된다.
시스템 본체에 구비된 모뎀을 통해 전화 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12)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가 ADC(51)를 통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되어 DSP(52)로 제공된다. DSP(52)는 이를 USB제어부(56)로 제공하며 상기 USB허브(57)를 통해 시스템 본체로 제공되어 통화로가 연결된 상대측으로 음성신호가 전송된다.
다시,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음성신호는 모뎀을 통해 접수되고, 이는 상기 USB허브(57)를 통해 USB제어부(56)를 거처 상기 DSP(52)로 제공된다. 계속해서 DAC(54)를 통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되어 증폭부(55)로 제공되고,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가 스피커(14)를 통해 청취 가능한 음성으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DSP는 마이크(12)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 및 상대측으로부터 전송되어는 음성신호를 압축하며, 압축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53)에 저장한다. 그러므로 통화가 종료된 후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DSP(52)에 의해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통화 내용을 청취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전화기가 없이도 모니터를 통해 전화 통화가 가능하며, 통화 내용을 저장 가능하며, 저장된 통화 내용을 재생하여 청취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컴퓨터 시스템의 본체에 연계되어 화면 출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음성 입력에 따른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12)와;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51)와;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압축/재생하는 DSP(52)와;
    상기 압축된 음성신호가 저장되는 메모리(53)와;
    상기 DSP(52)로부터 디지털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55)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55)로부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제공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55)와;
    상기 증폭부(55)의 출력을 제공받아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14)와;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시스템 본체로 송수신하는 USB허브(57); 및
    상기 USB허브(57)를 제어하는 USB제어부(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KR2019970027014U 1997-09-29 1997-09-29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KR199900137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014U KR19990013738U (ko) 1997-09-29 1997-09-29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014U KR19990013738U (ko) 1997-09-29 1997-09-29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738U true KR19990013738U (ko) 1999-04-26

Family

ID=69689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014U KR19990013738U (ko) 1997-09-29 1997-09-29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73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483B1 (ko) * 2000-02-24 2002-09-19 양군모 유니버설 시리얼포트를 이용한 전화접속 부가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0406969B1 (ko) * 1999-09-17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를 접속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댑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969B1 (ko) * 1999-09-17 200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화기를 접속할 수 있는 개인용 컴퓨터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댑터
KR100353483B1 (ko) * 2000-02-24 2002-09-19 양군모 유니버설 시리얼포트를 이용한 전화접속 부가장치 및 그 운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262B1 (en) Cellular telephone accessory device for a personal computer system
EP0664632A3 (en) Telephone controller
MY132748A (en) Apparatus for speech-based generation, audio translation, and manipulation of text messages over voice lines.
GB2485270A (en) Microphone arrangement
KR19990013738U (ko) 전화통화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KR100278599B1 (ko)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KR100587425B1 (ko) 독립적인 오디오 경로가 형성되는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단말기
KR200219502Y1 (ko) 인터넷폰용 전화기
EP0606755B1 (en) Dictation apparatus that is a combination of a portable computer and a hand set
KR20010002605A (ko) 무선단말기의 송신측 잡음 제거장치
KR0131450Y1 (ko) 멀티미디어 피시의 음성 송신장치
KR200195553Y1 (ko)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sb)를 이용한 디지털 전화기
KR200188067Y1 (ko) 음성데이터 송수신장치
KR200309139Y1 (ko) 휴대 전화 핸즈프리기능이 내장되고 컴퓨터와 USB Port로연결되는 헤드폰세트
KR970060791A (ko) 오디오 기능을 이용한 컴퓨터 통신 장치 및 그 방법
NZ514420A (en) Telephone, mobile or cordless, able to record audio signals such as songs to be played when a call is incoming
KR20060117444A (ko) 음악 재생 기능을 가진 핸즈프리 장치
KR200197262Y1 (ko) 다기능이 구비된 하나로 키보드
KR19980043382A (ko) 오디오통신이 가능한 사운드카드
KR20010001635A (ko) 컴퓨터를 이용한 통화음 녹음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270462Y1 (ko) 음성증폭장치
KR20030021547A (ko) 메모리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H05103052A (ja) コーデイツク
KR20000007561U (ko) 차량의 핸드프리 박스와 이동 전화기 간의 연결 장치
KR20030056986A (ko) 엠피쓰리 플레이어를 이용한 이동 전화기의 핸즈프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