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599B1 -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599B1
KR100278599B1 KR1019970071794A KR19970071794A KR100278599B1 KR 100278599 B1 KR100278599 B1 KR 100278599B1 KR 1019970071794 A KR1019970071794 A KR 1019970071794A KR 19970071794 A KR19970071794 A KR 19970071794A KR 100278599 B1 KR100278599 B1 KR 100278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all
key
unit
in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331A (ko
Inventor
이성룡
Original Assignee
이성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룡 filed Critical 이성룡
Priority to KR1019970071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59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59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와 연동하여 인터넷폰(internet phone)의 효율적인 사용과 음성 녹음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화 통화를 위한 다수의 통화장비를 구비한 전화복합기;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위한 인터넷통신부; 상기 전화복합기를 통한 전화 통화 내용을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인터넷통신부를 통한 인터넷폰 통화 내용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저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음향발생부를 통해 상기 전화복합기로 전달하는 재생부;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전화 통화 내용 및 상기 인터넷폰 통화 내용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하여 상기 전화복합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전화기와 인터넷폰을 위해 사용되는 장비를 하나의 장치로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폰 사용과 일반전화 사용을 투명(transparent)하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인터넷폰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인터넷폰 및 일반 전화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본 발명은 전화 복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와 연동하여 인터넷폰(internet phone)의 효율적인 사용과 음성 녹음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통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인터넷폰과 일반 전화를 이용한 통화가 있다.
최근 일반 국제전화 요금이 고가이고 인터넷의 폭넓은 보급에 따라 시내 요금만으로 국제 전화를 할 수 있는 인터넷폰 사용이 급증하게 되었다. 인터넷폰은 일반 전화망을 사용하지 않고 인터넷을 사용하여 상호간에 통화를 하는 시스템을 의미하는데, 종래의 국제 전화요금 문제를 한순간에 해결해주는 차세대 통신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같은 인터넷폰 환경에서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멀티미디어 컴퓨터와 연동하는 헤드셋을 착용하고 통화를 하거나 스피커 및 마이크를 사용하여 상대편과 통화한다. 이때, 헤드셋은 헤드폰과 헤드폰 마이크를 결합하여 사용자 머리에 걸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처럼, 인터넷폰의 활성화로 인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게됨에 따라 전화기 역할을 수행하는 다양한 통신 장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통신 장비는 도 1과 같이 전술한 헤드셋(130)과 스피커(110) 및 마이크(120)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복잡하게 컴퓨터(100)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전술한 통신장비들을 구비한 컴퓨터(100)는 인터넷(150)에 접속하여 인터넷폰 통화를 한다.
한편, 사용자가 인터넷폰과 일반전화통화를 원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장비가 복잡하게 연결된 컴퓨터(100)와, 일반적인 전화통화를 위한 종래의 공중전화망(PSTN:160)에 연결된 전화기(140)를 각각 구비해야 했다.
이와 같이 인터넷폰 통화를 위해 헤드셋, 스피커 및 마이크 등을 구비한 컴퓨터와, 일반 전화통화를 위한 일반 전화기를 각각 구비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폰을 위해 컴퓨터를 사용할 때 많은 주변기기(스피커, 마이크, 헤드셋)로 인하여 컴퓨터주변이 복잡해지고, 각각의 주변기기는 사용상의 편리성보다 각 주변기기의 사용만을 강조하여 복잡하게 연결되므로 사용자가 주변기기를 관리하는데 불편한 점이 있었다.
(2) 일반적 인터넷폰 사용환경에서는 스피커 및 마이크를 사운드 카드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 환경을 헤드셋 등의 환경으로 전환하여 사용하기가 어렵다. 즉, 스피커의 경우 헤드폰 연결단자가 있으나, 헤드셋을 활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며 사용할 때마다 헤드폰을 결합 및 착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3) 전화의 통화 내용을 녹음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를 구비해야 하므로 제품 구성에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4) 가정과 같은 자유로운 공간과 달리 회사에서 인터넷폰을 위해 스피커와 마이크 및 헤드셋의 사용이 불편하며, 기업을 전산화할 때 시도될 수 있는 음성 메일 등의 환경에서 일반적인 전화기 수화기에 익숙한 사용자들에게 스피커와 마이크 또는 헤드셋의 이용은 큰 부담으로 여겨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통신기기로 일반전화 형태로 통화를 할 때는 전화기를 사용하고, 인터넷폰 형태의 서비스를 받을 때는 컴퓨터에 부착된 주변기기를 사용하므로 일반전화와 인터넷을 통해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장비를 중복 투자하는 문제점과, 사용자들이 인터넷폰을 위해 컴퓨터의 연결된 주변기기들(이를테면, 헤드셋, 스피커 및 마이크) 조작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종래의 전화기와 인터넷폰을 위해 사용되는 장비를 하나의 장치로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폰 사용과 일반전화 사용을 투명(transparent)하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인터넷폰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폰 및 일반 전화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에 전화기와 인터넷폰을 위해 사용되는 장비를 하나의 장치로 구비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환경에서의 컴퓨터와 전화기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 복합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화 복합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 복합 시스템의 전화복합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복합기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200 : 컴퓨터 210 : 음향 발생부
220 : 음성 저장부 230 : 재생부
240 : 제어부 250 : 인터넷통신부
300 : 전화복합기 301 : 통신부
302 : 컴퓨터 인터페이스부 303 : 다이얼입력부
304a : 수화기 304b :헤드셋
304c : 스피커 및 마이크 304d : 외부스피커
305a : 수화기훅스위치키 305b : 전화 및 인터넷폰 전환키
305c : 스피커 및 헤드셋 전환키 305d : 전화활성화키
305e : 외부스피커 선택키 305f : 재생키
306 : 녹음키 307 : 전화기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공중전화망과 전화통화를 하는 통신부;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위해 음향을 주고받는 컴퓨터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할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입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화 통화할 때와 상기 컴퓨터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할 때 사용되는 다수의 통화장비들; 상기 다수의 통화장비들의 사용을 선택하는 다수의 키들; 상기 다수의 키들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다수의 통화장비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통화하는 것을 제어하는 전화제어부를 포함하는 전화 복합기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통화장비들은 수화기, 헤드셋, 그리고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키들은, 상기 수화기를 통한 전화통화를 온/오프하는 수화기훅스위치키; 상기 통신부를 통한 전화 통화와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인터넷폰 통화를 선택적으로 선정하는 전화및인터넷폰전환키; 상기 전화 통화 및 인터넷폰 통화를 위해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와, 상기 헤드셋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는 스피커및헤드셋전환키; 상기 수화기훅스위치키의 후크오프(HookOff)없이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전화활성화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장비는 상기 음향을 외부로 증폭시켜 발생하는 외부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외부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스피커선택키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전화 통화를 위한 다수의 통화장비를 구비한 전화복합기;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위한 인터넷통신부; 상기 전화복합기를 통한 전화 통화 내용을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인터넷통신부를 통한 인터넷폰 통화 내용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발생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저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음향발생부를 통해 상기 전화복합기로 전달하는 재생부;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전화 통화 내용 및 상기 인터넷폰 통화 내용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하여 상기 전화복합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화 복합 시스템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화복합기는 공중전화망과 전화통화를 하는 통신부; 상기 음향 발생부와 음향을 주고받는 컴퓨터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할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입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화 통화할 때와 상기 컴퓨터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할 때 사용되는 다수의 통화장비들; 상기 다수의 통화장비들의 사용을 선택하고 서비스를 선택하는 다수의 키들;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음성저장부에 저장하게 명령하는 녹음키; 상기 다수의 키들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다수의 통화장비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통화하는 것을 제어하는 전화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통화장비들은 수화기, 헤드셋, 그리고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키들은 상기 수화기를 통한 전화통화를 온/오프하는 수화기훅스위치키; 상기 통신부를 통한 전화 통화와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한 인터넷폰 통화를 선택적으로 선정하는 전화및인터넷폰전환키; 상기 전화 통화 및 인터넷폰 통화를 위해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와, 상기 헤드셋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는 스피커및헤드셋전환키; 상기 수화기훅스위치키의 후크오프(HookOff)없이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전화활성화키; 상기 재생부를 기동시켜 상기 음성 저장부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게 하는 재생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장비는 상기 음향을 외부로 증폭시켜 발생하는 외부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키는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외부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스피커선택키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터넷통신부, 상기 음향발생부, 상기 음성 저장부, 상기 재생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동일 컴퓨터에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을 첨부된 도면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화 복합 시스템을 살펴보면, 컴퓨터(200)는 전화복합기(300)와 통신 케이블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컴퓨터(200)의 음향 발생부(210)는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인터넷통신부(250)를 통해 인터넷으로부터 인터넷폰 전화통화내용을 수신하거나, 후술할 전화복합기(300)의 통신부(301)를 통해 공중전화망(PSTN)으로부터 전화통화내용을 수신하여 음성 디지털 데이터로 생성하여 제어부(240)에 전달한 후, 제어부(240)는 전달된 음성 디지털 데이터를 음성 저장부(220)에 저장하므로 통화 내용을 녹음한다. 이때, 통화내용 녹음에 대한 명령은 후술할 전화복합기(300)의 녹음키(306)를 통해 제어부(240)에 전달된다.
한편, 제어부(240)는 음성저장부(220)에 저장된 전술한 통화 내용 및 음성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부(230)를 통해 재생한 후, 음향발생부(21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전화복합기(300)에 전달하여, 현재 전화복합기(300)에 연결된 상대편으로 저장된 음성을 전송하거나. 인터넷통신부(250)를 통해 인터넷에 전송한다.
한편, 도 3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전화 복합 시스템의 외관도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 음향발생부(210)는 사운드카드(sound card)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화 복합 시스템의 전화복합기(300)를 나타내며, 도 5는 전화복합기(3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화복합기를 상세히 살펴보면, 공중전화망(PSTN)과 전화통화를 하는 통신부(301)와, 음향 발생부(210)와 음향을 주고받는 컴퓨터인터페이스부(302)와, 통신부(301)를 통해 통화할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입력부(303)와, 통신부(301)를 통해 전화 통화할 때와 컴퓨터인터페이스부(302)를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할 때 사용되는 다수의 통화장비들(304)과, 다수의 통화장비들(304)의 사용을 선택하고 서비스를 선택하는 다수의 키들(305)과, 통화내용을 음성저장부(220)에 저장하게 명령하는 녹음키(306)와, 다수의 키들(305)의 선택에 따라 다수의 통화장비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통화하는 것을 제어하는 전화제어부(307)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다수의 통화장비들(304)은 수화기(304a), 헤드셋(304b), 그리고 스피커 및 마이크(304c)를 포함하며, 다수의 키들(305)은 수화기(304a)를 통한 전화통화를 온/오프하는 수화기훅스위치키(305a)와, 통신부(301)를 통한 전화 통화와 컴퓨터 인터페이스부(302)를 통한 인터넷폰 통화를 선택적으로 선정하는 전화및인터넷폰전환키(305b)와, 전화 통화 및 인터넷폰 통화를 위해 스피커 및 마이크(304c)와 헤드셋(304b)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는 스피커및헤드셋전환키(305c)와, 수화기훅스위치키(305a)의 후크오프(HookOff)없이 전화 통화를 하기 위한 전화활성화키(305d)와, 통화내용을 외부스피커(304d)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스피커선택키(305e)와, 재생부(230)를 기동시켜 음성 저장부(220)에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게 하는 재생키(205f)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전화복합기(300)는 음향을 외부로 증폭시켜 발생하는 외부스피커(304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화 복합 시스템의 작용을 수화기를 통한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과정, 헤드셋을 이용하여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과정, 스피커 및 마이크를 사용하여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과정, 인터넷폰 전화통화를 수화기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과정, 인터넷폰 전화통화를 헤드셋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과정, 인터넷폰 전화통화를 스피커 및 마이크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과정, 전화통화 내용을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 일반전화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과정, 인터넷폰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과정, 그리고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통해 살펴본다.
모든 과정을 살펴보기 앞서 바람직하게 전화및인터넷폰전환키(305c)는 디폴트로 일반 전화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다.
. 수화기를 통한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과정
사용자가 수화기(304a)를 들면 수화기훅스위치키(305a)가 후크오프(HookOff)되고, 사용자가 다이얼입력부(303)를 통해 전화를 입력하면 전화제어부(307)는 공중전화망(PSTN)에 연결된 통신부(301)를 통해 통화라인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수화기(304a)를 통해 일반전화통화를 한다.
. 헤드셋을 이용하여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과정
사용자가 전화활성화키(305d)를 눌러 전화통화를 활성화시켜 착신 신호를 받은 후, 스피커및헤드셋전환키(305c)를 눌러 통화가 헤드셋(304b)을 통해 가능하게 한 후, 사용자가 다이얼입력부(303)를 통해 전화를 입력하면 전화제어부(307)는 공중전화망(PSTN)에 연결된 통신부(301)를 통해 통화라인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헤드셋(304b)을 통해 일반전화통화를 한다.
. 스피커 및 마이크를 사용하여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하는 과정
사용자가 전화활성화키(305d)를 눌러 전화통화를 활성화시켜 착신 신호를 받은 후, 스피커및헤드셋전환키(305c)를 눌러 통화가 스피커 및 마이크(304c)를 통해 가능하게 한 후, 사용자가 다이얼입력부(303)를 통해 전화를 입력하면 전화제어부(307)는 공중전화망(PSTN)에 연결된 통신부(301)를 통해 통화라인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스피커 및 마이크(304c)를 통해 일반전화통화를 한다.
. 인터넷폰 전화통화를 수화기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과정
사용자가 컴퓨터(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폰 통화를 수행할 때, 사용자는 전화복합기(300)의 전화및인터넷폰전환키(305b)를 눌러 인터넷폰 통화를 가능하게 한 후, 수화기(304a)를 들어 인터넷 전화통화를 한다. 이때 통화 내용은 컴퓨터의 음향발생부(210)를 통한다.
. 인터넷폰 전화통화를 헤드셋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과정
사용자가 컴퓨터(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폰 통화를 수행할 때, 사용자는 전화복합기(300)의 전화및인터넷폰전환키(305b)를 눌러 인터넷폰 통화를 가능하게 한 후, 스피커및헤드셋전환키(305c)를 눌러 통화가 헤드셋(304b)을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가능하게 한 후, 사용자가 헤드셋(304b)에 의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200)를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한다.
. 인터넷폰 전화통화를 스피커 및 마이크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과정
사용자가 컴퓨터(20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여 인터넷폰 통화를 수행할 때, 사용자는 전화복합기(300)의 전화및인터넷폰전화키(305b)를 눌러 인터넷폰 통화를 가능하게 한 후, 스피커및헤드셋전환키(305c)를 눌러 통화가 스피커 및 마이크(304c)를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가능하게 한 후, 사용자가 스피커 및 마이크(304c)에 의해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200)를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한다.
. 전화통화 내용을 외부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
전술한 과정으로 일반전화통화 또는 인터넷폰 통화를 수행할 때, 통화 내용을 전화복합기(300)에 연결된 외부스피커(304d)로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외부스피커선택키(305e)를 누른다.
. 일반전화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과정
전술한 과정으로 일반전화통화를 수행할 때, 사용자에 의해 녹음키(306)가 눌리면 전화기제어부(307)의 제어에 따라 컴퓨터인터페이스부(302)를 통해 통화 내용은 음향 발생부(210)에 전송되고, 음향 발생부(210)에 의해 전송된 통화 내용은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어부(240)의 제어에 따라 음성저장부(220)에 저장된다.
. 인터넷폰 통화 내용을 저장하는 과정
전술한 과정으로 인터넷폰 통화를 수행할 때, 사용자에 의해 녹음키(306)가 눌리면 제어부(240)는 현재의 통화 내용을 음성저장부(220)에 저장한다.
.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과정
사용자에 의해 재생키(305f)가 눌려 재생 기능이 호출되어 컴퓨터(200)에 인터럽트가 걸리면, 컴퓨터(200)의 제어부(240)는 음성저장부(220)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재생부(230)를 통해 재생하여 음향 발생부(210)에 의해 음향을 발생한 후 전화복합기(300)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저장된 음향을 들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생부(230)는 소프트웨어의 오디오 재생 플레이어일 수 있으며, 재생된 음성은 통화 중에 삽입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전화기와 인터넷폰을 위해 사용되는 장비를 하나의 장치로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인터넷폰 사용과 일반전화 사용을 투명(transparent)하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인터넷폰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인터넷폰 및 일반 전화 통화 내용을 녹음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종래에 전화기와 인터넷폰을 위해 사용되는 장비를 하나의 장치로 구비하여 통화 내용 저장 및 음성 재생 등과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이 멀티미디어 컴퓨터와 연동하여 사용할 때 정리된 주변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일반전화와 같은 느낌으로 인터넷폰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여 일반전화기 사용에 익숙한 기업체의 랜(LAN) 환경에서 편리한 음성메일 및 멀티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Claims (8)

  1. 공중전화망과 전화통화를 하는 통신부; 컴퓨터를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위해 음향을 주고받는 컴퓨터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할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 입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화 통화할 때와 상기 컴퓨터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할 때 사용하도록 수화기, 헤드셋, 그리고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통화장비들; 상기 통화장비들 중 어느 하나의 통화장비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장비들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된 통화장비 선택키들과, 상기 수화기가 후크 온상태에서도 일반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화 활성화키와, 상기 일반전화 통화기능과 상기 인터넷폰 통화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전화 및 인터넷폰 전환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통화장비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통화하는 것을 제어하는 전화기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수화기를 들고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중전화망을 접속하고, 상기 수화기를 통하여 일반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통화장비 선택키들 중 상기 헤드셋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입력하고, 상기 전화 활성화키를 입력한 후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중전화망을 접속하고, 상기 헤드셋을 통하여 일반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상기 통화장비 선택키들 중 상기 스피퍼 마이크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입력하고, 상기 전화 활성화키를 입력한 후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중전화망을 접속하고,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하여 일반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전화 및 인터넷폰 전환키를 입력한 후 상기 수화기를 들고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 수화기를 통해 상기 인터넷폰 통화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상기 전화 및 인터넷폰 전환키를 입력하고, 상기 통화장비 선택키들 중 상기 헤드셋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입력한 후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 헤드셋을 통해 상기 인터넷폰 통화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전화 및 인터넷폰 전환키를 입력하고, 상기 통화장비 선택키들 중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입력한 후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상기 인터넷폰 통화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복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장비 선택키들은, 상기 수화기를 통한 전화통화를 온/오프하는 수화기 훅 스위치키; 및 상기 전화 통화 및 인터넷폰 통화를 위해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와, 상기 헤드셋 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는 스피커 및 헤드셋 전환키를 포함하는 전화 복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장비는, 상기 음향을 외부로 증폭시켜 발생하는 외부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부는,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외부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 스피커 선택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복합기.
  4. 전화 통화를 위한 수화기, 헤드셋,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통화장비를 구비한 전화복합기;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위한 인터넷 통신부; 상기 전화복합기를 통한 전화 통화 내용을 수신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인터넷통신부를 통한 인터넷폰 통화 내용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며, 변환된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저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여 상기 음향 발생부를 통해 상기 전화복합기로 전달하는 재생부; 상기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상기 전화 통화 내용 및 상기 인터넷폰 통화 내용을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통화내용을 재생하여 상기 전화복합기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복합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복합기는, 공중전화망과 전화통화를 하는 통신부; 상기 음향 발생부와 음향을 주고받는 컴퓨터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화할 상대편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다이얼 입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화 통화할 때와 상기 컴퓨터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인터넷폰 통화를 할 때 사용하도록 상기 수화기, 상기 헤드셋,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통화장비들; 상기 통화장비들 중 어느 하나의 통화장비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통화장비들에 일대일 대응하도록 설치된 통화장비 선택키들과, 상기 수화기가 후크 온상태에서도 일반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전화 활성화키와, 상기 일반전화 통화기능과 상기 인터넷폰 통화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전화 및 인터넷폰 전환키와, 상기 일반전화통화기능과 상기 인터넷폰 통화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전화 및 인터넷폰 전환키와,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음성 저장부에 저장하게 명령하는 녹음키와, 상기 음성 저장부에 녹음된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재생부를 통하여 재생하도록 명령하는 재생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 상기 키 입력부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키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통화장비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통화하는 것을 제어하는 전화기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수화기를 들고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중전화망을 접속하고, 상기 수화기를 통하여 일반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통화장비 선택키들 중 상기 헤드셋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입력하고, 상기 전화 활성화키를 입력한 후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중전화망을 접속하고, 상기 헤드셋을 통하여 일반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상기 통화장비 선택키들 중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입력하고, 상기 전화 활성화키를 입력한 후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여 상기 공중전화망을 접속하고,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하여 일반전화통화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전화 및 인터넷폰 전환키를 입력한 후 상기 수화기를 들고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 수화기를 통해 상기 인터넷폰 통화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상기 전화 및 인터넷폰 전환키를 입력하고, 상기 통화장비 선택키들 중 상기 헤드셋을 선택하기 위한 키를 입력한 후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 헤드셋을 통해 상기 인터넷폰 통화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상기 전화 및 인터넷폰 전환키를 입력하고, 상기 통화장비 선택키들 중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를 선택하기 위한 키를 입력한 후 상기 다이얼 입력부를 통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 제어부는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에 접속하여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를 통해 상기 인터넷폰 통화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상기 녹음키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음성 저장부에 녹음하고; 사용자가 상기 재생키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음성 저장부에 녹음된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재생부를 통해 재생하고, 상기 음향 발생부를 통하여 상기 전화복합기에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복합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장비 선택키들은, 상기 수화기를 통한 전화통화를 온/오프하는 수화기 훅 스위치키; 및 상기 전화 통화 및 인터넷폰 통화를 위해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와, 상기 헤드셋중 어느 하나를 선정하는 스피커 및 헤드셋 전환키를 포함하는 전화 복합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장비는, 상기 음향을 외부로 증폭시켜 발생하는 외부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부는, 상기 통화내용을 상기 외부스피커로 출력하기 위한 외부 스피커 선택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복합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통신부, 상기 음향발생부, 상기 음성 저장부, 상기 재생부,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동일 컴퓨터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 복합 시스템.
KR1019970071794A 1997-12-22 1997-12-22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KR100278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794A KR100278599B1 (ko) 1997-12-22 1997-12-22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794A KR100278599B1 (ko) 1997-12-22 1997-12-22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331A KR19990052331A (ko) 1999-07-05
KR100278599B1 true KR100278599B1 (ko) 2001-01-15

Family

ID=6609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794A KR100278599B1 (ko) 1997-12-22 1997-12-22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5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409B1 (ko) * 2000-12-29 2003-03-15 삼정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통화내용 녹음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04133B1 (ko) * 2000-11-10 2003-11-05 주식회사 카티정보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KR20040037677A (ko) * 2002-10-29 200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씨를 이용한 휴대폰의 호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784B1 (ko) * 2000-02-02 2002-04-12 장도호 인터넷 폰, 일반 전화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포함한 통합다기능 전화기 및 통신 방법
KR20000024294A (ko) * 2000-02-03 2000-05-06 김상우 인터넷 전화 기능을 갖는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방법
KR100334087B1 (ko) * 2000-02-18 2002-05-02 최윤석 인터넷 전화기 인터페이스장치 및 인터넷-국선-외부전화기간 통화 구현방법
KR100353483B1 (ko) * 2000-02-24 2002-09-19 양군모 유니버설 시리얼포트를 이용한 전화접속 부가장치 및 그 운용 방법
KR100438580B1 (ko) * 2001-12-13 2004-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씨 사운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전화기
KR20040023003A (ko) * 2002-09-10 2004-03-18 주식회사 케이.티.씨.텔레콤 컴퓨터를 이용한 유무선전화기의 통화정보관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133B1 (ko) * 2000-11-10 2003-11-05 주식회사 카티정보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KR100376409B1 (ko) * 2000-12-29 2003-03-15 삼정데이타서비스 주식회사 통화내용 녹음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37677A (ko) * 2002-10-29 200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씨를 이용한 휴대폰의 호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33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262B1 (en) Cellular telephone accessory device for a personal computer system
US69377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of ringing and voice calls through a workstation
JP2002064626A (ja) 携帯電話機
KR100278599B1 (ko)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TW200845708A (en) Universal speakerphone with adaptable interface
KR100404133B1 (ko)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US6757379B1 (en) Apparatus for the attachment of a computer to a telephone set, and a computer comprising the same
KR200220737Y1 (ko)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CN100411403C (zh) 网络电话终端及网络电话的呼叫、接听方法
JPH10271204A (ja) 留守応答装置及び留守番機能付き電話機
JP3593949B2 (ja) アダプ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11447332B (zh) 一种调度终端主板和调度终端
JP4227875B2 (ja) 通話録音用アダプタ装置
AU747487B2 (en) Transceiver for various information formats
KR100353228B1 (ko) 통화 보조 시스템
KR200172848Y1 (ko) 전화기의 송수화기에 연결하여 핸드프리, 녹음등의기능을 갖는 장치
KR100681337B1 (ko) 컴퓨터로 제어가능한 다기능 전화기
JP3854335B2 (ja) モデム装置
JP3412428B2 (ja) 電話端末装置
KR20020039491A (ko) 다기능 전화기
KR20010001635A (ko) 컴퓨터를 이용한 통화음 녹음장치와 그 제어방법
KR200347179Y1 (ko) 다기능 전화기
JP4348911B2 (ja) 通話システム
JP2002009898A (ja) 電話機及び留守番電子メールの送信方法
JP3295459B2 (ja) 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