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737Y1 -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 Google Patents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737Y1
KR200220737Y1 KR2020000031472U KR20000031472U KR200220737Y1 KR 200220737 Y1 KR200220737 Y1 KR 200220737Y1 KR 2020000031472 U KR2020000031472 U KR 2020000031472U KR 20000031472 U KR20000031472 U KR 20000031472U KR 200220737 Y1 KR200220737 Y1 KR 200220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all
computer
modu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석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카티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카티정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카티정보
Priority to KR2020000031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737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공중 전화망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와 컴퓨터를 연결되게 설치하여,일반 전화사용은 물론 컴퓨터를 통한 통화제어, 메시징 기능, 브이오아이피(VoIP)통화기능, 발신자 번호 확인 기능 및 통화자 자동 팝업(Pop-Up)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와 연동사용하는 전화 통합용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전화기와 접속되어 입력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변복조수단, 그 변복조수단과 접속되고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입출력하는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 상기 변복조수단 및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과 접속되고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제어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그램 가능 고속직렬버스 칩셋(Chipset)과, 상기 변복조수단 및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과 접속되고 디코딩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입력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DSP 칩셋으로 된 고속직렬버스 어댑터와, 상기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전화통화를 제어하는 전화통화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일반 전화기를 이용하면서도 컴퓨터에 등록되는 다양한 솔루션을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TELEPHONY INTEGRATION SYSTEM Using COMPUTER}
본 고안은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CTI: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중전화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컴퓨터를 통한 통화 제어, 메시징 기능, 브이오아이피(VOIP)통화 기능, 발신자 번호 확인 기능, 통화자 자동 팝업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한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CTI시스템은 공중전화망과 구내 통신망(LAN)을 연결하여 전화신호에 각종 정보를 연계할 목적으로 제안되었다. 따라서 교환기 시스템에 연결된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를 독립된 CTI서버와 네트워크 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에 의하여 제어하는 방식으로 CTI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CTI 시스템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국내 공개실용 제2000-7호에 컴퓨터에 사용되는 내장형의 라디오 수신카드와, 외장형의 핸즈프리 전화기를 통합하여 하나의 내장형 카드로 구성하여 컴퓨터의 소프트 웨어 및 이어폰의 버튼을 사용하여 전화 통화와 라디오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168682호에는 컴퓨터에 사용되는 내장형의 핸드프리 전화기 카드에 DTMF 톤 디코더 및 다수의 믹서를 통합 구성하여, 컴퓨터에 통상적으로 내장되어 있는 사운드 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DTMF 톤 디코더가 부설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위 기술들을 개량한 것으로 국내 공개특허 제2000-463호에는 손쉽게 전화통화를 할 수 있도록 전자문서에 기재된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자동 다이얼링을 구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 국내 공개특허 제2000-54100호에는 예컨대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경우 친구, 가족 등의 이미지를 컴퓨터 가상전화기가 갖고 있는 화면을 통하여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며, 배너광고 디스플레이의 경우 광고의 제목, 동영상의 제목, 문자 메시지, 상호와, 전화번호 등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어와 파일로 저장된 동영상 등을 컴퓨터가상 전화기의 화면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가상전화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CTI 시스템들은 어느 것이나 전화통화를 위해서는 컴퓨터에 사운드카드, 스피커, 마이크 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 헤드 셋을 갖추어야 하고 그 기능이 다양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공중전화망에 연결된 일반 전화기와 컴퓨터를 연결하여, 컴퓨터에 사운드카드, 스피커, 마이크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음과 아울러 헤드셋이 구비되지 않아도, 컴퓨터를 통한 통화 제어, 메시징 기능, 브이오아이피 통화기능, 발신자 번호 확인기능, 통화자 자동 팝업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은, 전화기와 접속되고 입력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변복조수단, 상기 변복조수단과 접속되고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입출력하는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 및 상기 변복조수단 및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과 접속되고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제어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펌웨어를 가진 고속직렬버스 칩셋과; 상기 변복조수단 및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과 접속되고 디코딩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입력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DSP 칩셋과; 그리고, 상기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전화통화를 제어하는 전화통화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전화통화를 위하여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 때의 다이얼 톤이 변복조수단에 의하여 감지되어 펌웨어에서 변환된 제어코드가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으로부터 사용자 컴퓨터로 입력되면 주소록을 사용자 컴퓨터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 시키고 이 주소록에서 전화번호를 클릭하여 전화를 걸게 하는 주소록 팝업 모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전화통화중에 상대방의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 시키고 통화후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상대방의 정보를 팝다운 시키는 상대방 정보 팝업 모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전화가 연결되면 사용자 컴퓨터의 화면에 자신의 일정표를 자동적으로 팝업 시키고 통화후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팝업 화면을 팝다운 시키는 일정표 팝업 모듈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 때 상대방의 신상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컴퓨터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 시키는 발신자 정보 팝업 모듈을 가질 수 있다. 이 발신자 정보 팝업 모듈의 경우, 상대방 정보 DB 내에 발신자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항목이 없으면 자동적으로 전화번호 항이 입력되어 나타나고 이 전화번호 항과 관련한 기재란에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통화중 전화기의 녹음버튼이나 전화통화제어모듈상의 녹음버튼을 누름으로써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통화내용녹음모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사용자가 통화중이 아닐 때 전화기의 녹음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키 톤이 변복조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이것이 펌웨어에서 제어코드로 변환되어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전달됨으로써 사용자의 통화내용녹음모듈이 구동되며, 사용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녹음한 후 상기 녹음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컴퓨터에 주소록이 자동적으로 팝업 되고, 이 주소록에서 상대방의 이메일주소를 선택하면 녹음된 파일이 이메일 전송되게 하는 음성메일모듈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녹음된 통화내용을 전화통화제어모듈상의 녹음파일듣기버튼을 누르면 녹음 데이터가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을 통하여 DSP 칩셋에서 디지털 신호로 처리된 후 변복조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전화기의 수화기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게 하는 통화내용재생모듈을 더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전화통화제어모듈상의 브이오아이피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컴퓨터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주소록을 팝업 시킴과 아울러 이 주소록에 있는 전화번호를 클릭하면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화를 걸게 하고, 인터넷망을 통한 전화연결이 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전화를 걸게 하는 브이오아이피 통화모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전화통화제어모듈상의 080 버튼을 누르면 080 무료전화 리스트가 자동적으로 팝업되고 사용자는 이 리스트상의 업체를 선택하여 무료전화를 할 수 있는 080 무료전화 팝업 모듈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을 이용한 전화망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전화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전화통화제어모듈을 구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전화통화제어모듈에 의해 전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전화기와 사용자 컴퓨터간의 음성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전화를 걸 때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전화가 걸려왔을 때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브이오아이피 통화시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전화기 310 : 고속직렬버스 칩셋
312 : 변복조수단 314 :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
316 : 펌웨어(Firm Ware) 330 : DSP 칩셋
400 : 사용자 컴퓨터 410 : 전화통화제어모듈
412 : 주소록 팝업 모듈 414 : 상대방 정보 팝업 모듈
416 : 일정표 팝업 모듈 418 : 발신자 정보 팝업 모듈
420 : 통화내용녹음모듈 422 : 음성메일모듈
424 : 통화내용재생모듈 426 : 브이오아이피 통화모듈
428 : 080 무료전화 팝업 모듈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을 이용한 전화망의 개념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은, 전화기(200)와 접속됨과 아울러 사용자 컴퓨터(400)와 접속되는 다기능 고속직렬버스 어댑터(30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고속직렬버스는 컴퓨터 주변 장치의 접속 규격으로서, 컴퓨터 뒷면에 위치한 복잡한 직렬 및 병렬 포트를 없앨 수 있고 고속직렬버스 포트 하나에 최대 127개까지의 주변 장치, 예컨대 백업 테이프 드라이브, 모니터, 키보드, 프린터, 스캐너, 조이스틱 등을 연결할 수 있으며, 최고 12 Mbits/s의 전송 속도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본 고안에 채용하게 되었다.
상기 다기능 고속직렬버스 어댑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200)와 접속됨과 아울러 사용자 컴퓨터(400)와 접속되는 고속직렬버스 칩셋(310)과, 상기 고속직렬버스 칩셋(310)과 접속되는 DSP 칩셋(330)을 가진다.
상기 고속직렬버스 칩셋(310)은 전화기(200) 및 DSP 칩셋(330)과 접속되고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거나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변복조수단(312)과, 상기 변복조수단(312) 및 사용자 컴퓨터(400)와 접속되고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입출력하는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과, 그리고 상기 변복조수단(312) 및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 (314)과 접속되고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제어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펌웨어(316)를 가진다. 따라서 전화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DTMF 신호는 변복조수단(312)에 의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이 신호는 펌웨어(316)에 의하여 제어코드로 변환되어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를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 (4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DSP 칩셋(330)은 변복조수단(312) 및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과 접속되고 디코딩 프로그램이 내장됨으로써 변복조수단(312) 또는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으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과 접속되는 사용자 컴퓨터(400)에는 상기 어댑터(300)를 통하여 전화통화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로서 전화통화제어모듈 (410)이 설치된다.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4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 팝업 모듈(412), 상대방 정보 팝업 모듈(414), 일정표 팝업 모듈(416), 발신자 정보 팝업 모듈(418), 통화내용녹음모듈(420), 음성메일모듈(422), 통화내용재생모듈(424), 브이오아이피 통화모듈(426) 및 080 무료전화 팝업 모듈(428)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소록 팝업 모듈(412)은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위하여 전화기(200)의 송수화기를 들면 이 때 발생하는 전화기(200)의 다이얼 톤이 변복조수단(312)에 의하여 감지되고, 이 신호가 펌웨어(316)에서 제어코드로 변환되어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400)로 입력되면 사용자 컴퓨터(400)에 미리 저장된 주소록 DB(데이터베이스)(440)로부터 주소록을 사용자 컴퓨터(400)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 시키며, 이 주소록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를 클릭하면 상대방에게 전화가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주소록 팝업 모듈(412)에 의하여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드는 것만으로 컴퓨터에 주소록이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되고, 마우스로 원하는 전화번호를 클릭하면 DTMF 신호가 사용자 컴퓨터 (400),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 변복조수단(312)을 거쳐 전화기(200)에 전달되어 자동적으로 전화걸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 클릭에 의하여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대방 정보 팝업 모듈(414)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면 사용자 컴퓨터 (400)에 미리 저장된 상대방 정보 DB(450)로부터 상대방의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컴퓨터(400)의 화면에 상대방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팝업 시키고 통화가 완료된 후에 송수화기를 전화기(200)에 내려놓으면 상대방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팝 다운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 통화중에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상대방에 대한 각종 정보를 확인하면서 전화를 할 수 있고, 통화 후에는 상대방 정보가 자동적으로 사라지므로 다른 작업에 방해를 주지 않는다.
또한, 상기 일정표 팝업 모듈(416)은 전화통화가 이루어지면 사용자 컴퓨터 (400)에 미리 저장된 일정표 DB(460)로부터 자신의 일정표를 사용자 컴퓨터(400)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 시키고 통화가 완료된 후에 송수화기를 전화기(200)에 내려놓으면 팝업 된 일정표를 자동적으로 팝 다운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일정표를 보면서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일정표에 맞추어 상대방과의 시간약속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자 정보 팝업 모듈(418)은 외부 인입 콜이 있을 때, 즉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 왔을 때 사용자 컴퓨터(400)에 미리 저장된 상대방 정보 DB(450)로부터 발신자의 신상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 컴퓨터(400)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 업 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방의 각종 정보를 확인하면서 전화를 받을 수 있으므로 전화통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이 발신자 정보 팝업 모듈(418)은 상대방 정보 DB(450)내에 발신자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항목이 없으면 자동적으로 전화번호 항이 입력되어 나타나고 이 전화번호 항과 관련한 기재 란에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통화중 또는 통화가 완료된 후 상대방 정보 DB(450)를 불러내어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화내용녹음모듈(420)은 통화중 전화기(200)의 녹음버튼이나 전화통화제어모듈(410)상의 녹음버튼을 누름으로써 별도의 장비 없이 사용자 컴퓨터(400)에 통화내용을 녹음하여 파일로 저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전화기(200)로부터 입력되는 모든 음성 데이터는 변복조수단(312)을 거쳐 사용자 컴퓨터(400)로 전달된다. 통화가 연결된 후 전화기(200)의 녹음버튼이나 전화통화제어모듈 (410)상의 녹음버튼을 누르면 녹음버튼의 키 톤이 변복조수단(312)에 의해 검출되고 이 신호가 펌웨어(316)에서 제어코드로 변환되어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400)에 전달된다. 사용자 컴퓨터(400)에서는 통화내용녹음모듈(420)이 실행되어 통화녹음이 이루어지고, 통화가 끝나 송수화기를 내려놓거나 녹음버튼을 다시 누르면 통화녹음이 종료되고 사용자 컴퓨터(400)에 파일로 저장된다. 파일저장방식은 wav, mp3, ra, rm 등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통화내용을 녹음한 파일이 재생은 통화내용재생모듈(424)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음성메일모듈(422)은 사용자가 통화중이 아닐 때 전화기(200)의 녹음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키 톤이 변복조수단(312)에 의해 검출되고, 이것이 펌웨어(316)에서 제어코드로 변환되어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400)에 전달됨으로써 사용자의 통화내용녹음수단이 구동되며,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녹음한 후 상기 녹음버튼을 누르면 녹음이 완료됨과 아울러 사용자 컴퓨터(400)의 화면에 주소록이 자동적으로 팝업 되고, 이 주소록에서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를 선택하면 녹음된 파일이 이메일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통화내용재생모듈(424)은 통화내용녹음모듈(420) 또는 음성메일모듈 (422)에 의하여 녹음된 파일의 재생을 위한 것으로서, 녹음된 통화내용을 전화통화제어모듈(410)상의 녹음파일 듣기버튼을 누르면 녹음 데이터가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을 통하여 DSP 칩셋(330)에서 디지털 신호로 처리된 후 변복조수단 (312)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전화기(200)의 수화기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통화내용재생모듈(424)에 의하며, 통화내용을 잊었을 경우 통화내용이 녹음된 파일을 클릭하면 언제든지 통화내용을 다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메일모듈(422)에 의하여 상대방에게 보낼 음성 메일 녹음내용도 다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음성의 재생 내용을 전화기(200)를 통하여 들을 수 있으므로 사운드 카드, 헤드 셋, 스피커, 마이크 등의 구성요소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이오아이피 통화모듈(426)은 전화통화제어모듈(410)상의 브이오아이피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컴퓨터(400)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주소록을 팝업 시킴과 아울러 이 주소록에 있는 전화번호를 클릭하면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화를 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브이오아이피 통화모듈(426)은 인터넷 망을 통한 전화연결이 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공중 전화망을 통하여 전화를 걸게 한다. 즉 브이오아이피 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키 톤이 변복조수단(312)에 의해 검출되고 이 신호는 펌웨어(316)에서 제어코드로 변환되어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를 통해 사용자 컴퓨터(400)로 전달된다. 사용자 컴퓨터(400)에서는 주소록 팝업 모듈(412)이 실행되어 주소록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이 주소록에서 원하는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브이오아이피 통화모듈(426)에 의하여 인터넷망을 통한 전화통화가 이루어진다. 인터넷망을 통한 전화통화가 이루어진 후에는 사용자의 음성데이터가 전화기(200), 변복조수단(312), DSP 칩셋(330) 및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400)에 전달되고, 인터넷 망을 통한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는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 DSP 칩셋(330) 및 변복조수단(312)을 거쳐 전화기(200)로 전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운드 카드, 헤드 셋, 마이크, 스피커 등이 없어도 인터넷 망을 통한 전화통화가 가능하다. 공중전화망을 통한 전화통화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080 무료전화 팝업 모듈(428)은 전화통화제어모듈(410)상의 080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컴퓨터(400)에 미리 저장된 080 무료전화 DB(470)로부터 080 무료 전화 리스트가 자동적으로 팝업 되고 사용자는 이 리스트상의 업체를 선택하여 무료전화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080 무료전화 리스트는 전화통화 후에는 자동적으로 팝 다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080 무료전화 버튼을 누르면, 전화기(200)로부터 키 톤이 변복조수단(312)으로 전달되어 감지되고, 이 신호는 펌웨어(316)에서 제어코드로 변화되어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을 통해 사용자 컴퓨터(400)에 전달된다. 사용자 컴퓨터(400)에서는 080 무료전화 DB(470)로부터 080 무료전화 리스트가 자동적으로 팝업 되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이 리스트에서 업체를 선택하면 DTMF 신호가 사용자 컴퓨터(400)로부터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 및 변복조수단(312)을 거쳐 전화기(200)로 전해져 걸화 걸기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080 무료전화 팝업 모듈(428)을 이용하면 일반전화기(200)의 메모리 버튼 수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또한 새롭게 변경되는 080 무료전화 데이터는 인터넷 등을 통하여 쉽게 업데이트 받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의 작용 일예를 도 3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전화기 기능 버튼에 의하여 전화통화제어모듈을 구동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전화기(200)기능 버튼에 의한 전화통화제어모듈(410)의 구동은, 먼저 전화기 (200)의 기능 버튼을 누르면(S100), 전화기(200)의 다이얼 톤에 의한 아날로그 DTMF 신호가 발생(S102)하고, 이 신호는 변복조수단(312)에서 감지(S104)되며, 펌웨어(316)에서 제어코드로 변환(S106)되어,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400)로 전달(S108)됨으로써, 전화통화제어모듈(410)을 구성하는 모듈 중 당해 모듈이 구동(S110)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전화통화제어모듈에 의하여 전화기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전화통화제어모듈(410)에 의한 전화기(200)의 제어 과정은, 전화통화제어모듈(410)상의 버튼을 누르면(S120), 사용자 컴퓨터(400)로부터 해당 제어코드가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으로 전송(S122)되어 변복조수단(312)으로 톤이 전달 (S124)되며, 이 디지털 신호는 변복조수단(312)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전화기(200)로 전달(S126)됨으로써 전화기(200)의 해당기능이 수행(S128)된다. 그리고 전화기(200)와 컴퓨터간의 음성 데이터 흐름은 도 5와 같이 수행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전화를 걸때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사용자가 전화를 걸때의 작동순서는 도 6과 같이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전화기(200)의 송수화기를 들면(S200), 고속직렬버스 칩셋(310)에서 전화기(200)의 다이얼 톤이 검출(S202)된다. 구체적으로는 변복조수단(312)에서 전화기(200)의 다이얼 톤이 검출된다. 이 신호는 펌웨어에서 제어코드로 변환되고 이 제어코드는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400)로 전달(S204)된다. 사용자 컴퓨터(400)에서는 주소록 팝업 모듈(412)이 구동되어 사용자 컴퓨터(400)에 미리 저장된 주소록 DB(440)로부터 주소록이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S206)된다. 이 주소록 리스트를 보고 사용자가 수신자를 선택(S208)하면 자동적으로 전화 걸기가 수행(S210)된다. 즉 주소록의 리스트에 있는 수신자를 원 클릭하는 것만으로 네트워크망(이 경우 공중전화망)(100)(도 1 참조)을 통한 전화 걸기가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화를 건 후 상대방이 전화를 받아 상대방과 전화통화가 연결(S212)되면 상대방 정보 팝업 모듈(414)이 구동되어 사용자 컴퓨터(400)에 미리 저장된 상대방 정보 DB(450)로부터 상대방의 정보가 자동적으로 팝업(S214)되므로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 된 상대방의 정보를 보면서 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전화가 연결(S212)된 경우 일정표 팝업 모듈(416)이 구동되어 사용자 컴퓨터(400)에 저장된 일정표 DB(460)로부터 일정표가 화면에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면 일정에 맞추어 상대방과 약속 등을 할 수 있다. 이 전화통화가 끝나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전화기(200)에 내려놓으면 팝업 된 정보들이 자동적으로 팝다운(S216)된다. 따라서 별도로 팝업 된 화면을 닫을 필요 없이 전화걸기 전에 행하던 컴퓨터 작업을 방해받지 않고 계속 수행할 수가 있다. 한편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왔을 때의 작동과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로 행해진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전화가 걸려왔을 때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오면(S300), 고속직렬버스 칩셋(310)의 변복조수단 (312)에서 링 신호 및 발신자번호 톤 신호가 검출(S302)된다. 이 신호는 펌웨어 (316)에서 제어코드로 변환되어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400)에 전달(S304)된다. 사용자 컴퓨터(400)에서는 상기 제어코드에 의하여 발신자 정보 팝업 모듈(418)이 구동 됨으로써 사용자 컴퓨터(400)에 미리 저장된 상대방 정보 DB(450)로부터 상대방의 정보가 자동적으로 화면에 팝업(S306)된다. 이 경우 상대방 정보 DB(450) 내에 발신자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항목이 없으면 자동적으로 전화번호 항이 입력되어 나타나고 이 전화번호 항과 관련한 기재 란에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상대방의 정보를 보고 사용자가 전화기(200)의 송수화기를 들어 전화통화가 연결(S308)되면 일정표 팝업 모듈(416)이 구동되어 사용자 컴퓨터(400)에 미리 저장된 일정표 DB(460)로부터 자신의 일정표가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S310)된다. 이 일정표를 보고 일정에 맞추어 상대방과의 시간 약속 등이 다른 일정과 겹치지 않게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통화가 종료되어 사용자가 전화기(200)에 송수화기를 내려 놓으면 팝업 된 일정표는 자동적으로 팝다운(S312)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에 있어서의 브이오아이피 통화시의 작동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다.
브이오아이피 통화를 위하여 사용자가 전화기(200)의 브이오아이피 버튼을 누르면(S400), 고속직렬버스 칩셋(310)의 변복조수단(312)에서 톤을 검출(S402)한다. 이 신호는 펌웨어(316)에서 제어코드로 변환되고 이 제어코드는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314)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400)에 전달(S404)된다. 사용자 컴퓨터 (400)에서는 주소록 팝업 모듈(412)이 구동되어 주소록이 자동적으로 화면에 팝업 (S406)되고, 이 주소록에서 수신자를 선택(S408)하면 네트워크망(100)중 인터넷망을 통한 전화 걸기가 수행(S410)된다. 인터넷 망을 통한 전화 걸기가 수행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네트워크망(100)중 공중전화망을 통한 전화 걸기가 수행(S412)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화 걸기가 수행된 결과 상대방과 전화통화가 연결(S414)되면 상대방 정보 팝업 모듈(414)일정표 팝업 모듈(416)이 구동되어 상대방의 정보 및 일정표가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방의 정보와 자신의 일정표를 확인하면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보의 근거하여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일정과 겹치지 않게 상대방과 약속시간 등을 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은, 기존의 어느 일반 전화기에도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 편리성과 경제성을 갖는 효과가 있고, 또한 음성을 녹음 및 재생할 수 있으므로 종래 필수적으로 사용자 컴퓨터에 구비되어야만 했던 사운드 카드, 마이크, 스피커 또는 헤드셋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송수화기를 들기만 하면 주소록이 자동적으로 팝업되고 이 주소록에서 수신자를 클릭하기만 하면 전화가 연결되므로 전화를 편리하게 걸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브이오아이피 통화기능을 이용할 경우 인터넷망 또는 공중전화망 중 어느 네트 워크 망을 통해서도 전화를 걸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하게 전화를 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화중에는 상대방의 정보 및 자신의 일정표가 자동적으로 팝업 되므로 상대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면서 전화통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리 짜여진 일정과 겹치지 않게 상대방과의 약속 시간 등을 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상대방의 통화를 녹음하여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이를 언제든지 재생하여 전화기를 통하여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메시지를 전화기를 통하여 녹음하여 파일로 저장하고 이를 상대방에게 음성 메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전화기의 사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080 무료전화 리스트를 팝업 시켜 수신업체를 선택하면 자동적으로 전화 걸기가 수행되므로 무료전화의 사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전화기와 접속되고 입력되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변복조수단, 상기 변복조수단과 접속되고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입출력하는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 상기 변복조수단 및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과 접속되고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제어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펌웨어로 이루어진 고속직렬버스 칩셋과, 상기 변복조수단 및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과 접속되고 디코딩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입력되는 오디오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복원하여 출력하는 DSP 칩셋으로 된 고속직렬버스 어댑터; 및
    상기 고속직렬버스 어댑터의 입출력수단과 접속되는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전화통화를 제어하는 전화통화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전화통화를 위하여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 때의 다이얼 톤이 변복조수단에 의해 감지되어 펌웨어에서 변환된 제어코드가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으로부터 사용자 컴퓨터로 입력되면, 그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된 주소록을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 시키고, 이 주소록에서 전화번호를 클릭하여 전화를 걸게 하는 주소록 팝업 모듈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제어 모듈은 전화통화 중에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된 상대방의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 시키고 통화후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팝업 된 화면을 팝 다운시키는 상대방 정보 팝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전화가 연결되면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된 자신의 일정표를 자동적으로 화면에 팝업 시키고 통화후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팝업 된 화면을 팝 다운시키는 일정표 팝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을 때 컴퓨터에 저장된 상대방의 정보를 검색하여 화면에 자동적으로 팝업 시키는 발신자 정보 팝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 팝업 모듈은 상대방 정보 DB 내에 발신자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항목이 없을 경우 자동적으로 전화번호 항이 입력되어 나타나고 이 전화번호 항과 관련한 기재 란에 추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통화중 전화기의 녹음버튼이나 전화통화제어모듈 상의 녹음버튼을 누름으로써 통화내용을 녹음하는 통화내용녹음모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통화중이 아닐 때 사용자가 전화기의 녹음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키 톤이 변복조수단에 의해 검출되고, 이것이 펌웨어에서 제어코드로 변환된 후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을 통하여 사용자 컴퓨터에 전달됨으로써 사용자의 통화내용녹음모듈이 구동되며, 사용자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녹음한 후 상기 녹음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컴퓨터에 주소록이 자동적으로 팝업 되고, 이 주소록에서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를 선택하면 녹음된 파일이 이메일 전송되게 하는 음성메일모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녹음된 통화내용을 전화통화제어모듈 상의 녹음파일듣기버튼을 누르면 녹음 데이터가 고속직렬버스 입출력수단을 통하여 DSP 칩셋에서 디지털 신호로 처리된 후 변복조수단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전화기의 수화기를 통하여 청취할 수 있게 하는 통화내용재생모듈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전화통화제어모듈 상의 브이오아이피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 컴퓨터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주소록을 팝업 시킴과 아울러 이 주소록에 있는 전화번호를 클릭하면 인터넷망을 통하여 전화를 걸게 하고, 인터넷망을 통한 전화연결이 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전화를 걸게 하는 브이오아이피 통화모듈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통화제어모듈은 전화통화제어모듈 상의 080 버튼을 누르면 080 무료전화 리스트가 자동적으로 팝업 되고 사용자는 이 리스트상의 업체를 선택하여 무료전화를 할 수 있는 080 무료전화 팝업 모듈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시스템.
KR2020000031472U 2000-11-10 2000-11-10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KR200220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72U KR200220737Y1 (ko) 2000-11-10 2000-11-10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472U KR200220737Y1 (ko) 2000-11-10 2000-11-10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655A Division KR100404133B1 (ko) 2000-11-10 2000-11-10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737Y1 true KR200220737Y1 (ko) 2001-04-16

Family

ID=73091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472U KR200220737Y1 (ko) 2000-11-10 2000-11-10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73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896A (ko) * 2001-05-17 2001-07-25 김영대 전화번호검색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10069783A (ko) * 2001-05-11 2001-07-25 이강석 발신자정보를 이용한 인터넷 정보조회 시스템
KR20010074611A (ko) * 2000-11-20 2001-08-04 이의복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푸시가 가능한전화통신장치
KR100385860B1 (ko) * 2000-12-23 2003-06-02 주식회사 케이티 Pc 와 cid 기능을 가진 전화기간의 공인 인증기관을통한 발신자 식별 방법
KR100408623B1 (ko) * 2001-05-22 2003-12-06 주식회사 아이비즈텔 Url을 이용한 원클릭 음성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611A (ko) * 2000-11-20 2001-08-04 이의복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푸시가 가능한전화통신장치
KR100385860B1 (ko) * 2000-12-23 2003-06-02 주식회사 케이티 Pc 와 cid 기능을 가진 전화기간의 공인 인증기관을통한 발신자 식별 방법
KR20010069783A (ko) * 2001-05-11 2001-07-25 이강석 발신자정보를 이용한 인터넷 정보조회 시스템
KR20010069896A (ko) * 2001-05-17 2001-07-25 김영대 전화번호검색을 이용한 부가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0408623B1 (ko) * 2001-05-22 2003-12-06 주식회사 아이비즈텔 Url을 이용한 원클릭 음성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262B1 (en) Cellular telephone accessory device for a personal computer system
US6519326B1 (en) Telephone voice-ringing using a transmitted voice announcement
EP1480422B1 (en) Enhanced telephony computer user interface allowing user interaction and control of a telephone using a personal computer
US8706092B2 (en) Outgoing voice mail recording and playback
US20030112938A1 (en) Telephone answering machine and method employing caller identification data
US6532230B1 (en) Mixed-medi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93772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y of ringing and voice calls through a workstation
KR100404133B1 (ko)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CN101478590A (zh) 一种手机语音自动回复方法及系统
KR100411497B1 (ko) 음성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음성메시지 송수신에 적합한휴대형 단말기
KR200220737Y1 (ko) 컴퓨터와 연동 사용하는 전화 통합 시스템
KR100278599B1 (ko) 전화복합기 및 이를 이용한 전화 복합 시스템
CN101662721A (zh) 一种在mtk手机平台上实现本地语音信箱的方法
WO2001043408A1 (en) Peripheral memory device for a wireless phone and methods of implementing and using same
JP2001230885A (ja) 注釈のついた音声メール応答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0900526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reading answers and records of telephone voice via internet
KR20010085178A (ko) 엠피쓰리 휴대폰에서의 엠피쓰리 음악 재생방법
JP3240000B1 (ja) 通信端末装置、着信メロディ演奏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100353228B1 (ko) 통화 보조 시스템
JP3175880B2 (ja) メール送信可能な電話端末装置
JP2008099121A (ja) 携帯電話機及びプログラム
CN201509227U (zh) 分体式多媒体电话机系统及电话座机
US20090257573A1 (en) Select ring
KR100399482B1 (ko) 영상전화기의 자동응답 녹음 및 재생 장치
JPH08195815A (ja) Lan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