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0802Y1 - 휴대용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0802Y1
KR200350802Y1 KR20-2003-0039238U KR20030039238U KR200350802Y1 KR 200350802 Y1 KR200350802 Y1 KR 200350802Y1 KR 20030039238 U KR20030039238 U KR 20030039238U KR 200350802 Y1 KR200350802 Y1 KR 200350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tograph mechanism
case
sliding
screen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9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주석
Original Assignee
노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주석 filed Critical 노주석
Priority to KR20-2003-0039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0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0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08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03B21/585Inflata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커버(102)에 의해 개폐 가능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에 지지봉(122)이 설치되는 스크린(120)과; 상기 지지봉의 중앙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스의 바닥 중앙에 힌지 결합되는 팬터그래프 기구(130)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 좌우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자유단이 팬터그래프 기구의 양쪽 하부아암(143,1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와;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각 하부아암(14.,15.)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의 슬라이딩 이동시 그 자유단을 완충시키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완충 스토퍼(230)와; 그리고, 상기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자유단과 팬터그래프 기구의 하부를 고정하는 힌지 브래킷(210)을 연결하여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자유단을 밀어올리는 한 쌍의 스프링(1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사기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자유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각 하부아암의 상단에 타단이 연결되는 보조스프링(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스크린 장치{PRTABLE SCREEN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휴대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프로젝션 TV를 포함한 프로젝터로부터 투영되는 영상은 주로 천정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스크린에 표시되며, 이들은 필요에 따라 수납된 상태에서 인출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부착식 스크린은 휴대를 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한 공간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회사 또는 사무소 등 필요한 곳에 프로젝터와 함께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스크린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02-3916호에 게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도 7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부에 손잡이(14)가 구비된 커버(11)가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저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받침판(12)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양단이 삽입되는 회동축(미도시)과; 상기 회동축에 하단부가 고정되며 회동축을 중심으로 감기거나 또는 풀리는 스크린(30)과; 상기 스크린(30)의 상단부를 고정하며, 중앙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수평 지지봉(50)과; 상기 케이스의(10)의 수평 지지봉(50)에 형성된 양 힌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며, 일단에서 절첩되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하강수단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로드가 상호 끝단부에서 힌지 결합되며 마름모 형태를 갖는 링크부재(41), 상기 링크부재(41)에서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한 쌍의 로드 일단에 양딘이 힌지 결합되며, 내부에 충진된 압력에 의해 피스톤을 신장시켜 링크부재가 승강되도록 절첩시키는 가스 리프터(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영상을 투영하고자 하는 장소에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놓고, 케이스(10)를 연 다음 수평 지지봉(50)의 손잡이를 잡아 스크린(30)을 위로 올리면, 링크부재(41) 및 가스 리프터(46)가 위로 신장되므로 스크린(30)의 펼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크린(30)에 영상을 투영한다. 그리고, 스크린(30)을 아래로 이동시키면 링크부재(41)가 접히면서 가스 리프터(46)가 축소되고 스크린(30)이 회동축에 감긴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로서 상기한 것 이외에도 한국 공개특허 제2000-17351호에 개시된 것 등 많은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도 10에서 보는 바와같이, 승·하강수단으로 스프링 대신 가스 리프트가 사용되는 것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휴대용 스크린 장치들에 있어서는 어느 것이나 링크부재(41)(또는 팬터그래프식 신축수단)에 의해 스크린(30)의 펼친 상태가 유지되는 한편 상기 링크부재(41)의 하단이 케이스(10)의 바닥 중앙에 고정되기 때문에, 스크린(30)의 인출/수납시 스크린(30)이 유동되어 인출/수납작동이 불안정하고, 스크린(30)에 바람이나 기타 외력이 작용할 경우 휴대용 스크린 장치가 넘어지는 경우도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성이 우수한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뒤쪽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배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앞쪽에서 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배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낸 일부 배면도.도 7내지 도10은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의 여러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02 : 커버
110 : 회전축 120 : 스크린
122 : 지지봉 130 : 팬터그래프 기구
143,153 : 하부아암 147,157 : 하부 힌지부
170,180 : 슬라이딩 서포트 172,182 : T형 그루브
175 : H형 핀 190, 200, 250, 260 : 메인 스프링
230 : 완충 스토퍼 232 : 완충 스프링
234 : 슬리이딩 블록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커버에 의해 개폐 가능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에 지지봉이 설치되는 스크린과; 상기 지지봉의 중앙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스의 바닥 중앙에 힌지 결합되는 팬터그래프 기구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 좌우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자유단이 팬터그래프 기구의 양쪽 하부아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와;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의 각 하부아암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서포트의 슬라이딩 이동시 그 자유단을 완충시키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완충 스토퍼와; 그리고, 상기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자유단과 팬터그래프 기구의 하부를 고정하는 힌지 브래킷을 연결하여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자유단을 밀어올리는 한 쌍의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스프링들의 설치구조는 변경될 수 있는데, 상기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상단에 각 메인 스프링의 일단이 연결되고, 팬터그래프 기구의 각 하부아암의 상단에 각 메인 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는 서로 마주보는 T형 그루브를 가지고, 상기 T형 그루브에 걸쳐 H형 핀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의 슬라이딩 이동시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상단에 접촉함으로써 그 충격을 완충하여 팬터그래프 기구가 부드럽게 신축되도록 함과 아울러 팬터그래프 기구의 신장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완충 스토퍼는 일단이 하부아암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완충 스프링과, 상기 하부아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완충 스프링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블록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각 스프링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무튜브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설치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110)에 연결되는 스크린(120)과, 상기 스크린(120)을 펼치기 위한 팬터그래프 기구(130)와,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130)에 상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케이스(100)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와, 그리고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13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의 하단 힌지부(147,157)에 타단이 연결되는 양쪽 메인 스프링(190,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결합된 커버(102)에 의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커버(102)의 상면에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들고 다닐 수 있는 손잡이(10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커버(102)를 잠글 수 있는 로킹장치(미도시)가 케이스(100) 및 커버(102)에 걸쳐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케이스(100)의 저면 양쪽에는 받침대(106)가 각각 더 설치될 수 있고 이 받침대(106)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는 회전축(110)이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10)은 예컨대 비틀림 스프링(미도시)과 같은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110)에는 예컨대 프로젝터에 의한 영상을 투영할 수 있는 스크린(120)의 하단이 연결됨으로써 스크린(120)이 회전축(110)에 감기거나 회전축(110)으로부터 스크린(120)이 풀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120)의 상단에는 지지봉(122)이 연결된다. 스크린(120)을 손쉽게 펼칠 수 있도록 지지봉(122)의 중앙에는 손잡이(1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팬터그래프 기구(130)는 상·하로 2개의 마름모꼴 형상을 이루도록 한 쌍의3절 링크기구(140,150)에 의하여 형성되며, 각 3절 링크기구(140,150)는 상부아암(141,151), 중간아암(142,152) 및 하부아암(143,153)이 지그재그 형태로 차례로 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아암들은 힌지핀에 의하여 직접 힌지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결합되는 두 아암중 어느 한 아암에 접합되는 힌지 브래킷의 개재에 의해 힌지핀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 아암들은 채널형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상단은 지지봉(122)의 중앙(구체적으로는 지지봉(122)에 설치되는 손잡이(124)의 저면)에 힌지 결합되고,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하단은 케이스(100)의 바닥 중앙에 힌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의 바닥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홈(미도시)이 전후로 형성된 힌지 브래킷(210)이 설치되며, 이 힌지 브래킷(210)의 홈들에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하단(즉, 각 3절 링크기구(140,150)를 구성하는 하부아암(143,153)의 하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봉(122)에 설치된 손잡이의 저면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힌지 브래킷(210)이 설치됨으로써 위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상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는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신장상태를 유동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이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양쪽 하부아암(143,1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하단이 케이스(100)의 바닥 좌우측에 힌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1슬라이딩 서포트(170)의 상단은 도 2에서 볼 때 좌측 하부아암(143,153)의 채널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슬라이딩 서포트(170)의 하단은 케이스(100)의 바닥 우측에 설치된 힌지 브래킷(212)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제2슬라이딩 서포트(180)의 상단은 우측 하부아암(143,153)의 채널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2슬라이딩 서포트(180)의 하단은 케이스(100)의 바닥 좌측에 설치된 힌지 브래킷에 힌지 결합된다. 즉,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가 'X'자 형상을 이루면서 팬터그래프 기구(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스크린(120)을 신축하는 과정은 물론 스크린(120)을 펼친 상태에서 본 고안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는 전후로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가 유동되지 않고 부드럽게 신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T형 그루브(172,182)를 가지고, 상기 T형 그루브(172,182)에 걸쳐 H형 핀(175)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신축될 때 상기 H형 핀(175) 부분은 상·하의 궤적으로 이동하면서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양쪽 메인 스프링(190,200)은 팬터그래프 기구(130)를 스크린(120)을 펼칠 때 복원력에 의해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신장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와 함께 팬터그래프 기구(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을 하도록 채용되며, 양쪽 메인 스프링(190,200)의 일단(상단)은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양쪽 하부 힌지부(즉, 중간아암(142,152)과 하부아암(143,153)과의 힌지 결합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양쪽 메인 스프링(190,200)의 하단은 양쪽 메인 스프링(190,200)의 하단은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의 하단 힌지부(147,157)(즉,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의 하단을 힌지 결합하기 위한 힌지 브래킷(210)에 연결된다. 이 양쪽 메인 스프링(190,200)도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와 마찬가지로 'X'자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스프링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무튜브(236)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무튜브(236)는 외관향상을 위하여 불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120)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전술한 예에 있어서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의 슬라이딩 이동시 각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의 상단에 접촉함으로써 그 충격을 완충하여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부드럽게 신축되도록 함과 아울러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신장높이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각 하부아암(143,153)의 양단부에 완충 스토퍼(230)가 각각 더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 스토퍼(230)는 일단이 하부아암(143,153)의 끝단부에 연결되는 완충 스프링(232)과, 상기 하부아암(143,1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완충 스프링(232)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완충 스프링(232)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무튜브(236)로 덮이고, 상기고무튜브(236)는 외관향상을 위하여 불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예들에 있어서 메인 스프링들의 설치구조가 변경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프링(250,260)의 일단이 각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의 상단에 연결되고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각 하부아암(143,153)의 상단에 상기 메인 스프링(250,260)의 타단이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메인 스프링(250,26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무튜브(236)로 덮이고 상기 고무튜브(236)는 외관향상을 위하여 불투명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까지 손잡이(104)를 잡고 본 고안의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운반한다. 휴대용 스크린 장치를 바닥에 놓고 커버(102)를 도 1과 같이 열고, 지지봉(122)에 설치된 손잡이를 잡고 스크린(120)을 위로 당겨 펼친다. 스크린(120)을 펼침에 따라 팬터그래프 기구(130)는 위로 신장된다. 또한,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신장과정에서 슬라이딩 서포트들(170,180)이 양쪽 하부아암(143,153)을 따라 위로 슬라이딩한다.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접힌 상태에서는 메인 스프링들(190,200) 또는 메인 스프링(250,260)들이 인장된 상태이므로 회전축(110)에 설치된 탄성수단(미도시)의 탄성력보다 큰 메인 스프링(190,200) 또는 메인 스프링(250,260)의 복원력에 의하여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신장되고,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완전히 신장되면 메인 스프링() 또는 메인 스프링의 탄성력이 회전축(110)의 탄성수단보다 크게 유지되므로,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신장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는 메인 스프링(190,200) 또는 메인 스프링(250,260)과 함께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신장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완충 스토퍼(230)들이 채용된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신장과정에서 양쪽 하부아암(143,153)의 상단쪽에 설치된 완충 스토퍼(230)들에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의 상단이 접촉하여 완충되므로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부드럽게 신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신장높이가 상기 완충 스토퍼(230)들에 의하여 일정하게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스크린(120)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봉(122)에 설치된 손잡이(104)를 아래로 누르면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접히면서 메인 스프링(190,200) 또는 메인 스프링(250,260)은 인장되고, 슬라이딩 서포트들의 상단은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양쪽 하부아암(143,153)을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한다. 또한, 완충 스토퍼(230)들이 채용될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접히는 과정에서 양쪽 하부아암(143,153)의 하단쪽에 설치된 완충 스토퍼(230)들에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의 상단이 접촉하여 완충되므로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부드럽게 접힐 수 있다.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상기한 바와 같이 접히는 과정에서 회전축(110)에 설치된 탄성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스크린(120)이 회전축(110)에 권취된다. 스크린(120)이 회전축(110)에 완전히 권취되면 커버(102)를 닫아 잠근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는 'X'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딩 서포트(170,180) 및 메인 스프링(190,200)(또는 메인 스프링(250,260))에 의해 팬터그래프 기구(130)를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이나 기타 외력에 의해 휴대용 스크린 장치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완충 스토퍼(230)에 의하여 팬터그래프 기구(130)가 부드럽게 신축될 수 있다.

Claims (8)

  1. 커버(102)에 의해 개폐 가능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에 지지봉(122)이 설치되는 스크린(120)과;
    상기 지지봉의 중앙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스의 바닥 중앙에 힌지 결합되는 팬터그래프 기구(130)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 좌우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자유단이 팬터그래프 기구의 양쪽 하부아암(143,15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와;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130)의 각 하부아암(143.,153.)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의 슬라이딩 이동시 그 자유단을 완충시키도록 설치되는 한쌍의 완충 스토퍼(230)와; 그리고,
    상기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자유단과 팬터그래프 기구의 하부를 고정하는 힌지 브래킷(210)을 연결하여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자유단을 밀어올리는 한 쌍의 스프링(19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자유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팬터그래프 기구의 각 하부아암의 상단에 타단이 연결되는 양쪽 보조스프링(2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아암은 각각 원형홈을 가지고, 상기 각 스프링(190)은 상기 원형홈에 이탈되지 않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스토퍼(230)는 하부아암(143,153)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하부아암의 상단에 연결되는 완충 스프링(232)과, 상기 각 하부아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완충 스프링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슬라이딩 블록(2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는 서로 마주보는 T형 그루브(172,182)를 가지고, 상기 T형 그루브에 걸쳐 H형 핀(175)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가 전후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프링들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고무튜브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7. 커버(102)에 의해 개폐가능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에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에 지지봉(122)이 설치되는 스크린(120)과;
    상기 지지봉의 중앙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스의 바닥 중앙에 힌지 결합되는 팬터그래프 기구(130)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 좌우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팬터그래프 기구의 양쪽 하부아암(143,153)에 자유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와;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의 각 하부아암의 양단부에 슬라이딩 서포트의 슬라이딩 이동시 그 자유단을 완충시키도록 각각 설치되는 완충 스토퍼(230)와; 그리고,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의 양쪽 하부 힌지부(147,157)에 일단이 연결되고,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의 하단 힌지부에 타단이 연결되는 양쪽 스프링(190,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8. 커버(102)에 의해 개폐 가능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탄성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0)과;
    상기 회전축에 하단이 연결되고 상단에 지지봉(122)이 설치되는 스크린(120)과;
    상기 지지봉의 중앙에 상단이 힌지 결합되고 하단은 케이스의 바닥 중앙에 힌지 결합되는 팬터그래프 기구(130)와;
    상기 케이스의 바닥 좌우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팬터그래프 기구의 양쪽 하부아암(143,153)에 자유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쪽 슬라이딩 서포트(170,180)와;
    상기 팬터그래프 기구의 각 하부아암의 양단부에 슬라이딩 서포트의 슬라이딩 이동시 그 자유단을 완충시키도록 각각 설치되는 완충 스토퍼(230)와; 그리고
    상기 각 슬라이딩 서포트의 자유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팬터그래프 기구의 각 하부아암의 상단에 타단이 연결되는 양쪽 스프링(2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스크린 장치.
KR20-2003-0039238U 2003-12-17 2003-12-17 휴대용 스크린 장치 KR200350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38U KR200350802Y1 (ko) 2003-12-17 2003-12-17 휴대용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9238U KR200350802Y1 (ko) 2003-12-17 2003-12-17 휴대용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0802Y1 true KR200350802Y1 (ko) 2004-05-17

Family

ID=4943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9238U KR200350802Y1 (ko) 2003-12-17 2003-12-17 휴대용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08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85A1 (ko) * 2014-07-25 2016-01-28 조인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3785A1 (ko) * 2014-07-25 2016-01-28 조인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US20170131625A1 (en) * 2014-07-25 2017-05-11 In-Young Jo Portable screen for setting up outdoors to display images
US9971237B2 (en) 2014-07-25 2018-05-15 In-Young Jo Portable screen for setting up outdoors to display imag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415B1 (ko) 이동식 스크리인
KR100787521B1 (ko) 자립식 수동 승강 스크린
AU723109B2 (en) Screen apparatus
CN201434963Y (zh) 移动式投影屏装置及其所用伸缩支柱和操作工具
JP2010019953A (ja) スクリーン
KR20010022329A (ko) 접철식 스테이지
JPH112871A (ja) 反射型スクリーン装置及びスクリーン装置
KR200350802Y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WO2024067063A1 (zh) 帐篷及其顶部结构
KR100543389B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KR102440718B1 (ko) 접이식 캐빈 장치
KR200348134Y1 (ko) 휴대용 스크린 장치
JP3081027U (ja) 折り畳み式スクリーン
CN219180130U (zh) 伸缩屏幕行动装置
CN213724860U (zh) 一种能够多角度变换的遮罩机构
JP3083590U (ja) 折畳みカウンター
JP4581935B2 (ja) 自立式昇降スクリーン
JP3093127U (ja) 可搬式スクリーン
JP2004037501A (ja) 折り畳み式スクリーン
JPH10127353A (ja) 折畳式テーブル
JP2002345564A (ja) 高さ調節式テーブル
JPH01222126A (ja) 空気調和機の据付装置
JPH0732814Y2 (ja) スライド折れ戸
KR20010002047U (ko) 접이식 콘솔 테이블
CN113009767A (zh) 一种可折叠投影幕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