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13785A1 -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 Google Patents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13785A1
WO2016013785A1 PCT/KR2015/007076 KR2015007076W WO2016013785A1 WO 2016013785 A1 WO2016013785 A1 WO 2016013785A1 KR 2015007076 W KR2015007076 W KR 2015007076W WO 2016013785 A1 WO2016013785 A1 WO 201601378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mounting frame
displa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0707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인영
Original Assignee
조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영 filed Critical 조인영
Priority to DE212015000187.3U priority Critical patent/DE212015000187U1/de
Publication of WO201601378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13785A1/ko
Priority to US15/414,067 priority patent/US997123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screen installed and used outdoors to display an image projected from a beam projector, so that even when wind or external force is generated while the screen is installed, the sheet is not flown so that the image can be stably viewed.
  • the installation structure is made simple, but also easy to carry.
  • a beam projector is an imaging device that implements a very large screen by projecting light from a lamp onto a screen, and is a beam projector used for installation indoors. It is mainly installed on the floor or fixed to a ceiling. Screens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so that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beam projector can be projected to a size suitable for the screen size.
  • a small-sized beam containing high-intensity light source is also includ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digital camera so that a user can check a video recording on a portable device or easily use contents such as a movie or animation stored in a memory.
  • a projector module By integrating a projector module,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image at any time by realizing it as an enlarged image by projecting on a screen, a wall, a paper, or a cloth.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easy to provide a screen in the outdoor where you do not want to install the screen so that you can enjoy the video content, the screen structure is made of a stable center of gravity In the event of a blow or an external force, it does not fall easily and is stably supported.
  • the installed screen is kept unsteady and is not shaken by wind or external force so that video content can be fully enjoyed without obstacles.
  •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is to be easy to install and use as needed, as well as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installation parts to be easy to carry.
  • the frame bar is formed on the upper, lower and both sides are connected by the corner connector is a frame of the rectangular frame is built up vertically and upright to extend to the rear of the mounting frame
  • the frame frame is connected to another frame ba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creen sheet for projecting the image is placed on the front of the mounting frame.
  • the frame bar constituting the mounting frame and the supporting frame is divided so as to be di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each frame bar is pulled by the elastic band to be elastically fixed so that the assembly is not arbitrarily separated and firmly made, and the bottom of the screen sheet is elastic
  • the screen sheet is stretched and laid out by being pulled down and fixed by the element.
  • the portabl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stalled and used in a short time because it is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even in places where installation is not suitable because there is no feature in outdoor outings or camping.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 the screen does not fall down easily even when strong wind blows or hits the pedestrian's body, which prevent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prevents the expensive screen sheet from damaging the screen. have.
  • the screen sheet on which the image is projected is stretched all the time while viewing the image content, the screen is not distorted or obscured, and high quality image content can be viewed, thereby improving user satisfaction.
  • the center is at the rear, which makes the screen more stab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assembl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and 8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frame 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and Figure 10 is a mounting stat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creen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in a stretched state pulled to the lower side by the elastic element
  • the frame bar is formed upright on both sides in order to connect both ends of the upper frame bar (110a) and the lower frame bar (110b)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 bars (110a, 110b).
  • Mounting frame (100c)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rner connector (120)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frame is erected vertically upright;
  • Frame frame 210 is connected to extend to the rear of the mounting frame 100, the support frame 200 for guiding the center of gravity to the lower side;
  • a screen sheet 300 which is placed on the top of the mounting frame 100 and is unfolded and fixed to the lower side to project an image
  • Portable screen installed outdoors to display video composed of a.
  • the portabl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for supporting the mounting frame 100 in an upright state as shown in FIG. 1, and placed on the mounting frame 10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creen sheet 300 for projecting the image.
  • Mounting frame 100 and the supporting frame 200 may be configur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frame bars (110, 210), each of the frame bars (110, 210) can be assembled by a corner connector (120, 220).
  • Mounting frame 100 is to fasten the screen sheet 300 by the fixed structure, the upper frame bar (110a) and the lower frame bar (110b)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 bars (110a, 110b) connected both ends
  • Frame bar (110c) formed to be upright on both sides is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rner connector 120 to form a rectangular frame so that it can be fixed upright to stand vertically.
  • the corner connector 120 has an insertion socket 122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meter of the frame bar for the assembly of the frame bar 110, and can be easily assembled by inserting the frame bar 110 into the insertion socket 122. have.
  • Insertion socket 122 may be further formed to the rear of the mounting frame 100 to assemble the frame bar 210 of the support frame 200, to connect the frame bar 210 of the support frame 200 to each other
  • a corner connector 220 for the assembly can be made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mounting frame 100.
  • angles of the insertion sockets 122 and 222 formed in the corner connectors 120 and 220 may be formed at various angles to fit the frame bars 110 and 210 to be assembled.
  • the corner connector 120 of the mounting frame 100 is assembled with four corner connectors 120, two on each of the upper both sides and the lower both sides, the frame of the supporting frame 200 to the rear side of each corner connector 120
  • the insertion socket 122 may be formed to assemble the bar 210 or may be selectively formed only at a portion of the top or the bottom.
  • the insertion socket 122 may be formed to assemble the frame bar 210 of the support frame 200 to all the corner connectors 120 mounted at the four corners.
  • Support frame 200 is to hold the center of gravity so that the mounting frame does not fall in a vertically standing state, a plurality of frame bars 210 in each corner connector 120 of the mounting frame 100 mounting frame 100
  • the rear of the assembly, the plurality of frame bars 210 may be connected to the corner connector 220 to have the screen has a center of gravity in the rear.
  • the frame bar 210 is assembled to be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mounting frame 100 is concentrated to any point of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ure 1, or as shown in Figure 2 mounting frame
  • the frame bar 210 connected to the upper two corner connectors 120 of the upper side 100 is connected by the corner connector 220 to the upper frame 200a formed of a polygonal frame, and the lower two sides of the mounting frame 100.
  • Frame bar 210 connected to the four corner connectors 120 is connected by the corner connector 220 to be made of a lower frame (200b) consisting of a polygonal frame, the upper frame (200a) and the lower frame (200b) Vertical assembly using the vertical frame bar (200c) can be made to be assembled.
  • the upper frame (200a)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200 can be stored by hanging camping supplies or other accessories, a separate hook (not shown) may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 the lengths of all the frame bars 110 and 210 used in the mounting frame 100 and the supporting frame 200 can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 the shape of the corner connector 220 is also made in the same form, it is possible to greatly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even when installing the screen can be easily assembled without the ne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s.
  • each of the frame bars (110, 210) constituting the mounting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is equipped with an elastic band (130, 230) to connect the corner connector (120, 220) with each other, the mounting frame and the support frame is not separated arbitrarily Can be elastically fixed.
  •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elastic bands (130, 230) is formed in the perforated holes (124, 224) in the corner connector (120, 220), as shown in Figure 5, by forming the fasteners (134,234) on both ends of the elastic band (130, 230) frame bar (110,210)
  • By assembling the corner connector assembled at both ends of the elasticity in the pulled state to each other) can be stably supported so that the mounting frame 100 and the support frame 200 is not easily detached and not easily separated in the assembled state.
  • Frame bar (110, 210) is divided into two or mor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f manufactured by separating the screen can be stored more easily and carry the storage volume.
  • the divided frame bars 110 and 210 may be assembled by the connection sockets 112 and 212,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divided frame bars is elastic straps 114 and 214 inside the frame bars 110 and 210 as shown in FIG. 7. ) Can be easily unfolded or folded, or after splitting the frame bars 110 and 210 as shown in FIG. 8, the folding bars 116 and 216 can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to expand and install the frame bars in a folded manner or to be stored. have.
  • the screen sheet 300 is to be laid out in front of the mounting frame 100 to project an image
  • the screen sheet 300 is a cross-section 304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unctional sheet 302, respectively Equipped with the screen sheet 300 to be laid out and rolled up at the same time can be stored.
  • the structure in which the screen sheet 300 is placed on the mounting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hook portion 126 at the top of the mounting frame 100, and the hook sheet 310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creen sheet 300 to fix the hook. You can do that.
  • the hook portion 126 is preferably formed to form a fitting hole 127 in the corner connector 120, the hook hole 128 is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128 to be fixed by hanging the screen sheet.
  • the screen sheet 300 is preferably to be placed in front of the mounting frame 100, both sides of the frame bar 110c of the mounting frame 100 to the length of the crossbar 304 constituting the screen sheet 300
  • the screen sheet 300 can b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mounting frame (100).
  • the screen sheet 300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 the fixing band 320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sheet 300 as a means for further preventing the flow of the screen sheet 300.
  • the fixing band 320 may be fixed to the fixing band 320 by rolling the fixing band 320 on the functional sheet 302 or the crosspiece 304 to the frame bar 110 of the mounting frame 100,
  •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fixing band 320 may be a Velcro fastener or a snap button.
  • the elastic element 330 for pulling and fixing the crossbar 304 of the screen sheet 300 to the lower side is provided. Can be used.
  • the elastic element 330 is mounted on one end of the two corner connector 12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ounting frame 10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crosspiece 304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creen sheet 300, respectively
  • the functional sheet 302 is pulled to the lower side by the element 330 to be fixed, and the screen sheet 300 may be stretched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stably.
  • the material of the elastic element 330 may be used a variety of materials having its own elastic force, such as a rubber band or a silicone ring.
  • the screen sheet 300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sheet 300 is pulled to the lower side by us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element 330, the screen sheet 300 is stretched and laid out,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stably without flowing by the elastic force.
  • the elastic element 330 is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lastic element 330 by forming the length adjusting opening 332 as shown in Figure 10, or adjust the tension of the elastic element 330 or screen sheet ( If the display height of 300) increases or decreases, the length may be adjusted to cope with this, or when the screen sheets of various sizes are compatible, the length of the elastic element 330 may be adjusted to fit each screen size. Will b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 등에서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설치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야외에서도 스크린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바람이 불거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쉽게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용이하게 영상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본 발명은 빔프로젝터 등에서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설치하여 사용하는 휴대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이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이나 외력이 발생할 경우에도 시트가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설치구조가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빔프로젝터는 램프에서 나온 빛을 스크린에 투사해 초대형 화면을 구현하는 영상기기로서, 실내에서 설치식으로 사용하는 빔프로젝터 주로 바닥면에 설치되거나 천정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빔프로젝터와 일절한 간격을 갖도록 스크린을 설치하여 빔프로젝터에서 투사되는 영상이 스크린의 크기에 알맞은 크기로 투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휴대용기기에서 동영상 촬영한 것을 확인하거나, 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영화나 애니메이션 등의 컨텐츠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도 고광도 광원이 포함된 부피가 작은 빔프로젝터 모듈을 일체형으로 내장함으로써 스크린이나 벽, 종이, 천 등에 투사하여 확대된 화상으로 구현하여 언제든지 쉽게 영상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주 5일제 근무가 보편화 됨에 따라 여가생활의 하나로 야외활동이나 캠핑을 즐기는 사람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캠핑 장소에서 영화를 감상하거나, 또는 자녀들에게 애니메이션을 보여주는 등 영상 컨텐츠의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개인 스마트폰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이용하여 감상하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함께 즐길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부의 사람들은 야외에서 여러 사람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빔프로젝터 모듈이 내장되어 있는 소형 전자기기를 준비하고 이와는 별도로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스크린을 구비하여 스크린을 나무 등의 기타 지형지물에 설치하거나(KR 2019990024216 U),
또는 삼각대의 형태로 이루어진 스크린 거치대를 이용하여 설치한 후 영상을 즐기고 있다.(KR 100832777 B1)
그런데 캠핑장소나 야외활동을 하는 장소는 대부분 지형지물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설치할 장소가 마땅치 않은 경우가 많고, 설치할 장소가 준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스크린을 수직으로 세우고 수평에 맞도록 펴서 설치하는 것이 어려우며, 영상을 감상중에 지형지물이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이 움직이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또한, 삼각대의 형태로 이루어진 스크린 거치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구조가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바람이 조금만 불더라도 쉽게 쓰러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쓰러지지 않더라도 매우 약한 바람에도 스크린 화면이 좌,우로 심하게 유동되기 때문에 영상 컨텐츠를 제대로 즐길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린을 설치할 장소가 마땅치 않은 야외에서도 용이하게 스크린을 마련하여 영상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스크린의 설치구조가 무게중심이 안정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바람이 불거나 외력이 작용할 경우에도 쉽게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되도록 하는 한편,
이때 설치된 스크린이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바람이나 외력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장애요인이 없이 영상 컨텐츠를 온전히 감상할 수 있도록 하면서,
휴대용 스크린의 용도에 맞게 조립 구조를 간소화하여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고 필요에 따라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그 설치부속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측과 양측에 형성되는 프레임바가 모서리연결구에 의하여 연결되어 사각형의 틀이 구성되고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는 거치프레임과, 거치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또 다른 프레임바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거치프레임의 전면에 게재되어 영상을 투사하도록 하기 위한 스크린시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거치프레임과 받침프레임을 구성하는 프레임바가 길이방향으로 분할되도록 구성하면서 각각의 프레임바가 탄성밴드에 의하여 당겨져 탄성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스크린시트의 하부가 탄성요소에 의하여 하부측으로 당겨져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시트가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로 게재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스크린은, 야외 나들이나 캠핑을 할 경우에 지형지물이 없어서 설치가 마땅치 않은 장소에서도 스크린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혼자서 설치하거나 철거할 수 있며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강한 바람이 불거나 보행자의 신체에 부딪혀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스크린이 쉽게 쓰러지지 않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함은 물론, 스크린이 쓰러지면서 고가의 스크린시트가 손상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컨텐츠를 감상하는 내내 영상이 투사되는 스크린시트가 팽팽히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화면이 왜곡되거나 가려지는 부분이 없으며, 고품질의 영상 컨텐츠를 감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스크린을 철거하면 그 부피가 매우 작기 때문에 별도의 가방에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으며, 보관부피가 크지 않으므로 차량적재나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스크린이 설치된 상태에서 스크린 시트의 후방에 옷가지를 널거나 기타 야외활동용 소품 등을 매달아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공간이 마땅치 않은 야외에서 다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이렇게 별도의 소품을 매달아 보관하는 경우 무게중심이 후방에 위치하게 되어 더 안정적으로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크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스크린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스크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린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순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바의 절첩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스크린시트가 탄성요소에 의하여 하부측으로 당겨진 상태로 펼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장착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이 형태는, 상측 프레임바(110a)와 하측 프레임바(110b)와 상,하측의 프레임바(110a,110b)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양측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프레임바(110c)가 모서리연결구(1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의 틀이 구성되되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는 거치프레임(100);
상기 거치프레임(100)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프레임바(210)가 연결되어 무게중심을 하부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받침프레임(200);
상기 거치프레임(100)의 상단에 게재되어 하부측으로 펼쳐져 고정되어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스크린시트(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휴대용 스크린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되게 세워지는 거치프레임(100)과, 거치프레임(100)을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프레임(200)과, 거치프레임(100)에 게재되어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스크린시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100)과 받침프레임(200)은 여러 개의 프레임바(110,210)를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바(110,210)는 모서리연결구(120,220)에 의하여 조립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100)은 스크린시트(300)를 걸어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그 구조는 상측 프레임바(110a)와 하측 프레임바(110b)와 상,하측의 프레임바(110a,110b)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양측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프레임바(110c)가 모서리연결구(1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의 틀이 구성되도록 하여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모서리연결구(120)는 프레임바(110)의 조립을 위하여 프레임바의 직경에 대응되게 삽입소켓(122)이 형성되며, 그 삽입소켓(122)에 프레임바(110)를 끼워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삽입소켓(122)은 거치프레임(100)의 후방으로 더 형성하여 받침프레임(200)의 프레임바(210)를 조립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받침프레임(200)의 프레임바(210)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모서리연결구(220)를 더 형성하여 거치프레임(100)과 동일한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서리연결구(120,220)에 형성되는 삽입소켓(122,222)의 각도는 프레임바(110,210)를 조립하고자 하는 형태에 맞도록 다양한 각도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거치프레임(100)의 모서리연결구(120)는 상단 양측과 하단 양측에 각각 두 개씩 모두 네 개의 모서리연결구(120)가 조립되는데, 각 모서리연결구(120)에 모두 후방측으로 받침프레임(200)의 프레임바(210)를 조립할 수 있도록 삽입소켓(122)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일부분에만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네 모서리에 장착되는 모든 모서리연결구(120)에 받침프레임(200)의 프레임바(210)를 조립할 수 있도록 삽입소켓(122)을 형성할 수 있다.
받침프레임(200)은 거치프레임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쓰러지지 않도록 무게중심을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거치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연결구(120)에 복수의 프레임바(210)가 거치프레임(100)의 후방으로 조립되고, 복수의 프레임바(210)는 모서리연결구(220)로 연결되어 스크린이 후방으로 무게중심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거치프레임(100)의 후방에 연결되게 조립되는 프레임바(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의 어느 한 지점으로 집중되게 배치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프레임(100)의 상부측 두 개의 모서리연결구(120)에 연결되는 프레임바(210)가 모서리연결구(220)에 의하여 연결되어 다각형의 틀로 이루어지는 상부틀(200a)과, 거치프레임(100)의 하부측 두 개의 모서리연결구(120)에 연결되는 프레임바(210)가 모서리연결구(220)에 의하여 연결되어 다각형의 틀로 이루어지는 하부틀(200b)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부틀(200a)과 하부틀(200b)을 수직프레임바(200c)를 이용하여 수직으로 연결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받침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상부틀(200a)에는 캠핑용품이나 기타 소품을 매달아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별도의 걸고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구성되는 상부틀(200a)과 하부틀(200b)을 정삼각형의 형태로 형성하면 거치프레임(100)과 받침프레임(200)에 사용되는 모든 프레임바(110,210)의 길이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모서리연결구(220)의 형태 또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며, 스크린을 설치할 경우에도 해당부품이 어느 위치의 부품인지를 판단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거치프레임(100)과 받침프레임(200)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바(110,210)는 모서리연결구(120,220)를 서로 연결하도록 탄성밴드(130,230)가 장착되어 거치프레임과 받침프레임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탄성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밴드(130,230)의 장착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연결구(120,220)에 타공홀(124,224)을 형성하고, 탄성밴드(130,230)의 양단에 고정구(134,234)를 형성하여 프레임바(110,210)의 양단에 조립된 모서리연결구가 서로 당겨진 상태로 탄성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거치프레임(100)과 받침프레임(200)이 조립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고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바(110,210)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두 개 혹은 그 이상으로 분할하여 제작하면 스크린을 분리하여 보관할 경우 보관부피를 줄이고 더 쉽게 휴대할 수 있다.
분할된 프레임바(110,210)는 연결소켓(112,212)에 의하여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분할된 프레임바의 연결구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바(110,210)의 내측에 탄성끈(114,214)을 내장하여 간편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도 8과 같이 프레임바(110,210)를 분할 한 후 그 연결부에 절첩요소(116,216)를 장착하여 프레임바를 절첩식으로 펼쳐 설치하거나 접어 보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시트(300)는 거치프레임(100)의 전면에 펼쳐서 게재되어 영상을 투사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스크린시트(300)는 기능성 시트(302)의 상,하변에 각각 가로대(304)가 장착되어 스크린시트(300)를 펼쳐 게재함과 동시에 말아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스크린시트(300)가 거치프레임(100)에 게재되는 구조는 거치프레임(100)의 상단에 걸이부(126)를 마련하고, 스크린시트(300)의 상부에는 걸고리(310)를 형성하여 걸어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걸이부(126)는 모서리연결구(120)에 끼움홀(127)을 형성하고, 그 타공홀(128)에 걸이구(128)를 끼워서 스크린시트를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크린시트(300)는 거치프레임(100)의 전방에 게재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스크린시트(300)를 구성하는 가로대(304)의 길이를 거치프레임(100)의 양측 프레임바(110c)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가로대(304)가 양측 프레임바(100c)에 지지되도록 하면서 스크린시트(300)가 거치프레임(100)의 전방에 밀착되게 게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린시트(30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없이도 가로대(304)에 의하여 거치프레임(100)에 밀착된 상태로 게재되므로 스크린시트(300)가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스크린시트(300)의 유동을 더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스크린시트(300)의 하부에 고정밴드(3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밴드(320)는 기능성 시트(302) 또는 가로대(304)에 고정밴드(320)를 장착하여 거치프레임(100)의 프레임바(110)에 고정밴드(320)를 말아서 고정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밴드(320)의 체결구조는 벨크로퍼스너나 똑딱이 단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시트(300)의 유동을 더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써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시트(300)의 가로대(304)를 하부측으로 당겨서 고정하기 위한 탄성요소(330)가 사용될 수 있다.
탄성요소(330)는 거치프레임(100)의 하단에 형성된 두 개의 모서리연결구(120)에 일단을 장착하고, 타단을 스크린시트(300)의 하부에 형성된 가로대(304)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하면 탄성요소(330)에 의하여 기능성 시트(302)가 하부측으로 당겨져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스크린시트(300)를 팽팽하게 펼쳐서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탄성요소(330)의 재질은 고무줄이나 실리콘 링 등 자체탄성력을 갖는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요소(33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크린시트(300)의 하부가 하부측으로 당겨지면 스크린시트(300)가 팽팽하게 펼쳐져 게재되고, 탄성력에 의하여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요소(330)는 도 10과 같이 길이조절구(332)를 형성하면 탄성요소(3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탄성요소(330)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또는 스크린시트(300)의 게재 높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는 다양한 크기의 스크린시트를 호환하여 게재할 경우에 각각의 스크린 크기에 맞도록 탄성요소(3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상측 프레임바(110a)와 하측 프레임바(110b)와 상,하측의 프레임바(110a,110b)의 양단을 연결하기 위하여 양측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프레임바(110c)가 모서리연결구(1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사각형의 틀이 구성되되 수직으로 직립되게 세워지는 거치프레임(100);
    상기 거치프레임(100)의 후방으로 연장되게 프레임바(210)가 연결되어 무게중심을 하부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받침프레임(200);
    상기 거치프레임(100)의 상단에 게재되어 하부측으로 펼쳐져 고정되어 영상을 투사하기 위한 스크린시트(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200)은 거치프레임(100)의 각 모서리연결구(120)에 복수의 프레임바(210)가 거치프레임(100)의 후방으로 조립되고, 복수의 프레임바(210)는 모서리연결구(220)로 연결되어 스크린이 후방으로 무게중심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프레임(200)은,
    거치프레임(100)의 상부측 두 개의 모서리연결구(120)에 연결되는 프레임바(210)가 모서리연결구(220)에 의하여 연결되어 다각형의 틀로 이루어지는 상부틀(200a)과, 거치프레임(100)의 하부측 두 개의 모서리연결구(120)에 연결되는 프레임바(210)가 모서리연결구(220)에 의하여 연결되어 다각형의 틀로 이루어지는 하부틀(200b)과, 상부틀(200a)과 하부틀(200b)을 수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직프레임바(200c)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치프레임(100)과 받침프레임(200)의 프레임바(110,210)는 모서리연결구(120,220)를 서로 연결하도록 탄성밴드(130,230)가 장착되어 거치프레임과 받침프레임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탄성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130,230)는 모서리연결구(120,220)에 타공홀(124,224)이 형성되고, 탄성밴드(130,230)의 양단에 고정구(134,234)가 형성되어 모서리연결구가 서로 당겨진 상태로 탄성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바(110,210)는 길이방향으로 분할되어 연결소켓(112,212)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프레임(100)은 모서리연결구(120)에 스크린시트(300)를 고정하기 위한 걸이부(126)가 형성되고, 스크린시트(300)에 걸고리(310)가 형성되어 걸이부(126)에 걸어 게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시트(300)는 양측면에 거치프레임(100)의 프레임바을 감싸 고정하기 위한 고정밴드(320)가 형성되어 스크린시트(3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시트(300)는 기능성 시트(302)의 상,하단에 가로대(304)가 형성되고, 그 가로대(304)는 거치프레임(100)의 양측 프레임바(110c)의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양측 프레임바(110c)에 밀착 고정되며, 하측의 가로대(304)는 거치프레임(100)의 하단 모서리연결구(120)에 연결된 탄성요소(330)에 의하여 하부측으로 당겨진 상태로 고정되어 스크린시트(300)가 팽팽하게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요소(330)는 길이조절구(332)가 형성되어 탄성요소(3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PCT/KR2015/007076 2014-07-25 2015-07-08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WO201601378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12015000187.3U DE212015000187U1 (de) 2014-07-25 2015-07-08 Transportable Leinwand zum Aufbau im Freien, um Bilder zu zeigen
US15/414,067 US9971237B2 (en) 2014-07-25 2017-01-24 Portable screen for setting up outdoors to display im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066 2014-07-25
KR1020140095066A KR101696023B1 (ko) 2014-07-25 2014-07-25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414,067 Continuation US9971237B2 (en) 2014-07-25 2017-01-24 Portable screen for setting up outdoors to display ima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3785A1 true WO2016013785A1 (ko) 2016-01-28

Family

ID=5516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07076 WO2016013785A1 (ko) 2014-07-25 2015-07-08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71237B2 (ko)
KR (1) KR101696023B1 (ko)
DE (1) DE212015000187U1 (ko)
WO (1) WO20160137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6781B2 (en) * 2015-10-21 2018-12-18 Arovia, Inc. Spontaneous pop-up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023B1 (ko) * 2014-07-25 2017-01-12 조인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KR102527214B1 (ko) * 2016-05-04 2023-04-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 장치
KR102544971B1 (ko) * 2016-05-10 2023-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94740Y1 (ko) * 2019-06-27 2021-12-15 강신범 대형 스크린 장치
CN110967912A (zh) * 2019-12-23 2020-04-07 日照司贝特伦影视设备有限公司 一种室内影院用的吊装式银幕架结构以及实施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7001A (ja) * 1996-09-24 1998-04-14 Hitachi Ltd 携帯用スクリーン装置
KR19980061944U (ko) * 1997-03-28 1998-11-16 박인호 광고판의 탈부착이 가능한 가드레일
KR200350802Y1 (ko) * 2003-12-17 2004-05-17 노주석 휴대용 스크린 장치
JP2005221609A (ja) * 2004-02-04 2005-08-18 Seiko Epson Corp 携帯用スクリーン
KR20100003149A (ko) * 2008-06-30 2010-01-07 최해용 단판형 절첩식 영사 스크린과 동 스크린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57819A (en) * 1940-06-07 1944-09-12 Greer Robert Royden Supporting frame for screens
US3277781A (en) * 1965-06-17 1966-10-11 Guilford L Moutray Tri-fold rear projection screen
KR19980061944A (ko)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자동차 차간거리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155712A (ja) * 1997-11-28 1999-06-15 Oki Alpha Create:Kk 折りたたみ式汎用ディスプレイスタンド
KR19990024216U (ko) 1997-12-08 1999-07-05 최해용 휴대용 스크린
KR200310184Y1 (ko) 2003-01-27 2003-04-16 장진호 광고용 스크린 거치대
KR100832777B1 (ko) 2007-03-07 2008-05-27 박기원 휴대용 화이트 보드기능을 갖는 스크린
KR20090119660A (ko) * 2008-05-16 2009-11-19 최해용 휴대용 접이식 스크린
KR20110083105A (ko) 2010-01-13 2011-07-20 삼성메디슨 주식회사 정전용량형 미세가공 초음파변환자를 구비한 초음파프로브
KR101284254B1 (ko) 2011-12-15 2013-07-10 장현수 다용도 거치대
KR101423096B1 (ko) * 2012-05-14 2014-07-25 김지현 광고용 배너 거치대
KR101696023B1 (ko) * 2014-07-25 2017-01-12 조인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7001A (ja) * 1996-09-24 1998-04-14 Hitachi Ltd 携帯用スクリーン装置
KR19980061944U (ko) * 1997-03-28 1998-11-16 박인호 광고판의 탈부착이 가능한 가드레일
KR200350802Y1 (ko) * 2003-12-17 2004-05-17 노주석 휴대용 스크린 장치
JP2005221609A (ja) * 2004-02-04 2005-08-18 Seiko Epson Corp 携帯用スクリーン
KR20100003149A (ko) * 2008-06-30 2010-01-07 최해용 단판형 절첩식 영사 스크린과 동 스크린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vie projector", 1 March 2013 (2013-03-01),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www.rnrassociates.com/wordpress/what-movies-at-campsites>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56781B2 (en) * 2015-10-21 2018-12-18 Arovia, Inc. Spontaneous pop-up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023B1 (ko) 2017-01-12
KR20160012836A (ko) 2016-02-03
US20170131625A1 (en) 2017-05-11
DE212015000187U1 (de) 2017-03-08
US9971237B2 (en) 201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13785A1 (ko)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야외에 설치되는 휴대용 스크린
US6038802A (en) Portable display system
US7877914B2 (en) Retractable banner stands with cooperating banners
US8254024B2 (en) Inflatable display screen
US20150027506A1 (en) Tent with projector holder, free standing projector holder, and system for projecting images within a tent
KR20190001208U (ko) 화분겸용 무게중심체를 갖춘 현수막 거치대
WO2021167226A1 (ko) 셀카용 휴대폰 고정대
WO2022141657A1 (zh) 便携式的显示装置
WO2016060484A1 (ko) 배너 광고대
US20120168597A1 (en) Portable Stand For General Purpose Use
US20170158146A1 (en) Hitch mounted theater system
WO2017135725A1 (ko)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용 지지대
CN210041900U (zh) 一种可折叠收纳的屏幕放大器
KR101383154B1 (ko) 현수막 거치장치
KR20100001129U (ko) 중량체를 구비한 실내용 광고 현수막 게시대
US20210382385A1 (en) Inflatable projection display system with dual screens
CN202750898U (zh) 手机外套
WO2012156543A1 (es) Soporte publicitario para eventos deportivos y similare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un soporte publicitario
JP3119961U (ja) スクリーン
WO2024053940A1 (ko) 자립형 스크린 조립체
CN2921895Y (zh) 便携式投影幕
CN112071231A (zh) 一种led快速展示灯箱装置
CN210323751U (zh) 一种快速组装且易于调整高度的投影幕架
KR100828227B1 (ko) 광고면 설치대
KR200399546Y1 (ko) 광고판 설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249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12015000187

Country of ref document: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A DATED 18/05/2017)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82490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