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988Y1 -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988Y1
KR200349988Y1 KR20-2004-0004188U KR20040004188U KR200349988Y1 KR 200349988 Y1 KR200349988 Y1 KR 200349988Y1 KR 20040004188 U KR20040004188 U KR 20040004188U KR 200349988 Y1 KR200349988 Y1 KR 200349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topper
management system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4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선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에스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에스뱅크 filed Critical (주)아이티에스뱅크
Priority to KR20-2004-0004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9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장 내에 주차된 주차차량을 감지할 때 카스토퍼내의 소정공간에 주차차량 감지장치를 형성하고 감지된 감지결과를 유무선을 통해 주차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차장 내에 주차차량 감지를 위한 시설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주차차량 감지부가 배터리나 솔라전지를 통해 외부의 전원공급없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되는 케이블이 없어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PARK MANAGEMENT SYSTEM USED PARKING GUIDE BAR}
본 고안은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장 내에 주차된 주차차량을 감지할 때 카스토퍼에 주차차량 감지장치를 내장하고 감지된 감지결과를 유무선을 통해 주차장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차장 내에 주차차량 감지를 위한 시설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한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보급의 급증으로 인해 요즘은 수도권, 지방 할 것 없이 주차공간의 부족에 의해 불편을 많이 겪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하철 부근에는 대형 환승주차장을 갖추게 되고, 관공서, 병원 및 대형건물들은 각각 자체주차장을 확보하게 되며, 백화점과 같은 각종 쇼핑센터들은 대형 주차장을 갖추어 고객을 유치에 경쟁을 하고 있으며, 주차전용 빌딩 또한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대형 주차시설은 대부분 유료로 운영하고 있어 적은 인원으로 많은 차량을 관리하기 위해 자동 관리시스템을 갖추는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초기에는 단순히 차량이 들어오고 나가는 시간을 체크하여 주차장 이용 시간에 따라 요금을 징수하면서 차량의 출입을 통제하는 방법으로 관리하였다.
즉, 차량이 입구를 통해 진입하면, 요금의 징수를 위한 주차권을 운전자가 취하면 차단기를 열어주어 차량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주차를 완료한 차량이 출구로 나오면 티켓에 기록된 진입 시간에 따라 적절한 요금을 지불하도록 한 후 요금이 지불된 후 차단기를 열어주어 차량이 주차장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관리시스템은 차량이 주차장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스스로 빈 주차 공간을 찾아서 주차시켜야 하므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게 될 뿐 아니라, 주차장의 내부를 저속으로 방황하게 됨으로 인해 공기의 오염, 시간의 소모 및 좁은 공간에서 차량의 접촉 사고 등 많은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주차관리요원을 각각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 및 비용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보다 진보된 주차관리시스템은 각각의 주차 위치에 주차된 차량의 유무를 인식하는 주차 감지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중앙의 컴퓨터에서 주차된 차량의 유무를 확인하여 차량이 주차가능한 자리를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운전자가 빈 주차공간으로 찾아 갈 수 있도록 안내해주는 시스템 등이 공개실용공보 1999-0022921호(1999년 07월 05일 공개) "주차차량 감시장치"에 개시되고 있다.
또한, 운전자가 빈 주차공간을 찾아 갈수 있도록 안내할 때 주차장의 구조를 잘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자신이 찾아가야 할 위치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위치를 찾아가기란 쉽지 않아 여전히 차량을 주차시키는 시간이 지체되게 되는 단점 등 선출입차량이 그 위치를 찾아가는 동안 계속 그 위치가 빈공간으로 표시되어 후출입차량이 동일한 주차공간으로 중복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 등을 보완하여 차량이 들어오는 입구와 출구 및 모든 주차 영역에 각각 설치된 차량출입 감지부와 주차차량 감지부의 광전센서를 통해 차량의 출입은 물론 각각의 주차 영역에 주차중인 차량이 있는 가를 인식하여 릴레이를 구동시키거나 정보를 중앙제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여 주차확인부의 발광 다이오드를 선택적으로 점등시키고,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주차안내부의 세그먼트 구동 IC에서는 가장 가까운 주차 영역의 층과 위치에 해당하는 숫자를 알려주도록 하고, 상기 중앙제어부의 제어를 받는 주차권 발행기에서 차량의 진입시간과 주차할 위치를 문자로 알려주는 주차권을 발행하도록 함으로써 큰 건물이나 대형 주차장에서 차량을 주차 위치로 빠르고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공개특허공보 2000-0067195호(2000년 11월 15일 공개)에 개시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이 주차관리를 자동으로 하기 위해서는 주차 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주차차량 감지기를 주차장의 주차영역 바닥에 루프식이나 압력식 센서 등을 각각 매설해야만 하는데 이와 같이 주차차량 감지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사비가 과다할 뿐만 아니라 메인 콘트롤러에서 중앙 집중식으로 제어함에 따라 많은 주차영역을 확보하고 있는 대형 주차장의 경우 주차영역에 설치된 주차차량 감지기와 메인 콘트롤러를 연결하기 위한 많은 배선을 주차장내에 새롭게 포설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장 내에 주차된 주차차량을 감지할 때 카스토퍼에 주차차량 감지장치를 내장하고 감지된 감지결과를 유무선을 통해 주차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차장 내에 주차차량 감지를 위한 시설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한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카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카스토퍼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주차영역 10 : 카스토퍼
12 : 너트 20 : 주차차량 감지부
22 : 전원부 24 : 센싱부
26 ; 전송부 30 : 주차차량 감지수신부
40 : 제어부 50 : 표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주차차량 감지부와 주차차량 감지부로부터 주차차량을 감지하여 주차장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차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주차면 바닥에 고정되어 차량의 정차를 유도하기 위한 카스토퍼와; 카스토퍼내의 소정공간에 형성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주차차량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와, 센싱부에서 감지한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로 이루어진 주차차량 감지부와; 주차차량 감지부에서 전송된 주차차량 감지값을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주차차량 감지수신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전원부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전원부는 카스토퍼 상부면에 설치된 솔라셀과, 솔라셀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솔라전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전원부는 카스토퍼 상부면에 설치된 솔라셀과, 솔라셀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솔라전지와, 솔라전지와 듀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센싱부는 주차차량이 카스토퍼와 접촉할 경우 감지하는 계기식, 압력식, 루프식, 피에조식 중 어느 하나인 접촉식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센싱부는 주차차량이 주차영역에 주차되었을 경우 감지하는 적외선식, 초음파식, 지자기식, 레이저식, 레이더식, 초단파식 중 어느 하나인 비접촉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전송부와 주차차량 감지수신부는 무선이나 유선에 의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배터리나 솔라전지 등에 의해 외부의 전원공급 없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주차차량 감지부를 차량의 정차를 유도하기 위해 주차면에 설치하는 카스토퍼내의 소정공간에 형성함으로써 카스토퍼만을 설치함으로써 주차영역에 주차차량을 감지하기 위한 주차차량 감지부를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차량 감지부에서 감지된 주차차량 감지상태를 무선 등으로 주차차량 감지수신부로 전송함으로써 간편하게 주차관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면 바닥에 고정되어 차량의 정차를 유도하기 위한 카스토퍼(10)와, 카스토퍼(10)내의 소정공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2)와, 전원부(22)의 전원을 공급받아 주차차량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24)와, 센싱부(24)에서 감지한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26)로 이루어진주차차량 감지부(20)가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영역(5) 바닥에 고정용 너트(12)로 고정 설치되는 카스토퍼(10)의 내부 소정공간에 주차차량 감지부(20)를 형성함으로써 주차창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카스토퍼(10) 내부에 형성된 주차차량 감지부(20)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부(22)를 배터리(미도시)로 구성하거나, 실외 주차장의 경우 카스토퍼(10) 상부면에 설치된 솔라셀(14)과, 솔라셀(14)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솔라전지(미도시)로 구성하여 주차차량 감지부(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원부(22)를 카스토퍼(10) 상부면에 설치된 솔라셀(14)과, 솔라셀(14)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솔라전지와, 솔라전지와 듀얼로 사용되도록 배터리로 구성하여 배터리의 소모를 최대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나 실외 등 어느 곳에서나 사용가능하며 낮에는 물론이고 흐르거나 밤에도 원활하게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부(24)는 주차차량이 주차영역에 주차를 하면서 정차하기 위해 카스토퍼(10)와 접촉할 경우 감지하는 계기식, 압력식, 루프식, 피에조식 중 어느 하나인 접촉식센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접촉하지 않고 주차하는 차량의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기 위해 센싱부(24)를 주차차량이 주차영역에 주차되었을 경우 감지하는 적외선식, 초음파식, 지자기식, 레이저식, 레이더식, 초단파식 중 어느 하나인 비접촉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비접촉식일 경우에는 다른 주차영역에 주차된 차량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감지영역을 해당 주차영역으로 한정해야만 한다.
또한, 주차차량 감지부(20)에서 전송된 주차차량 감지값을 입력받아 제어부(40)로 전송하기 위한 주차차량 감지수신부(30)와, 주차차량 감지수신부(30)로부터 주차장내의 주차공간에 차량의 주차여부를 감지한 값을 입력받아 주차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40)와, 제어부(40)의 주차관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50)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송부(26)와 주차차량 감지수신부(30)는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전송부(26)들과 주차차량 감지수신부(30) 간에 배선 공사를 하지 않고 주차영역(5)에 카스토퍼(10)만을 설치함으로써 주차장내의 공사를 마무리 할 수 있어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복수층으로 운영되는 주차장의 경우 해당 층마다 주차차량 감지수신부(30)를 설치하여 해당 층에서 전송되는 주차차량 감지상태를 입력받아 제어부(40)로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주차장의 주차영역(5)에 설치된 카스토퍼(10)의 전송부(26)에서 주차차량의 감지여부를 무선으로 송신하면 주차차량 감지수신부(30)에서 수신하여 제어부(40)로 전송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때 카스토퍼(10)에 형성된 전송부(26)와 주차차량 감지부(30) 간에 유선으로 연결하여 주차차량 감지상태를 전송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주차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주차차량 감지부(20)를 주차영역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카스토퍼(10)내의 소정공간에 형성할 뿐만 아니라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부(22)를 배터리나 솔라전지 및 배터리와 솔라전지 듀얼로 구성하며 주차차량 감지결과를 전송하는 전송부(26)에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배선작업 없이 실내나 실외 등에 간편하게 설치 가능하며 낮은 물론 흐린날이나 밤에도 효과적으로 주차상태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송부(26)에서 유선으로 전송할 경우에는 전송부(26)의 감지결과만 주차차량 감지수신부(30)로 출력함으로써 데이터라인만 배선함으로써 배선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주차상태를 감지한 결과를 통해 주차관리시스템의 제어부(40)에서 주차공간을 검색하여 빈공간을 표시부(50)를 통해 표시할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공간활용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주차장의 주차정보를 종합 교통정보센터 등에서 수집하여 지능형 교통시스템이나 광역의 도시 주차정보체계를 구축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차장 관리 시스템에서 주차장 내에 주차된 주차차량을 감지할 때 카스토퍼내의 소정공간에 주차차량 감지장치를 형성하고 감지된 감지결과를 유무선을 통해 주차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주차장 내에 주차차량 감지를 위한 시설을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주차차량 감지부가 배터리나 솔라전지를 통해 외부의 전원공급없이 독립적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외부에서 공급되는 케이블이 없어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8)

  1. 주차차량 감지부와 주차차량 감지부로부터 주차차량을 감지하여 주차장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주차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주차면 바닥에 고정되어 차량의 정차를 유도하기 위한 카스토퍼와;
    상기 카스토퍼내의 소정공간에 형성되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주차차량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와, 센싱부에서 감지한 결과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로 이루어진 주차차량 감지부와;
    상기 주차차량 감지부에서 전송된 주차차량 감지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기 위한 주차차량 감지수신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카스토퍼 상부면에 설치된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솔라전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카스토퍼 상부면에 설치된 솔라셀과, 상기 솔라셀에서 생성된 전원을 저장하기 위한 솔라전지와, 상기 솔라전지와 듀얼로 사용되도록 구성된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주차차량이 상기 카스토퍼와 접촉할 경우 감지하는 계기식, 압력식, 루프식, 피에조식 중 어느 하나인 접촉식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주차차량이 주차영역에 주차되었을 경우 감지하는 적외선식, 초음파식, 지자기식, 레이저식, 레이더식, 초단파식 중 어느 하나인 비접촉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와 상기 주차차량 감지수신부는 무선에 의해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와 상기 주차차량 감지수신부는 유선에 의해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KR20-2004-0004188U 2004-02-18 2004-02-18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KR200349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88U KR200349988Y1 (ko) 2004-02-18 2004-02-18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4188U KR200349988Y1 (ko) 2004-02-18 2004-02-18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687A Division KR20050082273A (ko) 2004-02-18 2004-02-18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988Y1 true KR200349988Y1 (ko) 2004-05-12

Family

ID=4934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4188U KR200349988Y1 (ko) 2004-02-18 2004-02-18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988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50280A (ko) 2016-11-21 2016-12-29 (주) 하나텍시스템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KR20180045174A (ko) 2016-10-25 2018-05-04 (주)와이파이브 차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스토퍼
KR20200134649A (ko) * 2019-05-23 2020-12-02 정송이 주차경계블록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CN112912918A (zh) * 2018-07-23 2021-06-04 泊车克拉欧德有限公司 用于管理共享车辆的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174A (ko) 2016-10-25 2018-05-04 (주)와이파이브 차량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스토퍼
KR20160150280A (ko) 2016-11-21 2016-12-29 (주) 하나텍시스템 스마트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정보 처리장치
CN112912918A (zh) * 2018-07-23 2021-06-04 泊车克拉欧德有限公司 用于管理共享车辆的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912918B (zh) * 2018-07-23 2024-04-30 泊车克拉欧德有限公司 用于管理共享车辆的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134649A (ko) * 2019-05-23 2020-12-02 정송이 주차경계블록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KR102192921B1 (ko) 2019-05-23 2020-12-18 정송이 주차경계블록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735B1 (ko) 무선주파수 인식 기술을 이용한 자동 주차 관리 시스템
CN201489666U (zh) 基于无线技术的超低功耗停车场车位信息采集和管理系统
US7014355B2 (en) Electronic parking meter system
KR101881290B1 (ko) 주차안내 및 주차정보 알림시스템
AU785193B2 (en) Electronic parking meter system
KR100951692B1 (ko) 지자기 센서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3767285B2 (ja) 移動体案内システム
CN203288095U (zh) 一种采用传感器的物联网停车场管理系统
KR102100713B1 (ko) 초음파 센서와 rfid를 이용한 주차장 통합 관제 시스템
KR20090104166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05801B1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지하주차장에서의차량위치확인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에서의차량위치확인 및 개별차량 유도방법
KR20140121500A (ko) 주차유도 시스템
KR20100090020A (ko) 알에프아이디 및 유에스엔을 이용한 실시간 주차면 관리와 3차원 가시화 기반의 주차 관리 시스템과 방법
KR20040021745A (ko)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49988Y1 (ko)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KR20050082273A (ko) 카스토퍼를 이용한 주차관리시스템
KR101488571B1 (ko) 가시광 무선 통신을 이용한 주차 안내 시스템 및 주차 안내 방법
Someswar et al. Design & development of an autonomic integrated car parking system
KR100795201B1 (ko) 삼각측량법을 이용한 주차 위치 파악 시스템 및 방법
KR100719323B1 (ko) 전파식별태그를 이용한 주차장 관리시스템
KR20130000791A (ko) Rf카드를 이용한 주차정보 음성안내 시스템
KR100462362B1 (ko) 무선 주차 관제 시스템
KR102260534B1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KR20080111637A (ko) 하향식 초음파센서를 구비한 자동 주차관리 시스템
KR101033608B1 (ko) Rf카드를 이용한 주차위치 확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