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633Y1 - 악취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악취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633Y1
KR200349633Y1 KR20-2004-0003030U KR20040003030U KR200349633Y1 KR 200349633 Y1 KR200349633 Y1 KR 200349633Y1 KR 20040003030 U KR20040003030 U KR 20040003030U KR 200349633 Y1 KR200349633 Y1 KR 2003496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sink
overflow prevention
blocking plate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학
Original Assignee
김동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학 filed Critical 김동학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6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6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6Installations for disinfecting or deodorising waste-water plumb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씽크대의 개수대 하부에 설치된 배수호스와 넘침방지 호스를 통하여 하수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 해주도록 하는 악취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개수대의 하부에 차단판이 설치된 자동개폐기를 설치하되 상기 자동개폐기의 하측에 배수호스를 연결하는 한편 차단판의 상부 측면에 넘침방지호스를 연결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동개폐기의 차단판이 평상시 파이프를 막아주고 하수가 흘러 내릴때는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호스와 넘침방지 호스를 통하여 역류하는 하수 악취를 차단판에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악취제거 장치{Odious smell exclusion device}
본 고안은 씽크대의 개수대 하부에 설치된 배수호스와 넘침방지 호스를 통하여 하수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 해주도록 하는 악취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씽크대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담아두기 위한 개수대(1)가 설치되고, 상기 개수대(1)의 하부에는 배수호스(2)가 결합되는 한편 개수대(1)의 측면 상측으로 넘침방지 호스(6)가 결합되며, 상기 넘침방지 호스(6)는 배수호스(2)에 결합구(5)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넘침방지 호스(6)를 통하여 넘친 물이 배수호스(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호스(2)의 선단은 바닥에 약간 돌출 되어 설치된 배수파이프(3)에 끼워지게 하므로서 개수대(1)에서 버려진 물이 배수호스(2)를 통하여 배수파이프(3)로 배출 되도록 하고 있다.
이 같이 배수호스(2)는 배수파이프(3)에 그대로 결합되어 있어 배수호스(2)를 통하여 하수 악취가 역류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특히 개수대(1)의 하부는 덮개를 씌워 배수호스(2)에서 역류되는 것은 막을 수 있다 하더라도 배수호스(2)에서 넘침방지 호스(6)를 통하여 역류되는 하수 악취는 차단할 수 없는 것이었다.
위와 같이 하수 악취가 역류할 경우 실내 공기를 오염시킴은 물론 주방에 악취가 발생하여 주부가 불쾌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씽크대의 개수대에 설치된 배수 호스 및 넘침방지 호스를 통하여 배수 파이프 쪽에서 하수 악취가 역류하지 않도록 차단시킴으로서 주방의 쾌적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개수대의 하부에 차단판이 설치된 자동개폐기를 설치하되 상기 자동개폐기의 하측에 배수호스를 연결하는 한편 차단판의 상부 측면에 넘침방지호스를 연결하므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자동개폐기의 차단판이 평상시 파이프를 막아주고 하수가 흘러 내릴때는 개방될 수 있도록 하여, 배수호스와 넘침방지 호스를 통하여 역류하는 하수 악취를 차단판에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개수대의 배수호스 연결상태도
도 2는 기존의 배수호스와 배수파이프 끼움 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자동개폐기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자동개폐기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자동개폐기의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자동개폐기의 실시예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수대 2 : 배수호스
3 : 배수파이프 6 : 넘침방지 호스
10 : 자동개폐(開閉)기 11,12 : 파이프
13 : 차단판 15 : 무게추
본 고안은 개수대(11)의 하부에 자동개폐기(10)를 결합시키고 자동개폐기(10)의 하부는 배수호스(2)를 끼우되 상기 자동개폐기(10)의 상부 측면에 넘침방지호스(6)를 설치하므로서 구성이 완료되는 것으로, 배수 파이프(3)에서 배수호스(2)와 넘침방지 호스(6)를 통하여 역류되는 하수 악취가 자동개폐기(10)에서 차단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자동개폐기(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파이프(11)(12)사이에 차단판(13)이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차단판(13)은 파이프(12)의 내부를 막아주거나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차단판(13)은 상,하 파이프(11)(12)사이에 끼워져 회전돌기(14)에 의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약간 V자 형태를 갖도록 하며, 상기 차단판(13)의 일측 하부에는 차단판(13)이 항시 파이프(12)의 내부를 막은 상태로 놓이도록 무게추(15)를 설치한다.
즉 차단판(13)은 회전돌기(14)를 중심으로 무게추(15)가 설치된 곳의 무게가 그렇지 않은 쪽의 무게보다 덜 나가게 되므로, 무게추(15)를 이용하여 차단판(13)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시 파이프(12)를 막아준 상태가 되게 하고, 하수가 투입되면 하수의 무게가 차단판(13)에 가해져 도 4의 점선 도시와 같이 차단판(13)이 회동하면서 하수의 통과에는 하등 문제가 없게 된다.
상기 자동개폐기(10)는 P.V.C 또는 비철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하므로서 부식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이같이 본 고안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개폐기(10)를 개수대(1)의 하부에 설치하되 넘침방지호스(6)를 상기 자동개폐기(10)의 차단판(13) 상부에 결합시킴으로써 배수호스(2)를 통하여 역류되는 악취가 자동개폐기(10)에서 차단되어 넘침방지호스(6) 또는 개수대(1)를 통하여 악취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하나의 자동개폐기(10)를 이용하여 배수호스(2)에서 개수대(1)와 넘침방지호스(6)쪽으로 역류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넘침방지호스(6)를 자동개폐기(10)의 입구측면에 결합시키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자동개폐기(10)의 차단판(13)은 평상시 도 3과 같이 파이프(12)의 내부를 막아준 상태로 놓이게 되어, 배수 파이프(3)에서 배수호스(2)를 통하여 역류되는 하수 악취를 차단판(13)에서 차단하게 되며, 특히 본 고안은 넘침방지호스(6)가 차단판(13)의 상부에 끼워지게 되어 넘침방지호스(6)를 통하여 역류되는 하수 악취가 차단되게 된다.
이같이 본 고안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넘침방지호스(6)가 자동개폐기(10)의 입구측면에 결합되게 하고, 자동개폐기(10)는 개수대(1)의 하측에 결합시킴으로서 하나의 자동개폐기(10)를 이용하여 개수대(1)와 넘침방지호스(6)로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씽크대의 개수대에서 배출되는 배수호스를 바닥파이프에 끼움에 있어서, 개수대의 하부에 배수호스가 끼워진 자동개폐기를 설치하되 상기 자동개폐기의 입구측면에 넘침방지호스를 설치하여 배수호스 및 넘침방지 호스를 타고 역류하는 하수 악취를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다.

Claims (1)

  1. 개수대(1)의 배수호스(2)가 배수 파이프(3)에 끼워지고 개수대(1)의 넘침방지 호스(6)가 배수호스(2)에 연결됨에 있어서,
    개수대(1)의 하부에 입구가 끼워지고 내부에 차단판(13)이 회동하며 통로를 개폐시키는 자동개폐기(10)의 출구에 배수호스(2)를 끼우며, 상기 자동개폐기(10)에 설치된 차단판(13)의 상부 측면에 넘침방지호스(6)가 결합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장치.
KR20-2004-0003030U 2003-11-04 2004-02-07 악취제거 장치 KR20034963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461 2003-11-04
KR20030034461 2003-11-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633Y1 true KR200349633Y1 (ko) 2004-05-08

Family

ID=49429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030U KR200349633Y1 (ko) 2003-11-04 2004-02-07 악취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63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3594B1 (en) Toilet overflow prevention system
AU2011235550B2 (en) Valve for integrating into a sanitary appliance
GB2430444A (en) A waste for use with grey water generating sanitary wear
KR100844049B1 (ko) 악취방지용 배수트랩
JPH10131256A (ja) 洗面台の排水を利用する便器流し構造
KR200349633Y1 (ko) 악취제거 장치
US20070251002A1 (en) Plumbing trap system
KR20090129283A (ko) 이음관
KR200403172Y1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장치
KR20080037918A (ko) 배수구용 악취방지구
KR100905412B1 (ko) 소켓용 악취차단장치
JP2004270290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JP2004360263A (ja) 排水トラップ配管
JPH1143975A (ja) 浴室ユニットの浴槽排水構造
KR101130162B1 (ko) 습식 싱크대 배수전의 건식 배수장치
US20040187925A1 (en) Plumbing trap after-valve
KR19990041355U (ko) 세면기 및 씽크대용 배수트랙구조
CN209066553U (zh) 一种具有防臭功能的下水器及水槽
KR20080109400A (ko) 배수관용 악취차단장치
JP7436665B2 (ja) 排水デバイス
KR20120010320A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JP2000096659A (ja) 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KR200318121Y1 (ko) 하수의 악취 및 역류방지를 위한 고무방취구 구조
JP2001182146A (ja) 集水桝の配管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