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911Y1 -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 - Google Patents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911Y1
KR200347911Y1 KR20-2004-0001256U KR20040001256U KR200347911Y1 KR 200347911 Y1 KR200347911 Y1 KR 200347911Y1 KR 20040001256 U KR20040001256 U KR 20040001256U KR 200347911 Y1 KR200347911 Y1 KR 200347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in
molding
mov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춘강
Original Assignee
홍춘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춘강 filed Critical 홍춘강
Priority to KR20-2004-0001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6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moul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 개의 성형틀이 밀착되면서 일정한 형상의 성형물을 제작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형틀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은, 외부동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형판에 각각 성형틀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한쪽 형판에는 성형물삽입부가 형성되고 반대쪽 형판에는 작동판이 형성되는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 하부에는 성형홈의 하부에 이동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밀핀삽입공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밀핀삽입공에는 제2 탄성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밀핀을 삽입하고 고정부재로 밀핀을 고정하여 일측 단부는 성형틀의 성형홈의 면과 일치되고 반대쪽 단부는 고정부재의 일측면과 일치되게 형성하여 이동핀이 고정부재와 일치된 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며, 밀핀과 밀착되지 않는 이동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 형성되어 밀핀과 밀착된 이동핀이 작동판에 의해 밀핀을 성형틀의 성형홈 쪽으로 이동시킬 때 일부 이동핀이 삽입되는 이동핀삽입공으로 형성되는 배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A metal mold that molding shape is changed}
본 고안은 두 개의 성형틀이 밀착되면서 일정한 형상의 성형물을 제작하는 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성형틀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에 관한 것이다.
금형이란 공지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성형틀이 밀착되는 부분에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홈을 각각 형성하고 성형홈에 액체로 형성되는 성형물을 투입시켜 액체로 형성된 성형물이 냉각되면서 성형홈의 모양으로 굳어져 성형홈과 동일한 모양을 찍어내면서 단시간에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경제적이어서 대량생산하기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금형은 한 개의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한 벌의 성형틀으로 형성되며, 한 벌의 성형틀에는 성형틀을 서로 밀착시키거나 분리하기 위한 작동수단과 배출수단 등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제품마다 한 개의 금형이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인이 선출원한 2003년 실용신안등록 제6514호와 같이 성형틀을 형판에서 착탈 가능하게 형성하여 한 개의 금형에서 성형틀만을 교체하면서 사용하여 설치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금형은 제품이 성평판의 성형홈에서 냉각되면서 굳어지면 공지된 바와 같이 제품을 성형홈에서 배출시키는 밀핀이 제품을 밀어 성형홈에서 이탈시켜야 하기 때문에 비슷한 형태로 형성되어 밀핀이 같은 위치에서 밀어 줄 수 있는 금형은 성형틀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성형틀에서 한 개 이상의 제품을 성형하거나 제품을 배출시키는 중심이 달라지면 제품을 밀어 배출시키는 밀핀의 위치도 바꿔야 하기 때문에 금형 전체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성형틀을 형판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성형틀이 형판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된 방향에 지지대를 밀착시키고 다수개의 볼트로 고정하여 성형틀이 형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성형되는 제품에 관계없이 제품을 배출시켜 한 개의 금형에서 성형틀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성형틀을 형판에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은, 한 벌로 형성되어 외부동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형판의 밀착되는 면에 각각 성형홈이 형성된 성형틀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한쪽 형판에는 성형틀의 성형홈으로 성형물을 유입시키는 성형물삽입부가 형성되고 반대쪽 형판에는 이동핀을 성형틀 쪽으로 지지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동판이 형성되는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이동핀이 이동되는 방향의 성형틀 하부에는 성형홈의 하부에 이동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밀핀삽입공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밀핀삽입공에는 제2 탄성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밀핀을 삽입하고 고정부재로 밀핀을 고정하여 일측 단부는 성형틀의 성형홈의 면과 일치되고 반대쪽 단부는 고정부재의 일측면과 일치되게 형성하여 이동핀이 고정부재와 일치된 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며, 밀핀과 밀착되지 않는 이동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 형성되어 밀핀과 밀착된 이동핀이 작동판에 의해 밀핀을 성형틀의 성형홈 쪽으로 이동시킬 때 밀핀과 밀착되지 않은 이동핀이 삽입되는 이동핀삽입공으로 형성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성형틀이 형판에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형틀에 작동판의 이동핀이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성형틀에 배출수단의 밀핀이 고정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형판에 성형판고정수단이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성형판고정수단의 고정핀이 형판의 일측으로 이동되면서 성형틀의 성형틀고정홈에서 이탈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성형틀이 형판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의 성형물삽입부에 의해서 성형틀에 성형물이 투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의 성형물삽입부에 의해서 성형물에 성형물이 투입될 때 이동핀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동핀이 성형틀에 고정된 배출수단의 밀핀을 상승시켜 성형된 제품을 배출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이동핀이 상승되면서 일부는 밀핀을 상승시키고 나머지 일부는 성형틀에 형성되는 이동핀삽입공에 삽입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a, 100b : 형판 110 : 안내레일홈
120 : 관통공 130 : 성형틀고정수단
131 : 고정핀 132 : 제1 탄성부재
200 : 성형물삽입부 300 : 작동판
310 : 이동핀 400 : 지지축
500, 500a, 500b : 성형틀 510 : 성형홈
520 : 안내레일 521 : 성형틀고정홈
530 : 손잡이 540 : 배출수단
541 : 밀핀삽입공 542 : 밀핀
542a : 걸림턱 543 : 제2 탄성부재
544 : 고정부재 545 : 이동핀삽입공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형판(100a)과 하부형판(100b)으로 외부 동력에 의해 분리되어 형성되며, 한쪽 형판(100a)에는 성형물을 주입하는 성형물삽입부(200)가 형성되고 반대쪽 형판(100b)에는 다수개의 이동핀(310)을 형판(100b)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지지축(400)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동판(300)으로 형성된다.
상부형판(100a)과 하부형판(100b)으로 분리되는 두 개의 형판(100)은 공지된 바와 같이 어느 한쪽 형판(100)이 이동되면서 두 개의 형판(100)이 서로 밀착되거나 벌어지도록 형성한다.
두 개의 형판(100)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모양의 성형홈(510)이 형성된 성형틀(500)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두 개의 형판(100)에 고정되는 성형틀(500)은 공지된 바와 같이 한쪽 성형틀(500b)에만 성형홈(510)을 형성하거나 양쪽 성형틀(500)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성형홈(510)이 형성된다.
두 개의 형판(100)에 각각 고정되며 밀착되는 면에는 성형홈(510)이 형성되는 성형틀(500)의 양쪽 단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520)을 형성하고, 형판(100)에는 안내레일(520)이 삽입되는 안내레일홈(110)을 형성하여 성형틀(500)의 안내레일(520)이 형판(100)의 안내레일홈(110)에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삽입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형판(100)에 삽입되는 성형틀(500)의 진행 반대 방향에는 성형틀(500)을 이동시키는 손잡이(530)를 형성하여 성형틀(500)의 형판(100)에 쉽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530)를 이용하여 형판(100)에 삽입되는 성형틀(500)의 안내레일(520) 중간에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를 절개하여 안내레일(520)이 끊어지면서 성형틀고정홈(521)이 형성되도록 하며, 안내레일(520)이 끊어지면서 형성된 성형틀고정홈(521)이 고정되는 쪽의 형판(100)에는 성형틀(500)을 형판(100)에 고정하는 성형틀고정수단(130)을 형성한다.
성형틀(500)을 형판(100)에 고정하는 성형틀고정수단(130)은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500)의 안내레일(520)이 끊어지면서 형성된 성형틀고정홈(521)으로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핀(131)을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다.
형판(100)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131)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단부는 성형틀(500)의 안내레일(520)에 형성된 성형틀고정홈(521)에 삽입되고 반대쪽 단부는 형판(10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하며, 고정핀(131)에는 상기 고정핀(131)을 성형틀(500) 쪽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132)를 고정하여 고정핀(131)의 단부가 제1 탄성부재(132)의 탄성에 의해서 안내레일(520)의 성형틀고정홈(52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틀(500)이 고정되는 형판(100)에서 성형물삽입부(200)가 형성되는 형판(100)의 반대쪽에 작동판(300)과 이동핀(310)이 형성된 방향의 성형틀(500b)에는 성형물삽입부(200)에 의해서 주입되어 형성되는 제품을 성형틀(500b)의 성형홈(510)에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540)을 형성한다.
성형틀(500b)의 성형홈(510)에서 냉각되어 굳어진 제품을 배출시키는 배출수단(540)이 형성되는 성형틀(500b)이 고정되는 형판(100b)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형판(100b)의 내부에 다수개의 관통공(120)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20)에 이동핀(310)을 이동 가능하게 삽입하여 작동판(300)이 지지축(400)을 따라 이동될 때 이동핀(310)의 단부가 배출수단(540)이 형성된 성형틀(500b)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판(300)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동핀(310)의 단부가 이동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배출수단(540)은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홈(510)이 형성되는 성형틀(500b)에 관통되도록 다수개의 밀핀삽입공(541)을 형성한다.
성형틀(500b)에 관통되게 형성되면서 성형틀(500b)의 성형홈(510) 하부에 형성하면서 작동판(300)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동핀(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며, 상기 밀핀삽입공(541)에는 일측단부가 성형홈(510)의 면과 일치되는 밀핀(542)을 밀핀삽입공(541)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한다.
성형틀(500b)에서 성형홈(510)이 형성된 부분에 형성되는 밀핀삽입공(54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밀핀(542)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홈(510)으로 진행되는 반대쪽에 걸림턱(542a)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542a)에는 제2 탄성부재(543)를 고정하여 밀핀(542)이 밀핀삽입공(541)에서 제2 탄성부재(543)에의해서 밀리면서 성형홈(510)의 면과 항상 일치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2 탄성부재(543)에 의해서 성형홈(510)의 반대쪽으로 가압되는 밀핀(542)의 단부에는 밀핀(542)이 성형틀(500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재(544)를 고정하며, 고정부재(544)에는 밀핀(542)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틀(500b)의 성형홈(510)이 형성되는 지점에서 이동핀(310)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밀핀(542)이 고정되는 성형틀(500b)의 하부에는 밀핀(542)이 고정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이동핀(310)이 삽입되는 이동핀삽입공(545)을 형성하여 작동판(300)에 의해서 성형틀(500b) 쪽으로 이동되는 일부 이동핀(310)의 단부는 이동핀삽입공(545)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고정부재(544)에 의해서 고정된 밀핀(542)의 단부를 밀어 반대쪽 단부가 성형틀(500b)의 성형홈(510) 밖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일정한 형태의 제품을 성형할 때는 먼저 두 개의 형판(100)을 일정한 거리로 벌린 상태에서 두 개의 성형틀(500) 중 성형홈(510)이 일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다수개의 밀핀(542)과 이동핀삽입공(545)이 이동핀(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 성형틀(500b)을 이동핀(310)이 고정된 형판(100b)에 고정하고 다른 쪽 성형틀(500a)은 성형물삽입부(200)가 형성된 형판(100a)에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한다.
성형틀(500)을 형판(100)에 고정할 때는 한쪽 손으로 형틀(100)의 일측으로 돌출된 성형틀고정수단(130)의 고정핀(131)을 잡은 상태에서 성형틀고정수단(130)의 고정핀(131)을 형판(100)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서 제1 탄성부재(132)를 압축시키면서 다른 쪽 손으로는 성형틀(500)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530)를 잡고 들어올려 성형틀(500)의 안내레일(520)을 형판(100)에 형성된 안내레일홈(110)에 끼우면서 성형틀(500)을 형판(100)에 삽입한다.
성형틀(500)의 안내레일(520)이 형판(100)의 안내레일홈(110)에 완전히 삽입되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형판(100)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긴 성형틀고정수단(130)의 고정핀(131)을 놓는다.
성형틀고정수단(130)의 고정핀(131)을 놓으면 상기 고정핀(131)의 단부가 제1 탄성부재(132)의 탄성에 의해서 성형틀(500)이 고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레일(520)이 끊어지면서 형성된 성형틀고정홈(521)에 삽입되어 성형틀(500)이 형판(1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틀(500)이 각각 형판(100)에 고정되면 외부 동력으로 형판(100)을 이동시켜 두 개의 형판(100)에 고정된 성형틀(500)을 서로 밀착시킨다.
성형틀(500)이 공지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되면 한쪽 형틀(100a)에 형성된 성형물삽입부(200)를 통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500b)에 형성된 성형홈(510)으로 젤리형태의 성형물을 투입한다.
성형물이 성형틀(500)에 완전히 투입되면 성형물삽입부(200)를 동작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성형틀(500)을 냉각시켜 성형홈(510)에 투입된 성형물이 빠르게 굳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물이 성형틀(500b)의 성형홈(510)에서 냉각되면서 굳어지면 한쪽 형판(100)을 외부 동력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이동시켜 형판(100)에 고정된 성형틀(500)이 벌어지도록 한다.
형판(100)이 이동되면서 두 개의 성형틀(500)이 벌어지면 제품은 성형틀(500b)의 성형홈(510)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품이 성형홈(510)에 끼워진 상태에서 두 개의 성형틀(500)이 벌어지면 공지된 바와 같이 작동판(300)을 외부 동력으로 지지축(400)을 따라 이동시킨다.
작동판(300)이 외부동력에 의해서 지지축(400)을 따라 성형틀(500b)이 고정된 방향으로 이동되면 작동판(300)에 고정된 이동핀(310)이 형판(100b)에 형성된 관통공(120)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동핀(310)의 단부가 성형틀(500b) 쪽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판(300)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동핀(310) 중 일부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500b)의 밀핀삽입공(541)에 형성된 밀핀(542)의 단부와 밀착되어 이동되고, 다른 이동핀(310)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틀(500b)에 형성된 이동핀삽입공(545)으로 삽입되면서 모든 이동핀(310)이 성형틀(500b)의 내부로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틀(500b)에 형성된 이동핀삽입공(545)으로 삽입되는 이동핀(310)을 제외한 이동핀(310)이 밀핀삽입공(541)에 삽입된 밀핀(542)의 단부를 성형틀(500b)의 성형홈(510)이 형성된 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밀핀(542)의 걸림턱(542a)과 성형홈(510)의 사이에 고정된 제2 탄성부재(543)를 밀핀(542)의 걸림턱(542a)이 이동핀(310)에 의해서 가압하면서 밀핀(542)의 단부가 성형틀(500b)의 성형홈(510) 안쪽으로 돌출된다.
이동핀(310)에 의해서 밀핀(542)의 단부가 성형틀(500b)의 성형홈(510)으로 돌출되면 성형홈(510)에서 성형되어 끼워져 있는 제품이 밀핀(542)의 단부에 의해서 밀리면서 성형홈(510)에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홈(510)에서 성형된 제품이 밀핀(542)에 의해서 이탈되면 다시 두 개의 성형틀(500)을 서로 밀착시켜 제품을 성형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품을 성형하다가 다른 제품을 성형할 때는 형판(100)의 일측으로 돌출된 성형틀고정수단(130)의 고정핀(131)의 바깥쪽으로 잡아당겨 고정핀(131)의 단부가 성형틀(500)의 안내레일(520)에 형성된 성형틀고정홈(521)에서 이탈시킨 상태에서 손잡이(530)를 잡고 형판(100)에서 이탈시키고 다른 성형틀(500)을 고정한다.
다른 제품을 성형하는 성형틀(500)에도 작동판(300)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동핀(310)과 대응되는 개수의 이동핀삽입공(545)과 밀핀(542)이 제품을 밀기 좋은 위치에 형성하기 때문에 밀핀(542)으로 형성되는 배출수단(540)이 형성된 성형틀(500b)을 교체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성형하며, 제품을 배출하는 밀핀의 위기가 바뀌어도 다수개의 이동핀(310) 중 어느 한 개와는 대응되는 밀핀(542)을 존재시켜 제품을 배출하기 때문에 제품의 종류에 관계없이 한 개의 금형으로 모든 제품을 성형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에 속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품을 배출시키는 작동판에 다수개의 이동핀을 형성하고 제품을 배출시키는 성형틀에는 제품을 성형홈에서 배출시키는 밀핀이 고정되는 밀핀삽입공과 이동핀이 삽입되는 이동핀삽입공을 형성하기 때문에금형의 이동핀은 고정된 상태에서 성형틀을 제작할 때 밀핀의 위치를 임으로 조작하여 제품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성형틀의 밀핀을 조작하여 한 개의 금형만으로 밀핀의 구조가 다른 모든 종류의 성형틀을 교체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형판에 고정되어 제1 탄성부재에 의해서 가압되는 성형틀고정수단의 고정핀에 의해서 성형틀이 고정되기 때문에 고정핀을 성형틀에서 이탈시키거나 삽입시키면서 성형틀을 고정 또는 해체시킬 수 있어 교체가 편리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한 벌로 형성되어 외부동력에 의해서 작동되는 형판의 밀착되는 면에 각각 성형홈이 형성된 성형틀이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한쪽 형판에는 성형틀의 성형홈으로 성형물을 투입시키는 성형물 삽입부가 형성되고 반대쪽 형판에는 이동핀을 성형틀쪽으로 지지축을 따라 이동시키는 작동판이 형성되는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에 있어서;
    상기 이동핀이 이동되는 방향의 성형틀 하부에는 성형홈의 하부에 이동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밀핀삽입공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상기 밀핀삽입공에는 제2 탄성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된 밀핀을 삽입하고 고정부재로 밀핀을 고정하여 일측단부는 성형틀의 성형홈의 면과 일치되고 반대쪽 단부는 고정부재의 일측면과 일치되게 형성하여 이동핀이 고정부재와 일치된 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며, 밀핀과 밀착되지 않는 이동핀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 형성되어 밀핀과 밀착된 이동핀이 작동판에 의해 밀핀을 성형틀의 성형홈 쪽으로 이동시킬 때 밀핀과 밀착되지 않은 이동핀이 삽입되는 이동핀삽입공으로 형성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판에서 성형틀이 고정되는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에는 형판을 관통하여 성형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핀이 관통되는 형판의 내부에는 고정핀을 성형틀쪽으로 가압하는 제1 탄성부재를 고정하며, 성형틀에 삽입되는 고정핀의 반대쪽은 형판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성형틀고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 일측에는 손잡이를 형성하고, 양쪽에는 안내레일을 형성하며, 형틀에는 안내레일이 삽입되는 안내레일홈을 형성하여 성형틀이 형판에서 이동되면서 삽입되도록 형성하고, 성형틀의 안내레일에는 성형틀고정수단의 고정핀이 삽입되도록 일부를 절개하여 성형틀고정홈을 형성하고 절개된 안내레일의 성형틀고정홈 사이로 고정핀이 삽입되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
KR20-2004-0001256U 2004-01-16 2004-01-16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 KR200347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256U KR200347911Y1 (ko) 2004-01-16 2004-01-16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256U KR200347911Y1 (ko) 2004-01-16 2004-01-16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911Y1 true KR200347911Y1 (ko) 2004-04-28

Family

ID=49428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256U KR200347911Y1 (ko) 2004-01-16 2004-01-16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9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712B1 (ko) * 2007-01-17 2008-08-25 미크론정공 주식회사 사출성형장치
KR101179388B1 (ko) 2005-11-03 2012-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형조립체
KR102409117B1 (ko) * 2020-12-21 2022-06-22 주식회사 호원 금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388B1 (ko) 2005-11-03 2012-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금형조립체
KR100853712B1 (ko) * 2007-01-17 2008-08-25 미크론정공 주식회사 사출성형장치
KR102409117B1 (ko) * 2020-12-21 2022-06-22 주식회사 호원 금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75947A1 (en) Cut structure for mold
CN212045728U (zh) 一种多模腔的光学镜片注塑模具
KR20100024677A (ko) 사출 성형기의 분리형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형판
KR200347911Y1 (ko) 성형틀이 교체되는 금형
CN210257041U (zh) 一种便于拆分和组装的模具
CN209903826U (zh) 一种注塑模具斜导块的侧抽芯直面锁紧机构
CN216465810U (zh) 一种免拆式镶块互换机构
CN206357577U (zh) 一种复印机的把手注塑模具双斜侧下抽芯机构
CN212554834U (zh) 一种模仁快速更换的模具
CN210047017U (zh) 一种具有倒扣行位机构的注塑模具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CN114131846A (zh) 一种注塑组合模具及其注塑方法
CN219543893U (zh) 一种用于制备显示器卡扣的模具结构
CN100396466C (zh) 侧浇口自动切断注射模
KR0136498Y1 (ko) 금형의 게이트 자동절단장치
CN218928458U (zh) 一种可进行二次脱模的注塑模具
CN219233957U (zh) 一种可拆卸式的板柸组合模具
JP6038457B2 (ja) 遊技板の成形方法
CN216506317U (zh) 一种应用于模具中的快速顶出装置
CN216329866U (zh) 跷跷板加速顶出机构
CN217395570U (zh) 一种提升使用强度的模具
CN215703310U (zh) 一种便于倒扣出模的模具结构
CN216804288U (zh) 便于脱模的注塑模具
CN219600287U (zh) 一种镶条类产品的脱模装置
CN219903186U (zh) 一种实用出模的模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