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443Y1 -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443Y1
KR200347443Y1 KR20-2004-0000122U KR20040000122U KR200347443Y1 KR 200347443 Y1 KR200347443 Y1 KR 200347443Y1 KR 20040000122 U KR20040000122 U KR 20040000122U KR 200347443 Y1 KR200347443 Y1 KR 2003474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locking
rotation
knob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0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근
Original Assignee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0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4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4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4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A47B63/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with parts, e.g. trays, card containers, movable on pivots or on chains 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3/00Cabinets or racks having several sections one behind the other
    • A47B53/02Cabinet systems, e.g. consisting of cabinets arranged in a row with means to open or close passages between adjacent cabinet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일과 랙을 갖는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서, 랙의 측판 내측으로 관통되는 샤프트를 갖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샤프트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랙의 측판 하단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축에는 상기 레일에 안착되는 롤러가 일체로 마련된 한쌍의 종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 및 한쌍의 종동스프로킷에 와인딩되어, 구동스프로킷의 회전시 종동스프로킷을 회전시키는 체인과; 상기 구동스프로킷의 하측에 설치된 돌출브래킷과; 상기 돌출브래킷에 수직으로 관통설치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구동스프로킷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면서 걸리거나 이탈하며, 하단부에는 가이드장공을 갖는 걸림봉과; 상기 걸림봉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랙의 측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동시에, 단부에는 회전판이 일체로 돌출설치된 회전축을 갖는 노브 및; 상기 노브의 회전판과, 상기 걸림봉의 가이드장공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고정되어,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걸림봉을 승강시키는 링크핀;을 포함하며, 걸림봉이 구동스프로킷에 삽입되어 구동스프로킷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구속하므로, 구동스프로킷을 구속하기 위한 랫치휠을 별개로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모빌랙의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 MOVING APPARATUS OF MOBILE-RACK HAVING LOCKING MEMBER }
본 고안은 레일을 따라 랙이 이동되는 모빌랙에 관한 것으로서, 랙에 설치되어 작동함으로써 랙을 레일에서 이동시키는 모빌랙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빌랙은 구동방식에 따라 핸들식과 전동식으로 분류되며, 핸들식은 핸들을 수동으로 돌려서 랙을 이동시키는 것이고, 전동식은 랙에 설치된 구동모터를 구동시켜서 랙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핸들식 모빌랙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18400호(명칭: 모빌랙)에 잘 나타나 있으며,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이러한 실용신안등록 제20-318400호에 기재된 종래 기술에 의한 모빌랙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모빌랙은, 레일(1)과, 레일(1)에 안착되어 레일(1)을 따라 이동하는 수납판(2a)을 갖는 랙(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에 기재된 도면부호 11은 손으로 잡아서 돌리는 핸들이고, 21은 후술되는 랙(2)의 이동장치를 제어하는 잠금손잡이이다.
이때, 핸들(11)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1a)을 가지며, 이 회전축(11a)의 단부(랙의 측판 내측에 위치한 단부)에는 구동스프로킷(12)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 구동스프로킷(12)의 하부측에 위치한 랙(2)의 측판에는 피동스프로킷(13)이 그 축(13a)에 의하여 고정되며, 구동스프로킷(12)과 이 피동스프로킷(13)은 구동체인(14a)으로 연결된다.
또한, 피동스프로킷(13)의 축(13a)에는 또다른 상부종동스프로킷(13b)이 일체로 마련되며, 이 상부종동스프로킷(13b)은 피동체인(14b)에 의하여 랙(2)의 측판 하부에 양측으로 설치된 하부종동스프로킷(13c)과 연결된다.
이러한 하부종동스프로킷(13c)의 축에는 레일(1)에 안착되어 구름운동을 하는 미도시된 롤러가 일체로 설치된다.
따라서, 핸들(11)을 돌리면 구동스프로킷(12)이 회전축(11a)에 의하여 회전하고, 구동체인(14a)에 의하여 피동스프로킷(13) 및 상부종동스프로킷(13b)이 연동하여 회전한다.
그러면, 상부종동스프로킷(13b)의 회전에 따라 피동체인(14b)이 회전하면서, 하부종동스프로킷(13c)을 회전시켜서 롤러를 구름운동시키며, 이로 인하여 랙(2)은 레일(1)을 따라 이동한다.
즉, 전술된 회전축(11a)을 갖는 핸들(11), 구동스프로킷(12), 피동스프로킷(13), 구동체인(14a), 상부종동스프로킷(13b), 하부종동스프로킷(13c), 피동체인(14b)은 랙(2)을 레일(1)에서 이동시키는 이동장치(M)이다.
한편, 종래 기술에 의한 모빌랙에는 이러한 이동장치(M)의 작동을 제어하는 로킹부재(L)가 마련되며, 로킹부재(L)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핸들(11)의 회전축(11a)에 일체로 설치되는 렛치휠(22)과, 이 렛치휠(22)의 상부에서 승강하면서 렛치휠(22)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어 렛치휠(22)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핀(26) 및, 이 스토퍼핀(26)을 가압하는 전술된 잠금손잡이(21)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토퍼핀(26)은 상부측에 위치한 랙(2)의 측판에 용접으로 돌출된 걸림판(24)에 승강가능하도록 걸려서 고정되되, 외주면에 설치된 스프링(26a)에 의하여 탄력지지상태로 걸려고정된다.
그리고, 잠금손잡이(21)는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에 의하여, 스토퍼핀(26)의 상부에 위치한 랙(2)의 측판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회전축의 단부에는 탄력지지된 스토퍼핀(26)을 가압하는 편심캠(28)을 갖는다.
따라서, 잠금손잡이(21)를 정방향으로 돌리면 편심캠(28)도 일체도 회전하면서, 스프링(26a)에 의하여 탄력지지된 스토퍼핀(26)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스토퍼핀(26)은 핸들(11)의 회전축(11a)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12)과 함께 회전되는 렛치휠(22)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면서 렛치휠(22)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그러면, 일체로 설치된 렛치휠(22)의 정지로 인하여 핸들(11)의 회전축(11a)도 회전을 할 수 없으므로, 결국 이동장치(M)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정지됨에 따라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즉, 이러한 로킹부재(L)를 작동시키면 이동장치(M)는 작동을 할 수 없다.
하지만, 이동장치(M)를 다시 작동시키려면, 잠금손잡이(21)를 역방향으로 돌리면 되며, 이렇게 역방향으로 잠금손잡이(21)가 돌아가면 편심캠(28)도 역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스토퍼핀(26)의 가압을 해제하게 된다.
그러면, 스토퍼핀(26)은 스프링(26a)의 탄성보원력에 의하여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렛치휠(22)의 구속을 해제한다.
따라서, 렛치휠(22)의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이동장치(M)는 다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빌랙은 이동장치(M)의 작동이 제어되도록, 이동장치(M)와 별개를 이루는 로킹부재(L)를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장치(M)의 구성요소를 과다하게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동장치(M)의 구성요소를 과다하게 구비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로킹부재(L)의 작동을 완전히 단속할 수 있는 잠금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로킹부재(L)를 아무나 작동시킬 수 있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빌랙을 이동시키는 이동장치 및 이 이동장치를 제어하는 로킹부재를 단순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로킹부재가 이동장치와 별개로 작동하지 않고 유기적으로 함께 작동하는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한, 로킹부재의 조작을 단속하는 잠금장치가 구비된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모빌랙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빌랙의 이동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모빌랙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를 도시한 이동장 치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로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킹부재를 확대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2 : 핸들 54 : 구동스프로킷
56 : 종동스프로킷 61 : 키박스
61a : 회전봉 61b : 회전돌기
62 : 노브 62a : 회전축
62b : 회전판 62c : 걸림돌기
62d, 62d' : 고정돌기 64 : 링크핀
66 : 걸림봉 68 : 탄성부재
69 : 돌출브래킷 C : 체인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랙(2)에 설치된 이동장치가 작동함으로써, 레일(1)을 따라 랙(2)이 이동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랙(2)의 측판 내측으로 관통되는 샤프트(52b)를 갖는 핸들(52)과; 상기 핸들(52)의 샤프트(52b)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54)과; 상기 랙(2)의 측판 하단부 양측에 아이들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축에는 상기 레일(1)에 안착되는 롤러(58)가 일체로 마련된 한쌍의 종동스프로킷(56)과; 상기 구동스프로킷(54) 및 한쌍의 종동스프로킷(56)에 와인딩되어, 구동스프로킷(54)의 회전시 종동스프로킷(56)을 연동시켜 회전시키는 체인(C)과; 상기 구동스프로킷(54)의 하측에 돌출설치된 돌출브래킷(69)과; 상기 돌출브래킷(69)에 수직으로 관통설치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구동스프로킷(54)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면서 걸리거나 이탈하며, 하단부에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장공(66a)을 갖는 걸림봉(66)과; 상기 걸림봉(66)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랙(2)의 측판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단부에는 축방향과 직교되는 회전판(62b)이 일체로 돌출설치된 회전축(62a)을 갖는 노브(62) 및; 상기 노브(62)의 회전판(62b)과, 상기 걸림봉(66)의 가이드장공(66a)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고정되어, 회전판(62b)의 회전에 따라 걸림봉(66)을 승강시키는 링크핀(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노브(62)의 회전축(62a)이 소정각도의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회전축(62a)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축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제어수단은 상기 노브(62)의 회전축(62a)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회전축(62a)과 함께 회전되는 걸림돌기(62c) 및; 상기 걸림돌기(62c)와 대향되도록 상기 랙(2)의 측판에 돌출상태로 부착고정되되, 상기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둔각이내의 각도를 이루면서 부착고정되어, 걸림돌기(62c)가 회전되면 이 걸림돌기(62c)에 맞닿아 걸림으로써, 상기 노브(62)의 회전축(62a)이 둔각범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돌기(62d, 62d');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돌출브래킷(69)의 하부측에 위치한 걸림봉(66)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걸림봉(66)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68) 및; 상기 탄성부재(68)의 하부측에 위치한 상기 걸림봉(66)의 단부에 끼워져서, 탄성부재(68)를 지지하는 와셔(68c);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68)는 상부탄성부재(68a) 및 하부탄성부재(68b)로 양분하고, 이 상부탄성부재(68a) 및 하부탄성부재(68b)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걸림봉(66)의 중간에는 분할핀(P)을 관통 고정하여, 이 분할핀(P)이 상부탄성부재(68a) 및 하부탄성부재(68b)의 탄성력을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노브(62)의 회전판(62b)의 작동을 저지하여 회전판(62b)의 회전동작을제어함으로써, 상기 걸림봉(66)의 승강을 단속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회전판(62b)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랙(2)의 측판에 관통설치되고, 중앙에는 열쇠삽입용 키홀이 형성된 키박스(61)와; 상기 키박스(61)에 회전가능하게 돌출설치되어 상기 랙(2)의 측판 내측을 향하고, 상기 키홀에 삽입되는 열쇠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키박스(61)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이 단속되는 회전봉(61a) 및; 상기 회전봉(61a)의 단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회전봉(61a)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노브(62)에 설치된 회전판(62b)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회전판(62b)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회전돌기(61b);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종래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를 도시한 이동장 치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로킹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킹부재를 확대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레일(1)에 안착된 랙(2)의 측판 내측으로 관통되는 샤프트(52b) 및 파지용 손잡이(52a)를 갖는 핸들(52)과; 핸들(52)의 샤프트(52b)에 일체로 설치되어 핸들(52)의 회전시 샤프트(52b)와 함께 회전하는 구동스프로킷(54)을 포함한다.
그리고, 랙(2)의 측판 하단부 양측에 아이들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축에는 레일(1)에 안착되는 롤러(58)가 일체로 마련된 한쌍의 종동스프로킷(56)과; 구동스프로킷(54) 및 한쌍의 종동스프로킷(56)에 와인딩되어, 구동스프로킷(54)의 회전시 종동스프로킷(56)을 연동시켜 회전시키는 체인(C);을 포함한다.
이때, 체인(C)에 감겨진 구동스프로킷(54)과 한쌍의 종동스프로킷(56)은, 그 설치위치로 인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삼각형 모양을 형성한다.
한편, 도 4에 기재된 도면부호 59는 체인(C)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스프로킷이다.
계속해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스프로킷(54)의 하측에 용접으로 돌출설치된 예컨대, "ㄷ"자형 찬넬 모양의 돌출브래킷(69)과; 돌출브래킷(69)에 수직으로 관통설치되어, 승강하면서 구동스프로킷(54)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면서 걸리거나 톱니로부터 이탈되며, 하단부에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장공(66a)을 축 중앙에 갖는 걸림봉(66);을 포함한다.
물론, 걸림봉(66)이 관통되는 돌출브래킷(69)에는 걸림봉(66)의 관통이 가능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다시 계속해서, 본 고안은 걸림봉(66)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랙(2)의 측판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단부에는 축방향과 직교되는 회전판(62b)이 일체로 돌출설치된 회전축(62a)을 갖는 납작한 판상의 노브(62)를 포함한다.
물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62)는 랙(2)의 측판 외측에 위치하고, 회전축(62a)은 랙(2)의 측판 내측에 위치하며, 회전축(62a)의 단부에 설치된 회전판(6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ㄴ"자형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판(62b)은 노브(62)가 회전되어 회전축(62a)이 회전되면, 연동되면서 함께 회전된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노브(62)의 회전판(62b)과, 걸림봉(66)의 가이드장공(66a)에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양단부가 각각 힌지고정되어, 회전판(62b)의 회전에 따라 걸림봉(66)을 승강시키는 링크핀(64);을 포함한다.
즉, 링크핀(64)은 노브(62)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판(62b)이 회전되면, 힌지고정된 양단이 회전함으로써 수직상태가 되거나 수평상태가 되며, 수직상태가 되면 걸림봉(66)의 가이드장공(66a) 상단을 가압하면서 걸림봉(66)을 상승시시키고, 수평상태가 되면 가이드장공(66a)의 하단을 당기면서 걸림봉(66)을 하강시킨다.
이러한, 링크핀(64)은 양단부가 절곡됨에 따라 대략적으로 "ㄷ"자 형상을 이루며, 그 양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냅링(S)이 체결됨에 따라 회전판(62b) 및 걸림봉(66)의 하단부에 힌지고정된다.
이때, 걸림봉(66)에 형성된 가이드장공(66a)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이 개방된 형태일 경우에는, 걸림봉(66)의 하단에 가이드장공(66a)을 횡단하는 지지핀(66a')을 관통시켜, 가이드장공(66a)에 힌지고정된 링크핀(64)이 이 지지핀(66a')에 의하여 구속되도록 하여야 한다.
물론, 노브(62)의 회전판(62b)에는 링크핀(64)의 단부가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구멍의 지름과 걸림봉(66)에 형성된 가이드장공(66a)의 수평방향 지름은 링크핀(64)의 외경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되, 링크핀(64)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링크핀(64)이 체결된 스냅링(S)의 외경 보다는 작게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본 고안은 노브(62)의 회전축(62a)과 랙(2)의 측판에 설치되어, 노브(62)의 회전축(62a)이 소정각도의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회전축(62a)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축제어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회전축제어수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62)의 회전축(62a)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회전축(62a)과 함께 회전되는 걸림돌기(62c) 및; 이 걸림돌기(62c)와 대향되도록 랙(2)의 측판에 돌출상태로 용접되어 부착고정되되,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둔각이내의 각도를 이루면서 부착고정되어, 걸림돌기(62c)가 회전되면 이 걸림돌기(62c)에 맞닿아 걸림으로써, 노브(62)의 회전축(62a)이 둔각범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2개의 고정돌기(62d, 62d');로 구성하였다.
즉, 걸림돌기(62c)는 하나로 구성하고, 고정돌기(62d, 62d')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직각상태를 이루도록 2개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회전축(62a)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걸림돌기(62c)는 수평상태가 되면, 회전축(62a)과 수평을 이루는 도면부호 62d'의 고정돌기에 걸리게 되며, 이와 달리 수직상태가 되면 도면부호 62d의 고정돌기에 걸리게 되므로, 회전축(62a)은 고정돌기(62d, 62d')의 설치각도 범위이내로 그 회전이 제한된다.
이러한 고정돌기(62d, 62d')의 설치각도는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둔각 이내의 각도가 되도록 설치하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이나 그 보다 조금 더 큰 각도(약 100°~110°)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부연설명하면, 2개의 고정돌기(62d, 62d')중 하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62a)과 수평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하나의 고정돌기(62d')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62a)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하되, 회전축(62a)의 축중심에서 약간 벗어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고안은 돌출브래킷(69)의 하부측에 위치한 걸림봉(66)의 외주면에끼워져서 걸림봉(66)을 탄력지지하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68) 및; 이 탄성부재(68)의 하부측에 위치한 걸림봉(66)의 단부에 끼워져서, 탄성부재(68)를 지지하는 와셔(68c);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68)와 와셔(68c)는 걸림봉(66)의 하부측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며, 와셔(68c)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위치한 링크핀(64)의 지지에 의하여 걸림봉(66)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탄성부재(68)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탄성부재(68a) 및 하부탄성부재(68b)로 양분하고, 이 상부탄성부재(68a) 및 하부탄성부재(68b)의 사이에 위치하는 걸림봉(66)의 중간에는 분할핀(P)을 관통 고정하여, 이 분할핀(P)이 상부탄성부재(68a) 및 하부탄성부재(68b)의 탄성력을 모두 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탄성부재(68)를 양분하여 구성하는 이유는, 구동스프로킷(54)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는 걸림봉(66)의 가압력을 약화시킴과 동시에, 탄성부재(68)에 의한 이탈력을 약화시키기 위함이다.
만약, 탄성부재(68)가 양분되지 않고 하나로 구성되면, 탄성부재(68)의 압축이 용이하므로 걸림봉(66)이 너무 강하게 구동스프로킷(54)의 톱니에 삽입되어, 톱니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걸림봉(66)이 구동스프로킷(54)에서 이탈될 경우에는, 압축된 탄성부재(68)의 탄발력이 한번에 작동하므로, 걸림봉(66)이 너무 급작스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탄성부재(68)를 양분하면 탄성부재(68)의 탄성력을 이원화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68)의 탄성력이 이원화되는 경우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전술된 노브(62)를 정방향으로 돌려서 노브(62)의 회전축(62a)을 회전시켜, 회전축(62a)의 회전판(62b)이 수직상태가 되도록 회전시키게 되면, 링크핀(64)은 회전판(62b)에 힌지고정된 일단부가 회전하면서 회전판(62b)과 함께 수직으로 기립된다.
이때, 걸림봉(66)의 가이드장공(66a)에 힌지고정된 링크핀(64)의 타단부는 회전하면서 가이드장공(66a)을 따라 상승하므로, 걸림봉(66)의 단부에 끼워진 와셔(68c)는 링크핀(64)의 타단부에 의하여 밀리면서 상승한다.
따라서, 와셔(68c)는 상승하면서 하부탄성부재(68b)를 가압하며, 하부탄성부재(68b)는 상부의 분할핀(P)에 의하여 압축된다.
그리고, 링크핀(62)의 타단부가 가이드장공(66a)의 상단에 걸린상태에서 링크핀(62)이 계속 기립되면, 걸림봉(66)은 링크핀(62)에 의하여 밀리면서 계속 상승한다.
그러면, 이번에는 걸림봉(66)의 상승에 의하여 상부탄성부재(68a)가 압축되며, 이 상부탄성부재(68a)는 걸림봉(66)을 수용하는 돌출브래킷(69)의 하부면과, 분할핀(P)에 의하여 상·하단이 가압되어 압축된다.
물론, 상부탄성부재(68a)의 압축시 상승되는 걸림봉(66)은 핸들(52)의 회전축(52a)에 고정된 구동스프로킷(54)의 톱니 사이로 삽입되면서, 구동스프로킷(54)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 랙(2)은 구동스프로킷(54)의 작동정지로 인하여 레일(1)상에서 이동되지 않는다.
이렇게, 구동스프로킷(54)에 삽입된 걸림봉(66)을 이탈시키려면, 삽입의 역동작을 하면된다.
즉, 노브(6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회전축(62a) 및 회전판(62b)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그러면, 회전판(62b)은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전환되고, 이에 따라 링크핀(64)도 수직상태에서 회전되면서 하강하여 수평상태로 전환되며, 링크핀(64)의 하강으로 인하여 걸림봉(66)에서 압축상태로 있던 상·하부탄성부재(68a, 68b)는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된다.
이때, 상부탄성부재(68a)는 돌출브래킷(69)에 대하여 척력(斥力)을 작용하고, 하부탄성부재(68a, 68b)는 와셔(68c)에 대하여 척력을 작용한다.
그러므로, 와셔(68c)는 링크핀(64)의 상단을 가압하여 걸림봉(66)이 원활하게 하강하도록 협조하므로, 결국 걸림봉(66)은 상·하부탄성부재(68a, 68b)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복귀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68)를 양분하면, 상·하부탄성부재(68a, 68b)가 제각각 압축되므로, 걸림봉(66)은 구동스프로킷(54)에 서서히 삽입되고, 서서히 이탈된다.
즉, 링크핀(64)의 기립시 걸림봉(66)은 상·하부탄성부재(68a, 68b)를 제각각 압축하므로 링크핀(64)의 가압력이 분산되면서 약화됨에 따라,구동스프로킷(54)의 톱니에 서서히 삽입되며, 이탈시에는 상·하부탄성부재(68a, 68b)가 제각각 이원화상태로 탄발력을 작용하므로, 이탈력이 분산되면서 발산됨에 따라 서서히 이탈된다.
한편, 본 고안은 노브(62)의 회전판(62b)의 작동을 저지하여 회전판(62b)의 회전동작을제어함으로써, 걸림봉(66)의 승강을 열쇠로 잠금시켜 단속할 수 있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한다.
그러면, 열쇠가 있을 경우에만 걸림봉(66)을 작동시켜서 랙(2)을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열쇠를 보유한 특정인 만이 잠금수단을 통해 랙(2)을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수단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62b)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랙(2)의 측판에 관통설치되고, 중앙에는 열쇠삽입용 키홀이 형성된 키박스(61)와; 키박스(61)에 회전가능하게 돌출설치되어 랙(2)의 측판 내측을 향하고, 키박스(61)의 키홀에 삽입되는 열쇠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키박스(61)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이 단속되는 회전봉(61a)을 포함한다.
또한, 회전봉(61a)의 단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회전봉(61a)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노브(62)에 마련된 회전판(62b)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회전판(62b)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회전돌기(61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잠금수단은 노브(62)를 조작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걸림봉(66)이 구동스프로킷(54)에 걸리게 한 다음 작동시켜야 한다.
이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걸림봉(66)이 구동스프로킷(54)에 걸려서 노브(62)의 회전판(62b)이 기립되면, 키박스(61)에 열쇠를 삽입하고, 열쇠를 정방향으로 돌린다.
그러면, 회전봉(61a)이 열쇠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면서 수평상태의 회전돌기(61b)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도 6에는 파선으로 도시됨)시킨다.
이에 따라, 회전돌기(61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62)의 회전판(62b) 하단부를 지지하여, 회전판(62b)의 회전을 방지시킨다.
이때, 키박스(61)는 내장된 로킹부품이 작동하여 회전봉(61a)을 회전상태 그대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키박스(61)에서 열쇠를 이탈시켜도 회전봉(61a)은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봉(61a)의 회전돌기(61b)는 노브(62)의 회전판(62b)을 계속 지지하게 된다.
물론, 회전판(62b)은 기립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이로 인하여 걸림봉(66)은 구동스프로킷(54)에 계속 걸려있게 된다.
즉, 잠금수단의 잠금작동으로 인하여 구동스프로킷(54)은 걸림봉(66)에 걸려 회전되지 못하며, 이에 따라 랙(2)은 레일(1)에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키박스(61)에 열쇠를 다시 삽입하여 역방향으로 돌리면, 회전돌기(61b) 및 회전봉(61a)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므로, 사용자는 노브(62)를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랙(2)을 레일(1)에서 이동시키려면,핸들(52)의 손잡이(52a)를 돌려서 샤프트(52b) 및 샤프트(52b)의 구동스프로킷(54)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스프로킷(54)의 회전에 의하여 체인(C)은 종동스프로킷(56)을 회전시켜, 레일(1)에 안착된 롤러(58)를 회전시켜서 랙(2)을 레일(1)의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랙(2)이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려면, 랙(2)의 측판에 노출된 노브(62)를 회전시켜 링크핀(64)을 기립시키면 된다.
그러면, 링크핀(64)은 전술된 바와 같이 기립되면서 걸림봉(66)을 상승시켜, 걸림봉(66)이 구동스프로킷(54)의 톱니에 걸리게 한다.
물론, 걸림봉(66)은 노브(62)의 회전축(62a)에 형성된 걸림돌기(62c)가, 랙(2)의 측판에 형성된 회전축(62a)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고정돌기(62d')에 걸림으로써 기립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구동스프로킷(54)은 걸림봉(66)에 의하여 구동이 불가능해지며, 이로 인하여 랙(2)은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이때, 다른 사람이 랙(2)을 이동시키지 못하게 하려면 키박스(61)에 열쇠를 삽입하여 잠그면 된다.
그러면, 열쇠를 보유한 특정인 만이 다시 랙(2)을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랙(2)을 다시 작동시키려면, 열쇠를 다시 키박스(61)에 삽입하여 역회전시켜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면 되며, 잠금상태의 해제동작은 잠금동작의 역순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는, 돌출브래킷과 걸림봉, 회전축 및 회전판을 갖는 노브, 링크핀 등으로 구성된 로킹부재가 구동스프로킷의 하부에 설치되어, 구동스프로킷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작동하므로, 종래와 같이 구동스프로킷을 정지시키는 렛치휠을 배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동스프로킷 및 상부종동스프로킷도 배제시킬 수 있으며, 또한 체인도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장치 및 로킹부재의 구성을 간략화 할 수 있으므로, 랙의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 또한 상당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열쇠로 작동되는 키박스를 갖는 잠금수단이, 로킹부재를 완벽하게 단속하므로, 열쇠를 보유한 특정인 만이 로킹부재의 조작이 가능하여, 모빌랙을 아무나 함부로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모빌랙의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랙을 서로 밀착상태로 중첩시킨 다음, 잠금수단으로 로킹부재를 단속하게 되면, 중첩된 랙에 적재된 중요한 문건을 유출할 수 없으므로, 중요문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안상의 효과도 있다.

Claims (5)

  1. 랙(2)에 설치된 이동장치가 작동함으로써, 레일(1)을 따라 랙(2)이 이동하는 모빌랙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랙(2)의 측판 내측으로 관통되는 샤프트(52b)를 갖는 핸들(52)과;
    상기 핸들(52)의 샤프트(52b)에 일체로 설치되는 구동스프로킷(54)과;
    상기 랙(2)의 측판 하단부 양측에 아이들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축에는 상기 레일(1)에 안착되는 롤러(58)가 일체로 마련된 한쌍의 종동스프로킷(56)과;
    상기 구동스프로킷(54) 및 한쌍의 종동스프로킷(56)에 와인딩되어, 구동스프로킷(54)의 회전시 종동스프로킷(56)을 연동시켜 회전시키는 체인(C)과;
    상기 구동스프로킷(54)의 하측에 돌출설치된 돌출브래킷(69)과;
    상기 돌출브래킷(69)에 수직으로 관통설치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구동스프로킷(54)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면서 걸리거나 이탈하며, 하단부에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장공(66a)을 갖는 걸림봉(66)과;
    상기 걸림봉(66)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랙(2)의 측판을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단부에는 축방향과 직교되는 회전판(62b)이 일체로 돌출설치된 회전축(62a)을 갖는 노브(62) 및;
    상기 노브(62)의 회전판(62b)과, 상기 걸림봉(66)의 가이드장공(66a)에 양단부가 각각 힌지고정되어, 회전판(62b)의 회전에 따라 걸림봉(66)을 승강시키는 링크핀(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62)의 회전축(62a)이 소정각도의 범위에서 회전되도록, 회전축(62a)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축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제어수단은 상기 노브(62)의 회전축(62a)에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회전축(62a)과 함께 회전되는 걸림돌기(62c) 및;
    상기 걸림돌기(62c)와 대향되도록 상기 랙(2)의 측판에 돌출상태로 부착고정되되, 상기 회전축(62a)을 중심으로 둔각이내의 각도를 이루면서 부착고정되어, 걸림돌기(62c)가 회전되면 이 걸림돌기(62c)에 맞닿아 걸림으로써, 상기 노브(62)의 회전축(62a)이 둔각범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적어도 2개의 고정돌기(62d, 6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브래킷(69)의 하부측에 위치한 걸림봉(66)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걸림봉(66)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68) 및;
    상기 탄성부재(68)의 하부측에 위치한 상기 걸림봉(66)의 단부에 끼워져서, 탄성부재(68)를 지지하는 와셔(68c);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68)는 상부탄성부재(68a) 및 하부탄성부재(68b)로 양분하고, 이 상부탄성부재(68a) 및 하부탄성부재(68b)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걸림봉(66)의중간에는 분할핀(P)을 관통 고정하여, 이 분할핀(P)이 상부탄성부재(68a) 및 하부탄성부재(68b)의 탄성력을 지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62)의 회전판(62b)의 작동을 저지하여 회전판(62b)의 회전동작을제어함으로써, 상기 걸림봉(66)의 승강을 단속하는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회전판(62b)의 하측에 위치한 상기 랙(2)의 측판에 관통설치되고, 중앙에는 열쇠삽입용 키홀이 형성된 키박스(61)와;
    상기 키박스(61)에 회전가능하게 돌출설치되어 상기 랙(2)의 측판 내측을 향하고, 상기 키홀에 삽입되는 열쇠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키박스(61)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이 단속되는 회전봉(61a) 및;
    상기 회전봉(61a)의 단부에 일체로 설치되어, 회전봉(61a)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노브(62)에 설치된 회전판(62b)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회전판(62b)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회전돌기(6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KR20-2004-0000122U 2004-01-05 2004-01-05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KR2003474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22U KR200347443Y1 (ko) 2004-01-05 2004-01-05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0122U KR200347443Y1 (ko) 2004-01-05 2004-01-05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443Y1 true KR200347443Y1 (ko) 2004-04-08

Family

ID=4934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0122U KR200347443Y1 (ko) 2004-01-05 2004-01-05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443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96B1 (ko) * 2011-10-17 2013-04-29 (주)대원모빌랙 모빌랙
KR101569883B1 (ko) * 2015-03-12 2015-11-17 피아산업 주식회사 화재 소화 모빌랙
KR101708869B1 (ko) * 2016-08-18 2017-02-22 삼광기업주식회사 화재 지연 기능을 겸비한 이동식 서가
KR101867289B1 (ko) 2017-09-18 2018-06-15 (주)동성오에이 모빌랙의 핸들부에 설치되는 내진용 잠금-풀림장치
KR101903524B1 (ko) * 2018-02-26 2018-10-04 (주)캠퍼스라인 모빌랙용 핸들장치
KR102076747B1 (ko) * 2019-06-05 2020-02-12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
KR20200061870A (ko) 2018-11-26 2020-06-03 김영배 모빌랙 고정형 체인홀더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796B1 (ko) * 2011-10-17 2013-04-29 (주)대원모빌랙 모빌랙
KR101569883B1 (ko) * 2015-03-12 2015-11-17 피아산업 주식회사 화재 소화 모빌랙
KR101708869B1 (ko) * 2016-08-18 2017-02-22 삼광기업주식회사 화재 지연 기능을 겸비한 이동식 서가
KR101867289B1 (ko) 2017-09-18 2018-06-15 (주)동성오에이 모빌랙의 핸들부에 설치되는 내진용 잠금-풀림장치
KR101903524B1 (ko) * 2018-02-26 2018-10-04 (주)캠퍼스라인 모빌랙용 핸들장치
KR20200061870A (ko) 2018-11-26 2020-06-03 김영배 모빌랙 고정형 체인홀더
KR102181059B1 (ko) * 2018-11-26 2020-11-19 김영배 모빌랙 고정형 체인홀더
KR102076747B1 (ko) * 2019-06-05 2020-02-12 주식회사 금강모빌랙 텐션조절이 가능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모빌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45922B1 (en) Gate apparatus
KR200347443Y1 (ko) 로킹부재를 갖는 모빌랙의 이동장치
KR20050083946A (ko) 모터식 잠금장치
EP1614838A2 (en) Manipulation-resistant combination lock
JP6125889B2 (ja) ドアストップ装置
KR100785705B1 (ko) 슬라이딩 창호의 개폐틸트장치
JP2006163180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及び事務機器
JPH1182881A (ja) 機器用調整脚
KR20090050557A (ko) 도어 스토퍼
KR100725338B1 (ko) 롤식 방충망 로킹장치
KR100675742B1 (ko) 드럼세탁기 도어의 회전락장치
JPH1018676A (ja) 扉セット
KR102565358B1 (ko) 저단형 현수막 게시대
JP2004256195A (ja) 昇降機の安全装置
KR200400024Y1 (ko) 드럼세탁기 도어의 회전락장치
CN213011435U (zh) 一种电梯曳引机用挡绳装置
KR100424886B1 (ko) 트럭의 사이드 게이트 고정장치
AU7620998A (en) Locking apparatus for use in game machine
KR200166864Y1 (ko) 도어핸들 겸 로크장치
JP4139272B2 (ja) 開閉装置
JP3422756B2 (ja) チェーンゲート
JP2022019489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06192047A (ja) 扉付き昇降キャビネット
KR200272726Y1 (ko) 함체의 로킹장치
JP4512912B2 (ja) 門扉錠の操作軸防護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