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7264Y1 -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7264Y1
KR200347264Y1 KR20-2003-0040697U KR20030040697U KR200347264Y1 KR 200347264 Y1 KR200347264 Y1 KR 200347264Y1 KR 20030040697 U KR20030040697 U KR 20030040697U KR 200347264 Y1 KR200347264 Y1 KR 2003472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avator
brackets
shaft
mov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홍
Original Assignee
(주)수산서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산서비스 filed Critical (주)수산서비스
Priority to KR20-2003-0040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72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72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72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using w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redundant latching means, e.g. for safety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3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hydraulically-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의 작동암의 하부에 장착되는 굴착기구를 좀더 견고하게 연결하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굴삭기의 작동암의 하부에 구비된 굴곡부에 포함되는 제1,2 상부 연결축과 굴착기구의 상측에 구비된 제1,2 하부 연결축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중간판의 상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2 상부 연결축이 관통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 브라켓과, 상기 중간판의 하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일,타측에는 상기 제1,2 하부 연결축이 삽입되는 하,측부 개방홈이 형성된 한쌍의 하부 브라켓와,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연결수단을 통해 타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 상면에는 상부에서 일측단으로 하향되게 경사져 상기 하부 개방홈에 삽입된 제1 하부 연결축의 외면을 선접촉을 통해 눌러주면서 단속하는 밀착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쇄기, 및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의 내측에 대칭되게 돌출 구비되어 상기 이동쇄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An excavate coupling apparatus}
본 고안은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작동암의 하부에 장착되는 굴착기구를 좀더 견고하게 연결하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라 함은, 암의 전방에 버켓, 브레이커등의 굴착기구를 장착하여 지반을 파거나 뚫는 등의 굴착작업을 수행하는 건축장비 중 하나이다.
이에, 도 7은 통상적인 굴삭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회전되는 차량의 상부에 구비되어 메인 실린더를 통해 각운동을 하는 메인암(100)과, 이 메인암(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작동 실린더를 통해 각운동을 하는 작동암(101), 및 상기 작동암(101)의 하부에 연결되어 굴곡부(200)를 통해 각운동을 하는 버켓, 브레이커 등의 굴착기구(3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굴착기구(300)는 연결장치(400)를 통해 상기 굴곡부(200)와 상호 연결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굴곡부(200)는, 작동암(101)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굴착 실린더(201)와, 이 굴착 실린더(201)의 로드와 상기 작동암(101)을 상호 연결하는 회전 연결링크(202), 및 상기 로드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 작동링크(20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굴곡부(200)는 작동암(101)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1 상부 연결축(S1)과 회전 작동링크(203)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제2 상부 연결축(S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굴착기구(300)의 상단의 양측에는 제1,2 하부 연결축(S3,S4)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연결장치(400)는, 상기 굴곡부(200)를 구성하는 제1,2 상부 연결축(S1,S2)과 상기 굴착기구(300)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2 하부 연결축(S3,S4)을 상호 연결하는 장치로서,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사용 중에 있는데 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62577호의 "건설기구의 작업공구 체결용 퀵커플러"(이하, 편의상 "연결장치"라 칭함)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연결장치(400)는, 중간에 베이스 판재(401)가 구비되어 있고 그 상부 전,후방에는 상기 제1,2 상부 연결축(S1,S2)이 관통되는 어테치먼트(402)가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판재(401)의 하부 전,후방에는 가이드 판재(403)가 돌출 구비되어 있는데, 이 한쌍의 가이드 판재(403)의 일측에는 상기 굴착기구(300)의 제1 하부 연결축(S3)이 삽입되는 받침죠오(404)가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가이드 판재(403)의 타측에는 굴착기구(300)의 제2 하부 연결축(S2)이 삽입되는 고정죠오(40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가이드 판재(40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죠오(404)의 내측에는 상기 제1 하부 연결축(S3)을 단속하는 슬라이드죠오 작동장치(500)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죠오 작동장치(500)는, 상기 받침죠오(404)의 내측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는 유압실린더(501)와 이 유압실린더(501)의 로드에 연결되어 제1 하부 회전축(S1)을 단속할 수 있도록 외측에는 상기 제1 하부 회전축(S1)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의 1/4 원형홈면(503)이 형성된 슬라이드 죠오(502)로 구성된다.
또한 유압실린더(501)의 로드와 슬라이드 죠오(502)의 연결수단(504)이 하부로 돌출 구성됨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죠오(502)의 상,하부에서는 상부레일(505)의 폭 보다 하부레일(506)의 폭이 작게 가이드레일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압실린더(501)가 작동되어 슬라이드 죠오(502)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1/4 원형홈면(503)이 제1 하부 연결축(S1)의 외면의 1/4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슬라이드죠오 작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상기 슬라이드 죠오의 외측에 형성된 1/4 원형홈면을 통해 제1 하부연결축을 고정한 상태에서는 제1 하부 연결축의 외면과 1/4 원형홈면의 사이에 면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이 면접촉을 통해 제1 하부 연결축을 단속할 경우에는 초기 몇 번의 사용에 있어서는 견고한 단속이 가능하나, 연결장치를 장기간 동안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충격하중이 상기 면접촉부에 전달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죠오의 1/4 원형홈면에서 편마모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상기 면접촉부에서는 이격공간이 형성됨으로서, 굴삭기구가 초기에는 미세하게 그리고 시간이 경과되면 심하게 흔들리게 됨에 따라 연결장치는 물론 굴삭기구도 함께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특히 굴착기구 중 브레이커를 사용할 경우에는, 브레이커의 전체가 흔들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서, 천공되는 구멍이 경사지게 천공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작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흙 또는 작은 돌 등이, 상기 슬라이드 죠오의 1/4 원형홈면과 상기 제1 하부 연결축의 면접촉부의 사이로 계속적으로 유입됨으로서 1/4 원형홈면의 편마모를 촉진시킴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증폭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굴착기구의 제1 하부 연결축의 직경이 작을 경우에는 상기 연결장치의 받침죠오에는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상기 슬라이드 죠오의 1/4 원형홈면이 작은 축경의 제1 하부 연결축의 둘레를 잡아 줄 수 없음에 따라서, 제1 하부 회전축의 직경이 작은 굴착기구들을 호환되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와 슬라이드 죠오의 연결수단이 하부에 돌출 구성됨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죠오의 상,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레일 중 하부레일이 상부레일의 폭보다 작게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굴착장치를 구성하는 제1 하부 연결축에서는 상,하부로 향하는 충격하중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는데, 이때 상부를 향하는 하중은 받침죠오의 상부와 상부레일이 막혀 있음에 따라서 그 충격하중이 다시 제1 하부 연결축으로 전달되어 하부를 향하게 된다. 그러므로 반사되어 제1 하부 연결축에 전달된 하부로 향하는 충격하중이 제1 연결축에서 반복적으로 받는 하부 충격하중에 더하여 진다.
따라서 상기 제1 하부 연결축에서는 하부로 향하는 충격하중 만을 집중적으로 받게 됨으로서, 상기 상부레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으로 구성된 하부레일에 만 집중하중이 가해져 하부레일 쉽게 손상됨에 따라, 연결장치로부터 굴착기구가 이탈되는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굴착기구의 상부에 구비된 제1 하부 연결축을 이동쇄기를 통해 연결장치의 하부 개방홈에 밀착 고정함으로서, 연결장치를 장기간 동안 사용을 할 경우에도 제1 하부 연결축의 외면과 이동쇄기의 밀착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함에 따라 굴착기구의 흔들림을 예방할 수 있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동쇄기의 밀착면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흙 또는 작은돌로 인하여 마모되더라도, 이동쇄기의 이동량을 조정하여 제1 하부 연결축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또 이동쇄기의 이동량 조정을 통해 작은 직경의 제1 하부 연결축도 연결장치에 용이하게 고정함으로서, 굴착기구의 종류와 관계없이 연결이 가능한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또 이동쇄기를 통해 제1 하부 연결축을 단속한 다음 제1 하부 연결축의 일측을 안전장치를 통해 재차 단속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실린더 로드와 이동쇄기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고정핀의 이탈을 예방함으로서, 굴착 작업중 외부 진동 등으로 인하여 연결수단으로부터 이동쇄기가 이탈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또 상기 연결수단에 간섭을 받지 않게 가이드부를 전,후방에 구비함에 따라서, 각각의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하부 경사 보강가이드판을 상부 경사 가이드판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구비함으로서, 굴착 작업중 집중하중을 받는 양 가이드부의 하부 경사 보강가이드판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연결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확대도.
도 6은 도 5의 C부 확대도.
도 7은 통상적인 굴삭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종래의 굴착기구 연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동암
11 : 굴곡부
12 : 제1 상부 연결축
13 : 제2 상부 연결축
2 : 굴착기구
21 : 제1 하부 연결축
22 : 제2 하부 연결축
3 : 중간판
4 : 상부 브라켓
5 : 하부 브라켓
51 : 하부 개방홈
52 : 측부 개방홈
53 : 일측벽
54 : 안전장치
541 : 브라켓, 542 : 나선축, 543 : 이동 단속체,
544 : 경사 쇄기면
6 : 실린더
61 : 로드
62 : 연결수단
63 : 연결몸체
631 : 가로 조립홈, 632 : 수직 관통홀, 633 : 탭공
64 : 조립홀
65 : 고정핀
66 : 핀 이탈방지판
67 : 볼트
68 : 체크밸브
7 : 이동쇄기
71 : 밀착 경사면
8 : 가이드부
81 : 상부 경사 가이드판
82 : 하부 경사 보강가이드판
9 : 충돌 보강브라켓
10 : 보강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굴삭기의 작동암의 하부에 구비된 굴곡부에 포함되는 제1,2 상부 연결축과 굴착기구의 상측에 구비된 제1,2 하부 연결축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중간판의 상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2 상부 연결축이 관통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 브라켓과, 상기 중간판의 하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일,타측에는 상기 제1,2 하부 연결축이 삽입되는 하,측부 개방홈이 형성된 한쌍의 하부 브라켓와,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연결수단을 통해 타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 상면에는 상부에서 일측단으로 하향되게 경사져 상기 하부 개방홈에 삽입된 제1 하부 연결축의 외면을 선접촉을 통해 눌러주면서 단속하는 밀착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쇄기, 및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의 내측에 대칭되게 돌출 구비되어 상기 이동쇄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연결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연결장치는, 굴삭기의 작동암(1) 하부에 구비된 굴곡부(11)에 포함되는 제1,2 상부 연결축(12,13)과 굴착기구(2)의 상측에 구비되어 있는 제1,2 하부 연결축(21,22)을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서, 중간판(3)의 상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2 상부 연결축(12,13)이 관통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 브라켓(4)과, 상기 중간판(3)의 하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일,타측에는 상기 제1,2 하부 연결축(21,22)이 삽입되는 하부 개방홈(51)과 측부 개방홈(52)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하부 브라켓(5)과,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5)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6)와, 이 실린더(6)의 로드(61) 끝단에 연결수단(62)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하부 개방홈(51)에 삽입된 제1 하부 연결축(21)의 외면을 선접촉으로 눌러주는 이동쇄기(7)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5)의 내측에 대칭되게 돌출 구비되어 상기 이동쇄기(7)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부(8)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쇄기(7)는, 상기 실린더(6)의 로드(61) 끝단에 연결수단(62)을 통해 타측의 중간이 연결되어 있음으로서, 상기 연결수단(62)은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5)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부(8)에 간섭을 받지 않게 구비된 것이다.
또 상기 이동쇄기(7)의 일측 상면에는 상부에서 일측단으로 하향되게 경사지는 밀착 경사면(71)이 형성됨으로서, 밀착 경사면(71)은 상기 하부 개방홈(51)에 삽입된 제1 하부 연결축(21)의 외면을 상부로 눌러주면서 선접촉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연결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 확대도로서, 도 1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연결장치의 중간판(3) 상부에 구비된 한쌍의 상부 브라켓(4)의 양측에 굴곡부(11)를 구성하는 제1,2 상부 연결축(12.13)을 관통 고정한다.
다음, 상기 연결장치의 하부에 한쌍으로 구비된 하부 브라켓(5)의 사이에 구비된 실린더(6)의 로드(61)를 후퇴시킴으로서, 이동쇄기(7)도 후퇴되게 하여 상기 하부 브라켓(5)의 하부 개방홈(51)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부 개방홈(51)을 개방한 상태에서, 먼저, 굴착기구(2)의 상부타측에 구비된 제2 하부 연결축(22)을 상기 하부 브라켓(5)의 타측에 형성된 측부 개방홈(52)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굴착기구(2)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제1 하부 연결축(21)을 상기와 같이 개방된 하부 브라켓(5)의 일측에 형성된 하부 개방홈(51)에 삽입한다.
다음, 상기 실린더(6)를 작동시켜 로드(61)를 전진시키면, 로드(61)와 연결되어 있는 이동쇄기(7)가 전진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개방홈(51)에 삽입되어 있는 제1 하부 연결죽(21)의 둘레 외면을 상부로 눌러주게 되어 상기 제1 하부 연결축(21)이 단속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이동쇄기(7)의 상부 일측에는 상부로부터 일측단으로 하향 경사진 밀착 경사면(71)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동쇄기(7)가 로드(61)의 전진으로 통해 하부 개방홈(51)을 막으면서 전진되면, 제1 하부 연결축(21)의 외면과 상기 밀착 경사면(71)은 선접촉을 하면서 제1 하부 연결축(21)을 상부로 견고하게 눌러 주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하부 연결축(21)이 상기 밀착 경사면(71)과 선접촉을 통해 고정되는데 연결장치를 장기간 동안 사용을 할 경우에 밀착 경사면(71)의 일부가 충격 또는 돌 등의 이물질을 통해 마모될 경우에는, 이동쇄기(21)를 좀더 전진시켜 제1 하부 연결축(21)을 다시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서, 제1 하부 연결축(21)과 이동쇄기(7)의 밀착 경사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치를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연결장치로 부터 굴착장치의 흔들리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쇄기(7)의 이동을 조정함으로서, 작은 직경의 제1 하부 연결축(21)도 연결장치에 고정할 수 있음에 따라서 굴착기구를 호환되게 장착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방 상부 브라켓(4)의 타측면과 상기 중간판(3)의 타측 전,후방의 각각에는, 상기 상부 브라켓(4)의 타측면과 중간판(3)의 타측단부 및 타측하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충돌 보강브라켓(9)이 구비됨으로서, 굴착 작업 중에 가장 많이 돌이 튀고 굴착장치(2)와 충돌이 잦은 연결장치의 타측부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실린더(6)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라인에는, 작업중 유체라인의 파열시 실린더(6) 내에 채워진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체크밸브(68)가 구비됨으로서 굴착장치의 추락으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방 하부브라켓(5)의 측부 개방홈(52)의 상하측에는, 굴착장치(2)에 포함되는 제2 하부 연결축(22)의 상하를 보호하면서 전,후방 브라켓(5)을 상호 보강하는 상,하 보강판(10)이 수평으로 구성됨으로서, 상기 제 2 하부 연결축(22)에는 외부에서 직접적인 하중이 가해지지가 않게 됨에 따라서 제2 하부 회전축(22)의 휨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5)의 일측에는 일측벽(53)이 더 구비되어 있고, 이 일측벽(54)을 관통하여 장착되어 이동을 통해 상기 제1 하부연결축(21)의 하부를 막아주거나 해제하는 안전장치(5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안전장치(54)는, 상기 일측벽(53)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되어 있는 나선축(542)이 포함되는 브라켓(541), 상기 나선축(542)에 체결 고정되어 나선축(541)의 회전을 통해 상기 브라켓(541)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 하부연결축(21)에 밀착되는 상부 경사쇄기면(544)이 포함되는 이동 단속체(543)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6)의 로드(61)를 전진시켜 이동쇄기(7)를 통해 제1 하부 연결축(21)이 단속한 다음, 상기 나선축(541)을 회전시켜 상부 경사쇄기면(543)을 전진시켜 상기 제1 하부 연결축(21)의 일측을 재차 단속한다.
그러므로 굴착작업 중 실린더(6)가 파열될 경우에도 상기 안전장치(54)를 통해 제1 하부 연결축(21)의 추락을 예방함으로서, 사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도 5의 C부 확대도로서, 상기 연결수단(62)은, 상기 이동쇄기(7)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구성되며 타측 단부의 중앙은 상기 실린더(6)의 로드(61)에 고정되어 있고 일측 단부의 중간에는 수직 관통홀(632)을 포함하는 가로 조립홈(6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타측 중간에는 탭공(633)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몸체(63)와, 상기 이동쇄기(7)의 타측 중간에 상기 수직 관통홀(632)과 상응되게 구비된 조립홀(64)과, 상기 이동쇄기(7)의 타측이 상기 가로 조립홈(6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관통홀(632)과 조립홀(631)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 삽입되는 고정핀(65), 및 일측은 상기 고정핀(65)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볼트(67)를 통해 상기 탭공(633)에 체결 고정되어 있는 핀 이탈방지판(6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핀(65)이 핀 이탈방지판(66)을 통해 연결몸체(63)에 고정됨으로서, 외부로부터 큰 충격이 연결수단(62)으로 전달되더라도 고정핀(6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쇄기(21)와 실린더 로드(61)사이를 고정하는 고정핀(65)의 이탈로 인하여 발생되는 굴착기구(2)의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5)의 내측에 대칭되게 돌출 구비되어 상기 이동쇄기(7)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부(8)는, 상기 이동쇄기(7)의 양측 상면과 각각의 하면이 상호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는 상부 경사 가이드판(81), 및 상기 상부 경사 가이드판(81)의 하부에 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구비되어 상기 이동쇄기(7)의 양측 하면과 각각의 상면이 상호 밀착되게 상부 경사 가이드판(8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경사 보강가이드판(82)의 양측 폭(L1)은, 상기 제1 하부 연결축(21)에서 하부로 향하는 충격하중을 견고하게 상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경사 가이드판(81)의 폭(L2)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 하부 연결축(21)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되는 하부를 향하는 충격하중을 상기 하부 경사 보강가이드판(82)에서 충분히 상쇄하여 작업중 굴착기구(2)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결장치를 장기간 동안 사용을 할 경우에도 제1 하부 연결축의 외면과 이동쇄기의 밀착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서, 굴착기구의 흔들림을 예방함으로서 연결장치는 물론 굴착기구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굴착작업의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중 이동쇄기의 밀착면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흙 또는 작은 돌로 인하여 마모되더라도 이동쇄기의 이동량을 조정하여 제1 하부 연결축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서, 연결장치의 수명을 최대화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이동쇄기의 이동량 조정을 통해 작은 직경의 제1 하부 연결축도 용이하게 고정함으로서, 굴착기구를 호환되게 장착할 수 있는 연결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이동쇄기를 통해 제1 하부 연결축을 단속한 다음, 상기 제1 하부 연결축의 일측을 안전장치를 통해 재차 단속함으로서, 굴착작업 중 실린더가 파열될 경우에도 상기 제1 하부 연결축의 추락을 예방하여 사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실린더 로드와 이동쇄기를 상호 연결하는 고정핀의 고정을 견고히 함으로서, 고정핀의 이탈로 인하여 이동쇄기가 이탈되는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또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하부 경사 보강가이드판을상부 경사가이드판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구비하여 보강함으로서, 굴착 작업중 집중하중을 받는 하부 경사 보강가이드판이 쉽게 손상되는 것을 예방함에 따라서 굴착장치의 추락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Claims (9)

  1. 굴삭기의 작동암(1)의 하부에 구비된 굴곡부(11)에 포함되는 제1,2 상부 연결축(12,13)과 굴착기구(2)의 상측에 구비된 제1,2 하부 연결축(21,2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중간판(3)의 상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2 상부 연결축(12,13)이 관통 연결되는 한쌍의 상부 브라켓(4)과,
    상기 중간판(3)의 하부 전,후방에 구비되어 일,타측에는 상기 제1,2 하부 연결축(21)이 삽입되는 하,측부 개방홈(51,52)이 형성된 한쌍의 하부 브라켓(5)와,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5)의 사이에 종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는 실린더(6)와,
    상기 실린더(6) 로드(61)의 끝단에 연결수단(62)을 통해 타측이 연결되며 일측 상면에는 상부에서 일측단으로 하향되게 경사져 상기 하부 개방홈(51)에 삽입된 제1 하부 연결축(21)의 외면을 선접촉을 통해 눌러주면서 단속하는 밀착 경사면(71)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쇄기(7), 및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5)의 내측에 대칭되게 돌출 구비되어 상기 이동쇄기(7)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가이드부(8),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하부 브라켓(5)의 일측에는 일측벽(53)이 더 구비되어 있고, 이 일측벽(54)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1 하부연결축(21)의 하부를 막아주거나 해제하는 안전장치(54)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54)는, 상기 일측벽(53)에 회전 가능하게 관통 고정되어 있는 나선축(542)이 포함되는 브라켓(541), 상기 나선축(542)에 체결 고정되어 나선축(541)의 회전을 통해 상기 브라켓(541)의 내부를 따라 이동되고 상부에는 상기 제1 하부연결축(21)에 밀착되는 상부 경사쇄기면(544)이 포함되는 이동 단속체(54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62)은,
    타측단의 중앙은 상기 실린더(6)의 로드(61)에 고정되어 있고 일측 단부의 중간에는 수직 관통홀(632)을 포함하는 가로 조립홈(6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의 타측에는 탭공(633)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몸체(63)와, 상기 이동쇄기(7)의 타측에 구비된 조립홀(64)과, 상기 이동쇄기(7)의 타측이 상기 가로 조립홈(6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관통홀(632)과 조립홀(631)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 삽입되는 고정핀(65), 및 일측은 상기 고정핀(65)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볼트(67)를 통해 상기 탭공(633)에 체결 고정되는 핀 이탈방지판(6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부(8)는,
    상기 이동쇄기(7)의 양측 상면과 각각의 하면이 상호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는 상부 경사 가이드판(81), 및 상기 상부 경사 가이드판(81)의 하부에 거리를 두고 마주보게 구비되어 상기 이동쇄기(7)의 양측 하면과 각각의 상면이 상호 밀착되게 구비되어 있는 하부 경사 보강가이드판(8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경사 보강가이드판(82)의 양측 폭(L1)은,
    상기 제1 하부 연결축(21)에서 하부로 향하는 충격하중을 견고하게 상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경사 가이드판(81)의 폭(L2)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상부 브라켓(4)의 타측면과 상기 중간판(3)의 타측 전,후방의 각각에는,
    상기 상부 브라켓(4)의 타측면과 중간판(3)의 타측단부 및 타측하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충돌 보강브라켓(9)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6)는,
    유체라인에 구비되어 유체라인의 파열시 실린더(6) 내의 유체를 단속하는 체크밸브(68)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전,후방 하부브라켓(5)의 측부 개방홈(52)의 상하측에는,
    굴착장치(2)에 포함되는 제2 하부 연결축(22)의 상하를 보호하면서 전,후방 브라켓(5)을 상호 보강하는 상,하 보강판(10)이 수평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KR20-2003-0040697U 2003-12-30 2003-12-30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KR2003472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697U KR200347264Y1 (ko) 2003-12-30 2003-12-30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697U KR200347264Y1 (ko) 2003-12-30 2003-12-30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7264Y1 true KR200347264Y1 (ko) 2004-04-13

Family

ID=49428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697U KR200347264Y1 (ko) 2003-12-30 2003-12-30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72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280A (ko) 2022-05-03 2023-11-10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굴삭기용 마운팅 브라켓 연결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5280A (ko) 2022-05-03 2023-11-10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굴삭기용 마운팅 브라켓 연결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2747B1 (en) Coupling apparatus for detachably attaching an excavating device to excavator
US5292079A (en) Concrete breaker with protective cover
KR101355629B1 (ko) 굴삭기용 진동리퍼
US6139212A (en) Coupler for excavating machines and the like having fixed and moveable jaws
US20060000626A1 (en) Breaking hammer, and fastening element, side plate, and protective casing of breaking hammer
EP0922539B1 (en)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 hydraulic breaking apparatus
KR20060130198A (ko) 착탈이 가능한 암석 브레이커용 어태치먼트
US20140007469A1 (en) Dipper latch mechanism
US6857482B2 (en) Percussive implement of the rock breaker type
KR200347264Y1 (ko) 굴삭기의 굴착기구 연결장치
KR101739779B1 (ko) 굴삭기의 스마트 집게용 처짐방지장치
KR101532777B1 (ko) 중장비용 카운터 웨이트의 탈부착장치
JP2559131Y2 (ja) バケット式掘削装置
KR20090016177A (ko) 굴착기의 굴착장비 착탈용 체결핀
KR101200359B1 (ko) 죠오의 교체가 가능한 어태치먼트
JPH0720336U (ja) 掘削バケット
US5547260A (en) Auxiliary cutter units of a shield machine
KR200211608Y1 (ko) 중장비용 어태치먼트 커플러
KR101392049B1 (ko) 이중 자동 안전키를 가진 퀵커플러
KR200260602Y1 (ko) 굴삭기 고정 클램프
KR102522198B1 (ko) 굴삭기 부착형 집게 장치
CN211773981U (zh) 挖掘机
JP3685379B2 (ja) 建設機械の昇降ステップ装置
CN220132992U (zh) 工程机械
KR102585931B1 (ko) 어태치먼트 장착해제 식별 기능을 갖는 굴착기용 회전식 퀵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