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870Y1 - 동전교환기 - Google Patents

동전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870Y1
KR200346870Y1 KR20-2004-0001641U KR20040001641U KR200346870Y1 KR 200346870 Y1 KR200346870 Y1 KR 200346870Y1 KR 20040001641 U KR20040001641 U KR 20040001641U KR 200346870 Y1 KR200346870 Y1 KR 200346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s
coin
outlet
case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1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준
Original Assignee
조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준 filed Critical 조남준
Priority to KR20-2004-0001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8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00Coin dispensers
    • G07D1/02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 G07D1/04Coin dispensers giving change dispensing change equal to a sum deposi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1/00Coin dispen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동전을 화폐 단위 별로 자동으로 인출 또는 교환할 수 있게 이루어진 동전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전을 일정 수량 단위로 묶여진 동전묶음 단위로 자동으로 인출 또는 교환할 수 있게 이루어진 동전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동전교환기는 인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나란히 배열되어 내장되고, 동전묶음들이 화폐단위별로 나뉘어 각각 적층되는 복수 개의 적층함; 상기 적층함들의 각 배출구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각 적층함의 동전묶음을 정해진 수량으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인출로터; 및 상기 적층함에서 배출된 동전묶음을 상기 케이스의 인출구로 유도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많은 액수의 동전을 화폐별 묶음 단위로 무인으로 대량 인출 또는 교환할 수 있는 바, 은행 등에서 일정 액수 이상의 많은 동전을 인출하거나 교환하는 동전교환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은행 업무의 효율성과 고객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전교환기{COIN EXCHANGER}
본 고안은 동전을 자동으로 인출 또는 교환할 수 있게 이루어진 동전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전을 일정 수량 단위로 묶어 만든 동전묶음 단위로 대량으로 인출 또는 교환할 수 있게 이루어진 동전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사무 자동화가 진척됨에 따라 업무 효율을 높이고 오랫동안 기다리는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예컨대 예금 입출금이나 송금 또는 계좌이체 등과 같이 담당자의 직접적인 확인 작업이 불필요한 많은 은행 업무들이 무인 자동화기기로 대체되어 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정 금액 이상의 많은 동전을 인출하거나 교환하는 동전교환업무는 그것을 대체할 수 있는 자동화기기가 전무한 실정이어서 여전히 출납업무를 담당하는 담당자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은행의 업무 능률을 떨어뜨리고 고객에게 기다리는 불편을 주는 매우 비효율적인 업무로 남아 있었다.
한편, 기존에도 지폐를 동전으로 교환할 수 있는 동전교환기가 있긴 하였다. 하지만 이들 종래 동전교환기들은 오락실의 오락 기기나 공중전화기 등과 같이 사용할 때마다 일정 금액의 동전을 투입해야 하는 기기에 사용되는 지극히 작은 금액 단위의 동전을 교환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동전 교환이 주로 큰 금액 단위로 이루어지는 은행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화폐 단위별로 묶은 동전묶음 단위로 동전을 대량 인출 또는 교환할 수 있게 이루어진 동전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교환기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교환기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교환기의 동전 적층함의 동전을 배출하기 위한 동전배출기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 1a : 인출구
2 : 적층함 2b : 칸막이
20 : 수납부 21 : 배출도어
22 : 캠 구동모터 23 : 캠
24, 25 : 링크 26 : 로드
26a : 조인트 3 : 인출로터
30 : 구동모터 4 : 이송 콘베이어
C : 동전묶음
본 고안에 따른 동전교환기는, 인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나란히 배열되어 내장되고, 동전묶음들이 화폐단위별로 나뉘어 각각 적층되는 복수 개의 적층함; 상기 적층함들의 각 배출구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동하면서 상기 각 적층함의 동전묶음을 정해진 수량으로 선택적으로 배출하는 인출로터; 및 상기 적층함에서 배출된 동전묶음을 상기 케이스의 인출구로 유도하는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적층함은 칸막이로 구획되어 나란히 배열된 복수 개의 수납부를 구비하여 보다 많은 양의 동전묶음들을 복수 열로 적층할 수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동전교환기에는, 상기 각 적층함의 각 수납부 배출구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배출도어; 상기 각 배출도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 적층함 별로 설치되는 캠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 회전 각도씩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캠; 그리고, 상기 각 배출도어를 상기 각 캠에 각각 동력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출도어들이 상기 각 캠에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수납부의 배출도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링크기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의 바람직한 구성으로, 상기 적층함의 배출구 아래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하면서 그 위에 떨어진 동전묶음을 상기 케이스의 인출구로 이송하는 이송 콘베이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동전교환기의 구성과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교환기의 정단면도이고, 도 2는 그 일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교환기에 동전 적층함의 동전을 배출하기 위하여 내장된 동전 배출기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동전교환기는 은행 등에서 각 화폐 단위별 동전을 일정 수량 단위로 묶은 동전묶음의 단위로 대량으로 교환 또는 인출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교환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 하부에 인출구(1a)가 형성된 장방형의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 내에 동전묶음들을 예컨대 500원짜리 동전묶음에서부터 10원짜리 동전묶음에 이르기까지 종류 별로 구별하여 적층할 수 있게 나란히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배출구(2a)가 형성된 적층함(2)과, 상기 각 적층함(2)의 배출구(2a) 일측에 설치되어 케이스(1)의 하부에설치된 구동모터(30)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적층함(2) 내 적층된 일정 수량의 동전묶음(C)을 하나씩 배출하는 인출로터(3); 그리고, 상기 적층함(2) 하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적층함(2)에서 배출된 동전묶음(C)을 상기 케이스(1)의 인출구(1a)로 유도하는 이송수단인 이송 콘베이어(4)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각 적층함(2)에는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보다 많은 수량의 동전묶음(C)을 다열(多列) 적층할 수 있도록 칸막이(2b)로 구획된 복수 개의 수납부(20)가 형성된다. 상기 각 수납부(20)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20a)에는 상하방향으로 적당한 회전 각도로 회동하면서 그 배출구(20a)를 개폐할 수 있는 배출도어(21)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각 배출도어(21)들은 도 2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송 콘베이어(4) 아래의 캠 구동모터(22)에 의해 일정 각도 단위로 회전되는 복수 개의 캠(23)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캠(23)별로 설치된 링크기구(24,25)에 각각 동력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배출도어(21)들은 그 후단으로 연장되어 배출도어(21)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 레버(21a)를 구비하여, 그 레버(21a)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좌,우방향의 회전 변위를 수용할 수 있는 조인트(26a)를 가진 로드(26)를 매개로 링크기구(24,25) 끝단에 연결됨으로써 배출도어(21)로 각각 캠(23)에 동력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배출도어(21)들은 캠 구동모터(22)에 의해 동일한 회전축에서 일정 각도 단위로 회전되는 상기 캠(23)들에 연동하여 하나씩 순차적으로 작동하면서 수납부(20)들을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각 수납부(20)의 적층 수납된 동전묶음(C)들을 자중(自重)에 의해 배출구(20a)를 통해 낙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한 쪽 수납부(20)의 동전묶음(C)들이 모두 배출되고 나면, 일정 각도(본 실시예의 경우 120도)만큼 씩 회전되는 캠(23)에 의해, 해당 수납부(20)의 배출도어(21)는 닫혀지고, 인접한 다른 수납부(20)의 배출도어(21)가 개방됨으로써 각 수납부(20)에 수납된 모든 동전묶음(C)들을 각각 수납부(20) 별로 순차적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25a는 링크(25)가 지렛대 형태로 지지되는 지지점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인출로터(3)는 둘레를 따라 원호형 단면의 파지홈들이 형성된 로터(Rotor)로, 이는 케이스(1) 하부에 설치된 별도의 구동모터(30)에 의해 각각 회전하면서 각 파지홈으로 수납함(20)에서 인출된 동전묶음(C)을 하나씩 파지하여 그 아래의 이송 콘베이어(4)로 인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전교환기는, 지폐 투입구(도시되지 않음)에 지폐가 투입되고 인출하고자 하는 동전의 종류가 선택되면, 도시되지 않은 전기적 구성에 의해 구동모터(30)에 의해 해당 동전묶음이 적층된 적층함(2)의 인출로터(3)가 회전하면서, 각 수납부(20)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된, 투입된 지폐와 같은 금액의 동전묶음(C)을 이송 콘베이어(4) 상에 배출하고 이어 이송 콘베이어(4)가 작동하여 그 위에 떨어진 동전묶음(C)을 사용자가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구(1a)로 이송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지폐투입구에 투입한 지폐 금액 만큼의 동전묶음을 인출구(1a)을 통해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동전교환기에 따르면, 많은 액수의 동전을 화폐별 묶음 단위로 대량 인출 또는 교환할 수 있는 바, 은행 등에서 일정 액수 이상의 많은 동전을 인출하거나 교환하는 동전교환업무을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은행 업무의 효율성과 고객의 편의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Claims (4)

  1. 인출구(1a)가 형성된 케이스(1);
    상기 케이스 내에 나란히 배열되어 내장되고, 동전묶음(C)들이 화폐단위별로 나뉘어 각각 적층되는 복수 개의 적층함(2);
    상기 각 적층함들의 배출구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구동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각 적층함의 동전묶음(C)을 적층함 밖으로 배출하는 인출로터(3); 및
    상기 각 적층함에서 배출된 동전묶음을 상기 케이스의 인출구로 유도하는 이송수단(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적층함(2)은 각각 칸막이(2b)로 구획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 개의 수납부(20)들을 구비하여 동전묶음들을 각 수납부(20)에 복수 열로 적층할 수 있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교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적층함의 각 수납부 배출구(20a)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배출도어(21);
    상기 각 배출도어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 적층함 별로 설치되는 캠 구동모터(22)에 의해 일정 회전 각도씩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복수 개의 캠(23); 그리고,
    상기 각 배출도어(21)를 상기 각 캠(23)에 각각 동력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출도어들이 상기 각 캠에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수납부의 배출도어(21)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링크기구(24,25,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교환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적층함의 배출구 아래에서 구동수단에 의해 작동하면서 그 위에 떨어진 동전묶음을 상기 케이스의 인출구(1a)로 이송하는 이송 콘베이어(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전교환기.
KR20-2004-0001641U 2004-01-20 2004-01-20 동전교환기 KR200346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41U KR200346870Y1 (ko) 2004-01-20 2004-01-20 동전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1641U KR200346870Y1 (ko) 2004-01-20 2004-01-20 동전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870Y1 true KR200346870Y1 (ko) 2004-04-01

Family

ID=49427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641U KR200346870Y1 (ko) 2004-01-20 2004-01-20 동전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8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577B1 (ko) * 2004-12-31 2006-10-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에서 지폐 출금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지폐 출금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577B1 (ko) * 2004-12-31 2006-10-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에서 지폐 출금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지폐 출금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9924B2 (ja) 紙幣入出金機
US10580246B2 (en) Money handling apparatus
CN101903915B (zh) 纸币的存储设备和方法
JP6248405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収納カセット
JP5296052B2 (ja) 貨幣処理装置
JP2004310653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CA2577835C (en) Cash-handling system
JP2003272027A (ja) 紙幣入出金機
EP1739636B1 (en) Paper money input and output device
RU2677599C2 (ru) Финанс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KR200346870Y1 (ko) 동전교환기
US6786479B2 (en) Banknote store with a rotatable structure having banknote-storing regions
KR102134038B1 (ko) 휴대용 금전 보관함
JP6900629B2 (ja) 紙幣処理装置
CN103390307B (zh) 硬币卷分发模块、硬币卷分发机和硬币卷分发设备
CN214376773U (zh) 一种自助设备
CN107358723B (zh) 一种具有输送线和接钞斗的配钞系统
JP2007094665A (ja) 紙幣入出金機
JPH0583469B2 (ko)
JP2001357430A (ja) 紙幣処理機
JPH09227011A (ja) 紙葉類の搬送装置および紙幣入出金機
KR102261826B1 (ko) 금융자동화기기
JPH0523436A (ja) 硬貨リサイクルシステム
JP4799931B2 (ja) 紙幣入出金機
JP2553263Y2 (ja) パチンコ玉貸機の硬貨払出・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