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812Y1 -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812Y1
KR200345812Y1 KR20-2003-0040580U KR20030040580U KR200345812Y1 KR 200345812 Y1 KR200345812 Y1 KR 200345812Y1 KR 20030040580 U KR20030040580 U KR 20030040580U KR 200345812 Y1 KR200345812 Y1 KR 2003458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indicator
vise jaw
hole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용
Original Assignee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양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양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40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8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8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8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절단기의 베이스 표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설치되며 소정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볼트공이 형성된 가이드블록과; 축공과 만곡된 작동공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블록의 표면에 접촉 마련되는 바이스 조와; 상기 바이스 조의 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바이스 조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축공 및 작동공과 축선 방향에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작동공이 형성된 인디케이터와; 상기 인디케이터의 제 1작동공과 상기 바이스 조에 형성된 축공을 관통하되 상기 인디케이터 및 바이스 조의 회동간섭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 1볼트공에 체결된 제 1볼트와; 상기 인디케이터의 제 2작동공과 상기 바이스 조에 형성된 작동공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블록의 제 2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프레임을 갖는 제 2볼트와; 상기 제 2볼트의 볼트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제 2볼트의 회동을 간섭하며 내주연부에 거치부가 형성된 삽입공을 갖는 레버와; 상기 제 2볼트와 상기 인디케이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가이드블록 표면에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고정링과; 상기 제 2볼트의 상부 영역에서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들이 볼트를 풀기 위한 별도 공구가 없이도 레버의 간단한 조작으로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바이스 조를 쉽게 회동 이동시킨 후 다시 조임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objection for cutter}
본 고안은, 고속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구 없이 바이스 조를 이동하여 공작물을 쉽게 고정하여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단기에 공작물을 고정하여 절단작업을 행하려면 공작물을 편리하게 절단하기 위한 방향으로 바이스 조를 이동시켜 고정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 절단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절단기의 일부를 보인 평면도에 관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절단기(100)는, 베이스(101)와,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하 구동하며 커터(102)와 커터커버(103) 및 핸들(104)로 이루어진 커터부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베이스(101)의 표면에 설치된 바이스(110)의 바이스 조(111)에 고정된 공작물(200)을 절단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으며 이때 바이스 조(111)를 고정하고 있는 제 1고정볼트(112) 및 제 2고정볼트(113)는 바이스 조(111)를 회동시킨 후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절단기의 바이스 조를 회동시켜 작업자가 공작물을 편안한 각도로 고정하려면, 스패너와 같이 볼트를 조이고 풀 수 있는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바이스 조를 고정하고 있는 제 1 및 제 2고정볼트를 먼저 풀고 바이스 조를 원하는 각도로 회동시킨 후 다시 풀렸던 제 1 및 제 2고정볼트를 조임하는 것으로서 공작물을 바이스 조에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항상 공구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과 아울러 공구를 사용함으로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자들이 볼트를 풀기 위한 별도의 공구가 없이도 레버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바이스 조를 쉽게 회동 이동시킨 후 다시 고정시킴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절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절단기의 일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베이스 20 : 가이드블록
21 : 제 1볼트공 22 : 제 2볼트공
30 : 베이스 조 31 : 축공
32 : 작동공 40 : 인디케이터
41 : 제 1작동공 42 : 제 2작동공
50 : 제 1볼트 60 : 제 2볼트
61 : 볼트프레임 70 : 레버
71 : 삽입공 72 : 거치부
73 : 너트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의 베이스 표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설치되며 소정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볼트공이 형성된 가이드블록과; 축공과 만곡된 작동공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블록의 표면에 접촉 마련되는 바이스 조와; 상기 바이스 조의 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바이스 조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축공 및 작동공과 축선 방향에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작동공이 형성된 인디케이터와; 상기 인디케이터의 제 1작동공과 상기 바이스 조에 형성된 축공을 관통하되 상기 인디케이터 및 바이스 조의 회동간섭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 1볼트공에 체결된 제 1볼트와; 상기 인디케이터의 제 2작동공과 상기 바이스 조에 형성된 작동공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블록의 제 2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프레임을 갖는 제 2볼트와; 상기 제 2볼트의 볼트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제 2볼트의 회동을 간섭하며 내주연부에 거치부가 형성된 삽입공을 갖는 레버와; 상기 제 2볼트와 상기 인디케이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인디케이터를 상기 가이드블록 표면에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고정링과; 상기 제 2볼트의 상부 영역에서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는, 절단기의 베이스(11) 표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11)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20)과 가이드블록 상면에 위치하는 바이스 조(30)와, 바이스 조의 상면에 마련되는 인디케이터(40)를 구비하며, 이들을 상기 베이스(11)에 조립하는 제 1볼트(50) 및 제 2볼트(60)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 2볼트(60)의 회동을 간섭하는 레버(7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제 1볼트(50)는 인디케이터(40)의 제 1작동공(41)과 바이스 조(30)에 형성된 축공(31)을 관통하는데 이때 제 1볼트(50)는 정확한 각도를 표시하는 인디케이터(40) 및 바이스 조(30)의 회동간섭을 방해하지 않고 가이드블록(20)의 제 1볼트공(21)에 체결되어 축 역할만을 행한다.
한편, 너트(73)를 구비한 제 2볼트(60)는, 레버(70)와 인디케이터(40)의 제 2작동공(42) 및 바이스 조(30)의 작동공(32)을 통과하여 가이드블록(20)의 제 2볼트공(22)에 체결되며, 이때 제 2볼트(60)에 형성된 볼트프레임(61)은 레버(70)에 형성된 삽입공(71)에 삽입되어 거치부(72)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링(74)은 레버(70)와 인디케이터(40) 사이에 개재되어 레버(70)에 의해 회동간섭을 받고 회동하는 제 2볼트(60)에 의해 가압 및 가압 해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는, 공작물을 사용자가 절단하기 편리하게 바이스 조(30)에 고정시키려면, 먼저 레버(70)를 우측으로 회동시킨다. 그러면 조임 상태에 있던 제 2볼트(60)가 풀림 상태로 회동되어 베이스(11)에 가압되어 있던 고정링(74) 및 인디케이터(40)와 바이스 조(30)가 쉽게 유동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바이스 조(30)를 원하는 방향으로 각도 조절한 후 일측에 절단할 공작물을 물린 후, 다시 바이스 조(30)를 고정시킬 때에는, 레버(70)를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제 2볼트(60)가 조임 상태로 회동되어 고정링(74)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고, 가압되는 고정링(74)은 인디케이터(40)와 바이스 조(30) 및 베이스(11)를 가압하게 되면 바이스 조(30) 및 인디케이터(40)는 가이드블록(20)에 강하게 가압되는 상태로 조여져 바이스 조(30)가 유동되지 않게 됨으로 사용자는 레버(70)만으로 바이스 조(30)의 각도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들이 볼트를 풀기 위한 별도 공구가 없이도 레버의 간단한 조작으로 공작물의 크기에 따라 바이스 조를 쉽게 회동 이동시킨 후 다시 조임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

  1.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의 베이스 표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하여 설치되며 소정 간격을 두고 제 1 및 제 2볼트공이 형성된 가이드블록과;
    축공과 만곡된 작동공을 가지고 상기 가이드블록의 표면에 접촉 마련되는 바이스 조와;
    상기 바이스 조의 표면에 마련되며 상기 바이스 조의 표면에 형성된 상기 축공 및 작동공과 축선 방향에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작동공이 형성된 인디케이터와;
    상기 인디케이터의 제 1작동공과 상기 바이스 조에 형성된 축공을 관통하되 상기 인디케이터 및 바이스 조의 회동간섭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 1볼트공에 체결된 제 1볼트와;
    상기 인디케이터의 제 2작동공과 상기 바이스 조에 형성된 작동공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블록의 제 2볼트공에 체결되는 볼트프레임을 갖는 제 2볼트와;
    상기 제 2볼트의 볼트프레임에 삽입되어 상기 제 2볼트의 회동을 간섭하며 내주연부에 거치부가 형성된 삽입공을 갖는 레버와;
    상기 제 2볼트와 상기 인디케이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를 상기 가이드블록 표면에 가압 및 가압 해제하는 고정링과;
    상기 제 2볼트의 상부 영역에서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
KR20-2003-0040580U 2003-12-30 2003-12-30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 KR2003458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580U KR200345812Y1 (ko) 2003-12-30 2003-12-30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580U KR200345812Y1 (ko) 2003-12-30 2003-12-30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812Y1 true KR200345812Y1 (ko) 2004-03-27

Family

ID=4942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580U KR200345812Y1 (ko) 2003-12-30 2003-12-30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8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18154A1 (ja) クランプ装置
US10518434B2 (en) Structure of power carpentry feeder machine
KR200345812Y1 (ko) 절단기의 공작물 고정장치
KR100810689B1 (ko) 면취기
US20120241047A1 (en) Power tools
AU757412B2 (en) Power tool
JPH1128672A (ja) 平らな支持台の縁に対象物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特に作業台上に万力タイプまたは同類の工具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US4573837A (en) Longitudinal feed attachment for a boring bar
KR200386898Y1 (ko) 휴대용 면취기
JPH08168971A (ja) インパクトレンチ
KR100339330B1 (ko) 각도 절단기의 피가공물 고정장치
JPH08323529A (ja) 電子部品のリード切断装置
EP1375068A3 (de) Zentrumsspannvorrichtung
JPH10323804A (ja) 木材加工機
CA2476954A1 (en) Precision machine movement tool
JP2013056395A (ja) ブレード着脱補助治具
KR20010061430A (ko) 스크류 조임장치
CN101780550B (zh) 台式工具
KR200484139Y1 (ko) 석재 절단용 톱날 결합 장치
US3803775A (en) Saber saw bracket
CN2071552U (zh) 多功能操作台
JP2001212801A (ja) 加工材のバイス装置
KR100430647B1 (ko) 바이스
JPH0135795Y2 (ko)
KR100926294B1 (ko) 후부볼트 체결구멍의 자리따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