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752Y1 - 모터 직결 구동에 의한 물류시스템 - Google Patents

모터 직결 구동에 의한 물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752Y1
KR200345752Y1 KR20-2003-0037375U KR20030037375U KR200345752Y1 KR 200345752 Y1 KR200345752 Y1 KR 200345752Y1 KR 20030037375 U KR20030037375 U KR 20030037375U KR 200345752 Y1 KR200345752 Y1 KR 2003457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rive
driving
rollers
i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7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아코포레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아코포레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아코포레숀
Priority to KR20-2003-0037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7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7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7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4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s comprising a number of roller forming elements mounted on a singl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모터에 직접 연결된 구동용 롤러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공회전되는 이송롤러를 배치하여 제품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물류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이 시스템은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상호 나란한 한 쌍의 지지대(31)(32)와, 일측 지지대(31)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71)와, 타측 지지대(32)의 내면에 아이들롤러(71)의 간격보다 넓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롤러(41)와, 타측 지지대(32)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구동롤러(41) 사이에 아이들러(71)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이송롤러(61)와, 각 구동롤러(41)를 직결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0)와, 아이들롤러(71), 구동롤러(41) 및 이송롤러(61)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제품을 감지하여 각 구동모터(50)의 구동 및 제동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센서(51)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제품을 탑재하는 구동롤러를 구동모터로 직접 구동하고 물품이 위치하는 구동롤러만을 구동하여 물품을 이송 및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모전력을 절약할 수 있고, 동력 전달 체를 사용하지 않는 구동롤러의 모터 직결 구동방식으로 동력 전달 체로부터의 분진발생 가능성을 제거하여 분진으로 인한 제품 공정 및 이송에서의 불량률을 최소화한다.

Description

모터 직결 구동에 의한 물류시스템{Clean line system}
본 고안은 물류(物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모터에 직결되어 구동되는 구동용 롤러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고 구동용 롤러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공 회전되는 이송롤러를 배치하여서 모터 직결에 의한 롤러의 직접 구동에 의해 물품을 출발, 이송, 및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물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이송시키는데 사용되는 컨베이어는 타이밍벨트, 체인, O링 등의 동력 전달체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 O링 등의 동력 전달체가 사용되는 컨베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와 구동롤러간에 타이밍벨트 또는 체인, O링 등을 연결하여 모터 동력을 구동롤러에 접촉하여 간접적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는 동력 전달체의 마모로 인하여 분진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러한 분진은 분진에 민감한 웨이퍼나 TFT-LCD 글라스, 의약상품 이송에 최대 걸림돌로 작용되며 이러한 분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막대한 자금집행이 요구되어 진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은 벨트(20)상에 올려진 물품들이 동시에 일률적으로 이송되므로, 벨트(20)상에서 분업 작업 시 다른 작업과의 간섭으로 이용이 불편하다.
또한, 무한궤도로 순환되는 벨트(20)와 풀리 사이에 작업자의 신체가 진입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트(20)의 순환 시에 벨트나 동력 전달 체의 마모로 인한 분진발생으로 인하여 분진에 민감한 웨이퍼 및 TFT-LCD용 유리등이 분진에 접촉할 경우 발생되는 불량발생률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제품을 탑재하는 구동롤러를 모터에 직결하여 동력전달체 없이 제품을 이송시킬 수 있어 동력전달체로부터 발생되는 분진발생 가능성을 완전히 제거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크게 제거시킬 수 있는 물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정구간이 동시에 구동되는 일반적인 전체구동이 아닌 제품크기 단위의 필요한 부분만의 구동으로 제품의 공정대기구간 최소화 및 크린룸 설비의 최적화, 소모전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개선된 물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벨트 컨베이어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 이송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물품의 이송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32...지지대 41...구동롤러
50...구동모터 51...센서
61...이송롤러 62...보조롤러
71...아이들롤러 80...구동축
90...아이들축 100...물품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 물류시스템은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상호 나란한 한 쌍의 지지대와, 일측 지지대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와, 타측 지지대의 내면에 아이들롤러의 간격보다 넓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롤러와, 타측 지지대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구동롤러 사이에 아이들러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이송롤러와, 각 구동롤러를 직결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아이들롤러, 구동롤러 및 이송롤러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제품을 감지하여 각 구동모터의 구동 및 제동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 시스템은 상기 구동롤러와 대응되는 상기 아이들롤러를 같은 구동축으로 연결하여 구성시킬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들롤러를 같은 아이들축으로연결하여 구성시킬 수 도 있다.
상기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 이송시스템은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간격 유지된 구동롤러의 모터 직결 구동에 의해서 제품을 이송시킴으로써 제품이 위치되지 아니한 롤러는 정지시킬 수 있게 하여 소비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이송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상호 나란한 한 쌍의 지지대(31)(32)와, 일측 지지대(31)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71)와, 타측 지지대(32)의 내면에 아이들롤러(71)의 간격보다 넓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롤러(41)와, 타측 지지대(32)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구동롤러(41) 사이에 아이들러(71)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이송롤러(61)와, 각 구동롤러(41)를 직결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0)와, 아이들롤러(71), 구동롤러(41) 및 이송롤러(61)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제품을 감지하여 각 구동모터(50)의 구동 및 제동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센서(51)를 구비한다.
미 설명부호 52는 센서(51)로부터의 감지신호에 따라 해당 구동모터(50)를 구동할 수 있도록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회로기판이다.
상기와 같은 이송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대(31)(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이들롤러(71), 구동롤러(41) 및 이송롤러(61)에 제품(100)을 올려놓고 구동모터(50)를 구동시키면서 제품(100)을 가동, 이송, 정지시키게 한다.
즉, 올려놓아진 제품(100)을 센서(51)가 감지하게 되면, 해당 구동모터(50)가 구동되어서 제품(100)이 올려놓아진 구동롤러(41)를 회전 구동시키어 제품(100)을 가동, 이송, 정지시킨다.
제품(100)이 구동롤러(41)에 의해 계속 이송되고, 이송되는 제품(100)의 선단을 인접한 다른 센서(51)가 감지하여 다른 구동모터(50)를 구동하여서 계속적인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즉, 물품(100)의 선단과 후단에는 인접한 구동롤러(41)가 동시에 접하여 계속적인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물품(100)이 이송되어서 인접하였던 센서(51)를 지나치게 되면, 이에 해당되는 구동모터(50)의 전기신호가 차단되어서 구동이 정지된다.
즉, 물품(100)이 위치된 위치의 구동모터(50)만 센서(51)의 감지로 가동되고, 물품(100)이 위치되지 아니한 구동모터(50)는 작동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 이송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 5를 참조하면, 이는 상기 구동롤러(41)와 대응되는 상기 아이들롤러(71)를 같은 구동축(80)으로 연결하여서 제품(100)의 양측에서 동일한 이송력이 부여되도록 하여 안정된 이송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61)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들롤러(71)를 같은 아이들축(90)으로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또한, 구동축(80) 및 아이들축(90)에 복수의 보조롤러(62)를 마련하여서 이송되는 제품(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예의 이송시스템은 상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센서(51)의 감지에 의해 해당 구동모터(50)가 작동되어 해당 구동롤러(41)가 회전 구동되면서 제품(100)을 이송시키고, 이송되는 제품(100)의 선단을 인접한 다른 센서(51)의 감지에 의해 다른 구동모터(50)를 구동하여 계속적인 제품(100)의 이송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 예들의 시스템은 제품의 이송시 모터에 직결된 구동롤러들이 회전 구동되어 제품을 이송시키므로 기존 콘베이어 시스템에서의 동력 전달체가 사용되지 않아서 이의 마모로부터 발생되는 분진 발생의 가능성을 제거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이송시스템은 크린룸(clean room)에 적합하다.
상기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물품을 탑재하는 구동롤러를 구동모터로 직결 구동하고 물품이 위치하는 구동롤러만을 구동하여 제품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발생 가능성이 없으며 소모전력을 절약할 수 있게 하고, 이송물체 단위로 이송제어가 가능하여 물품의 공정대기 구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동력 전달체로서 종래 에서와 같이 체인 또는 타이밍 벨트 등을 사용하지 아니하므로, 이러한 동력 전달 체로부터 발생되는 분진 발생 가능성을 제거하여 이러한 분진으로부터 발생되는 제품의 오염 및 불량률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종래 체인이나 타이밍벨트 등의 동력 전달 체에 신체가 끼여 안전사고가 유발될 수 있는 것과 달리, 본 고안은 구동롤러의 모터 직결 구동에 의하여 물품을 이송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게 한다.
또한, 구동롤러(41)와 이송롤러(61) 및 아이들롤러(71)를 축(80)(90)으로 연결시킴으로써, 물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한다.

Claims (3)

  1.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상호 나란한 한 쌍의 지지대(31)(32)와,
    일측 지지대(31)의 내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71)와,
    타측 지지대(32)의 내면에 아이들롤러(71)의 간격보다 넓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롤러(41)와,
    타측 지지대(32)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구동롤러(41) 사이에 아이들러(71)와 대응하여 마련되는 복수의 이송롤러(61)와,
    각 구동롤러(41)를 직결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50)와,
    아이들롤러(71), 구동롤러(41) 및 이송롤러(61)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제품을 감지하여 각 구동모터(50)의 구동 및 제동신호를 인가하는 복수의 센서(51)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41)와 대응되는 상기 아이들러(71)를 같은 구동축(80)으로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61)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아이들롤러(71)를 같은 아이들축(90)으로 연결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시스템.
KR20-2003-0037375U 2003-11-29 2003-11-29 모터 직결 구동에 의한 물류시스템 KR2003457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375U KR200345752Y1 (ko) 2003-11-29 2003-11-29 모터 직결 구동에 의한 물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7375U KR200345752Y1 (ko) 2003-11-29 2003-11-29 모터 직결 구동에 의한 물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752Y1 true KR200345752Y1 (ko) 2004-03-20

Family

ID=4942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7375U KR200345752Y1 (ko) 2003-11-29 2003-11-29 모터 직결 구동에 의한 물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7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38418B2 (en) Sorter belt conveyor
JPH08169536A (ja) ワークの自動搬送方法および装置
US20080236998A1 (en) Conveyor with accumulating slip rolls
WO2003086908B1 (en) Tape drive conveyor
KR101158483B1 (ko) 천장주행형 물류반송시스템용 반송장치
KR200345752Y1 (ko) 모터 직결 구동에 의한 물류시스템
JP2003191919A5 (ko)
JP2553992B2 (ja) 供給物品のアキュームレーション装置
JP2009039743A (ja) パネル排出装置
KR20010075883A (ko) 이송대차
JP4450274B2 (ja) 方向転換装置
KR20130046562A (ko) 벨트 컨베이어
JP2574080Y2 (ja) ベルト駆動ローラコンベヤ
JP2884829B2 (ja) ローラコンベヤ
KR100525019B1 (ko) 파프리카 이송용 컨베이어
KR20100035518A (ko) 기판처리장치
KR0114439Y1 (ko) 다열 이송 컨베이어의 이송물 마찰 감소장치
KR19980034524A (ko) 번들 트랜스퍼(Bundle Transfer)
KR900008624Y1 (ko) 산업장 자동화 시스템 조립라인의 제품 대기장치
KR960005557Y1 (ko) 공작물 적재장치
KR200384689Y1 (ko) 파프리카 이송용 컨베이어
KR0131924Y1 (ko) 체인 컨베이어
JPH07196114A (ja) アキュムレーションコンベヤ及び制御ユニット
JPH10194416A (ja) 搬送コンベアにおける搬送物の停止装置及び該搬送物の方向転換装置
KR20230059605A (ko) Bldc모터를 이용한 롤러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