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5344Y1 -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 - Google Patents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5344Y1
KR200345344Y1 KR20-2003-0040634U KR20030040634U KR200345344Y1 KR 200345344 Y1 KR200345344 Y1 KR 200345344Y1 KR 20030040634 U KR20030040634 U KR 20030040634U KR 200345344 Y1 KR200345344 Y1 KR 2003453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foam
gap
container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만
Original Assignee
이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만 filed Critical 이정만
Priority to KR20-2003-0040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53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53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53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58Cooking utensils with channels or covers collecting overflowing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냄비 또는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기나 빨래 삶는 용기 등에 뚜껑을 완전히 얹은 상태에서도 거품이 흘러 넘치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한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일정 용적을 가진 통의 상부에 다단 절곡된 뚜껑 안차턱이 형성되고, 이 뚜껑 안착턱에 뚜껑이 얹혀지는 용기에 있어서, 뚜껑 안착턱 부위에는 뚜껑이 얹혀질 때 뚜껑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도록 적어도 3개의 뚜껑 지지돌기를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하고, 안착턱 부위의 상부측 내벽에는 끓어넘치는 거품을 다시 통 내부로 역순환시키는 거품 저지돌기를 통의 중심을 향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 돌출 형성하며, 거품 저지돌기의 하부측 내벽에는 뚜껑이 정확하게 센터링되도록 적어도 3개의 간격 유지돌기를 통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하면 뚜껑과 안착턱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이를 통해 수증기와 공기가 유통할 수 있으므로 거품이 끓어넘치지 않으며, 만일 거품이 틈새를 빠져나오더라도 안착턱 상부측의 거품 저지돌기에 의해 거품이 안쪽으로 모여 다시 통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거품이 끓어넘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뚜껑이 항상 통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어 뚜껑과 안착턱 사이의 틈새가 모든 위치에서 일정해지므로 거품이 한쪽으로 끓어 넘치지 않는 것이다.

Description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Receptacle to prevent foam from overflowing}
본 고안은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 또는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기나 빨래 삶는 용기 등에 뚜껑을 완전히 얹은 상태에서도 거품이 흘러 넘치지 못하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냄비,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기나 빨래 삶는 용기 등은 일정한 용적을 가진 통이 구비되고, 그 위에 뚜껑을 덮어 사용하게 되는바, 이하에서는 빨래 삶는 용기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내의나 수건, 행주 등은 세균을 박멸하고 깨끗함을 유지하기 위해 삶아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보통 넓은 금속재 용기를 버너에 올려 여기에 물과 빨래를 넣고 세제를 풀어 빨래가 눋지 않도록 수시로 저어가며 직접 가열하는 방식으로 빨래를 삶았던 바, 이는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고, 빨래를 삶는 동안 다른 일은 전혀 할 수 없으며, 불을 조금만 강하게 하거나 빨래 삶는 물이 조금만 부족하여도 쉽게 빨래가 바닥에 눋거나 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수의 구멍이 뚫린 삿갓 형태의 내통을 냄비 형태의 외통에 넣어 빨래를 삶을 때 내통의 내측에 위치한 물이 끓어 위로 상승하였다가 그 상단부에서 다시 내통의 외측으로 빠져나가고 새로운 물이 내통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빨래를 삶아주도록 한 빨래 삶는 용기가 수종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빨래 삶는 용기는 통상의 냄비와 같이 외통의 상단부에 턱이 형성되어 있고, 이 턱에 걸릴 수 있는 뚜껑이 구비되는 것이어서 빨래를 삶는 도중 거품이 뚜껑을 밀어내고 또 뚜껑의 자중에 의해 닫히는 동작이 반복되어 뚜껑과 외통이 부딪히는 소음이 매우 심하게 발생됨은 물론 거품이 외부로 흘러넘쳐 주변을 지저분하게 하는 문제가 있고, 흘러넘친 거품으로 인해 버너의 화기가 소화될 경우 가스사고의 위험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냄비 또는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기나 빨래 삶는 용기의 상부 안착턱부위에 뚜껑 지지돌기를 돌출 형성하여뚜껑이 얹혀질 때 뚜껑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공기가 이 틈새를 통해 유통되게 하고, 그 상부측 내벽에는 거품 저지돌기를 내측을 향해 연속 돌출 형성함으로써 끓어넘치는 거품을 다시 통 내부로 다시 들어가게 하며, 거품 저지돌기의 하부측 내벽에는 간격 유지돌기를 통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하여 뚜껑의 센터링이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거품의 끓어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빨래 삶는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부분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외통 11 : 안착턱 12 : 틈새
13 : 뚜껑 지지돌기 14 : 거품 저지돌기 15 : 간격 유지돌기
20 : 내통 30 : 뚜껑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냄비,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기나 빨래 삶는 용기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이 빨래 삶는 용기에 적용된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빨래 삶는 용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냄비 형상으로 된 외통(10)의 내부에 삿갓형의 내통(20)을 넣고 뚜껑(30)을 닫은 상태에서 화기를 가하여 외통(10)에 담긴 물이 끓으면 내통(2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분출하여 빨래를 삶아주는 빨래 삶는 용기에 있어서, 외통(10)의 상부 뚜껑 안착턱(11) 부위에는 뚜껑(30)이 얹혀질 때 뚜껑(30)과의 사이에 틈새(12)가 발생되도록 적어도 3개의 뚜껑 지지돌기(13)를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하고, 안착턱(11) 부위의 상부측 내벽에는 끓어넘치는 거품을 다시 외통(10) 내부로 역순환시키는 거품 저지돌기(14)를 외통(10)의 중심을 향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 돌출 형성하며, 거품 저지돌기(14)의 하부측 내벽에는 뚜껑(30)이 정확하게 센터링되도록 적어도 3개의 간격 유지돌기(15)를 외통(10)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한 것이다.
이때, 뚜껑 지지돌기(13) 또는 간격 유지돌기(15)는 등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임의의 돌기와 인접한 다른 돌기간의 설치각도가 180°이내이면 굳이 등각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관계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빨래 삶는 용기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외통(10)의 내부에 삿갓형의 내통(20)을 넣고 세탁수와 세제 그리고 빨래를 넣은 후 화기를 가하게 되면 세탁수가 끓어 내통(20) 내부를 통해 상승하였다가 상단부에서 그 바깥으로 비산되어 빨래 삶는 동작을 수행하고, 세탁수가 상승되는 만큼 주변의 세탁수가 내통(20)의 하부에 채워지게 되는 동작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그런데, 빨래를 삶을 때에는 세제를 같이 사용하게 되므로 불가분 많은 량의 거품이 발생되며, 이러한 거품이 넘칠 경우에는 많은 문제가 발생됨은 전술한 바 있다.
본 고안에서는 빨래를 삶을 때 거품이 끓어 넘치지 않도록 외통(10)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외통(10)의 상부 뚜껑 안착턱(11)부위에는 적어도 3개의 뚜껑 지지돌기(13)가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어 외통(10)의 뚜껑 안착턱(11)에 뚜껑(30)을 얹게 되면 뚜껑(30)의 테두리가 뚜껑 지지돌기(13)에만 접촉되고 다른 부위에서는 틈새(12)가 발생되므로 이 틈새(12)를 통해 공기가 유통될 수 있다. 따라서, 빨래를 삶는 도중 수증기와 공기가 틈새(12)를 통해 활발히 이동할 수 있어 뚜껑(30)이 들썩거리지 않고 거품이 끓어 넘치지 않게 된다.
물론, 뚜껑(30)과 안착턱(11) 사이의 틈새(12)는 매우 좁게 되어 있으므로 거품이 넘치는 것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며, 이럴 경우를 대비해 외통(10)의 안착턱 상부측 내벽에는 거품 저지돌기(14)를 외통(10)의 중심을 향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 돌출 형성한 것이며, 거품이 상승하다가 상기한 거품 저지돌기(14)와 만나게 되면 그 경로가 안쪽으로 모이는 방향으로 꺾이게 되고, 외기와의 열교환에 따라 기포가 사그러지면서 세탁수로 변환하여 외통(10)의 내부로 다시 유입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통(10)의 바깥쪽으로 거품이 끓어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뚜껑(30)을 외통(10)의 안착턱(11)에 얹을 때 뚜껑(30)이 일측으로 기울어져 닫힐 수도 있으며, 이렇게 되면 뚜껑(30)과 외통(10) 사이의 틈새(12) 크기가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어 거품이 크기가 큰 틈새쪽으로 넘치게 되는바, 본 고안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외통(10)의 거품 저지돌기(14) 하부측 내벽에 간격 유지돌기(15)를 외통(10)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한 것으로, 뚜껑(30)을 닫아주면 뚜껑(30)의 테두리가 간격 유지돌기(15)와 접촉되면서 뚜껑(30)이 항상 외통(10)의 정중앙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뚜껑(30)과 안착턱(11) 사이의 틈새(12)가 모든 부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어 한쪽으로 거품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빨래 삶는 용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작용은 냄비나 프라이팬과 같은 주방용기에서도 동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주방용기나 빨래 삶는 용기의 뚜껑 안착턱과 뚜껑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어 이를 통해 수증기와 공기가 유통할 수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거품이 끓어넘치지 않으며, 만일 거품이 틈새를 빠져나오더라도 안착턱 상부측의 거품 저지돌기에 의해 거품이 안쪽으로 모여 다시 통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거품이 끓어넘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뚜껑이 항상 통의 정중앙에 위치할 수 있어 뚜껑과 안착턱 사이의 틈새가 모든 위치에서 일정해지므로 거품이 한쪽으로 끓어 넘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일정한 용적을 가진 통의 내부의 상부에 다단으로 뚜껑 안착턱(11)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 안착턱(11)에 뚜껑(30)이 얹혀지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 안착턱(11) 부위에는 상기 뚜껑(30)이 얹혀질 때 상기 뚜껑(30)과의 사이에 틈새(12)가 발생되도록 적어도 3개의 뚜껑 지지돌기(13)를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하고, 상기 안착턱(11) 부위의 상부측 내벽에는 끓어넘치는 거품을 다시 상기 통 내부로 역순환시키는 거품 저지돌기(14)를 상기 통의 중심을 향해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 돌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품 저지돌기(14)의 하부측 내벽에는 상기 뚜껑(30)이 정확하게 센터링되도록 적어도 3개의 간격 유지돌기(15)를 상기 통의 중심을 향해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
KR20-2003-0040634U 2003-12-30 2003-12-30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 KR2003453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634U KR200345344Y1 (ko) 2003-12-30 2003-12-30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634U KR200345344Y1 (ko) 2003-12-30 2003-12-30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5344Y1 true KR200345344Y1 (ko) 2004-03-19

Family

ID=49426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634U KR200345344Y1 (ko) 2003-12-30 2003-12-30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534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84B1 (ko) 2012-10-26 2014-05-30 차윤호 끓는점을 이용한 빨래 삶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984B1 (ko) 2012-10-26 2014-05-30 차윤호 끓는점을 이용한 빨래 삶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25125A1 (en) Appliances and components therefor
KR101214814B1 (ko) 뚜껑 받침수단을 구비한 조리용 냄비
KR200345344Y1 (ko) 거품이 넘치지 않는 용기
KR100653394B1 (ko) 증기 발생 기구용 가열부
KR200447010Y1 (ko) 행주 삶는 전기 포트
KR200323694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319119Y1 (ko) 넘침 방지 냄비
US5287868A (en) Dishwasher convection air inlet and suds control device
KR200388274Y1 (ko) 수막 제거수단을 구비한 조리용기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393710Y1 (ko) 국물 넘침 방지 조리용기
KR200354712Y1 (ko) 넘침 방지냄비
CN211066227U (zh) 防滴水锅盖及烹饪器皿
KR200264819Y1 (ko) 빨래 삶는 용기
CN110575078A (zh) 防滴水锅盖及烹饪器皿
CN211609203U (zh) 锅具组件及烹饪设备
KR200342402Y1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CN211093474U (zh) 防滴水锅盖及烹饪器皿
KR200275732Y1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0404662Y1 (ko) 국수 삶는 사각냄비
KR200326652Y1 (ko) 빨래삶는 가열통 뚜껑
KR200349410Y1 (ko) 세탁물 삶는 장치의 내통
KR200322514Y1 (ko) 가열용기용 넘침방지구
JPS603768Y2 (ja) 調理用鍋
KR200209955Y1 (ko) 빨래삶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