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3579Y1 - 구근 수확기 - Google Patents

구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3579Y1
KR200343579Y1 KR20-2003-0036390U KR20030036390U KR200343579Y1 KR 200343579 Y1 KR200343579 Y1 KR 200343579Y1 KR 20030036390 U KR20030036390 U KR 20030036390U KR 200343579 Y1 KR200343579 Y1 KR 200343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harvest
blade portion
side plate
horizontal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영환
Original Assignee
모영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영환 filed Critical 모영환
Priority to KR20-2003-0036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35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3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3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Landscapes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업용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면서 땅속의 농작물을 자동으로 굴취, 수확하는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견인차량에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부와; 상호 나란하게 이격된 한쌍의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 내측의 전방 하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올리는 수평삽날부와; 상기 수평삽날부의 이격된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올리는 쟁기날 형태의 수직삽날부와; 상기 수평삽날부 후방의 상기 측판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구동되면서 상기 수평삽날부로부터 제공되는 흙과 수확물을 들어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흙을 분리시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토흔들채와; 상기 제토흔들채 후방의 상기 측판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차량의 동력을 상기 제토흔들채와 동시에 전달받아 전후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제토흔들채로부터 제공되는 흙과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흙을 분리시킨 후 수확물을 지상에 낙하시키는 제토컨베이어; 를 포함함으로써, 땅속의 농작물을 손상없이 전부 수확가능하고 제토성능이 좋아 한꺼번에 2두둑 이상의 많은 양을 수확할 수 있어, 생산성을 제고시키며, 수확물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다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근 수확기{TUBER HARVESTING MACHINE}
본 고안은 농업용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면서 땅속의 농작물을 자동으로 굴취, 수확하는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물의 손상없이 지중의 모든 수확물을 완전하면서 생산성 높게 수확할 수 있는 구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서 생육되는 구근(즉, 땅속작물)으로는 감자, 고구마, 양파, 마늘, 당근 등이 있으며, 이러한 구근을 인력으로 수확하는 경우에는 일일이 땅을 파헤치면서 수확해야 하므로 시간과 경비의 소모가 커, 최근에는 트랙터 등의 농업용 견인차량의 후미에 연결되어 기계적으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도록 하는 농기계인 구근 수확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구근 수확기는 통상 전방에 지중으로 삽입되는 삽날부와, 삽날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삽날부에 의해 흙과 함께 제공된 수확물을 흙으로부터 분리되게 이송하는 제토(除土)컨베이어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트랙터 등에 의해 견인됨으로써, 지중의 구근을 연속적으로 수확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구근 수확기의 일예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근 수확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근 수확기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양 측판부(112a) 및 양 측판부(112a)를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12b)를 구비하는 프레임(111)과, 양 측판부(112a)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토컨베이어(121)와, 제토컨베이어(121)를 회전구동시키는 컨베이어회전구동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111)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방 하부영역에는 프레임(111)의 전방으로 이동시 지중으로 소정 깊이 삽입되는 삽날부(114)가 구비되며, 후방영역에는 프레임(111)의 하단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116)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116)의 일측은 프레임(11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은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프레임(111)에 결합된 지지부재(117)의 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프레임(111)의 전방 상부영역에는 트랙터 등에 연결될 수 있게 복수개의 연결부(118)가 형성되며, 프레임(111)의 폭방향 상부 중앙영역에는 프레임(111)의 진행방향을 따라 입력축(119)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토컨베이어(121)는 프레임(111)의 진행방향에 대해 소정의 피치로 이격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도록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122)를 구비하며, 진행방향을 따라 삽날부(114)에 인접된 영역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회전구동부(131)는 제토컨베이어(121)의 일측 단부영역에 배치되는 구동축(133)과, 제토컨베이어(121)의 로드부(122)에 대응되는 피치를 가지고 구동축(133)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프래킷휠(135)과, 구동축(133)의 일측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동풀리(134)와, 입력축(119)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입력축(119)의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되는 전동축(137)과, 전동축(137)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138)와, 구동풀리(138) 및 피동풀리(134)에 동시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벨트(140)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축(119)에는 구동기어(120)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동축(137)의 일단에는 구동기어(120)와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피동기어(139)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기어(120)외 피동기어(139)간의 기어물림은 기어박스(150)내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트랙터 등의 후미에 연결부(118)를 연결하고,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입력축(119)의 단부를 트랙터의 출력부와 연결한다. 이런 상태에서, 트랙터가 전방으로 전진되면 삽날부(114)는 지중으로 소정 깊이 경사지게 삽입되어 진행되고, 이로 인해 수확물은 흙과 함께 삽날부(114)의 경사면을 따라 후방으로 상향 이동된다. 이때, 입력축(119)이 회전되면 전동축(137)이 회전되고, 전동축(137)의 구동력은 구동풀리(138), 전동벨트(140) 및 피동풀리(134)를 통해 구동축(133)에 전달된다. 구동축(133)이 회전되면, 구동축(133)과 일체로 회전되는 스프래킷휠(135)에 의해 제토컨베이어(121)가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삽날부(114)에 의해 흙과 함께 제공된 수확물은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하는 제토컨베이어(121)상에 재치되어 제토컨베이어(121)의 로드부(122)에 의해 지지되면서 후방으로 이송되고, 이송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흙은 로드부(122)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즉, 종래의 구근 수확기는 트랙터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송력과 제토컨베이어(121) 구동력을 직접 전달받는 구성으로, 삽날부(114)가 땅을 일정 깊이로 파면서 땅속의 수확물을 흙과 함께 제토컨베이어(121)상으로 걷어 올리면, 제토컨베이어(121)의 회전에 의해 흙과 수확물이 분리된 후 수확물만 후방의 지상으로 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근 수확기에 있어서는, 그 구성상 수평의 삽날부(114)가 땅속에 매설된 수확물보다 땅속 깊이 함입되지 못하여 일부 수확물을 절단시키거나 모든 수확물을 완전히 수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수확물로부터 흙을 분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긴 제토컨베이어(121)만을 이용함으로써, 수확물이 제토컨베이어(121)를 빠져나가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이송과정에서 제토컨베이어(121)와의 부딪힘으로 수확물의 외피가 벗어져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흙의 분리를 위해 제토컨베이어(121)만 이용함으로써, 제토성능이낮아 1두둑 단위로만 수확이 가능하여 그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수확물의 손상없이 지중의 모든 수확물을 완전하면서 생산성 높게 수확할 수 있는 구근 수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농업용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견인 진행되면서 땅속에 매설된 농작물을 굴취하여 수확하는 구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견인차량에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부와; 상호 나란하게 이격된 한쌍의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 내측의 전방 하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올리는 수평삽날부와; 상기 수평삽날부의 이격된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올리는 쟁기날 형태의 수직삽날부와; 상기 수평삽날부 후방의 상기 측판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구동되면서 상기 수평삽날부로부터 제공되는 흙과 수확물을 들어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흙을 분리시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토흔들채와; 상기 제토흔들채 후방의 상기 측판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차량의 동력을 상기 제토흔들채와 동시에 전달받아 전후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제토흔들채로부터 제공되는 흙과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흙을 분리시킨 후 수확물을 지상에 낙하시키는 제토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되는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구근 수확기의 일예에 대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구근 수확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수확기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수확기에 대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수확기에 대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수확기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수확기의 요부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1 : 프레임 212 : 측판부
213 : 지지간 213a : 수평지지간
213b : 수직지지간 214 : 수평삽날부
214a : 제토공 214b : 안내채
215 : 수평지지봉 218 : 연결부
219 : 입력축 221 : 제토컨베이어
222 : 로드부 230 : 레일
231 : 컨베이어회전구동부 233 : 구동축
234 : 피동풀리 235 : 스프래킷휠
237 : 전동축 238 : 구동풀리
240 : 전동벨트 241 : 아이들풀리
242 : 벨트커버장착부재 250 : 기어박스
260 : 제토흔들채 261 : 구동대
261a : 편심캠 262 : 작동대
263 : 회동축 265 : 흔들채회동구동부
270 : 수직삽날부 271 : 연결판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수확기에 대한 평면도, 도 4는 그 측단면도, 도 5는 그 측면도, 도 6은 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근 수확기는 양 측판부(212)와 그 상부의 디긋자형 지지간(213)으로 이루어지고 양 측판부(212)의 전면 하부에 배치되는 수평삽날부(214)를 구비하는 프레임(211)과, 수평삽날부(214) 후방의 양 측판부(212)의 사이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흙과 함께 제공되는 수확물을 들었다 놓았다 하면서 1차로 제토를 실시하는 제토흔들채(260)와, 소정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222)로 구성되어 제토흔들채(260) 다음의 양 측판부(21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흙과 함께 제공되는 수확물을 이송하면서 2차로 제토를 실시하여 수확물을 선별하면서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토컨베이어(221)와, 제토흔들채(260)를 회동구동시키는 흔들채회동구동부(265)와, 제토컨베이어(221)를 회전구동시키는 컨베이어회전구동부(231)와, 수평삽날부(214)로부터 이격된 전방 양측에 별도 구비되는 수직삽날부(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211)은 판상부재로 형성되어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진행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측판부(212)와, 측판부(212)를 일체로 연결하는 상부의 디긋자형태의 지지간(213)과, 양 측판부(212)의 전방 하부영역에 지중에 삽입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수평삽날부(214)를 구비한다.
수평삽날부(214)의 이격된 전방 양측에는 맨 앞에서 지중에 깊이 삽입되어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양측에서 잘라 가운데로 들어 올리는 쟁기날 형태의 수직삽날부(270)가 양측의 수직지지간(213b)에 상단이 연결되는 연결판(271)의 하단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양측의 수직삽날부(270)는 그 사이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수직삽날부(270)가 연결된 양측의 수직지지간(213b)은 수평지지간(213a)에 대해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작업자는 양측 수직지지간(213b) 사이간격을 조정한 후 볼트 등으로 수평지지간(213a)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으며, 양 측판부(212)를 연결하는 형태로 그 상부에 좌우방향으로 하나 이상 구비되는 수평지지봉(215)의 양측 돌출부분에 양측 수직지지간(213b)이 미끄럼 이동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수평삽날부(214)는 전방영역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도록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그 경사면상에 좌우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어 경사면을 따라 후상방으로 이동되는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마찰시켜 일부 제토되도록 하는 제토공(214a)이 구비된다.
또한, 수평삽날부(214)에는 그 후방측 이면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프레임(211)의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좌우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어 수평삽날부(214)에서 제공되는 흙을 포함하는 수확물을 다음의 제토흔들채(260)의 상측으로 제공하는 안내채(214b)가 구비되며, 안내채(214b)는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져 있다.
한편, 프레임(211)의 전방 상부영역에는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연결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양 측판부(212)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로드부(222)로 무한궤도를 이루어 전후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제토흔들채(260)로부터 흙과 함께 제공되는 수확물을 흙과 선별하여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토컨베이어(221)가 구비된다.
프레임(211)의 상부 중앙영역에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진행방향을 따라 입력축(219)이 배치되며, 내부적으로 입력축(219)에는 제토흔들채(260)의 회동구동 및 제토컨베이어(221)의 회전구동을 위한 베벨기어로 된 구동기어가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기어와 맞물림되어 회전되는 피동기어를 일단에 일체로 결합하는 전동축(237)이 양측에 구비되며, 구동기어와 피동기어간의 기어물림은 기어박스(250)내에서 이루어지는데, 기어박스(250)는 수평지지간(213a)의 중앙영역에 브래킷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흔들채회동구동부(265)는 입력축(219)에 수직하도록 양측으로 배치되는 전동축(237)상의 소정 위치에 각각 결합된 편심캠(261a)을 상단에 구비하고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구동대(261)와, 구동대(261)의 하단에 일단이 결합되는 작동대(262)와, 작동대(262)의 타단에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축(263)을 구비하며, 양 측판부(212) 내측의 회동축(263)상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좌우로 상호 이격되게 제토흔들채(260)가 복수개 구비되어 안내채(214b)로부터 제공되는 흙을 포함하는 수확물을 그 상하구동에 의해 들어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제토를 실시하고 다음의 제토컨베이어(221)상으로 제공하는데, 제토흔들채(260)는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컨베이어회전구동부(231)는 입력축(219)에 수직하도록 배치된 일측의 전동축(237)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풀리(238)와, 전동축(237)과 소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동축(233)과, 구동축(233)의 일측 단부에 구동풀리(238)에 대응되게 일체로 결합되는 피동풀리(234)와, 구동풀리(238) 및 피동풀리(234)에 동시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벨트(240)와, 제토컨베이어(221)의 로드부(222)의 피치에 대응되는 피치의 치형부를 구비하여 로드부(222)와 맞물림되고 구동축(233)과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제토컨베이어(221)를 회전구동시키는 스프래킷휠(235)을 구비한다.
전동벨트(240)는 구동풀리(238)의 구동력을 피동풀리(234)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전동벨트(240)의 일측에는 그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아이들풀리(241)가 회동가능하게 측판부(212)의 외측면상에 구비될 수 있고, 더불어 해당 측판부(212)의 외측면상에는 전동벨트(240)를 보호하는 벨트커버(미도시)의 장착하기 위한 벨트커버장착부재(24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제토컨베이어(221)의 로드부(222)의 각 로드는 개별적으로 회전가능게 장착되어 있고, 도 9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폐루프를 만드는 일부분인 상부측 로드부(222)의 하부에는 평철형 레일(230)이 측판부(212)의 내측면상으로부터 돌출 구비되어 있어, 흙과 수확물이 놓여져 상부측 로드부(222)가 하부의 레일(230)상에 접촉되어 전체적으로 회전되면, 각 로드가레일(230)과 구름접촉되면서 자체적으로도 회전되게 된다. 이로써, 상면상에 실린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은 회전하는 로드와의 마찰에 의해 더욱 제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먼저, 땅속 구근을 수확하기 전에 줄기를 제거한 후, 수확될 땅의 폭에 대응하도록 구근 수확기의 양측 수직지지간(213b)의 사이간격을 조정하여 양측의 수직삽날부(270)의 간격을 조정한다.
그리고, 트랙터 등의 견인차량의 후미에 연결부(218)를 연결하고,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견인차량의 출력부와 입력축(219)이 상호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연결한다.
다음, 견인차량이 주행을 개시하게 되면, 맨 앞의 수직삽날부(270)가 지중으로 깊이 삽입되면서 채굴이 개시된다.
수직삽날부(270)는 양측에서 땅속 깊숙이 삽입되어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양측에서 잘라 가운데로 들어 올리면서 전방으로 이동되며, 다음으로 수평삽날부(214)가 지중으로 소정 깊이 삽입되어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수평으로 자르면서 이동된다.
여기서, 만약 수평삽날부(214)만 있다면 수평삽날부(214)가 지중에 삽입되는 깊이가 얕을 수 밖에 없으나 먼저 수직삽날부(270)가 땅속 깊숙이 삽입된 후 프레임(211) 전체를 이끌게 되어 자연적으로 수평삽날부(214)의 삽입깊이가 깊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수평삽날부(214)에 의해 일부 수확물이 절단되거나 깊숙이 매설된 수확물이 수확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극복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삽납부(270)와 수평삽날부(214)에 의해 파헤쳐져 수평삽날부(214)의 경사면을 따라 후상방으로 이동되는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은 경사면상에 구비된 제토공(214a)에 마찰되면서 일부 제토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수평삽날부(214)의 후방측으로 이동된 흙과 수확물은 수평삽날부(214)의 후방에 연결 배치된 안내채(214b)를 지나면서 또한 일부 제토가 이루어진 후, 안내채(214b)의 후방에서 제토흔들채(260)의 상측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제토흔들채(260)는 그 회동기구에 의하여 상하로 회동되고 있는데, 입력축(219)과 일체로 회전하는 전동축(237)에 결합된 편심캠(261a)이 전동축(237)과 함께 회전하면서 구동대(261)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대(261)에 결합된 작동대(262)가 상하로 회동하게 되며, 작동대(262)의 회동에 따라 작동대(262)에 결합된 회동축(263)를 포함하는 제토흔들채(260)가 상하로 회동된다.
따라서, 상하회동되는 제토흔들채(260)상에 제공된 흙과 수확물은 제토흔들채(260)에 의해 들어 올려졌다 내려졌다 하면서 본격적인 제토가 이루어진 후, 다음으로 제토컨베이어(221)상으로 제공되게 된다.
여기서, 제토컨베이어(221)는 그 회전기구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데, 입력축(219)과 일체로 전동축(237)이 회전되고 있고, 전동축(237)의 회전력은 구동풀리(238), 전동벨트(240) 및 피동풀리(234)를 통해 구동축(233)에 전달된다. 구동축(233)이 회전됨에 따라 스프래킷휠(235)이 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토컨베이어(221)가 시계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제토컨베이어(221)의 상측으로 제공된 흙 및 수확물은 후방영역으로 이동되면서 흙은 로드부(22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지상으로 낙하하게 되고, 수확물은 로드부(222)에 의해 재치된 상태로 후상방으로 이송된 후, 지상으로 낙하되게 된다.
여기서, 로드부(222)의 각 로드는 개별적으로 자체 회전될 수 있어 수확물로부터 흙을 더욱 완벽하게 털어 제거시킨다.
이로써, 상기와 같은 계속적인 반복동작으로 땅속에 있는 수확물들을 빠른 시간내에 수확할 수 있다.
일부 요약하면, 본 고안에 따른 구근 수확기는 수평삽날부(214) 뿐만 아니라 수직삽날부(270)에 의해 땅속 깊이 파고 들어가 지중에 매설된 수확물을 손상 및 남김없이 수확하게 되며, 제토기능은 수평삽날부(214)에 구비된 제토공(214a) 및 안내채(214b), 제토흔들채(260),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제토컨베이어(221), 제토컨베이어(221)의 개별 회전되는 로드 등의 다중작업을 통해 복합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제토과정에서 수확물의 외피가 벗어져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더욱 향상된 제토성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당업자는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땅속의 농작물을 손상없이 전부 수확가능하고 제토성능이 좋아 한꺼번에 2두둑 이상의 많은 양을 수확할 수 있어, 생산성을 제고시키며, 수확물의 상품가치를 향상시키는 다대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5)

  1. 농업용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견인 진행되면서 땅속에 매설된 농작물을 굴취하여 수확하는 구근 수확기에 있어서,
    상기 견인차량에 탈부착이 가능한 연결부와;
    상호 나란하게 이격된 한쌍의 측판부와;
    상기 측판부 내측의 전방 하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올리는 수평삽날부와;
    상기 수평삽날부의 이격된 전방 양측에 구비되어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수직으로 절단하여 올리는 쟁기날 형태의 수직삽날부와;
    상기 수평삽날부 후방의 상기 측판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차량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하구동되면서 상기 수평삽날부로부터 제공되는 흙과 수확물을 들어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흙을 분리시켜 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토흔들채와;
    상기 제토흔들채 후방의 상기 측판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견인차량의 동력을 상기 제토흔들채와 동시에 전달받아 전후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서 상기 제토흔들채로부터 제공되는 흙과 수확물을 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흙을 분리시킨 후 수확물을 지상에 낙하시키는 제토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삽날부에는 그 후방측 이면에 일단이 고정되도록 진행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좌우로 이격되게 복수개 구비되어 상기 수평삽날부로부터 제공되는 흙을 포함하는 수확물을 상기 제토흔들채로 안내하는 안내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삽날부는,
    그 경사면을 따라 후상방으로 이동되는 수확물을 포함하는 흙을 마찰시켜 일부 제토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경사면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제토공;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토컨베이어는,
    소정 피치로 배치된 복수의 로드부로 구성되어 무한궤도를 이루는데,
    상기 로드부의 각 로드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측판부의 내측면상에는 레일이 돌출 구비됨으로써,
    상기 로드가 상기 레일에 구름접촉되면서 자체 회전하여 상면상에 실린 수확물에 포함된 흙을 일부 제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그 상부에 디긋자형태의 지지간이 구비되는데,
    상기 수직삽날부는 수직지지간에 연결되고, 상기 수직지지간은 각각 수평지지간에 대해 내외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 고정되어, 상기 수직삽날부의 사이간격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근 수확기.
KR20-2003-0036390U 2003-11-21 2003-11-21 구근 수확기 KR200343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390U KR200343579Y1 (ko) 2003-11-21 2003-11-21 구근 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390U KR200343579Y1 (ko) 2003-11-21 2003-11-21 구근 수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893A Division KR101013447B1 (ko) 2003-11-21 2003-11-21 구근 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3579Y1 true KR200343579Y1 (ko) 2004-03-02

Family

ID=4934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390U KR200343579Y1 (ko) 2003-11-21 2003-11-21 구근 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35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437B1 (ko) * 2020-12-29 2022-01-12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굴취날 위치조절형 구근류 작물 수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437B1 (ko) * 2020-12-29 2022-01-12 주식회사 대신에이씨엠 굴취날 위치조절형 구근류 작물 수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1106B1 (ko) 구근작물 수확기
KR20200074063A (ko) 수확기용 채굴장치
US3496713A (en) Peanut shaker and inverter
US4162726A (en) Sod harvesting machine having means for conveying and stacking sod pads
KR101013447B1 (ko) 구근 수확기
KR200343579Y1 (ko) 구근 수확기
KR200445293Y1 (ko) 구근 수확기
JP5793888B2 (ja) 作物収穫機
RU2626720C1 (ru) Корнеклубне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US3805895A (en) Apparatus for harvesting potatoes
JPH0342041B2 (ko)
JP3662726B2 (ja) 自走式根菜収穫機
JP3507942B2 (ja) 長根菜収穫機
CN209787851U (zh) 一种花生收获机
KR200366868Y1 (ko) 구근작물 수확기
GB2479059A (en) Method and machine for lifting a material layer from above a crop
JPS646023Y2 (ko)
CN209983102U (zh) 花生收获机
JP2003092912A (ja) 根菜収穫機用ひげ根切断装置
JP3458929B2 (ja) 尻尾切り装置の案内ガード
JP2019083727A (ja) 排葉寄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茎葉処理機
JP2021058091A (ja) 茎葉処理機
JPH0956236A (ja) 根菜収穫機の切断装置
JP2023086390A (ja) 掘り取り装置及び茎葉処理機
RU2626758C1 (ru) Корнеклубнеуборочный комбай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9

Year of fee payment: 7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