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408Y1 -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 - Google Patents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408Y1
KR200341408Y1 KR20-2003-0035765U KR20030035765U KR200341408Y1 KR 200341408 Y1 KR200341408 Y1 KR 200341408Y1 KR 20030035765 U KR20030035765 U KR 20030035765U KR 200341408 Y1 KR200341408 Y1 KR 200341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motor
rod
cylin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7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제정
Original Assignee
문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제정 filed Critical 문제정
Priority to KR20-2003-00357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4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4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3/00Drilling machines or drilling devices; Equipment therefor
    • B27C3/04Stationary drilling machines with a plurality of working spi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을 동시에 또는 부분적으로 뚫을 수 있는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멍을 뚫고자 하는 판넬(panel)의 소정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방의 소정 높이에 위치하여 회전작동될 수 있는 모터의 회전축에 드릴이 장착된 모터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하방의 판넬에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이동되는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DRILLING TOOL SET OF A VERTICAL DRILLING MACHINE FOR A WOODWORKING}
본 고안은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구멍을 동시에 또는 부분적으로 뚫을 수 있는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멍을 뚫고자 하는 판넬(panel)의 소정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방의 소정 높이에 위치하여 회전작동될 수 있는 드릴이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모터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하방의 이격 위치된 테이블상의 판넬에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는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 기계는 제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핀들(20)을 베이스(21)에 용접한 프레임셋트(a)를 고정베이스(b)에 고정되는 각각의 나선축(22)에 작동축(23)이 연동되게 하여 사용하고 있어서, 고정베이스(b)에 별도의 나선축(22)을 고정하여야 하며 나선축(22)의 설치 갯수에 의해 프레임셋트(a) 숫자가 한정되어 고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선축(22)에 프레임셋트(a)의 작동축(23)을 나선축(22)에 연동되게 결합할 때나 거리조작을 위해 이동시 나선축(22) 선단의 육각부를 회전시켜주어야 프레임셋트(3)가 이동되므로 거리 조절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운전 작업시나 수리작업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0137605호(1998년 11월 25일 등록)의 "수직 다축 드릴링머신의 프레임셋트 결합장치"가 개발되었다. 이 장치는 "한면에 2개를 한조로 평행되게 형성한 T형가이드홈(2)(3)(4)을 3면에 형성한 베이스(1)의 양측면 중앙에 눈금자(9)를 부착하여, 일측면을 평면(11)처리하고 각각의 너트공(12)을 형성시킨 스핀들(5)을 중앙부위에 보조홈(13)과 양선단에단턱(14)(15)을 형성한 스핀들베이스(6)를 보울트(7)로 결합한 프레임셋트(A)를, T형가이드홈(2)에 보울트(7)와 너트(8)로 고정 결합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 목공용 수직다축 드릴링머신의 프레임셋트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드릴공구를 구동하는 수단은 벨트에 의한 것이다. 또한,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공구는 위치가 고정된 것이고, 공구 하방의 판넬을 지지하는 테이블(도시되지 않음)이 상방의 공구측으로 이동되어 판넬의 소정위치에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공구가 회전되게 고정되는 반면에 공구 하방의 판넬을 지지하는 테이블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방식의 수직 다축 드릴링머신에 있어서, 판넬의 소정 위치 상방에 위치하는 드릴공구의 척에 드릴을 각각 조립하여 구멍을 뚫은 후 판넬의 구멍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드릴의 위치도 변경하여야 하는 작업이 불편하였다.
한편, 상방에 위치한 드릴공구 중 일부의 공구를 판넬 외부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공구에 장착된 드릴을 제거하면 이의 하방에 위치한 판넬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벨트로 구동되는 방식의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 머신은 구멍을 뚫고자 하는 판넬의 위치에 대응하여 드릴공구의 위치변경이 불편함은 물론 벨트로 구동되는 드릴공구에 드릴을 다 장착하지 않을 때에도 드릴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스핀들이 공회전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판넬에 구멍을 뚫기 위해 공구가 고정되고 판넬 지지 테이블이 공구측으로 이동되는 대신에 드릴이 소정 깊이로 이동되는 목공작업용 다축 드릴링기계에 적용될 수 있는 드릴공구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드릴공구의 척에 장착된 드릴의 제거없이도 각각의 드릴공구를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는 목공작업용 다축 드릴링 기계의 드릴공구세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예시도.
도2는 종래의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다른 예시도.
도3은 도2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4는 본 고안의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예시도.
도5는 도3의 회전하는 드릴공구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드릴공구세트 2: 드릴척
3: 드릴 4: 실린더
5: 실린더 로드 6: 로드어저스터(rod adjuster)
P: 판넬 C1: 모터지지부
C2: 실린더지지부 BR: 베어링
본 고안의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는 테이블 상에 지지되는 판넬의 소정 위치에 다수의 구멍을 동시에 뚫기 위해서 이 구멍의 상방에 위치되는 드릴링공구를 동시에 하방의 판넬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시킬 수 있는 드릴링공구세트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이 드릴링공구세트는 별도의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교차이동될 수 있는 프레임에 고정되어 다수의 드릴링공구세트를 장착하여 구멍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장치인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는
모터의 축에 드릴이 드릴척으로 장착되는 모터몸체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와,
이 모터지지부를 감싸도록 이 모터지지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이 베어링의 외측에 결합되는 베어링지지부와,
베어링지지부와 결합되며, 모터몸체를 전방 또는 후방이동시키는 실린더를 지지하는 실린더지지부와,
실린더의 양측으로 연장되며, 일측은 모터지지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로드의 이동거리를 조절하는 어저스터가 결합된 실린더 로드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실린더는 양로드 에어실린더로서, 에어실린더의 양측으로 실린더 로드가 돌출된 것이다. 양 로드중 일측의 로드에는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드릴의 이동거리, 즉 모터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타측의 로드에 나사결합된 로드어저스터를 포함한다. 이 로드어저스터에 의해 조절되는 행정거리(stroke)만큼 타측의 로드가 동일한 행정거리만큼 이동된다. 즉, 실린더 몸체의 좌우측에 돌출되는 로드는 동일 행정거리만큼 이동된다. 이 행정거리는 모터의 이동거리와 동일하고, 이 이동거리는 구멍을 뚫고자 하는 판넬의 두께에 따라 정해지며, 로드어저스터의 조절에 의해 가변될 수 있다.
도4 및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는 크게 2개의 구성부분으로 구성되는데, 공구가 결합되는 모터(M)와 이의 지지부, 그리고 이 모터(M)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실린더와 이의 지지부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모터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을 위한 지지부는 모터 몸체를 지지하는 모터 지지부와 이의 외측에 위치하는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부를 포함하며, 베어링 지지부와 실린더를 지지하는 실린더 지지부는 상호 고정된다.
물론 모터(M)의 회전축에는 드릴이 장착되는 척이 결합된다.
또한, 공압실린더는 몸체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는 로드가 있고, 이 로드의 일측은 모터(M)를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키도록 상호 연결된다.
모터(M)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서, 먼저 모터(M) 몸체는 모터지지부로 감싸여지고, 이 모터지지부의 외측으로 오일리스 베어링이 결합되고, 이 오일리스 베어링의 외측으로 베어링지지부가 설치된다. 즉, 모터지지부와 베어링지지부 사이에 설치된 오일리스 베어링에 의해서 오일리스베어링 내측에 위치한 모터지지부가 오일리스 베어링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모터, 모터지지부, 오일리스베어링, 그리고 베어링 지지부는 모두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베어링 지지부는 실린더의 로드와 연결하기 위해 일단부가 막혀있고, 타단부는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막혀 있는 일단부에는 로드와 베어링지지부를 연결 고정하기 위해서 로드가 관통되는 로드 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모터지지부가 오일리스 베어링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어링 지지부에는 이동억제판으로 밀폐되며, 모터의 회전축이 관통 연장되도록 회전축 통공이 형성된다.
로드의 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로드가 베어링 지지부 일단부의 통공을 지나게 한후 너트로 조여서 실린더 로드의 일단부와 베어링 지지부의 저부가 고정된다.
한편, 통상의 양 로드 실린더의 몸체에는 양측의 로드를 전진 및 후진 이동시키기 위해 에어라인과 연결되는 에어연결부가 로드지지브라켓부분에 형성되어 내부의 실린더와 연통된다.
즉, 일측의 에어라인을 통해서 소정 압력의 에어가 공급되면, 예컨대 도면에서 좌측의 부분으로 에어가 공급되면 로드는 우측으로 전진되고, 우측의 에어 연결부로 에어가 공급되면 로드는 좌측으로 후진이동된다.
더욱이, 실린더 로드의 일측에는 실린더 로드의 전진 및 후진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로드에 결합되는 어저스터가 결합된다. 예컨대 로드에 결합된 어저스터가 실린더 몸체측과 인접하면 로드의 작동거리(stroke)가 작아지고, 멀어지면 로드의 작동거리가 커진다. 로드의 작동거리에 대응하여 이에 결합된 모터의 작동거리가 정해진다.
이와 같이 실린더 지지부와 모터의 베어링 지지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이고, 모터의 회전축에 드릴이 장착되었을 때, 압축기(도시되지 않음)의 에어라인과 모터등의 전원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도시되지 않음)의 온 작동에 의해 모터의 회전축이 소정 속도로 회전된다.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되면 이에 장착된 드릴이 회전작동되고, 이때 실린더의 에어라인을 통해서 실린더 좌측의 에어연결부로 소정 압력의 에어가 공급되면 로드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우측으로 이동하는 로드에 의해서 모터 지지부는 우측으로 이동하고, 드릴이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좌측의 에어연결부로 소정 압력의 에어 공급을 차단한 후 우측의 에어연결부로 에어를 공급하면 로드는 우측에서 좌측으로 후진 이동하게 된다.
전진 또는 후진으로 이동가능한 이 장치의 행정거리 내에 구멍을 뚫고자 하는 판넬을 테이블에 지지하여 이 장치를 작동시키면 소정 속도록 회전하는 드릴의전진 이동에 의해서 판넬에 간단히 구멍을 뚫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고안의 장치는 공구가 고정되어 있고 구멍을 뚫고자 하는 판넬을 지지하는 테이블을 이동시켜서 다수의 구멍을 소정 간격으로 일시에 판넬에 뚫을 수 있는 수직다축드릴링 기계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공구를 소정간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별도의 이동프레임이 필요하다.
이 경우 공구 자체를 개별제어가 가능하므로 공구의 드릴 교체가 불필요하므로 드릴링 작업의 효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모터로 벨트구동되는 공구의 공회전이 방지되므로 운전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장치는 실린더의 양측에 돌출된 양로드의 행정거리만큼 모터를 이동시킴으로써 모터의 회전축에 척으로 고정되는 드릴에 의해 판넬의 구멍을 간단히 뚫을 수 있으며, 조립 및 비용이 매우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드릴공구의 척에 의해 드릴이 장착되는 회전축을 갖는 모터와,
    모터몸체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와,
    이 모터지지부를 감싸도록 이 지지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이 베어링의 외측에 결합되는 베어링 지지부와,
    모터지지부와 결합되며, 모터 몸체를 전방 또는 후방 이동시키도록 양로드를 갖는 양 로드 실린더를 지지하는 실린더지지부와,
    실린더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로드의 일측은 모터지지부에 결합되고 타측의 로드는 행정 거리를 조절하는 어저스터가 결합되는 실린더로드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실린더 로드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에 의해 드릴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베어링은 오일리스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공용 수직 다축 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
KR20-2003-0035765U 2003-11-15 2003-11-15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 KR2003414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765U KR200341408Y1 (ko) 2003-11-15 2003-11-15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765U KR200341408Y1 (ko) 2003-11-15 2003-11-15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408Y1 true KR200341408Y1 (ko) 2004-02-11

Family

ID=4942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765U KR200341408Y1 (ko) 2003-11-15 2003-11-15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4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1366A (zh) * 2020-04-18 2020-08-14 无锡易通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保持架开孔设备及打孔修孔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31366A (zh) * 2020-04-18 2020-08-14 无锡易通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保持架开孔设备及打孔修孔工艺
CN111531366B (zh) * 2020-04-18 2023-07-14 无锡易通精密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保持架开孔设备及打孔修孔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527355U (zh) 一种多钻头高效立式钻床
CN104842408A (zh) 一种加工板材用新型钻孔机及钻孔方法
KR100798822B1 (ko) 공구의 스트로크 조정장치
CN203635988U (zh) 角度可调钻孔机
CN106077739A (zh) 气动沉孔钻床
KR200341408Y1 (ko) 목공용 수직다축드릴링기계의 드릴공구세트
CN204640397U (zh) 一种加工板材用新型钻孔机
CN210080758U (zh) 一种钻床
CN212310880U (zh) 一种高适用性多轴自动钻孔机
CN2611081Y (zh) 一种自动石材横向钻孔机
KR20150074454A (ko) 공작기계의 자동 헤드 어태치먼트 교환장치
CN208961063U (zh) 汽车饰板深孔钻模工装
CN208230891U (zh) 一种同时钻多孔的摇臂钻床
CN207414785U (zh) 高效精确的切割钻孔一体机
JPS6322209A (ja) 同時並行加工用工作機械
CN203068071U (zh) 一种控制器支架及加工该支架的钻孔机
CN103174915B (zh) 一种加工控制器支架的钻孔机
CN209887710U (zh) 一种高精度智能打孔装置
CN205834291U (zh) 气动沉孔钻床
CN218744985U (zh) 一种飞机零部件打孔装置
CN220698301U (zh) 一种高强度钢结构架
CN109551234A (zh) 一种立式铣端面打中心孔机床
CN220881365U (zh) 一种立式钻床用工件位置调节机构
KR100360317B1 (ko) 인풋 샤프트의 드릴 홀 가공장치
KR200287033Y1 (ko) 탁상 드릴링머신의 작업대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