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375Y1 - 밸브에 직접 결합 가능한 관이음 - Google Patents

밸브에 직접 결합 가능한 관이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375Y1
KR200341375Y1 KR20-2003-0035255U KR20030035255U KR200341375Y1 KR 200341375 Y1 KR200341375 Y1 KR 200341375Y1 KR 20030035255 U KR20030035255 U KR 20030035255U KR 200341375 Y1 KR200341375 Y1 KR 2003413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let
outlet
pipe joint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52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to KR20-2003-00352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3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3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3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5/00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 F16L15/006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 F16L15/008Screw-threaded joints; Forms of screw-threads for such joints with straight threads with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6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taps or c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에 결합되는 관이음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나사산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단으로 이루어지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구가 상기 밸브 배출구와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보다 작은 공간 내에서도 밸브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는 관이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밸브와 관이음의 결합을 단순화시킴으로써 밸브 장치에서 유체의 누설이 있는 경우에 이를 간단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밸브에 직접 결합 가능한 관이음{Tube joint which directly join to valve}
본 고안은 관이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의 배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 및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도록 밸브의 배출구에 직접 결합 가능한 관이음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관이음(tube joint)은 직경 또는 방향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관을 연결시켜 관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의 연속성을 유지하게 함과 동시에 유체의 방향을 소망하는 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이에는 가스관을 접속하는 데 사용되는 스크루(screw)와, 직각으로 접속하는 엘보(elbow)와, T형으로 접속하는 티 및 Y형으로 접속하는 90°Y, 그리고 십자형으로 접속하는 크로스 등 다양한 관이음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이음은 밸브와 연계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종래 밸브와 연계되어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관이음 결합 관계를 전체 결합 사시도인 도 1 및 그 결합 단면의 일부 구성으로 보여주는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밸브 및 관이음의 결합, 특히 엘보와의 결합은 유체가 출입하는 유입구(12) 및 배출구(14)와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밸브(10)와, 일단이 상기 밸브 배출구(14)와 결합되는 니플(30)과,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22) 및 상기 유입구(22)에 직각하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4)를 가지는 엘보(20)와, 상기 니플(30) 및 엘보 유입구(22)에 삽입되는 파이프(50)와, 상기 니플(30)의 타단과 결합되는 제1소켓(40) 및 상기 엘보 유입구(22)와 결합되는 제2소켓(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밸브(10)의 배출구(14)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더욱 형성된다.
상기 조절수단은 밸브(10)의 유입구(12) 및 배출구(14)와 연통될 수 있도록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부(17)를 가지며 상기 밸브(10) 내부에 형성되는 공동에 위치하는 유동구(16)와 상기 유동구(16)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18)와 상기 유동구(16)와 손잡이(18)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9)로 이루어지며, 미 설명부호 70은 씰링 부재이다.
상기 제1, 2소켓(40, 60)의 각 내부에는 패킹(42, 62)과, 상기 제1, 2소켓(40, 60)이 니플(30)의 타단 및 엘보 유입구(22)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니플(30) 및 엘보 유입구(22)에 삽입되는 파이프(50)를 압착시키기 위한 압축링(44, 64)이 각각 포함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밸브(10)에 대한 엘보(20)의 결합은 먼저, 니플(30)의 타단에 제1소켓(4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유입구(12)에 별도의 유입 파이프(미도시)가 결합된 밸브(10)의 배출구(14)에 니플(30)의 일단을 결합시키고, 배출구(24)에 별도의 배출 파이프(미도시)가 결합된 엘보(20)의 유입구(22)에 제2소켓(60)을 결합시킨 다음, 상기 제1, 2소켓(40, 60)에 파이프(50)를 삽입하여 상기 제1, 2소켓(40, 60)에 압력을 가하여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제1, 2소켓(40, 60) 내부에 위치하는 각 압축링(44, 64)이 상기 파이프(50)의 양 부분을 압착함으로서 밸브(10)에 대한 엘보(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렇게 밸브(10)에 엘보(20)를 결합시켜 사용하면 상기 밸브(10)로 유입되는 유체의 방향 및 유량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실제 이러한 결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불편함이 있었다.
먼저, 종래의 결합 방식은 밸브에 엘보 또는 티 등과 같은 다양한 관이음을 결합시킴에 있어 니플, 소켓, 파이프 등 여러 다양한 부품이 필수적으로 추가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방식은 밸브와 관이음 결합에 있어 추가되는 부품이 차지하는 만큼의 공간을 더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밸브와 관이음 결합이 주로 건물의 모서리 또는 지하의 좁은 공간에서 활용되고 있음을 감안한다면 이렇게 여유 공간을 더 확보해야 하는 종래 밸브와 관이음 결합 구성은 그 시공상 현실적인 제약을 항상 안고 있는 것이다.
또한, 밸브와 관이음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유동되는 유체의 누설 등과 같은 밸브 장치의 결함문제는 주로 밸브와 관이음 사이에 결합되는 여러 다양한 부품에서 발생되는데, 결함이 있는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밸브의 작동을 중단시키고 밸브 장치 전부를 해체시키고 다시 결합시키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반복 작업은 시간이 매우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결함 때문에 교체해야하는 부품의 재고가 없는 경우에는 이의 보충을 위해 더욱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밸브를 이용해야만 하는 현장 시설의 생산성을 현저히 떨어뜨리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작은 공간 내에서도 밸브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는 관이음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밸브와 관이음의 결합을 단순화시킴으로서 밸브 장치에서 유체의 누설이 있는 경우에 이를 간단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는 관이음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밸브 조립체의 전체구성도.
도 2는 종래 밸브 조립체의 일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관이음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관이음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0 : 관이음 유입구 240 : 삽입단
260 : 관이음 배출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내주면에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 안쪽으로 상기 나사산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삽입홀을 가지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는 관통부를 가지며 내부에 형성되는 공동에 위치하는 유동구와, 상기 유동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유동구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공동에서 상기 유동구를 감싸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밸브에 결합되는 관이음으로서,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산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단을 가지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구의 나사산이 상기 밸브 배출구의 나사산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을 제공한다.
상기 관이음은 배출구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이음의 배출구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관이음 중에 엘보 및 상기 엘보와 결합되는 밸브의 사시도, 도 4는 그 결합단면도를 각각 보여준다.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이 결합되는 밸브(100)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가지며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0)와,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유체 조절수단과,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 조절수단은 밸브의 유입구(120) 및 배출구(140)와 연통될 수 있도록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부(162)를 가지며 내부의 공동에 위치하는 유동구(160)와, 상기 유동구(160)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180)와, 상기 손잡이(180)의 회전력을 상기 유동구(160)에 전달시키는 연결부재(1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구(160)를 내부 공동에 고정시키고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동구(160)를 감싸는 씰링부재(190)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140)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42)과, 상기 나사산(142)의 안쪽 방향으로(공동방향) 상기 나사산(142)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는 삽입홀(144)을 가지며, 상기 나사산(142)과 삽입홀(144) 사이에는 씰링을 위한 부재(146)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22)을 가지는 유입구(220)와, 상기 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입구(2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222)은 밸브 배출구(1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142)에 대응된다.
상기 유입구(220)에는 상기 나사산(22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나사산(222)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단(224)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삽입단(224)은 밸브(100)의 삽입홀(144)에 대응되며, 상기 삽입단(224)의 외경은 상기 삽입홀(144)의 내경보다 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24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242)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밸브(100)의 배출구(140)와 결합되는 하나의 유입구(320)와, 상기 유입구(320)로 유입되는 유체가 분산되어 배출되는 두개의 배출구(340)를 가지는 티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의 나사산(322) 및 삽입단(324)은 도 3 실시예의 엘보의 나사산 및 삽입단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구(340) 각각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관이음은 상기 엘보, 티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유입구 및 복수 개의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여타 관이음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며 이러한 수정 또는 변경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은 관이음의 유입구를 밸브의 배출구에 직접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와 달리 공간의 제약이 있는 장소에서도 밸브 조립체를 쉽게 구성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밸브에 관이음을 결합함에 있어 여타 부품을 개재시키지 않고 밸브와 관이음을 직접 결합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서 개재되는 부품의 결함에 따른 교체 또는 수리의 필요성이 없어 보다 경제적으로 장치를 운용할 수 있게 해준다.

Claims (3)

  1.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내주면에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 안쪽으로 상기 나사산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의 삽입홀을 가지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는 관통부를 가지며 내부에 형성되는 공동에 위치하는 유동구와, 상기 유동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와, 상기 유동구와 손잡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공동에서 상기 유동구를 감싸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밸브에 결합되는 관이음으로서,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삽입홀에 대응하여 상기 나사산의 단부에 형성되는 삽입단을 가지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
    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구의 나사산이 상기 밸브 배출구의 나사산에 직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이음은 배출구가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이음의 배출구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이음.
KR20-2003-0035255U 2003-11-11 2003-11-11 밸브에 직접 결합 가능한 관이음 KR2003413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55U KR200341375Y1 (ko) 2003-11-11 2003-11-11 밸브에 직접 결합 가능한 관이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5255U KR200341375Y1 (ko) 2003-11-11 2003-11-11 밸브에 직접 결합 가능한 관이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375Y1 true KR200341375Y1 (ko) 2004-02-14

Family

ID=4942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5255U KR200341375Y1 (ko) 2003-11-11 2003-11-11 밸브에 직접 결합 가능한 관이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3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312280A (ja) 空気圧装置のための雄ねじ及び雌ねじ
JP2006518833A (ja) 直線ネジの設けられた調整可能なポート端部
KR200341375Y1 (ko) 밸브에 직접 결합 가능한 관이음
WO2015188730A1 (zh) 易安装的水龙头结构
US4614370A (en) Apparatus providing a weld-free joint for intersecting pipes or tubes within a conduit system
US5246200A (en) Quick shut-off valve for in-line installation with a defective valve
US7823395B2 (en) Universal coupling device
CN206988789U (zh) 一种油平横管的接头组件
US20160369921A1 (en) Adapter for use in connecting a source of pneumatic pressure to a hose
CN214662176U (zh) 一种万向三角阀
CN219159780U (zh) 一种便于安装维护的压力管道连接结构
JPH10325491A (ja) 配管接続部品
KR101236872B1 (ko) 배관 연결구 일체형 밸브
JP4105889B2 (ja) 分岐ソケットおよびこの分岐ソケットと共に用いるアダプタならびに湯水混合水栓の水栓本体と偏心管の接続方法
CN216045515U (zh) 一种具有开关功能的阀杆结构
CN217815629U (zh) 一种分段式通风通道连接头
US20230145680A1 (en) Boiler pressure relief valve and automatic air vent isolation assembly
KR101397464B1 (ko) 배관 연결기구
CN110108037B (zh) 防水堵的燃气热水器及安装方法
CN214699758U (zh) 一种水管密封堵头
CN209213274U (zh) 一种分叉活动型快速接头
KR200187889Y1 (ko) 수도꼭지의 회전식 호스 연결구
JP2007292127A (ja) カップリング取付用の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配管装置
TWM606212U (zh) 接頭
US5628340A (en) Automatic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