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223Y1 - 화재용품 보관함 - Google Patents

화재용품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223Y1
KR200341223Y1 KR20-2003-0036366U KR20030036366U KR200341223Y1 KR 200341223 Y1 KR200341223 Y1 KR 200341223Y1 KR 20030036366 U KR20030036366 U KR 20030036366U KR 200341223 Y1 KR200341223 Y1 KR 2003412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torage
oxygen
article
suppl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선
Original Assignee
서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선 filed Critical 서현선
Priority to KR20-2003-0036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2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2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2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8/00Hand tool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fire-fighting, e.g. tool boxes
    • A62C8/005Receptacles or other utensils for water carrying; Bombs filled with extinguishing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용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화재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화재용품 보관함에 있어서, 휴대용 화재용품에 형상 맞춤되고 보관된 화재용품과의 접촉영역에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화재용품수납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화재용품수납부에 상기 각 화재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화재용품의 수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재용품 보관함{Safekeeping Case For Fire Related Article}
본 고안은 화재용품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화재를 진압하고 화재현장으로부터 피난하는 데 사용되는 화재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인명 및 재산상의 막대한 피해를 유발하는 재난으로서, 화재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화재진압이나 피난에 필요한 화재용품을 준비하고 있다.
화재용품으로는 하중이 커 휴대하기 어려운 것(소화기 등)도 있으나, 피난로프, 스프레이식 소화용구, 산소공급기 등 휴대가 용이한 것도 있다.
도5는 일반적인 스프레이식 소화용구의 분해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스프레이식 소화용구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통(11)과 소화약제통(11)의 상단에 결합된 헤드부(13)와 헤드부(13)의 상단에 설치된 가압레버(15)와 헤드부(13)의 일 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 약제분출관(17)과, 가압레버(15)의 조작에 따라 약제분출관(17)과 소화약제통(11)사이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약제분사기구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소화용구본체(10)와, 가압레버(15)의 하강동작을 저지하도록 가압레버(1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부재(20)를 갖고 있다.
소화약제통(11)에는 액상의 소화약제입자가 가압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가압레버(15)는 수평부(15a)와, 수평부(15a)의 일측 연부로부터 상향 경사를 이루며 연장 형성된 누름부(15b)와, 수평부(15a)의 타측 연부로부터 직각으로 하향 절곡된 수직부(15c)와, 수평부(15a)의 저면으로부터 수직부(15c)와 동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지지부(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가압레버(15)는 누름부(15b)에 인가되는 하방향의 압력에 의해 지지부(도시되지 않음)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도록 헤드부(13)에 결합되어 있다.
약제분출관(17)은 누름부(15b)에 하방향의 압력이 가해져 가압레버(15)가 회동할 때, 약제분사기구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소화약제통(11)의 내부에 연통된다.
안전부재(20)는 대략 "U"자 형상의 압착부(21)와, 압착부(21)의 하부에 형성된 삼각형상 단면의 지지턱부(22)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전부재(20)는 압착부(21)를 가압레버(15)의 누름부(15b)에 억지끼움함으로써 가압레버(15)에 결합된다. 가압레버(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턱부(22)의 하단은 헤드부(13)의상면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안전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누름부(15b)에 하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가압레버(15)는 회동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일반적인 스프레이식 소화용구의 사용방법을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부재(20)를 가압레버(15)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약제분출관(17)의 개구가 석유난로, 방석, 커텐, 휴지통 등 소규모 화재 현장을 향하도록 한 후, 누름부(15b)를 하방향으로 가압한다.
누름부(15b)에 하방향의 압력이 가해지면 가압레버(15)가 지지부(도시되지 않음)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이에 따라 약제분사기구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약제분출관(17)은 소화약제통(11)의 내부에 연통하게 된다.
약제분출관(17)이 소화약제통(11)의 내부에 연통하게 되면, 소화약제통(11)의 내부에 저장된 액상의 소화약제입자는 약제분출관(17)을 통해 분출된다.
누름부(15b)에 인가된 압력을 해제하면 약제분사기구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약제분출관(17)과 소화약제통(11)사이의 연통은 차단되고, 약제분출관(17)을 통한 소화약제입자의 분출은 중지된다.
도7은 일반적인 휴대용 산소공급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일반적인 휴대용 산소공급기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통(31)과 산소통(31)의 상면에 산소통(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할 수 있도록 기립 설치되는 산소분출관(33)과 산소분출관(33)의 승강동작에 따라 산소분출관(33)과 산소통(31)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산소분사기구부(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 산소공급기본체(30)와, 산소통(31)의 상부에 형상 맞춤되는 개구부(41a)를 갖는 마스크부(41)와, 마스크부(41)의 상단에 결합되는 통기부재(43)를 갖고 있다.
산소통(31)에는 산소가 가압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산소분출관(33)은 하강상태에서 산소분사기구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산소통(31)의 내부에 연통된다.
마스크부(41)에는 개구부(41a)에 연통하는 결합공(41b)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부재(43)는 산소분출관(33)에 형상 맞춤되는 개구를 갖는 관연결부(43a)와, 마스크부(41)의 결합공(41b)에 형상 맞춤되는 봉형상의 마스크연결부(43b)를 갖고 있다. 그리고 마스크연결부(43b)와 관연결부(43a)사이에는 기역자 형상의 산소안내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통기부재(43)는 관연결부(43a)를 마스크부(41)의 개구부(41a)에 수직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마스크연결부(43b)를 결합공(41b)에 억지끼움함으로써 마스크부(41)에 결합된다.
전술한 일반적인 휴대용 산소공급기의 사용방법을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스크부(41)를 산소통(31)으로부터 분리한 후, 관연결부(43a)를 산소분출관(33)에 연결한다.
다음에 개구부(41a)가 입주위에 접촉하도록 마스크부(41)를 입에 갖다 댄다.
다음에 통기부재(43)를 눌러 산소분출관(33)을 하강시킨다.
산소분출관(33)이 하강하면 산소분사기구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산소분출관(33)은 산소통(31)의 내부에 연통되고, 이에 따라 산소통(31)에 저장된 산소는 산소분출관(33), 통기부재(43)의 산소안내공(도시되지 않음)과 마스크부(41)의 개구부(41a)를 통해 입으로 흡입된다.
전술한 일반적인 스프레이식 소화용구와 휴대용 산소공급기는 피난로프 등 다른 화재용품과 함께 보관함에 보관될 수 있다.
종래의 보관함은 각 화재용품의 외형에 대응하는 수납부가 형성된 수납본체와, 수납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보관함은 각 수납부에 화재용품을 수납한 후 덮개를 덮은 상태로 화재발생시 접근하기 용이한 장소에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보관함에 따르면, 각 수납부에 수납된 화재용품의 수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외부로부터 보관함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보관함을 벽면에 설치하는 경우 각 수납부에 수납된 화재용품의 수납상태가 흐트러지거나 덮개를 열면 화재용품이 한꺼번에 쏟아질 염려가 있기 때문에, 필요한 화재용품을 선택적으로 신속하게 보관함으로부터 인출하여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납된 화재용품의 수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용품 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용품 보관함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용품 보관함의 소화용구본체수납부에 소화용구본체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용품 보관함에 화재용품이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3의 A-A'선 단면도,
도5는 일반적인 스프레이식 소화용구의 분해사시도,
도6은 일반적인 스프레이식 소화용구의 사용상태도,
도7은 일반적인 휴대용 산소공급기의 분해사시도,
도8은 일반적인 휴대용 산소공급기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소화용구본체 11 : 소화약제통
13 : 헤드부 15 : 가압레버
15b : 누름부 17 : 약제분출관
20 : 안전부재 21 : 압착부
22 : 지지턱부 30 : 산소공급기본체
31 : 산소통 33 : 산소분출관
41 : 마스크부 43 : 통기부재
50 : 수납본체 51 : 외함
53 : 수납틀 54 : 소화용구본체수납부
55 : 산소공급기수납부 56 : 피난로프수납부
57 : 손전등수납부 60 : 덮개
71 : 피난로프 81 : 자석
82 : 고정끈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휴대용 화재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화재용품보관함에 있어서, 휴대용 화재용품에 형상 맞춤되고 보관된 화재용품과의 접촉영역에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화재용품수납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화재용품수납부에 상기 각 화재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품 보관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화재용품수납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본체는 상기 수납개구부가 형성되는 상자형상의 외함과 상기 외함에 장착되고 상기 화재용품수납부가 형성되는 수납틀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난로프의 수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틀에는 고정끈을 갖는 피난로프수납부가 상기 수납개구부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화재용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본체에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용품 보관함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용품 보관함의 소화용구본체수납부에 소화용구본체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용품 보관함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의 수납개구부(51a)가 형성된 장방형상 단면의 외함(51)과 외함(51)에 장착되는 수납틀(53)을 갖는 수납본체(50)와, 외함(51)에 일체로 형성된 덮개(60)를갖고 있다.
외함(51)의 전면부에는 한 쌍의 암단추(51b)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틀(53)에는 소화용구본체수납부(54)와 한 쌍의 산소공급기수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소화용구본체수납부(54)는 소화용구본체(10)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고(도6 참조), 내벽면에는 소화용구본체(10)의 누름부(15b)와 헤드부(13)의 상단사이에 진입하도록 분사방지돌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분사방지돌부(54a)에 의해 소화용구본체수납부(54)에 소화용구본체(10)가 수납된 상태에서 누름부(15b)에 하방향의 압력을 가해지더라도 가압레버(15)는 회동할 수 없게 되어 약제분출관(17)으로부터 소화약제입자는 분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소화용구본체수납부(54)의 바닥면에는 자석(81a)이 부착되어 있다.
각 산소공급기수납부(55)는 산소공급기의 사용상태형태에 형상 맞춤되도록 형성되어 있고(도8 참조), 바닥면에는 자석(81b, 81c)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수납틀(53)은 산소공급기수납부(55)의 사이영역에 전등수납부(57)가 형성되어 있고, 소화용구본체수납부(54)의 우측에 피난로프수납부(56)가 형성되어 있다.
피난로프수납부(56)에는 한 쌍의 고정끈(82a, 82b)이 나란히 결합되어 있다.
덮개(60)에는 외함(51)의 암단추(51b)에 대응하는 숫단추(6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용품 보관함을 사용하는방법을 도3 및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숫단추(60a)를 암단추(51b)로부터 분리시켜 덮개(60)를 연다.
다음에 소화용구본체(10)를 소화용구본체수납부(54)에, 두 개의 산소공급기를 산소공급기수납부(55)에, 피난로프(71)을 피난로프수납부(56)에, 손전등(82)을 전등수납부(57)에 각각 수납한다. 이 때 소화용구본체(10)와 산소공급기(30)는 각각 자석(81a, 81b, 81c)에 의해 수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피난로프수납부(56)에 수납된 피난로프(71)는 고정끈(82a, 82b)으로 묶음으로써, 수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숫단추(60a)를 암단추(51b)에 결합시켜 덮개(60)를 닫고 접근하기 용이한 장소에 비치한다, 필요에 따라 외함(51)의 저면에 부착홈(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 벽면에 걸어 둘 수 있다.
화재발생시 숫단추(60a)를 암단추(51b)로부터 분리시켜 덮개(60)를 연 후, 소화기본체(10), 한 쌍의 산소공급기(30, 41, 43), 피난로프(71) 및 손전등(82)을 인출한다. 여기서 피난로프(71)는 고정끈(82a, 82b)을 푼 다음, 피난로프수납부(56)로부터 인출하여야 한다.
다음에 가압레버(15)의 누름부(15b)를 눌러 소화약제를 화재현장을 향해 분사시키거나 통기부재(43)를 눌러 산소통(31)에 저장된 산소를 마스크부(41)를 통해 흡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용구본체수납부(54) 및 두 개의 산소공급기수납부(55)의 바닥면에 각각 자석(81a, 81b, 81c)을 부착함으로써, 휴대용 소화용구와 산소공급기의 수납상태를 자석(81a, 81b, 81c)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피난로프수납부(56)에 고정끈(82a, 82b)을 마련함으로써, 피난로프(71)의 수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휴대용 소화용구와 산소공급기가 비자성재질로 제작된 경우 자성재질의 접촉부재를 소화용구와 산소공급기의 자석(81a, 81b, 81c)과의 접촉영역에 양면테이프 등으로 부착하여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수납된 화재용품에 자기력이 작용하도록 수납부에 자석을 부착함으로써, 화재용품의 수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휴대용 화재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화재용품 보관함에 있어서,
    휴대용 화재용품에 형상 맞춤되고 보관된 화재용품과의 접촉영역에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화재용품수납부와 외부로부터 상기 화재용품수납부에 상기 각 화재용품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납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품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본체는 상기 수납개구부가 형성되는 상자형상의 외함과 상기 외함에 장착되고 상기 화재용품수납부가 형성되는 수납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품 보관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틀에는 고정끈을 갖는 피난로프수납부가 상기 수납개구부를 통해 접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품 보관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본체에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품 보관함.
KR20-2003-0036366U 2003-11-21 2003-11-21 화재용품 보관함 KR2003412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366U KR200341223Y1 (ko) 2003-11-21 2003-11-21 화재용품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366U KR200341223Y1 (ko) 2003-11-21 2003-11-21 화재용품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223Y1 true KR200341223Y1 (ko) 2004-02-11

Family

ID=49343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366U KR200341223Y1 (ko) 2003-11-21 2003-11-21 화재용품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2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57A (ko) 2016-12-07 2018-06-18 서윤재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
KR102579497B1 (ko) * 2023-03-10 2023-09-19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소방용 화재 감지 대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57A (ko) 2016-12-07 2018-06-18 서윤재 화재방호용품을 제공하기 위한 계단 손잡이
KR102579497B1 (ko) * 2023-03-10 2023-09-19 주식회사 목양종합건축사사무소 소방용 화재 감지 대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676B1 (ko) 소방호스 걸이대
US6047573A (en) Telephone lock box
KR200341223Y1 (ko) 화재용품 보관함
JP2009273689A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JP3641777B2 (ja) 消火栓装置
JP2010119643A (ja) 消火栓装置
JP3674411B2 (ja) 消火栓装置
KR200338205Y1 (ko) 화재용품 보관함
JP5718110B2 (ja) パッケージ型消火装置
JP2006523111A (ja) 緊急装備のための収納デバイス
JP2003070930A (ja) 消火設備
KR102111511B1 (ko) 소화기가 구비된 대중교통 안전 손잡이 조립체
JP3215058U (ja) 消火器運搬用リュックサック
KR100658830B1 (ko) 소화 장치가 장착된 쓰레기통
JP2018143685A (ja) パッケージ型消火装置
JP3211612U (ja) 消火装置
JP3893537B2 (ja) 消火器収容ユニット
JP2006271696A (ja) 消火栓装置
KR200402975Y1 (ko)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
CN211245290U (zh) 一种消防灭火器用的存储柜
CN219208846U (zh) 一种消防用消防栓箱
JPH0521972U (ja) 駐車場用消火設備の格納箱
JP4054883B2 (ja) 消火器
LU103120B1 (en) Portable fire extinguisher
CN217645716U (zh) 一种灭火救援装置放置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