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975Y1 -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 - Google Patents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975Y1
KR200402975Y1 KR20-2005-0025982U KR20050025982U KR200402975Y1 KR 200402975 Y1 KR200402975 Y1 KR 200402975Y1 KR 20050025982 U KR20050025982 U KR 20050025982U KR 200402975 Y1 KR200402975 Y1 KR 200402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pin
fire
fire extinguisher
pin
extingui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연
Original Assignee
박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연 filed Critical 박지연
Priority to KR20-2005-0025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9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9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로 급한 상황의 화재 발생시 소화기를 비치장소에서 이동할 때 자동으로 안전핀이 탈락되게 하여 보다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손잡이(12)의 작동 단속용 안전핀(13)을 구비하며, 이 손잡이(12)를 누르는 것에 의해 용기체(11) 내부의 약제가 분사호스(15)를 통해 분출되는 소화기(10)와;
이 소화기(10)를 받침판(21)에 받쳐지게 하는 거치대(20)와;
상기 거치대(2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안전핀(13)의 고리(14)를 걸어지게 하는 핀단속부재(30)가 구비되는 구성된다.

Description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Extinguisher Have Automatically Removal Structure of Safety Pin }
본 고안은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로 급한 상황의 화재 발생시 소화기를 비치장소에서 이동할 때 자동으로 안전핀이 탈락되게 하여 보다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주로 대형 건물들에는 소화기가 각층마다 일정간격을 두고 의무적으로 여러대 비치하고 있다.
또, 이용객이 많은 철도나 지하철 등에서도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기를 비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화기는 도 1에서와 같이 별도의 거치대에 받쳐진 상태로 얹혀지게 되는데, 철도나 지하철과 같이 진동이나 충격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용도에는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밴드를 이용해 거치대와 고정시키게 하고, 필요시 고정밴드를 이완시켜 소화기를 소화장소로 이동한 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소화기 구조는 소화약제가 내부에 채워지는 용기본체와, 손잡이를 누르는 것에 의해 약제가 분사호스를 통해 분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어린이 등이 화재진압이 아닌 장난, 또는 취급 잘못으로 인해 본의 아니게 약제가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잡이부에는 안전핀을 꼽아두고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에는 반드시 이 안전핀을 먼저 뽑고 분사용 손잡이를 손으로 잡고 누르는 것에 의해 약제가 분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소화기 구조에 의하면 매우 급한 응급상황에서 소화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안전핀을 일일이 제거해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안전핀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한 사용자는 물론, 안전핀 제거에 대한 상식이 있는 자라 하더라도 급한 마음에 서둘러서 제대로 핀을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 안전핀을 제거할 때 필요한 시간 경과로 인해 초기 화재진압이 불가능해 큰 화재사고를 입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시 소화기를 거치대에서 이동하는 순간 자동으로 안전핀이 제거되어 보다 신속한 초기 화재 진압이 가능하게 한 소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12)의 작동 단속용 안전핀(13)을 구비하며, 이 손잡이(12)를 누르는 것에 의해 용기체(11) 내부의 약제가 분사호스(15)를 통해 분출되는 소화기(10)와;
이 소화기(10)를 받침판(21)에 받쳐지게 하는 거치대(20)와;
상기 거치대(2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안전핀(13)의 고리(14)를 걸어지게 하는 핀단속부재(30)가 구비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소화기(10)가 거치대(20)에 보관된 상태에서는 안전핀(13)이 꼽혀져 있게 되며, 화재 발생시 소화기(10)를 거치대(20)로부터 분리시키는 순간 자동으로 핀단속부재(30)에 의해 안전핀(13)이 분해되어 화재위치에서 바로 불필요한 동작없이 약제를 분사하여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제품의 신뢰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소화기가 거치대로부터 분해시킬 때 안전핀(13)이 제거되는 상태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소화기(10)가 거치대(20)에 설치된 상태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도 3은 평면도로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소화기(10)가 거치대(20)로부터 이탈될 때 핀단속부재(30)에 걸려진 안전핀(13)이 자동 탈락되는 구조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소화기(10)는 용기체(11)의 내부로 화염에 접촉되었을 때 화학적으로 산소를 차단하거나 하는 방법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통상의 약제가 채워져 있고, 이 약제의 분사 여부를 손잡이(12)가 수행하게 된다.
손잡이(12)에는 작동 단속용 안전핀(13)이 꼽혀져, 이 안전핀(13)이 꼽혀진 상태에서는 손잡이(12) 작동이 불가능하게 하여 유아들 장난 내지 취급 부주의로 약제가 본의 아니게 분사호스(15)를 통해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소화기(10)는 대형 건물 내지 기차 등과 같은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교통수단 등에는 별도의 거치대(20)를 비치하여, 이 거치대(20)에 받쳐지게 한다.
즉, 거치대(20)는 건물의 경우 벽면에 부착되고, 예로서 철도차량의 경우 차량 내부 벽면에 받침판(21)가 대략 하부에서 직각되게 위치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고, 받침판(21)에 소화기(10)가 받쳐져서 설치되게 하는 것이다.
안전핀(13)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충분히 끼워 들어갈 수 있는 고리(14)가 일체로 성형되는데, 상기 거치대(20)에는 이 안전핀(13)의 고리(14)를 걸어지게 하는 핀단속부재(30)가 구비된다.
따라서, 거치대(20)에 대략 「형으로 고정 부착된 핀단속부재(30)가 안전핀(13)의 고리에 끼워 걸어진 상태에서 소화기(10)가 보관되고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평상시에는 손잡이(12)를 가동시킬 수 없는 안전장치 역할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화재가 발생되어 소화기(10)를 이용하고자 할 때 소화기(10)를 들고 거치대(20)로부터 분리시키는 순간, 핀단속부재(30)가 안전핀(13)의 고리(14)에 걸어져 있으므로 안전핀(13)이 바로 뽑혀서 소화기(10)에서 분해되는 것이다.
이때, 안전핀(13)이 분실될 염려가 있으므로 핀단속부재(30)와 고리(14) 사이를 별도의 연결끈(31)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안전핀(13)이 자동 분리된 상태의 소화기(10)를 화재가 발생한 장소로 이동한 후 손잡이(12)를 가압하여 가동시키게 되면 용기체(11)내의 약제가 바로 분사호스(15)의 출구를 통해 분출되어 화재진압을 초기에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화재 진화를 마친 후에는 초기상태로 안전핀(13)을 소화기(10)의 정위치에 꼽고 고리(14)에 핀단속부재(30)가 걸어진 상태로 설치하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화재 발생시 소화기(10)를 거치대(20)로부터 분리시키는 순간 자동으로 핀단속부재(30)에 의해 안전핀(13)이 분해된다.
따라서, 화재위치에서 일일이 안전핀(13)을 분해하는 등의 불필요한 동작 없이 신속하게 약제를 분사하여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 안전핀(13) 제거를 해야 소화기(10)가 작동되는 지의 여부를 잘 모르거나, 급한 맘으로 작동 순서를 망각하는 등 취급 부족으로 인한 소화기(10)의 사용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증대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소화기가 거치대로부터 분해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소화기가 거치대로부터 이탈될 때 안전핀이 탈락되는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소화기 11 - 용기체
12 - 손잡이 13 - 안전핀
20 - 거치대 30 - 핀단속부재

Claims (2)

  1. 손잡이(12)의 작동 단속용 안전핀(13)을 구비하며, 이 손잡이(12)를 누르는 것에 의해 용기체(11) 내부의 약제가 분사호스(15)를 통해 분출되는 소화기(10)와;
    이 소화기(10)를 받침판(21)에 받쳐지게 하는 거치대(20)와;
    상기 거치대(2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안전핀(13)의 고리(14)를 걸어지게 하는 핀단속부재(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핀단속부재(30)와 고리(14)는 연결끈(31)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
KR20-2005-0025982U 2005-09-08 2005-09-08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 KR200402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82U KR200402975Y1 (ko) 2005-09-08 2005-09-08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982U KR200402975Y1 (ko) 2005-09-08 2005-09-08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975Y1 true KR200402975Y1 (ko) 2005-12-08

Family

ID=43703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982U KR200402975Y1 (ko) 2005-09-08 2005-09-08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9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92743A (zh) * 2023-04-13 2023-07-07 江苏东源电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性能高的集装箱储能电站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92743A (zh) * 2023-04-13 2023-07-07 江苏东源电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性能高的集装箱储能电站
CN116392743B (zh) * 2023-04-13 2023-10-31 江苏东源电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性能高的集装箱储能电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062B1 (ko) 위치 알림 소화기
US20140069827A1 (en) Elevator emergency box
KR200402975Y1 (ko) 안전핀 자동탈락구조를 갖는 소화기
KR200402976Y1 (ko) 거치대 자동 분리구조를 갖는 소화기
US20100147540A1 (en) Jetting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gas and disaster warning system
KR102115151B1 (ko) 콕밸브가 구비된 소화기
EP3448531B1 (en) Housing device for hoses of fire extinguishers and/or fire hydrants
KR102115414B1 (ko) 안전핀이 필요없는 소화기
CN210278021U (zh) 一种消防报警救援系统
JP2019037690A (ja) 消火器箱
KR20200099289A (ko) 안전핀 파지(把持) 없는 소화기 m
KR100704893B1 (ko) 오발 방지용 안전 소화기
JP2005185807A (ja) 消火器
JP2002291928A (ja) 消火栓装置
LU103120B1 (en) Portable fire extinguisher
KR20220014249A (ko) 투척식 소화기
WO2020076167A1 (en) A fire extinguisher attachment
CN202143758U (zh) 一种消防安全逃生包
KR102108639B1 (ko) 원웨이 락킹구조를 갖는 소방호스 리프팅용 걸이구
JPH0420355A (ja) 音声発生器付消火器
JP2018068343A (ja) 消火栓装置
CZ35999U1 (cs) Přenosný hasicí přístroj
KR20160085540A (ko) 화재 알림 및 탈출구 안내시스템을 갖춘 2단 분리 가로형 소화기
KR200440395Y1 (ko) 소방용 산소호흡기 고정 및 이탈장치
KR102208905B1 (ko) 안전핀 제거가 용이한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