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166Y1 - 혀 운동 촉진 기구 - Google Patents
혀 운동 촉진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41166Y1 KR200341166Y1 KR20-2003-0035219U KR20030035219U KR200341166Y1 KR 200341166 Y1 KR200341166 Y1 KR 200341166Y1 KR 20030035219 U KR20030035219 U KR 20030035219U KR 200341166 Y1 KR200341166 Y1 KR 20034116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ue
- speech
- present
- subject
- languag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4—Devices for conversing with the deaf-bli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혀 운동 촉진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언어 및 청각 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치아 윗니 부분에 몸체를 끼워지게 형성하므로 인하여 착용자는 자연스럽게 이질감을 느끼게 되면서 상기 몸체 외측 커버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와 걸림홈에 혀를 마찰시키는 운동 작용을 반복시키므로 인하여 혀 운동을 보다 단계적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청각 장애 대상자들의 발성시 조음점 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혀운동 촉진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언어 및 청각 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치아 윗니 부분에 몸체를 끼워지게 형성하므로 인하여 착용자는 자연스럽게 이질감을 느끼게 되면서 상기 몸체 외측 커버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와 걸림홈에 혀를 마찰시키는 운동 작용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혀 운동 촉진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어장애의 유형에는 크게 언어장애(language disorders)와 말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언어장애에는 언어발달 지체(language developmental delay language devient) 단순언어장애(specific language impairment) 실어증(aphasia)이 있고 말장애에는 조음 및 음운장애(phonolngical disorder) 유창성장애(fluency disorder) 음성장애(voice disorder)로 그 유형이 나누어진다.
그리고, 언어발달 지체와 언어발달 이상을 나누어 설명하면, 언어발달 지체를 가진 아동은 자기 나이 보다 어린 아동에게서 보여지는 상징 체계를 보인다.
즉, 생활연령이 같은 아동에 비하여 덜 발달된 또는 늦은 언어 양상을 보이는 것이다.
또한, 조음, 음운 장애는 잘못된 발음이 일정 조음 발달 시기가 지났는데도 계속되어 의사소통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이며, 발달성 조음장애가 있고 마비성 조음장애가 있으며 정확한 진단에 따라 예후와 치료 방향을 다르게 설정하게 된다.
상기 조음 오류는 생략, 대치, 왜곡과 첨가를 들 수 있으며 그 원인에 따라 다른 의료적인 팀과 연계하여 치료를 요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말더듬(stuttering)이라고 하는 유창성장애는 2-7세에 주로 시작되는데 언어발달기에 말을 더듬는 정상적 비유창성과 문제가 되는 유창성장애와의 구별이 필요하며, 4-5세가 지나서도 계속적으로 더듬는다면 이것이 만성적으로 지속되지 않는지 그 문제를 확인하고 반복적인 교육을 통하여 바로잡아야 한다.
그러나, 구개열, 구음장애와 같은 언어장애의 경우 교육 및 반복적인 언어학습에 의해 바로 잡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으나, 현실적으로 그 장애를 바로잡을 수 있는 혀운동 장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언어 장애 및 청각 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치아 윗니 부분에 몸체를 끼워지게 형성하므로 인하여 착용자는 자연스럽게 이질감을 느끼게 되면서 몸체 외측 커버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의 걸림홈에 혀를 마찰시키는 운동작용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는 혀운동 촉진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몸체는 언어 및 청각 장애 대상자의 치아 윗니 부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끼워지는 물림홈과; 상기 몸체 내외측은 대상자의 혀부분이 마찰되면서 부딪히게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부재 내지 걸림부재를 구성하여 착용자가 이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혀운동 촉진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
도 2의(a)(b)(c)(d)(e)는 본 고안을 또 다른 형태로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의(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도 4의(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배면도
도 5의(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측면도
도 6의(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물림 홈
12. 돌기부재 13. 걸림부재
14. 외측 커버 15. 내측 커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의(a)(b)(c)(d)(e)는 본 고안을 또 다른 형태로 도시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의 (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의 (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5의 (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6의 (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형성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 고안은 언어 및 청각 장애가 있는 대상자의 윗니 부분에 몸체(10)를 끼우게 되며, 이때 상기 몸체(10) 일측에는 윗니 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물림 홈(11)이 형성된다.
상기 물림 홈(11)의 경우는 언어 장애 대상자의 윗니 모형을 인체에 무해한 연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원형대로 성형시키므로 대상자에게 알맞은 형태의 물림 홈(11)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몸체(1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잇몸의 상처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물림 홈(11)은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윗니 부분에 탈부착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사용자는 큰 불편함 없이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몸체(10)는 전체적으로 외측 커버(14)와 내측 커버(1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외측 커버(14)는 언어 및 청각 장애자의 입안 천장에 밀착되는 구조를 갖게 구성된다.
그리고, 내측 커버(15)의 표면은 다수개의 돌기부재(12) 내지 걸림부재(13)를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돌기부재(12)는 내측커버(15)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면서그 표면은 매끄럽게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걸림부재(13)의 경우는 외측커버(14)와 내측커버(15)를 관통하는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언어 장애자의 입안 천장은 상기 걸림부재(13)에 의해 소정의 공간을 갖는 홈의 형태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한편, 내측 커버(15) 표면에 형성된 돌기부재(12)와 걸림부재(13)는 상황에 따라 한개 내지 다수개로 형성시켜 언어 및 청각 장애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언어 장애자의 혀운동 지점을 미리 결정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재(12)와 걸림부재(13)의 사용 개수와 그 형태를 결정하게 되며, 또한 착용시간은 언어 장애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수시로 변화되는 것은 당연하다.
결과적으로, 윗니에 부착된 몸체(10)에 의해 언어 장애 대상자는 자연스럽게 이 질감을 느끼게 되면서 혀 부분을 내측 커버(15)에 형성된 돌기부재(12)와 걸림부재(13) 부분에 마찰 내지 부딪히는 상황을 반복적으로 유발하게 되면서 혀 부분을 자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과 같이 언어 및 청각 장애 대상자의 윗니 형태에 따라 몸체(10)를 형성시키게 되며, 이때 몸체(10) 내측 커버(15) 표면에는 돌기부재(12) 내지 걸림부재(13)를 일체로 성형시키게 된다.
그리고, 돌기부재(12) 및 걸림부재(13)의 성형 숫자는 다양하게 형성시키게되는데, 이는 단계적으로 혀운동을 진행시키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최초 언어장애 대상자의 혀 운동을 시키는 경우에는 한개의 돌기부재(12) 및 걸림부재(13)로 이루어진 몸체(10)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소정의 운동 시간을 마친 상태에서는 두개 내지 세개로 이루어진 돌기부재(12) 및 걸림부재(13)가 형성된 몸체(10)를 단계적으로 사용하여 혀 운동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몸체(10)는 언어 및 청각 장애 대상자의 윗니와 연결된 입 천장에 부착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며, 이때 대상자는 몸체(10)에 의해 이 질감을 자연스럽게 느끼게 된다.
이때, 언어장애 대상자의 혀 부분은 돌기부재(12) 및 걸림부재(13) 부분으로 움직이면서 마찰과 함께 부딪치는 자극운동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를 윗니에서 분리시키는 경우는 보호자나 본인이 입속이 고정된 몸체(10)를 간단히 분리하거나, 아니면 다음 단계의 몸체(10)를 윗니에 고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언어장애 대상자를 상대로 체계적인 혀의 운동을 촉진시킬 수 있어 언어장애자의 재활을 적극적으로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청각 장애 학생들의 발성시 조음점 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언어장애 및 청각장애 대상자의 윗니 형태로 몸체를 형성시킴으로 인하여 탈부착이 용이하면서 혀 운동을 보다 단계적으로 할 수 있음과 함께 청각 장애 대상자들의 발성시 조음점 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돌기부재와 걸림부재를 여러 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몸체를 형성시키는 방법에 있어서는 인체에 무해한 연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므로 인하여 잇몸의 상처는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언어장애 대상자들이 사용하는 혀 운동 몸체 기구에 있어서,상기 몸체는 언어 및 청각 장애 대상자의 치아 윗니 부분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끼워지는 물림홈과; 상기 몸체 내외측으로는 대상자의 혀 부분이 마찰되면서 부딪치게 형성되는 다수의 돌기부재 내지 걸림부재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촉진기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 내측 표면에 한개 내지 다수개로 형성된 돌기부재는 몸체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촉진 기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몸체 외측 표면에 한개 내지 다수개로 형성된 걸림부재는 몸체 내외측 표면을 관통하여 홈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촉진 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5219U KR200341166Y1 (ko) | 2003-11-11 | 2003-11-11 | 혀 운동 촉진 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35219U KR200341166Y1 (ko) | 2003-11-11 | 2003-11-11 | 혀 운동 촉진 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41166Y1 true KR200341166Y1 (ko) | 2004-02-11 |
Family
ID=4942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35219U KR200341166Y1 (ko) | 2003-11-11 | 2003-11-11 | 혀 운동 촉진 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41166Y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7120B1 (ko) | 2010-04-30 | 2011-10-26 | (주)미래세움 | 맛 감지 학습장치 |
KR101549890B1 (ko) | 2014-05-15 | 2015-09-03 | (주)애니덴 | 발음 교정 기구 |
CN106420149A (zh) * | 2016-11-28 | 2017-02-22 | 天津健康家园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子口吃矫正器 |
CN106618840A (zh) * | 2016-11-30 | 2017-05-10 | 天津健康家园科技有限公司 | 一种声控口吃矫正器 |
CN112309221A (zh) * | 2020-10-30 | 2021-02-02 | 渤海大学 | 一种英语发音可以展示细节的口语训练方法及装置 |
KR102297772B1 (ko) | 2021-01-05 | 2021-09-03 | (주)예스바이오 |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
WO2022071778A1 (ko) * | 2020-09-29 | 2022-04-07 | 엘티프로(주) |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
KR20220158377A (ko) | 2021-05-24 | 2022-12-01 | (주)예스바이오 |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
-
2003
- 2003-11-11 KR KR20-2003-0035219U patent/KR20034116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7120B1 (ko) | 2010-04-30 | 2011-10-26 | (주)미래세움 | 맛 감지 학습장치 |
KR101549890B1 (ko) | 2014-05-15 | 2015-09-03 | (주)애니덴 | 발음 교정 기구 |
CN106420149A (zh) * | 2016-11-28 | 2017-02-22 | 天津健康家园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子口吃矫正器 |
CN106618840A (zh) * | 2016-11-30 | 2017-05-10 | 天津健康家园科技有限公司 | 一种声控口吃矫正器 |
WO2022071778A1 (ko) * | 2020-09-29 | 2022-04-07 | 엘티프로(주) |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
CN112309221A (zh) * | 2020-10-30 | 2021-02-02 | 渤海大学 | 一种英语发音可以展示细节的口语训练方法及装置 |
KR102297772B1 (ko) | 2021-01-05 | 2021-09-03 | (주)예스바이오 |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
KR20220158377A (ko) | 2021-05-24 | 2022-12-01 | (주)예스바이오 |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
KR102559713B1 (ko) * | 2021-05-24 | 2023-08-24 | (주)예스바이오 |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163724B (zh) | 口腔训练器具 | |
KR101200138B1 (ko) | 구순 폐쇄구 | |
US6164278A (en) | Taste-based approach to the prevention of teeth clenching and grinding | |
Pillsbury | The psychology of language | |
KR102119019B1 (ko) | 손목 착용용 치아발육기 | |
JP2010538720A (ja) | 顔及び口の筋肉刺激器 | |
KR200341166Y1 (ko) | 혀 운동 촉진 기구 | |
KR20180125848A (ko) |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 |
Levin | Babbling in infants with cerebral palsy | |
US3295519A (en) | Mouth exerciser | |
DE19831741C1 (de) | Vorrichtung zum Trainieren der orofazialen Muskulatur | |
Harrington et al. | The relation of oral-mechanism malfunction to dental and speech development | |
US5662477A (en) | Demonstrative puppet for phonetic training of persons having speech and/or hearing disorders | |
CN210170424U (zh) | 放置于口腔内部的抽动障碍治疗器 | |
KR101549890B1 (ko) | 발음 교정 기구 | |
KR100577534B1 (ko) | 영어발음 교정기구 | |
KR100530639B1 (ko) | 영어 발음 교정기 | |
EA025646B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товой полости | |
Gratke | Speech problems of the cerebral palsied | |
KR101784588B1 (ko) | 발음교정기 | |
CN104758111B (zh) | 语言节律控制器 | |
WO2024080315A1 (ja) | マウスピース | |
JP2001178846A (ja) | 咀嚼筋強化装置 | |
RU2773363C2 (ru) | Внутриротовое трен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US2022020802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ral acclimation trai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