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848A -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 Google Patents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848A
KR20180125848A KR1020170060700A KR20170060700A KR20180125848A KR 20180125848 A KR20180125848 A KR 20180125848A KR 1020170060700 A KR1020170060700 A KR 1020170060700A KR 20170060700 A KR20170060700 A KR 20170060700A KR 20180125848 A KR20180125848 A KR 20180125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teeth
pedal
upper dental
se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965B1 (ko
Inventor
함종욱
Original Assignee
함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종욱 filed Critical 함종욱
Priority to KR102017006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2005/563Anti-bruxis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치열이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가 형성된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내부의 중앙에 입천장주름과 대응되게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서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형성되고,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도록 형성된 혀 운동 페달부와;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의 하면에 형성된 돌기부를 구성함으로서, 상,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되는 이갈이(또는 이악물기) 습관의 교정은 물론, 발음교정, 호흡개선, 및 저작근통증과 턱관절통증을 완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Upper dental appliance having a tongue-exercising pedal}
본 발명은 혀의 승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혀 운동 페달부 및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의 접촉을 방지하기위한 돌기부를 구비한 상악치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혀의 선단부가 상기 혀 운동 페달부의 선단부 하측에 형성된 돌출받침턱에 맞닿아 함께 상,하 승강운동을 하도록하고 또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의 하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이갈이(또는 이악물기) 습관의교정, 발음교정, 호흡개선, 및 저작근통증과 턱관절통증을 완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갈이란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는 사람이 수면중에 턱을 비틀어 윗니와 아랫니를 맞대고 치아끼리 갈아대는 행위를 말한다.
또한, 이갈이는 이악물기, 잘못된 혀의 위치, 구강호흡(입으로 숨을 쉬는 것)에 의해 발생된다.
이러한 이갈이는 코골이와 마찬가지로 불쾌한 소리를 유발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고통을 줄뿐만 아니라, 본인에게도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갈이는 그 소리로 인해 주위 사람들의 수면을 방해하고 정신적인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갈이가 반복적으로 진행되게 되면 턱을 움직이는 근육들이 반복적으로 비정상적인 힘을 많이 받게 되고, 이로 인해 근육에 묵직하고 뻣뻣한 느낌이나 통증이 발생 될 수 있고, 이갈이로 인해 턱이 뒤로 이동하여 최후방 치아만 닳아 없어지고 앞니가 달아지지 않는 개방교합으로 인한 턱교정수술 및 교정치료를 하거나 하악을 견인하는 장치를 이용해서 턱의 위치를 되돌리는 치료가 발생되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악치열에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0a)를 형성한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와,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의 외측둘레 일측 및 타측에 상기 하악치열이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상부외측 이탈방지턱(200a)과, 하악치열에 안착되도록 하부안착부(110b)을 형성한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와, 상기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의 내측둘레 일측 및 타측에 상기 상악치열이 내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하부 내측 이탈방지턱(200b)으로 구성되는 치과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갈이를 방지하는 치과장치는 상기 상부 외측 이탈방지턱(200a)을 갖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를 상악치열에 끼우고 상기 하부 내측 이탈방지턱(200b)를 갖는 상기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를 하악치열에 끼워야만 상,하악 치열이 맞닿지 않아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서, 이갈이를 방지하여 치아의 마모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하악치열에 상기 상부 외측 이탈방지턱(200a)을 갖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0a)와, 상기 하부 내측 이탈방지턱(200b)를 갖는 상기 하악치열 안착부재(100b)를 항상 상,하악치열에 끼우고 있어야 하는 불편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54234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악치열안착부재의 전방 하부중앙에 형성된 커버부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절개 형성되고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형성하여 혀의 선단부로 상기 혀 운동 페달부를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입천장 중앙에서 승강운동을 하도록 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또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의 하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되는 이갈이(또는 이악물기) 습관의 교정, 발음교정, 호흡개선, 및 저작근통증과 턱관절통증을 완화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는;
상악치열에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를 형성한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내부의 중앙에 입천장주름과 대응되게 형성된 커버부(20)와;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형성되고,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도록 형성된 혀 운동 페달부(3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25°35°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에는 혀의 선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 후방면에 돌출받침턱(40)이 돌출 형성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일측 하부면 또는 타측 하부면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 하면에 돌기부(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된 절개부위에 절개공(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전방 하부중앙에 형성된 커버부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절개 형성된 혀 운동 페달부에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 운동 페달부를 혀의 선단부로 승강운동 하여 혀를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입천장 중앙에서 승강운동을 하도록 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또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의 하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되는 이갈이(또는 이악물기)습관의 교정, 발음교정, 호흡개선, 및 저작근통증과 턱관절통증을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혀에 힘을 주어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혀 운동 페달부를 눌렀다 떼었다를 반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혀를 운동하는 느낌과 흥미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혀 훈련효과가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 및 돌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 돌출받침턱 및 돌기부를 보여주는 개략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이갈이방지 치과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 및 돌기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 돌출받침턱 및 돌기부를 보여주는 개략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 페달부 및 돌기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를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상악치과장치는 커버부(20)와, 혀 운동 페달부(30)와, 돌출받침턱(40)과, 돌기부(50)와, 절개공(60)이 형성된 상악치열 안착부재(10)로 구성된다.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상악치열이 안착되는 상부안착부(1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상악치열이 안착되도록 상악치열의 외측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안착부(11)는 상악치열의 외측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악치열이 상기 상부안착부(11)에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구성된다.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에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부(20)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내부의 중앙에 입천장주름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지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면에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된 절개부위에 절개공(60)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절개공(60)은 혀의 선단부의 승강으로 인해 승강되어지는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절개공(60)에 평평하게 삽입되게 승강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렇지만, 혀의 선단부로 승강운동할 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절개공(60)의 내부에 평평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하부 중앙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어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하부에서 하부로 25°35°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경사각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25°35°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만곡된 혀의 선단부를 상,하로 승강운동하기에 최적의 각도로서, 혀의 승강운동을 보다 편안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하부 중앙에서 하부로 내향지도록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커버부(20)의 하부 중앙에서 하부로 내향지게 형성되는 것은, 만곡된 혀의 선단부가 손쉽게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후방면에 맞닿아 혀의 선단부가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보다 손쉽게 상,하로 상하운동을 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에는 혀의 선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선단부에 돌출받침턱(40)이 돌출 형성돠어 있다.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선단부에 상기 돌출받침턱(40)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선단부에 만곡된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승강운동 시킬 때 만곡된 혀의 선단부가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선단부에서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돌출받침턱(40)에 만곡된 혀의 선단부가 안착되어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보다 손쉽게 승강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돌기부(50)는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일측 하부면 또는 타측 하부면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돌기부(50)를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면 일측 또는 타측중 어느 한부위에 형성하는 것은,
만약 돌기부(50)를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면의 좌,우 양측에 형성하게 되면 좌,우 양측의 돌기부(50)가 동시에 하악치열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어 불편감을 느끼지 못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한쪽 치아만 닿을 경우 불편감을 느끼게 되어 치아를 띄우는 훈련이 가능하므로 이갈이 습관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면과 하악치열의 상부면이 서로 접촉되어 발생되는 이갈이(또는 이악물기) 습관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하부면의 일측에만 상기 돌기부(50)를 형성하되 저작을 하지 않을 때에는 어금니를 기준으로 상기 돌기부(50)에 의하여 위아래 치아 사이를 1~3㎜ 정도 띄워지게 함으로서 이갈이(또는 이악물기)를 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취침전에 상악치열에 안착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면에 혀를 맞닿게 하여 취침하는 경우 이갈이를 방지하고 이갈이(또는 이악물기)로 인한 코골이 및 이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발음 또한 교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는 6개월이상 상악치열에 안착하고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혀로 상승운동하도록 사용하여 이갈이 습관을 교졍하므로서 이갈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에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 상기 돌출 받침턱(40), 및 상기 돌기부(50)를 형성하여서, 혀 선단부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상,하로 승강운동을 반복적으로 하게 함으로서, 즉 혀를 입천장에 대었다 떼었다를 반복하는 운동을 하게 되면 혀의 위치가 교정되고 발음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혀에 힘을 주어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혀 운동 페달부(30)를 눌렀다 떼었다를 반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혀를 운동하는 느낌과 흥미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혀 훈련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를 악무는 습관이 있는 사람이 수면 중에 턱을 비틀어 어금니의 마찰음을 내는 이악물기습관을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혀를 입천장의 구개음주름에 대면 혀가 아래로 처져 있을때 보다 전상방으로 이동하므로 기도가 넓어지게 되고 입으로 숨쉬는 구강호흡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성장기의 아동에서 구강호흡에 따른 비정상 골격변화를 예방하는 호흡개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올바른 혀의 승강운동으로 인한 구강내의 혀의 올바른 위치를 습득하고 구강내의 자유공간을 확보하면 저작근이 긴장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저작근 긴장에 따른 저작근통증을 완화시킬수 있다. 턱관절 환자의 85%는 실제로 근육통 이므로 근육긴장을 완화하는 것은 턱관절 치료에서 매우 중요하다.
상술하는 본 발명은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전방 하부중앙에 형성된 상기 커버부(20)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절개 형성되고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는 혀 운동 페달부(30)를 형성하여 혀의 선단부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를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입천정 중앙에서 승강운동을 하도록 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고 또 상악치열 안착부재의 일측 또는 타측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의 하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상악치열과 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하악치열이 서로 접촉하여 발생되는 이갈이(또는 이악물기) 습관의 교정, 발음교정, 호흡개선, 및 저작근통증과 턱관절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상악치열 안착부재 11: 상부안착부
20: 커버부 30: 혀 운동 페달부
40: 돌출받침턱 50: 돌기부
60: 절개공

Claims (5)

  1. 상악치열에 안착되도록 상부안착부(11)가 형성된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내부의 중앙에 입천장주름과 대응되게 형성된 커버부(20)와;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되어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만곡되어 내향되게 형성되고, 혀의 선단부가 맞닿아 혀의 선단부와 함께 상,하로 승강운동하도록 형성된 혀 운동 페달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는 상기 커버부(20)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25°35°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하부에는 혀의 선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의 선단부 하부에 돌출받침턱(40)이 돌출형성돠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치열 안착부재(10)의 일측 하부면 또는 타측 하부면의 어금니가 삽입되는 부위 하면에 돌기부(5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혀 운동 페달부(30)가 상기 커버부(20)에서 절개된 절개부위에 절개공(6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KR1020170060700A 2017-05-16 2017-05-16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KR102029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700A KR102029965B1 (ko) 2017-05-16 2017-05-16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700A KR102029965B1 (ko) 2017-05-16 2017-05-16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848A true KR20180125848A (ko) 2018-11-26
KR102029965B1 KR102029965B1 (ko) 2019-10-08

Family

ID=6460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700A KR102029965B1 (ko) 2017-05-16 2017-05-16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6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91B1 (ko) * 2018-10-23 2020-04-07 박동신 근기능 교정장치
KR20210103879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함바이오텍 혀 훈련 장치
KR20210103883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함바이오텍 치과용 혀 훈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82312B (zh) * 2020-08-19 2022-11-01 林易岳 包覆上顎齒的口腔內吞嚥輔具及其製造方法
KR102224372B1 (ko) 2020-09-29 2021-03-09 엘티프로(주)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KR102224373B1 (ko) 2020-09-29 2021-03-09 엘티프로(주)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029U (ja) * 2002-11-13 2003-05-30 明夫 佐藤 鼾防止用マウスピース
KR200428746Y1 (ko) * 2006-07-14 2006-10-16 김의철 코골이 방지구
KR20110122355A (ko) * 2010-05-04 2011-11-10 정상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KR101542349B1 (ko) 2013-07-30 2015-08-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029U (ja) * 2002-11-13 2003-05-30 明夫 佐藤 鼾防止用マウスピース
KR200428746Y1 (ko) * 2006-07-14 2006-10-16 김의철 코골이 방지구
KR20110122355A (ko) * 2010-05-04 2011-11-10 정상규 코골이 및 수면 무호흡 치료 기구
KR101542349B1 (ko) 2013-07-30 2015-08-0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391B1 (ko) * 2018-10-23 2020-04-07 박동신 근기능 교정장치
KR20210103879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함바이오텍 혀 훈련 장치
KR20210103883A (ko) * 2020-02-14 2021-08-24 주식회사 함바이오텍 치과용 혀 훈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965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73969C (en) An oral training appliance
KR20180125848A (ko)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AU2013205854B2 (en) An orthodontic appliance
JP2019103853A (ja) 下顎前突症のiii級の問題を解決するための口腔用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80042759A1 (en) Pre-programmed anterior guidance package, kit, and method
US20060078840A1 (en) Dental orthotic for management of impaired oral functions
US20060110698A1 (en) Dental orthotic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impaired oral functions and resultant indications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MX2008013273A (es) Aparato, sistema y método para corregir hábitos de una cavidad oral.
JP6941601B2 (ja) 歯−頭蓋骨−顔面機器のための歯列矯正用弾性調整装置
US2023038101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mouth and jaw disorders
KR100596129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장치
CN210095946U (zh) 多功能隐形矫治器
KR101922091B1 (ko) 이갈이 습관교정을 위한 혀삽입 하우징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US11660166B2 (en) Method and device to increase blood circulation and to encourage tooth eruption and muscle efficiency of a dental patient
JP6120780B2 (ja) 口腔装置
KR102559713B1 (ko)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JP3193717U (ja) Tch防止具
CN116209412A (zh) 下颌骨调整装置
AU2015100651A4 (en) An orthodontic appliance
JP2014147623A (ja) 呼吸矯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