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373B1 -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373B1
KR102224373B1 KR1020200126680A KR20200126680A KR102224373B1 KR 102224373 B1 KR102224373 B1 KR 102224373B1 KR 1020200126680 A KR1020200126680 A KR 1020200126680A KR 20200126680 A KR20200126680 A KR 20200126680A KR 102224373 B1 KR102224373 B1 KR 10222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exercise
tongue
protrus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윤화
Original Assignee
엘티프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티프로(주) filed Critical 엘티프로(주)
Priority to KR1020200126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골이 예방을 위해 혀 운동을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혀 운동을 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혀 운동기구로서,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좌측 손잡이 및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우측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사용자의 입 안으로 들어가 사용자가 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우측 손잡이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TONGUE-EXERCISING DEVICE FOR OR PREVENTING OF SNORING}
본 발명은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골이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자가 간단하게 손으로 잡고 일부분을 입 안에 넣어 혀 근육을 단련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건강에 악영향을 준다. 특히 코를 고는 사람 중에는 한동안 숨을 안 쉬는 수면무호흡증이 동반되는 사람이 많다. 코골이가 있으면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기 때문에 신체에 필요한 산소량이 부족해진다. 이 때문에 뇌의 압력(뇌압), 혈압, 중심정맥압이 높아지고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증, 뇌졸중, 치매, 당뇨병, 녹내장 같은 합병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코골이 때문에 수술이 필요한 사람은 약 15%에 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코골이의 원인으로서 수술이 필요한 목젖이나 코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15% 정도이기 때문이다. 목젖이 기도를 막아 코골이를 일으키면 처진 목젖 부위를 떼어내거나 팽팽하게 만들어 주는 수술을 하여 코골이를 예방할 수 있다. 그런데 코골이는 목젖뿐만 아니라 혀, 비만, 얼굴 구조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목젖 부위 조직만 제거하는 수술로는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코골이 원인은 혀가 기도를 막는 것이 대부분이다. 잘 때 누우면 중력에 의해 혀가 기도 쪽으로 밀려서 기도가 좁아져 코골이가 발생하게 된다. 혀 근육이 약해지면 코골이의 발생 위험은 더욱 높아진다. 혀 근육은 나이가 들면 약해지므로 나이가 든 사람들에게서 코골이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 혀와 입을 움직이는 운동만으로도 코골이를 완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혀와 입의 운동을 한 뒤 코골이 증상이 개선되는 것은 코골이를 유발하는 부위의 조직이 강화됐기 때문이다.
코골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려면 꾸준한 운동이 필요하다. 그런데 현재 코골이 예방을 위한 혀 운동을 보조해 줄 수 있는 실용적인 장치가 없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2029965호 (2019. 10. 08.)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코골이 예방을 위해 혀 운동을 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혀 운동을 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혀 운동기구로서,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좌측 손잡이 및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우측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사용자의 입 안으로 들어가 사용자가 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우측 손잡이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중간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손잡이의 끝단에는 좌측 손잡이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 손잡이의 끝단에는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에 대응하는 우측 손잡이 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우측 손잡이는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 나사부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 나사부 간의 조임량에 따라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운동 보조부 사이의 마찰력 또는 상기 우측 손잡이와 상기 운동 보조부 사이의 마찰력이 변하여 상기 운동 보조부의 회전부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관통홀 속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테이터부가 마련되고,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 나사부 간의 조임량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운동 보조부에 관통홀 속으로 삽입되는 삽입 깊이가 조절되어 상기 운동 보조부와 상기 테이퍼부 사이의 마찰력이 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운동 보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운동 보조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디텐트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디텐트홈에 삽입될 수 있는 디텐트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 나사부 간의 조임량에 따라 상기 디텐트돌기가 상기 디텐트홈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깊이가 변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운동 보조부 사이의 마찰력이 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운동 보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에 접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는 마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 나사부 간의 조임량에 따라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운동 보조부에 접하는 접촉 압력이 변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운동 보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운동 보조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환형의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운동 보조부 바디와, 상기 운동 보조부 바디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운동 보조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운동 보조부 바디와, 상기 운동 보조부 바디에 형성되는 복수의 운동 보조부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체에 연결되는 돌출부 바디와, 상기 돌출부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윙 바디와, 상기 돌출부 바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윙 바디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돌출부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윙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사용자의 혀에 의해 굽힘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보강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바디와, 사용자의 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는 만곡부와, 사용자의 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 바디의 끝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조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바디와, 사용자의 혀에 접하여 사용자의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스크래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이퍼는 중앙 부분이 양쪽 가장자리보다 사용자의 입 안에 깊이 위치할 수 있도록 아치형으로 굽은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운동 보조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의 치아 끝단이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맞물림홈은 복수 개가 상기 좌측 손잡이 및 상기 우측 손잡이 각각에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기구는, 상기 운동 보조부가 사용자의 혀에 의해 가압 또는 움직인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기구는, 상기 카운팅부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정보를 사용자의 개인단말기에 송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기구는, 상기 카운팅부의 측정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혀 근육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도록 혀 운동을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혀 근육이 힘이 없이 늘어져 기도를 막음으로써 발생하는 코골이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기구는 혀 운동을 하면서 혀에 부착된 설태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기구는 구조가 단순하고, 관리가 용이하며, 사용자가 간단하게 손으로 잡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의 운동 보조부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의 사용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22는 혀 운동기구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의 일부분을 절단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운동기구(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10)와, 손잡이부(110)의 중간에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혀 운동기구(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간단히 잡고서 혀 근육을 단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운동기구(100)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혀 근육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있고, 혀 근육이 힘이 없이 늘어져 기도를 막음으로써 발생하는 코골이를 예방할 수 있다.
손잡이부(110)는 사용자가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운동 보조부(14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손잡이(112)와,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운동 보조부(14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손잡이(122)를 포함한다.
좌측 손잡이(112)는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좌측 탄성바(113)와, 좌측 탄성바(113)의 일단에 구비되는 좌측 그립(120)을 포함한다. 좌측 그립(12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한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측 탄성바(113)는 대략적으로 원형 막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좌측 탄성바(113)는 좌측 연결바(114)와, 좌측 연결바(114)의 외면을 감싸는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를 포함한다. 좌측 탄성바(113)의 타단에는 수나사산이 구비된 좌측 손잡이 나사부(115)가 배치된다.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에는 사용자의 상부 치아(20) 끝단이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맞물림홈(118)이 구비된다. 복수의 맞물림홈(118)은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차례로 이격 배치된다.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는 원형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맞물림홈(118)은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마련된다.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의 형상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맞물림홈(118)은 도시된 것과 같은 환형 이외에, 사용자의 치아(20) 끝단이 삽입 또는 맞물릴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의 길이, 맞물림홈(118)의 깊이, 맞물림홈들(118) 사이의 간격도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에 구비되는 맞물림홈(118)의 개수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수로 변경될 수 있다.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는 사용자의 치아(20)가 닿는 부분이므로, 치아(20)에 통증을 유발하거나, 치아(20)를 손상시키지 않고, 치아(20)에 의해 눌리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일예로,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는 위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는 좌측 연결바(114)와 이종의 소재로 이루어거나 동일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와 좌측 연결바(114)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우측 손잡이(122)는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우측 탄성바(123)와, 우측 탄성바(123)의 일단에 구비되는 우측 그립(130)을 포함한다. 우측 그립(130)은 좌측 그립(120)과 같은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측 탄성바(123)는 대략적으로 원형 막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우측 탄성바(123)는 우측 연결바(124)와, 우측 연결바(124)의 외면을 감싸는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를 포함한다. 우측 탄성바(123)의 타단에는 좌측 손잡이 나사부(115)와 맞물릴 수 있도록 암나사산이 구비된 우측 손잡이 나사부(125)가 배치된다.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에는 사용자의 상부 치아(20) 끝단이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맞물림홈(118)이 구비된다.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는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의 맞물림홈들(118)은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의 맞물림홈들(118)과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좌측 손잡이(112)와 우측 손잡이(122)는 좌측 손잡이 나사부(115)와 우측 손잡이 나사부(125)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좌측 손잡이(112)와 우측 손잡이(122)는 분리 가능하다. 그리고 좌측 손잡이 나사부(115)와 우측 손잡이 나사부(125) 간의 조임량에 따라 손잡이부(110)의 전체적인 길이가 다소 변할 수 있다.
운동 보조부(140)는 좌측 손잡이(112)와 우측 손잡이(122)가 연결되는 부분에 손잡이부(110)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운동 보조부(140)는 손잡이부(110)에 결합되는 운동 보조부 바디(141)와, 운동 보조부 바디(141)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운동 보조부 돌기(144)를 포함한다. 운동 보조부 바디(141)는 양쪽 단부가 절단된 타원형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운동 보조부 바디(141)에는 관통홀(142)이 운동 보조부 바디(141)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운동 보조부 바디(141)는 관통홀(142)에 손잡이부(11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손잡이부(11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운동 보조부(140)는 사용자의 입 안으로 들어가 사용자가 혀(10)가 접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혀(10)를 운동 보조부(140)에 대고 입의 바깥 쪽 방향으로 밀거나, 혀(10)로 운동 보조부(140)를 회전시키면서 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운동 보조부 바디(141)의 외면에 복수의 운동 보조부 돌기(144)가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혀(10)가 운동 보조부 바디(141)의 표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운동 보조부 바디(141)를 가압할 수 있다.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부하는 조절 가능하다. 즉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부하는 좌측 손잡이 나사부(115)와 우측 손잡이 나사부(125) 간의 조임량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좌측 손잡이 나사부(115)와 우측 손잡이 나사부(125) 간의 조임량을 변화시키면 손잡이부(110)와 운동 보조부(140) 사이의 마찰력이 변화됨으로써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부하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운동 보조부(140)의 양측 단부를 좌측 손잡이(112)의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 및 우측 손잡이(122)의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와 이격시키면 손잡이부(110)와 운동 보조부(140) 사이에서 마찰력이 작게 발생하여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부하가 작다. 이때, 사용자는 혀(10)로 운동 보조부(14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손잡이 나사부(115)와 우측 손잡이 나사부(125) 간의 조임량을 증가시켜 운동 보조부(140)의 양측 단부를 좌측 손잡이(112)의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 및 우측 손잡이(122)의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와 접촉시키면 손잡이부(110)와 운동 보조부(140) 사이에서 마찰력이 커진다. 이때,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부하가 커지므로 사용자는 혀(10)에 더 많은 힘을 주어 운동 보조부(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손잡이 나사부(115)와 우측 손잡이 나사부(125) 간의 조임량이 증가하여 운동 보조부(140)의 양측 단부가 좌측 손잡이(112)의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 및 우측 손잡이(122)의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와 접촉하는 접촉 압력이 커짐에 따라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부하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좌측 손잡이 나사부(115)와 우측 손잡이 나사부(125) 간의 조임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혀 운동기구(100)의 운동부하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혀 운동기구(100)로 혀(10)를 단련할 수 있다.
운동 보조부(140)은 도시된 것과 같은 타원형 구 형상 이외에,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운동 보조부(140)는 사용자의 혀(10)에 통증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사용자의 혀(10)가 접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보조부(140)는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 운동 보조부(140)는 사용자가 혀(10)를 대고 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도록 혀(10)에 의해 밀려 탄성 변형되는 소재, 또는 쉽게 변형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운동기구(100)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운동기구(100)는 손잡이부(110)가 굽힘 변형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양손으로 좌측 손잡이(112) 및 우측 손잡이(122)를 잡고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운동 보조부(140)가 자신의 입 쪽을 향하도록 좌측 손잡이(112) 및 우측 손잡이(122)를 굽히고 입을 벌려 운동 보조부(140)를 입 안에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양 손으로 좌측 손잡이(112) 및 우측 손잡이(122)를 잡아 운동 보조부(140)를 밀리지 않게 하면서 혀(10)를 운동 보조부(140)에 대고 운동 보조부(140)를 밀거나 회전시키면서 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손잡이(112) 및 우측 손잡이(122)를 잡고 운동 보조부(140)를 혀(10)가 닿을 수 있도록 위치 조절하고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 및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를 상부 치아(2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 치아(20)의 끝단이 맞물림홈(118) 속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부(110)가 치아(20)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운동 보조부(140)가 입 안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혀(10)를 운동 보조부(140)에 대고 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맞물림홈(118)은 좌측 손잡이(112) 및 우측 손잡이(122)에 복수 개 구비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구강 구조에 따라 적절한 맞물림홈(118)에 치아(20)를 삽입하여 운동 보조부(140)를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맞물림홈(118) 중에서 치아(20)가 삽입되는 맞물림홈(118)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운동 보조부(14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운동 보조부(140)가 입 안에 삽입되는 깊이에 따라 혀(10)의 운동부하가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혀(10)와 운동 보조부(140) 사이의 거리를 멀게 하면 혀(10)를 적게 움직이면서 운동 보조부(140)를 가압할 수 있어 혀(10)의 운동부하가 감소한다. 반면, 혀(10)와 운동 보조부(140) 사이의 거리를 가깝게 하면 혀(10)를 많이 움직여 운동 보조부(140)를 가압해야 하므로 혀(10)의 운동부하가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운동기구(100)는 치아(20)가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홈(118)이 복수 개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구강 구조에 따라 운동 보조부(140)를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놓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운동부하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혀 운동기구(100)의 사용 후에는, 좌측 손잡이(112)와 우측 손잡이(122) 및 운동 보조부(140)를 분리하고 이들 부품을 세척한 후 보관할 수 있다. 혀 운동기구(100)는 손잡이부(110)와 운동 보조부(140)가 분리 가능하므로 보관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고,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운동기구(100)는 사용 중에 운동 보조부(140)가 손상되는 경우, 운동 보조부(140)만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혀 운동기구(100)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운동 보조부를 다른 종류로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혀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22은 혀 운동기구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15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110)와, 손잡이부(110)의 중간에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1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혀 운동기구(150)는 앞서 설명한 혀 운동기구(100)와 비교하여 운동 보조부(152)의 구조가 변형된 것이다.
운동 보조부(152)는 내측에 관통홀(142)이 형성되어 손잡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운동 보조부 바디(141)와, 운동 보조부 바디(141)의 외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운동 보조부 그루브(153)를 포함한다. 복수의 운동 보조부 그루브(153)는 운동 보조부 바디(141)의 회전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운동 보조부 바디(141)의 표면에 복수의 운동 보조부 그루브(153)가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혀(10)가 운동 보조부 바디(141)의 표면에서 미끄러지지 않고 운동 보조부 바디(141)를 가압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2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10)와, 손잡이부(210)의 중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22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210)는 좌측 손잡이(112)와, 우측 손잡이(1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손잡이부(110)와 비교하여 가이드홈(211)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홈(211)은 운동 보조부(220)가 결합되는 부분에 운동 보조부(22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환형으로 마련된다.
운동 보조부(220)는 내측에 관통홀(142)이 형성된 운동 보조부 바디(141)와, 운동 보조부 바디(141)의 내면에 구비되는 가이드돌기(221)를 포함한다. 가이드돌기(221)는 가이드홈(211)에 삽입된다. 운동 보조부(220)는 가이드돌기(221)가 가이드홈(211)에 삽입되어 회전하므로 손잡이부(21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운동 보조부(220)는 좌측 손잡이(112)의 좌측 손잡이 나사부(115)와 우측 손잡이(122)의 우측 손잡이 나사부(125) 간의 조임량에 따라 손잡이부(110)와의 마찰력이 변화됨으로써 회전부하가 조절될 수 있다.
가이드홈(211)의 개수나 위치, 가이드돌기(221)의 형상이나 개수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25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260)와, 손잡이부(260)의 중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140)를 포함한다. 운동 보조부(14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손잡이부(260)는 좌측 손잡이(262)와, 우측 손잡이(266)를 포함한다. 좌측 손잡이(262)와 우측 손잡이(266)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나사부를 통해 조임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맞물림 결합된다. 좌측 손잡이(262)에는 운동 보조부(140)의 관통홀(142) 속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264)가 구비된다. 테이퍼부(264)는 적어도 일부가 관통홀(142)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우측 손잡이(266)에도 관통홀(142) 속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부(264)가 구비된다.
이러한 혀 운동기구(250)는 좌측 손잡이(262)와 우측 손잡이(266) 간의 조임량에 따라 테이퍼부(264)가 관통홀(142) 속으로 삽입되는 삽입 깊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테이퍼부(264)가 관통홀(142) 속에 삽입되는 삽입 깊이가 조절됨으로써 운동 보조부(140)와 테이퍼부(264) 사이의 마찰력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좌측 손잡이(262)와 우측 손잡이(266) 간의 조임량을 변화시켜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부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3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310)와, 손잡이부(310)의 중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32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310)는 좌측 손잡이(312)와, 우측 손잡이(316)를 포함한다. 좌측 손잡이(312)와 우측 손잡이(316)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나사부를 통해 조임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맞물림 결합된다. 좌측 손잡이(312)에는 디텐트홈(314)이 운동 보조부(320)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디텐트홈(314)은 운동 보조부(320)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된다. 우측 손잡이(316)에도 복수의 디텐트홈(314)이 운동 보조부(320)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운동 보조부(320)는 손잡이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운동 보조부 바디(141)와, 운동 보조부 바디(141)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디텐트돌기(322)를 포함한다. 디텐트돌기(322)는 좌측 손잡이(312)의 디텐트홈(314) 및 우측 손잡이(316)의 디텐트홈(31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운동 보조부(3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혀 운동기구(300)는 좌측 손잡이(312)와 우측 손잡이(316) 간의 조임량에 디텐트돌기(322)가 디텐트홈(314)에 삽입되는 삽입 깊이가 변하여 손잡이부(310)와 운동 보조부(320) 사이의 마찰력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좌측 손잡이(262)와 우측 손잡이(266) 간의 조임량을 변화시켜 운동 보조부(320)의 회전부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3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손잡이(312)와 우측 손잡이(316) 간의 조임량을 작게 하여 디텐트돌기(322)가 디텐트홈(314)에 삽입되지 않게 하면 운동 보조부(320)의 회전부하가 작아져 운동 보조부(320)가 쉽게 회전할 수 있다.
반면, 도 13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손잡이(312)와 우측 손잡이(316) 간의 조임량을 증가시켜 디텐트돌기(322)가 디텐트홈(314)에 삽입되도록 하면 손잡이부(310)와 운동 보조부(32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함으로써 운동 보조부(320)의 회전부하가 커지게 된다.
도면에는 손잡이부(310)에 디텐트홈(314)이 마련되고 운동 보조부(320)에 디텐트돌기(322)가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디텐트홈(314)과 디텐트돌기(322)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그리고 좌측 손잡이(312)와 우측 손잡이(316) 중 어느 하나에만 디텐트홈(314) 또는 디텐트돌기(322)가 구비되고, 운동 보조부(320)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한 쪽에만 디텐트돌기(322) 또는 디텐트홈(314)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35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360)와, 손잡이부(360)의 중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140)를 포함한다. 운동 보조부(140)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손잡이부(360)는 좌측 손잡이(362)와, 우측 손잡이(366)를 포함한다. 좌측 손잡이(362)와 우측 손잡이(366)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나사부를 통해 조임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맞물림 결합된다. 좌측 손잡이(362)에는 운동 보조부(140)의 일단에 접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는 마찰부재(364)가 구비된다. 우측 손잡이(266)에도 운동 보조부(140)의 타단에 접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는 마찰부재(364)가 구비된다.
이러한 혀 운동기구(350)는 좌측 손잡이(362)와 우측 손잡이(366) 간의 조임량에 따라 마찰부재(364)가 운동 보조부(140)에 접하는 접촉 압력이 변하여 운동 보조부(140)와 마찰부재(364) 사이의 마찰력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좌측 손잡이(362)와 우측 손잡이(366) 간의 조임량을 변화시켜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부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4의 (a)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손잡이(362)와 우측 손잡이(366) 간의 조임량을 작게 하여 마찰부재(364)가 운동 보조부(140)에 약하게 접하게 하면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부하가 작아져 운동 보조부(140)가 쉽게 회전할 수 있다.
반면, 도 14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좌측 손잡이(362)와 우측 손잡이(366) 간의 조임량을 증가시켜 마찰부재(364)를 운동 보조부(140)에 압착시키면 마찰부재(364)가 운동 보조부(140)에 접하는 접촉 압력이 증가하여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부하가 커지게 된다.
도면에는 마찰부재(364)가 좌측 손잡이(362)와 우측 손잡이(366)에 모두 구비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마찰부재(364)는 좌측 손잡이(362)와 우측 손잡이(366) 중 어느 하나에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364)는 좌측 손잡이(362) 또는 우측 손잡이(366)에 접할 수 있도록 운동 보조부(14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4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410)와, 손잡이부(410)의 중간에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42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410)는 사용자가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운동 보조부(42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손잡이(412)와,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운동 보조부(42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손잡이(415)를 포함한다.
좌측 손잡이(412)는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좌측 탄성바(413)와, 좌측 탄성바(413)의 일단에 구비되는 좌측 그립(120)을 포함한다. 좌측 탄성바(413)에는 복수의 맞물림홈(118)이 형성된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가 구비된다.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는 상술한 것과 같다.
우측 손잡이(415)는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우측 탄성바(416))와, 우측 탄성바(416))의 일단에 구비되는 우측 그립(130)을 포함한다. 우측 탄성바(416))에는 복수의 맞물림홈(118)이 형성된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가 구비된다.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는 상술한 것과 같다.
운동 보조부(420)는 손잡이부(410)의 중간에 결합되는 지지체(421)와, 지지체(421)에 결합되는 돌출부(424)를 포함한다. 지지체(421)에는 돌출부(424)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422)이 마련된다.
돌출부(424)는 지지체(4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돌출부(424)는 지지체(421)의 삽입홈(42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25)와, 삽입돌기(425)의 끝단에 연결되는 돌출부 바디(426)와, 돌출부 바디(426)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스크래이퍼(427)를 포함한다.
돌출부 바디(426)는 지지체(421)로부터 돌출되도록 지지체(421)에 결합된다. 돌출부 바디(426)는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돌출부 바디(426)는 입 안을 향하게 놓이는 일단의 폭이 입의 바깥 쪽을 향하게 놓이는 타단의 폭보다 크다.
복수의 스크래이퍼(427)는 돌출부 바디(426)의 일면에 돌출부 바디(426)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스크래이퍼(427)는 사용자의 혀(10)에 접하여 사용자의 혀(10)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다. 스크래이퍼(427)는 굽은 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스크래이퍼(427)는 중앙 부분이 양쪽 가장자리보다 사용자의 입 안에 깊이 위치할 수 있도록 아치형으로 굽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복수의 스크래이퍼(427) 중에서 상대적으로 돌출부 바디(426)의 일단에 가까이 배치되는 스크래이퍼(427)의 길이가 돌출부 바디(426)의 타단에 가까이 배치되는 스크래이퍼(427)의 길이보다 길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혀 운동기구(4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손으로 손잡이부(410)를 잡고 스크래이퍼(427)가 혀(10) 위쪽에 놓이도록 운동 보조부(420)를 입 안에 넣고 혀(10)로 운동 보조부(420)를 밀면서 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혀(10)의 위쪽 부분을 스크래이퍼(427)에 대고 왕복 운동함으로써 혀(10)에 낀 설태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혀(10)를 씻어 청결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는 손잡이부에 고정되거나, 손잡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는 지지체와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체가 손잡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 손잡이부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좌측 손잡이와 우측 손잡이가 나사부를 통해 맞물리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좌측 손잡이와 우측 손잡이 사이의 조임량을 변화시켜 지지체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절하거나, 지지체를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로 조절하여 혀 운동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7은 돌출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에 나타낸 돌출부(430)는 지지체(421)에 결합되는 삽입돌기(431)와, 삽입돌기(431)의 끝단에 연결되는 돌출부 바디(433)와, 돌출부 바디(433)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 1 윙 바디(435) 및 제 2 윙 바디(436)를 포함한다. 제 1 윙 바디(435)는 돌출부 바디(433)의 일측으로부터 굽은 형태로 돌출된다. 제 2 윙 바디(436)는 돌출부 바디(433)를 사이에 두고 제 1 윙 바디(435)와 대칭을 이루도록 돌출부 바디(433)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굽은 형태로 돌출된다.
이러한 돌출부(430)는 삽입돌기(431)가 지지체(421)의 삽입홈(422)에 삽입됨으로써 지지체(4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돌출부(430)는 지지체(421)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입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지지체(421)에 결합된 돌출부(430)를 혀(10) 쪽을 향하도록 입 안에 넣고, 혀(10)를 돌출부(430)에 대고 혀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혀(10)로 돌출부(430)를 밀면서 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혀(10)로 제 1 윙 바디(435) 또는 제 2 윙 바디(436)를 밀어 돌출부(430)를 회전시키면서 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는 지지체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돌출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9의 (a)에 나타낸 돌출부(440)는 지지체(421)의 삽입홈(42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41)와, 삽입돌기(441)의 끝단에 연결되는 돌출부 바디(443)를 포함한다. 돌출부 바디(443)는 삽입돌기(441)를 통해 지지체(421)에 결합됨으로써 지지체(421)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부 바디(443)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혀(10)가 접촉할 수 있는 만곡부(444)가 마련된다. 만곡부(444)는 돌출부 바디(443)의 일단에서 타단 쪽으로 완만하게 굽은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혀(10)를 만곡부(444)에 댄 상태에서 돌출부 바디(443)를 안정적으로 밀 수 있다. 돌출부 바디(443)의 끝단 중앙에는 사용자의 혀(10)가 접촉할 수 있는 보조 돌기(445)가 돌출 구비된다. 사용자가 혀(10)를 보조 돌기(445)에 대고 돌출부 바디(443)의 끝단을 입의 바깥쪽 방향으로 밀거나 돌출부 바디(443)를 좌우 방향으로 밀 수 있다.
도 19의 (b)에 나타낸 돌출부(450)는 삽입돌기(441)와, 삽입돌기(441)의 끝단에 연결되는 돌출부 바디(443)와, 돌출부 바디(443)의 끝단 중앙에서 돌출되는 보조 돌기(445)와, 보조 돌기(445)에 구비되는 복수의 스크래이퍼(45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삽입돌기(441)와, 돌출부 바디(443) 및 보조 돌기(445)는 상술한 것과 같다.
복수의 스크래이퍼(451)는 보조 돌기(445)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된다. 스크래이퍼(451)는 사용자의 혀(10)에 접하여 사용자의 혀(10)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다. 스크래이퍼(451)는 보조 돌기(445)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판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45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혀(10)의 위쪽 부분을 스크래이퍼(451)에 대고 왕복 운동함으로써 혀(10)에 낀 설태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혀(10)를 씻어 청결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입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9의 (c)에 나타낸 돌출부(460)는 지지체(421)의 삽입홈(42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461)와, 삽입돌기(461)의 끝단에 연결되는 돌출부 바디(462)와, 돌출부 바디(462)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463)를 포함한다. 절곡부(463)의 끝단에는 반원형의 구면부(464)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46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돌출부(460)를 입 안에 넣고 혀(10)를 절곡부(463)에 대고 앞쪽으로 밀거나, 혀(10)를 구면부(464)에 대고 위쪽 방향으로 밀면서 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다.
도 20의 (a)에 나타낸 돌출부(470)는 도 19의 (a)에 나타낸 돌출부(440)와 외관 형태는 동일하고, 내부에 보강재(471)가 배치된 것이다. 보강재(471)는 판스프링이나, 또는 그 밖에 탄성력을 가지면서 돌출부(470)의 탄성 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의 (b)에 나타낸 돌출부(480)는 도 17에 나타낸 돌출부(430)와 외관 형태는 동일하고,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보강재(481)가 배치된 것이다. 이러한 돌출부(480)는 내부에 보강재(481)가 구비됨으로써 탄성 복원력이 증대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 20의 (c)에 나타낸 돌출부(490)는 도 19의 (c)에 나타낸 돌출부(460)와 외관 형태는 동일하고,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한 보강재(491)가 배치된 것이다.
위의 돌출부들은 사용자의 혀(10)에 의해 밀려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는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 돌출부는 사용자가 혀(10)를 대고 혀 근육을 단련할 수 있도록 혀(10)에 의해 밀려 탄성 변형되는 소재, 또는 쉽게 변형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혀 운동기구(5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510)와, 손잡이부(510)의 중간에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140)와, 운동 보조부(140)가 가압 또는 움직인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522)와, 카운팅부(522)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모듈(524)과, 입력부(528) 및 출력부(530)를 포함한다. 운동 보조부(140)는 손잡이부(5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손잡이부(510)는 사용자가 왼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운동 보조부(140)의 좌측에 배치되는 좌측 손잡이(512)와,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운동 보조부(140)의 우측에 배치되는 우측 손잡이(517)를 포함한다.
좌측 손잡이(512)는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좌측 탄성바(513)와, 좌측 탄성바(513)의 일단에 구비되는 좌측 그립(515)을 포함한다. 좌측 탄성바(513)에는 복수의 맞물림홈(118)이 형성된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가 구비된다. 좌측 치아 맞물림부(117)는 상술한 것과 같다.
우측 손잡이(517)는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우측 탄성바(518)와, 우측 탄성바(518)의 일단에 구비되는 우측 그립(520)을 포함한다. 우측 탄성바(518)에는 복수의 맞물림홈(118)이 형성된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가 구비된다. 우측 치아 맞물림부(127)는 상술한 것과 같다.
카운팅부(522)는 운동 보조부(140)에 인접하도록 손잡이부(510)에 설치되어 운동 보조부(140)가 사용자의 혀(10)에 의해 가압 또는 움직인 회수를 카운팅한다. 운동 보조부(140)는 손잡이부(5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카운팅부(522)는 사용자가 혀(10)로 운동 보조부(140)를 밀어 회전시킨 회전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카운팅부(522)에 의해 카운팅되는 운동 보조부(140)의 회전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운팅부(522)는 운동 보조부(140)가 1회전한 횟수를 카운팅하도록 세팅되거나, 운동 보조부(140)가 180도씩 회전한 회수를 카운팅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제어모듈(524)은 제어부(525) 및 통신부(526)를 포함한다. 제어부(525)는 카운팅부(522)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부(528)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며, 출력부(530) 및 통신부(526)를 제어한다. 제어부(525)는 카운팅부(522)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정보를 출력부(5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5)는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통신부(526)를 통해 측정 정보를 사용자의 개인단말기(30)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526)는 혀 운동기구(500)에서 개인단말기(30)로 정보를 송신하거나, 개인단말기(3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528)는 사용자 조작을 위해 손잡이부(510)에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528)는 입력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 사용자 조작에 따라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입력부(528)의 조작에 따라 출력부(530)에 정보가 출력되거나, 개인단말기(30)에 측정 정보가 전송될 수 있으며, 개인단말기(30)로부터 정보가 수신되어 출력부(530)에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530)는 손잡이부(5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혀 운동기구(500) 사용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530)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입력부(528)와 출력부(530)가 우측 그립(520)에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입력부(528)와 출력부(530)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혀 운동기구(500)의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단말기(30)에 혀 운동기구(500) 사용에 관련한 앱을 설치하여 혀 운동기구(500)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혀 운동기구(500) 관련 앱은 사용자가 혀 운동기구(500)를 이용하여 혀 운동을 수행한 날짜와, 날짜 별 운동 시간, 운동 회수, 운동 강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날짜 별 운동 기록을 보고 혀 운동에 따른 코골이 개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혀 운동기구(500)는 사용자의 개인단말기(30)와 연동하여 사용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증대되고 사용자에게 운동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손잡이부(510)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나, 전원 공급 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운동 보조부는 회전형 이외에, 앞서 설명한 다양한 구조의 운동 보조부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카운팅부(522)는 운동 보조부가 사용자의 혀(10)에 의해 밀려 변형된 횟수를 카운팅하거나, 운동 보조부에 일정 크기 이상의 가압력이 가해진 횟수를 카운팅하는 등 운동 보조부가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혀에 의해 가압된 횟수를 카운팅하도록 세팅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손잡이부의 좌측 손잡이와 우측 손잡이가 각각 나사부를 구비하여 상호 맞물리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좌측 손잡이와 우측 손잡이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는 좌측 손잡이와 우측 손잡이가 일체형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앞서서는 좌측 손잡이의 좌측 탄성바가 좌측 연결바와 좌측 치아 맞물림부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냈으나, 좌측 탄성바는 외면에 맞물림홈이 형성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우측 탄성바는 우측 연결바와 우측 치아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구조 이외에, 외면에 맞물림홈이 형성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앞서서는 맞물림홈에 사용자의 상부 치아가 삽입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혀 운동기구는 맞물림홈에 사용자의 하부 치아가 삽입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50, 200, 250, 300, 350, 400, 500 : 혀 운동기구
110, 210, 260, 310, 360, 410, 510 : 손잡이부
112, 262, 312, 362, 412, 512 : 좌측 손잡이
113, 413, 513 : 좌측 탄성바 115 : 좌측 손잡이 나사부
117 : 좌측 치아 맞물림부 120, 515 : 좌측 그립
122, 266, 316, 366, 415, 517 : 우측 손잡이
123, 416, 518 : 우측 탄성바 125 : 우측 손잡이 나사부
127 : 우측 치아 맞물림부 130, 520 : 우측 그립
140, 152, 220, 320, 420 : 운동 보조부
211 : 가이드홈 221 : 가이드돌기
264 : 테이퍼부 314 : 디텐트홈
322 : 디텐트돌기 364 : 마찰부재
421 : 지지체
424, 430, 440, 450, 460, 470, 480, 490 : 돌출부
427, 451 : 스크래이퍼 471, 481, 491 : 보강재
522 : 카운팅부 524 : 제어모듈
525 : 제어부 526 : 통신부
528 : 입력부 530 : 출력부

Claims (23)

  1.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혀 운동을 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혀 운동기구로서,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좌측 손잡이 및 탄성 굽힘 변형 가능한 우측 손잡이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사용자의 입 안으로 들어가 사용자가 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우측 손잡이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운동 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중간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손잡이의 끝단에는 좌측 손잡이 나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우측 손잡이의 끝단에는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에 대응하는 우측 손잡이 나사부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우측 손잡이는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 나사부가 맞물리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 나사부 간의 조임량에 따라 상기 좌측 손잡이와 상기 운동 보조부 사이의 마찰력 또는 상기 우측 손잡이와 상기 운동 보조부 사이의 마찰력이 변하여 상기 운동 보조부의 회전부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관통홀 속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직경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테이퍼부가 마련되고,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 나사부 간의 조임량에 따라 상기 테이퍼부가 상기 운동 보조부에 관통홀 속으로 삽입되는 삽입 깊이가 조절되어 상기 운동 보조부와 상기 테이퍼부 사이의 마찰력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운동 보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운동 보조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디텐트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디텐트홈에 삽입될 수 있는 디텐트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 나사부 간의 조임량에 따라 상기 디텐트돌기가 상기 디텐트홈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 깊이가 변하여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운동 보조부 사이의 마찰력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운동 보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다른 하나에 접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는 마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 손잡이 나사부와 상기 우측 손잡이 나사부 간의 조임량에 따라 상기 마찰부재가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운동 보조부에 접하는 접촉 압력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운동 보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운동 보조부의 회전 방향을 따라 환형의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운동 보조부 바디와,
    상기 운동 보조부 바디에 돌출 구비되는 복수의 운동 보조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운동 보조부 바디와,
    상기 운동 보조부 바디에 형성되는 복수의 운동 보조부 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체에 연결되는 돌출부 바디와,
    상기 돌출부 바디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윙 바디와,
    상기 돌출부 바디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윙 바디와 대칭을 이루도록 상기 돌출부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윙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사용자의 혀에 의해 굽힘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바디와,
    사용자의 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는 만곡부와,
    사용자의 혀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 바디의 끝단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보조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결합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 바디와,
    사용자의 혀에 접하여 사용자의 혀에 부착된 이물질을 긁어낼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 바디로부터 돌출되는 스크래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이퍼는 중앙 부분이 양쪽 가장자리보다 사용자의 입 안에 깊이 위치할 수 있도록 아치형으로 굽은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사용자의 치아 끝단이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홈은 복수 개가 상기 좌측 손잡이 및 상기 우측 손잡이 각각에 상기 손잡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보조부가 사용자의 혀에 의해 가압 또는 움직인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부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측정 정보를 사용자의 개인단말기에 송신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부의 측정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혀 운동기구.
KR1020200126680A 2020-09-29 2020-09-29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KR10222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680A KR102224373B1 (ko) 2020-09-29 2020-09-29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680A KR102224373B1 (ko) 2020-09-29 2020-09-29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373B1 true KR102224373B1 (ko) 2021-03-09

Family

ID=7517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680A KR102224373B1 (ko) 2020-09-29 2020-09-29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3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5640B2 (ja) * 2009-10-19 2013-11-06 株式会社マイクコーポレーション 舌の運動器具
KR101338779B1 (ko) * 2012-03-26 2013-12-06 권기범 발음훈련교정기구
KR101352065B1 (ko) * 2012-01-16 2014-01-22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발음교정기
KR101549890B1 (ko) * 2014-05-15 2015-09-03 (주)애니덴 발음 교정 기구
KR102029965B1 (ko) 2017-05-16 2019-10-08 함종욱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35640B2 (ja) * 2009-10-19 2013-11-06 株式会社マイクコーポレーション 舌の運動器具
KR101352065B1 (ko) * 2012-01-16 2014-01-22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발음교정기
KR101338779B1 (ko) * 2012-03-26 2013-12-06 권기범 발음훈련교정기구
KR101549890B1 (ko) * 2014-05-15 2015-09-03 (주)애니덴 발음 교정 기구
KR102029965B1 (ko) 2017-05-16 2019-10-08 함종욱 혀 운동 페달부를 갖는 상악치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8145B2 (en) Oral-lever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5709647A (en) Acupressure device
DK2969065T3 (en) DEVICE FOR TRAINING THE FACIAL, LIP AND NECK MUSCLES
US6524262B1 (en) Oral lip and chin muscle rehabilitating device
US4991566A (en) Articulating mouth-prop device for use in the diagnosis and/or treatment of patients suffering from trismus or other medical or dental problems or for other purposes
EP3052044B1 (en) Patient controlled dental device
US6203471B1 (en) Oral lip and chin muscle rehabilitating device
US20070089752A1 (en) Tissue stretching device
KR101361583B1 (ko) 상악에 대한 하악 이동장치
WO2014098113A1 (ja) 開口訓練器
EP3175890B1 (en) Muscle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KR102224372B1 (ko)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KR102224373B1 (ko)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US8382643B2 (en) Face lift exercise device
CN214485526U (zh) 一种烧伤科锻炼康复器
KR101861206B1 (ko)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
US10874900B2 (en) Threshold-load trainer apparatus for muscles of the tongue, throat and upper respiratory pathway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and other disorders
US20150182373A1 (en) Oral Exercise Appliance
CN102362821B (zh) 一种用于治疗颈椎病变的牵引装置的顶杆部分的改进结构
US20240139013A1 (en) Wrist compression device for carpal arch space augmentation
KR200373933Y1 (ko) 운동기구용 바
CN220477669U (zh) 一种口腔修复用的医用取冠钳
RU212780U1 (ru) Насадка на 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KR102483879B1 (ko) 코골이 방지기구
US20230390093A1 (en) Hand movement contro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