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890B1 - 발음 교정 기구 - Google Patents

발음 교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890B1
KR101549890B1 KR1020140058194A KR20140058194A KR101549890B1 KR 101549890 B1 KR101549890 B1 KR 101549890B1 KR 1020140058194 A KR1020140058194 A KR 1020140058194A KR 20140058194 A KR20140058194 A KR 20140058194A KR 101549890 B1 KR101549890 B1 KR 101549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pronunciation
pronunciation correction
present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8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진
Original Assignee
(주)애니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애니덴 filed Critical (주)애니덴
Priority to KR1020140058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8Apparatus for correcting stammering or stutte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4Sp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음 교정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구강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에 물려지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물림부; 및 상기 물림부 사이에 마련되고, 혀를 회전 지지하는 지지볼이 구강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혀운동부를 포함하도록 한 발음 교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림부와 혀운동부의 구조로 인해 편안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음 교정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에 의해 발음 연습을 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발음 연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착용감을 항상 유지하도록 하며, 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볼에 접촉 내지 지지됨으로써 전후 및 상하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발음 교정의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발음 교정 기구{Pronunciation corr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발음 교정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발음 교정의 효율 및 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발음 교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사의 정확한 전달을 위해서는 발음이 중요하며, 복잡해진 사회에서는 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발음의 정확성은 본인의 견해를 제시하거나, 상대방 설득, 또는 면접이나 프리젠테이션 등에서 메시지나 정보 등을 정확하게 전달함으로써 신뢰를 높이도록 하고, 잘못된 의사 전달로 인한 불이익을 방지하는데 필요하다.
이러한 발음의 정확성은 아나운서, 배우, 가수, 비행기 승무원 등과 같은 직종에 종사하거나, 이를 준비하는 사람들의 경우, 또는 사투리가 심한 경우, 절실하게 요구됨으로써 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훈련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발음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발음의 훈련이나 교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전문 학원을 이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으나, 비용과 시간적인 부담으로 인해 전통적인 방법으로서, 볼펜이나 나무젓가락 등을 치아 사이에 물고 발음을 교정하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정확한 혀 위치를 잡아주지 못해 발음 교정의 효과를 제대로 보지 못하며, 침샘을 자극하여 지나치게 많은 침이 분비됨으로써 불결함과 불편함을 야기하고, 턱관절 등의 신체에 무리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음 교정을 위한 전용 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일례에 따른 발음 교정을 위한 기구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08730호의 "발음훈련교정기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양쪽의 상치와 하치에 의해 각각 물려 지지되는 한 쌍의 치아지지부; 및 상기 한 쌍의 치아지지부 사이에 하향 곡선 형태로 형성되어 혀를 받쳐 지지해주는 혀받침부를 포함한다.
또한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발음 교정을 위한 기구는, 한국등록특허 제10-0530639호의 "영어 발음 교정기"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구치와 절치 사이에 착용되는 열가소성 물질로 이루어진 지지부; 및 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에 부착되고 입술의 가장자리에 걸어서 착용되는 구강 확장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구강 구조와 물림 위치에 대해서 배려하고 있지 않아 착용시 불편함을 주고, 이로 인해 발음 교정을 위한 훈련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들은 발음 교정을 위한 훈련시, 혀의 운동이 중요함에도 이에 대해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아, 발음 교정의 효과를 높이는데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이 편안하도록 하여 발음 교정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하고, 발음 교정을 위한 혀 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음 교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발음 교정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구강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에 물려지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물림부; 및 상기 물림부 사이에 마련되고, 혀를 회전 지지하는 지지볼이 구강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혀운동부를 포함하는 발음 교정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물림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에서 하향 경사로 전환되는 제 1 전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 경사에서 상향 경사로 전환되는 제 2 전환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혀운동부는 상기 물림부와 함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림부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가 하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지지볼이 다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물림부와 상기 혀운동부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서 탄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 기구에 의하면, 물림부와 혀운동부의 구조로 인해 편안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발음 교정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에 의해 발음 연습을 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발음 연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착용감을 항상 유지하도록 하며, 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볼에 접촉 내지 지지됨으로써 전후 및 상하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발음 교정의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발음 교정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발음 교정 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발음 교정 기구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발음 교정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발음 교정 기구(100)는 물림부(110)와 혀운동부(120)를 포함한다.
물림부(110)는 구강(1; 도 3에 도시)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악과 하악의 치아(2,3; 도 3에 도시) 사이에 물려지도록 마련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치아(2,3) 사이에 물려진 상태에서 나머지 끝단 부분이 구강(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물림부(110)는 예컨대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에서 하향 경사로 전환되는 제 1 전환부(113)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하향 경사에서 상향 경사로 다시 전환되는 제 2 전환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전환부(113)는 제 1 상향경사부(111)와 하향경사부(112) 사이에서 경사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일 수 있고, 제 2 전환부(115)는 하향경사부(112)와 제 2 상향경사부(114) 사이에서 경사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환부(113)는 상악과 하악의 치아(2,3)가 물리도록 하는 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제 2 전환부(115)는 입술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이와 다른 다양한 착용 예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제 1 상향경사부(111)는 혀운동부(120)와 함께 구강 구조에 유사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림부(110)는 혀운동부(120)와 함께 착용자가 발음 연습을 하기 용이하도록 구강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착용시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혀운동부(120)는 물림부(110) 사이에 마련되고, 혀(4)를 회전 지지하는 지지볼(121)이 구강(1)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혀운동부(120)는 물림부(110)가 양측에 일체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고, 물림부(110)와 함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되, 물림부(110)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122)가 하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연결부(122)에 지지볼(121)이 다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122)가 하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률을 가짐으로써 구강(1) 내의 곡률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지볼(121) 상에 혀(4)가 안정적으로 안착 내지 접촉되어 상하 및 전후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122)는 물림부(110)와 함께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음과 아울러, 비교적 연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 선택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열가소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122)는 일례로 지지볼(121)이 결합된 상태에서 물림부(110)와 끼움, 접합 과정에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물림부(110)와 일체로 성형된 이후, 지지볼(121)이 자신의 절개부분 또는 분할부분의 끼움, 접합 과정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에 의해 지지볼(121)과의 결합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2)는 지지볼(12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홀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되, 이러한 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짐으로써 지지볼(121)과의 사이에 유격을 가짐으로써 지지볼(12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물림부(110)와 혀운동부(120)의 내측에는 탄성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30)는 외력에 대하여 복원력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서 탄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고, 물림부(110)와 혀운동부(120)의 연결부(122) 내측에 몰딩에 의해 장착되거나, 미리 가공된 장착홀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탄성부(130)는 구강(1; 도 3에 도시) 내의 체온에 의해 원래의 형태, 예컨대 앞서 설명한 물림부(110)와 연결부(122)의 구조에 상응하는 형태로 복원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130)는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원형 단면의 와이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에 한하지 않고 다른 예로서, 다각형 단면의 와이어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밖에도 판상 구조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음 교정 기구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 물림부(110)가 상악과 하악의 치아(2,3) 상에 물린 상태에서 혀(4)는 지지볼(121)에 지지 내지 접촉되며, 발음 훈련시 혀(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볼(121)로부터 자유롭게 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혀(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볼(121)에 접촉 내지 지지됨으로써 전후 및 상하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발음 교정의 훈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혀운동부(120)의 하방 볼록 구조와 물림부(110)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전환부(113,115)로 인해, 구강(1) 내부 구조와 유사한 구조와 함께, 편안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발음 교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130; 도 2에 도시)에 의해 발음 연습을 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발음 연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착용감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감의 우수함과 함께, 발음 훈련에 필요한 운동에 적합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뛰어난 발음 교정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구강 2,3 : 치아
4 : 혀 110 : 물림부
111 : 제 1 상향경사부 112 : 하향경사부
113 : 제 1 전환부 114 : 제 2 상향경사부
115 : 제 2 전환부 120 : 혀운동부
121 : 지지볼 122 : 연결부
130 : 탄성부

Claims (4)

  1. 발음 교정을 위한 기구에 있어서,
    구강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악과 하악의 치아 사이에 물려지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물림부; 및
    상기 물림부 사이에 마련되고, 혀를 회전 지지하는 지지볼이 구강의 폭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혀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림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에서 하향 경사로 전환되는 제 1 전환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 경사에서 상향 경사로 전환되는 제 2 전환부가 형성되고,
    상기 혀운동부는,
    상기 물림부와 함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기 물림부를 서로 연결시키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부가 하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상기 지지볼이 다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음 교정 기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물림부와 상기 혀운동부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져서 탄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발음 교정 기구.
KR1020140058194A 2014-05-15 2014-05-15 발음 교정 기구 KR101549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194A KR101549890B1 (ko) 2014-05-15 2014-05-15 발음 교정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8194A KR101549890B1 (ko) 2014-05-15 2014-05-15 발음 교정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890B1 true KR101549890B1 (ko) 2015-09-03

Family

ID=5424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8194A KR101549890B1 (ko) 2014-05-15 2014-05-15 발음 교정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8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373B1 (ko) * 2020-09-29 2021-03-09 엘티프로(주)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KR102224372B1 (ko) * 2020-09-29 2021-03-09 엘티프로(주)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166Y1 (ko) 2003-11-11 2004-02-11 장성용 혀 운동 촉진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166Y1 (ko) 2003-11-11 2004-02-11 장성용 혀 운동 촉진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373B1 (ko) * 2020-09-29 2021-03-09 엘티프로(주)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KR102224372B1 (ko) * 2020-09-29 2021-03-09 엘티프로(주)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WO2022071778A1 (ko) * 2020-09-29 2022-04-07 엘티프로(주) 코골이 예방용 혀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4226A (en) Apparatus for correcting tongue thrust
US5779470A (en) Tongue thrust oral habit retrainer
US20070087300A1 (en) Invisible spring aligner
JP2008067732A (ja) 口腔筋トレーニング器具
US11160637B2 (en)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CN104083223A (zh) 一种诱导儿童牙齿合理排列的装置及其制造方法
CA2973076C (en) Oral mounting fixture
KR101463021B1 (ko) 구강장치
KR101549890B1 (ko) 발음 교정 기구
TWI725788B (zh) 牙套、牙齒矯正組件及製作牙套的方法
JP2015150179A (ja) 歯科矯正装置
CN210095946U (zh) 多功能隐形矫治器
US20070016253A1 (en) Primary dental teether
KR101302959B1 (ko) 미소형 입술라인 교정용 교정구
KR20200067357A (ko) 치열 교정용 이단 버튼
JP6557637B2 (ja) 歯科用矯正器具
JP6746770B1 (ja) ブラッシング方法
CN104812329A (zh) 口腔插片装置
CN210095952U (zh) 一种猫形辅弓隐形矫治器
KR101338779B1 (ko) 발음훈련교정기구
US20160074207A1 (en) Oral appliance
KR200341166Y1 (ko) 혀 운동 촉진 기구
EP0836441A1 (en) Tongue thrust oral habit retrainer
JP2009201842A (ja) 歯茎用マッサージ具
JP3212235U (ja) 矯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