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1206B1 -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 - Google Patents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1206B1
KR101861206B1 KR1020160164940A KR20160164940A KR101861206B1 KR 101861206 B1 KR101861206 B1 KR 101861206B1 KR 1020160164940 A KR1020160164940 A KR 1020160164940A KR 20160164940 A KR20160164940 A KR 20160164940A KR 101861206 B1 KR101861206 B1 KR 101861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joint
mouthpiece
supporter
rotary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흠
임현찬
Original Assignee
윤태흠
임현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흠, 임현찬 filed Critical 윤태흠
Priority to KR1020160164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 A63B21/005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electromagnetic or electric force-resisters using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tolaryng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을 이루는 상악골과 하악골 간의 턱관절 운동범위와 턱관절 운동을 위한 턱관절 근육의 근력 등을 정밀하게 체크해서 단순한 구강운동은 물론 물리치료와 재활치료 등과 같이 근력의 정밀한 데이터 수집이 요구되는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에 관한 것으로, 서포터; 치아가 삽입해 안착하는 호 형상의 안착홈이 평면에 구성되고, 상기 서포터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MOUTHPIECE AND EXERCISERS FOR TEMPOROMANDIBULAR TRAINING}
본 발명은 구강을 이루는 상악골과 하악골 간의 턱관절 운동범위와 턱관절 운동을 위한 턱관절 근육의 근력 등을 정밀하게 체크해서 단순한 구강운동은 물론 물리치료와 재활치료 등과 같이 근력의 정밀한 데이터 수집이 요구되는 치료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턱관절은 하악골과 측두 사이에 위치하여 두 뼈를 연결하는 관절이다. 턱관절은 모든 턱 운동의 중심축으로 작용하며 턱근육과 인대에 의해 지지 되는데, 이때 하악골와 측두골 사이에는 관절원판이 존재하며, 이 관절원판은 뼈와 뼈가 직접 만나 움직일 때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을 방지하는 완충(쿠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여러 요인에 의해서 개구(입 벌리기), 저작(씹는 행위), 말하기, 삼키기 등의 복합적인 턱관절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턱관절 장애가 발생한다.
특히, 턱관절 장애 환자 중에는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 개구 장애를 호소하는 환자들이 있다. 이런 환자들은 식사할 때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입을 벌리기 어려워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겪는다. 정상인의 경우 입이 45mm에서 55mm 정도 입이 벌어져야 하지만, 개구 장애를 가진 환자들은 30mm 정도만 벌어지고, 그보다 더 안 벌어지는 경우도 많다. 입을 여닫을 때 통증과 더불어 두통, 안면통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개구 장애의 원인은 근육의 강직, 근 경축, 턱관절 디스크의 변위, 외상 등 다양하며, 특히 턱관절 디스크의 변형이 개구 장애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이갈이나 이 악물기와 같은 턱에 무리를 주는 악 습관이 장기간 지속되면 턱관절 과두가 턱관절 디스크를 압박하여 턱관절 디스크가 얇게 변형되는데 이때 디스크가 전방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는 장시간의 치과 치료, 심한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저작근에 불수의적으로 강직이 오게 되면 갑작스러운 개구 장애가 올 수 있다. 이는 최소 4~6 주간의 물리치료와 운동요법으로 치료되거나 개선된다.
또한, 턱관절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도 개구 장애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재활 치료가 필수적인데, 턱관절 재활 치료에는 개구 운동, 물리치료, 장치치료 등이 있다. 특히 개구 운동은 환자 스스로 턱을 최대한 벌리는 동작을 수시로 행하거나, 턱관절 운동기를 이용하여 턱을 벌리는 동작을 하는 반복하는 치료 방법이다. 이는 의료진으로부터 개구 운동법을 배우거나 수동으로 동작시키는 개구 운동기의 사용법을 배워 환자 스스로 개구 운동을 한다.
그런데, 도 1(종래 턱관절 운동기의 동작에 따른 두개골 골격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에서 보인 대로, 종래 턱관절 운동기(200)의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는 턱관절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기 위해서 일정 간격으로 승하강하도록 동작한다. 즉,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가 서로를 기준으로 대향하게 직선운동을 하거나, 고정된 상측 마우스피스(221)를 기준으로 하측 마우스피스(222)가 대항하게 직선운동을 하면서 환자의 상악골(20)을 기준으로 하악골(30)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때, 하악골(30)은 직선운동하는 하측 마우스피스(222)의 힘을 받아서 측두골(10)의 턱관절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다시 말해 하악골(30)은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를 직접 물고 있는 상악골(20)의 윗치(21)와 하악골(30)의 아래치(31)에 힘을 가해서 하악골(30)을 상악골(20)로부터 강제로 이격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도 1의 (a)도면에서 보인 대로,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를 물고 있는 윗치(21)와 아래치(31) 전체가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에 고르게 분산되어 이루어지지만, 도 1의 (b)도면에서 보인 대로 하측 마우스피스(222)의 이동에 따라 벌어지는 상악골(20)의 윗치(21)와 하악골(30)의 아래치(31)는 각각 그 일부만이 각각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와 접하면서 집중적인 압력을 받게 된다. 즉,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의 압력이 윗치(21)와 아래치(31) 일부에만 집중적으로 가해져서 치아에 무리를 주는 것이다.
한편, 턱관절 운동기(200)는 하악골(30)의 턱관절과 관절근육을 강화하기 위한 건강보조기구이므로, 턱관절 운동기(200)의 본체(210)에는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부재(미도시됨)와 상기 동력부재의 동력을 체킹하는 감지부재(미도시됨)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재는 동력부재의 동력 자체를 체킹하며, 이렇게 체킹한 동력을 관절근육의 근력으로 간주해 처리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는 상하로 승하강하는 직선운동을 하고, 하악골(30)은 턱관절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므로,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의 직선동력은 회전동력으로 변환하는 형태를 이룬다. 그런데 이러한 동력 변환은 벡터량의 변화로 인해서 턱관절 운동기(200)의 감지부재가 감지한 동력과 인체 관절근육의 근력 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물론 이러한 차이는 정밀한 턱관절 운동에 한계를 주는 원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도 2(종래 턱관절 운동기의 마우스피스와 치아 간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가 서로 접합한 상태에서는 윗치(21) 및 아래치(31) 전체가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를 고르게 접촉하고 있는 반면에, 도 2의 (b)도면 및 (c)도면에서 각각 보인 바와 같이,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가 직선이동하면 윗치(21) 및 아래치(31)의 일지점(A', A", B', B")만이 각각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와 접촉한다. 이때,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와 접하게 되는 위치(21) 및 아래치(31)의 일지점(A', A", B', B")은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의 이동간격이 벌어질수록 윗치(21) 및 아래치(31) 각각의 앞니쪽으로 이동한다. 즉,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의 직선동력은 입을 벌리기 위한 관절근육과 일지점(A', A", B', B")의 위치 변화를 위한 마찰력으로 분산되는 것이다.
더욱이 윗치(21)와 아래치(31)는 다수의 치아가 집적해 이루어지므로, 윗치(21)와 아래치(31)는 말단부에 굴곡이 발생한다. 물론 이러한 굴곡은 일지점(A', A", B', B")의 위치 변화를 위한 동력을 증가시키므로, 상,하측 마우스피스(221, 222)의 직선동력과 관절근육의 근력 간 차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다.
선행기술문헌 1. 미국공개특허번호 제US 2007/0089752호(2007.04.26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구강악력 강화를 위한 단순 구강 운동은 물론이고, 턱관절근육의 근력을 수치로 정밀하게 체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물리치료 또는 재활치료 등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포터; 및
치아가 삽입해 안착하는 호 형상의 안착홈이 평면에 구성되고, 상기 서포터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리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이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에 내설되는 기준대;
상기 본체에서 상기 기준대와 나란함을 유지하며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내설되고, 암나사를 구비한 승강대;
상기 암나사를 관통하며 나선결합하는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기준대와 상기 승강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서포터와, 치아가 삽입해 안착하는 호 형상의 안착홈이 평면에 구성되고 상기 서포터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리 플레이트를 갖춘 마우스피스;
를 포함하는 턱관절 운동기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구강악력 강화를 위한 단순 구강 운동은 물론이고, 턱관절근육의 근력을 수치로 정밀하게 체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물리치료 또는 재활치료 등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턱관절 운동기의 동작에 따른 두개골 골격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 턱관절 운동기의 마우스피스와 치아 간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마우스피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운동기에 마우스피스가 결합하는 측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운동기의 동작에 따른 두개골 골격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와 상,하악골 간의 역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마우스피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의 마우스피스(100)는, 턱관절 운동기(200; 도 5 참조)에 연결되는 서포터(120); 치아가 삽입해 안착하는 호 형상의 안착홈(113)이 평면에 구성되고, 서포터(1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리 플레이트(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포터(120)는 로터리 플레이트(110)가 안착하는 받침돌기(121)가 돌출해 형성되고, 받침돌기(121)의 선단을 따라 회전축대(122)가 돌출되며,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저면에는 회전축대(122)가 삽입해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축홈(114)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대(122)는 축홈(114)과의 긴밀한 맞물림을 위한 신축성을 갖도록, 회전축대(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갈림홈(12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축홈(114)은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로터리 플레이트(110)는 안착홈(113)에 삽입된 치아의 이탈 방지를 위해서, 안착홈(113)의 선단과 후단을 따라 펜스(111, 112)가 형성된다.
이외에도 본 실시의 마우스피스(100)는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안착홈(113)에 탈부착하는 쿠션 재질의 패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포터(120)는 턱관절 운동기(200)와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 삽탈홈(123; 도 5 참고)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의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의 마우스피스(100)는 서포터(120)와 로터리 플레이트(110)로 구성되며, 로터리 플레이트(110)는 서포터(12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로터리 플레이트(110)는 사용자의 윗치(21) 또는 아래치(31)가 삽입되는 안착홈(113)을 형성하는데, 안착홈(113)은 윗치(21)와 아래치(31)의 배열 형상에 상응하는 호 형상을 이룬다.
또한 로터리 플레이트(110)가 회전 중에 윗치(21) 또는 아래치(31)가 안착홈(113)으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펜스(111, 112)가 안착홈(113)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구성되어서,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회전 중에도 안착홈(113)에 삽입된 윗치(21) 또는 아래치(31)는 현 자세를 유지하는 한편, 마우스피스(100)의 로터리 플레이트(110) 역시 윗치(21)와 아래치(31)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마우스피스(100)는 사용자의 구강 안으로 삽입될 수 있어야 하므로 전체 좌우 폭에는 한계가 있고, 안착홈(113)에 삽입되는 윗치(21)와 아래치(31)는 그 범위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안착홈(113)의 일측 또는 양측은 개방된 형태로 되어서, 안착홈(113)에 삽입되지 못한 윗치(21) 또는 아래치(31)의 어금니쪽은 펜스(111, 112)에 의한 걸림 없이 안착홈(113)으로부터 인출된다.
본 실시의 로터리 플레이트(110) 일단은 안착홈(113)과 인접한 단면이 안착홈(113)에 대응하는 호 형상을 이루고, 로터리 플레이트(110)와 접하는 서포터(120)의 측면 또한 호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강으로 삽입된 로터리 플레이트(110)에 혀가 불편을 느끼지 않도록,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타단도 호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포터(120)는 턱관절 운동기(200)에 연결되며, 이를 위해서 일측면에는 턱관절 운동기(200)의 걸이(231, 231'; 도 5 참고)가 삽탈하는 삽탈홈(123, 123')이 형성된다. 여기서 서포터(120)는 턱관절 운동기(200)와 일체일 수도 있지만, 본 실시의 마우스피스(100)는 턱관절 운동기(200)와 독립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의 걸이(231, 231')는 삽탈홈(123, 123')에 탈부착 가능한 고리 형태를 이루고, 이에 대응해서 삽탈홈(123, 123')은 걸이(231, 231')의 형태에 상응하는 홈 형상을 이루면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턱관절 운동기(200)의 걸이(231, 231')가 마우스피스(100)의 삽탈홈(123, 123')의 개방구로 슬라이딩하며 삽탈하도록 된다.
계속해서, 서포터(120)는 로터리 플레이트(110)가 안착하도록 돌출되는 평판 형상의 받침돌기(121)를 구성한다. 본 실시의 받침돌기(121)는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안착홈(113)이 위치하는 부분의 저면만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며, 받침돌기(121)의 선단에는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대(122)가 곧게 형성된다. 이에 상응해서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저면에는 회전축대(122)가 삽입해 맞물리는 축홈(114)이 형성된다. 결국, 로터리 플레이트(110)는 회전축대(122) 및 축홈(11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참고로, 본 실시의 회전축대(122)는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 원형의 막대 형상을 이루며, 축홈(114)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축홈(114)의 내면에 밀착하기 위한 신축성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갈림홈(122a)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축대(122)는 갈림홈(122a)을 중심으로 분리된 각 편이 다소 유동성을 갖게 되고, 회전축대(122)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는 축홈(114)으로도 삽입 가능하므로, 로터리 플레이트(110)와 서포터(120)는 긴밀한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회전축대(122)는 받침돌기(121)의 선단을 따라 상방으로 편중하게 돌출된 형태를 이루므로, 받침돌기(121)에 안착된 로터리 플레이트(110)는 상방으로 돌출된 회전축대(122)를 중심으로 해서 일단부 저면은 받침돌기(121)에 안착하고, 타단부 저면은 걸림 없이 위치한다. 따라서 로터리 플레이트(110)는 받침돌기(121)와 접하는 상기 일단부 저면 방향으로는 회전이 저지되나, 상기 타단부 저면 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정 각도 이상을 회전한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축홈(114) 단부(114a)는 받침돌기(121)의 선단 측면과 접하면서 회전이 저지되므로(도 8의 (c)도면 참고),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회전범위는 일정각도로 제한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의 마우스피스(100)는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무리한 흔들림을 저지할 수 있고, 턱관절 운동기(200)와의 결합시에도 서포터(120)와 로터리 플레이트(110)가 나란한 기본 자세를 유지해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00)를 물기 위해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위치를 일일이 맞추며 사용해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의 마우스피스(100)는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안착홈(113)에 탈부착하는 쿠션 재질의 패드(130)를 포함한다. 패드(130)는 사용자의 치아가 직접 닿게 되는 안착홈(113)이 쿠션 기능을 갖도록 보완해서, 사용자가 마우스피스(100)를 물 때 잇몸 등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고, 이로 인한 사용자의 통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마우스피스(100)는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고, 안착홈(113)으로는 치아가 직접 닿게 되므로, 패드(13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해서 사용자에 따라 교체하거나 살균 등의 처리를 통해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130)는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쿠션 효율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운동기에 마우스피스가 결합하는 측면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의 턱관절 운동기(200)는, 중공을 갖는 본체(210); 본체(210)에 내설되는 기준대(230); 본체(210)에서 기준대(230)와 나란함을 유지하며 스크류축(241)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내설되고, 암나사를 구비한 승강대(230'); 상기 암나사를 관통하며 나선결합한 스크류축(24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40); 구동모터(2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260); 구동모터(24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8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대(230)와 승강대(230')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는 본 실시의 마우스피스(100)가 연결되되, 기준대(230)에 연결되는 마우스피스(100)는 윗치(21)와 맞닿도록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안착홈(113)이 상방을 향하게 하고, 승강대(230')에 연결되는 마우스피스(100')는 아래치(31)와 맞닿도록 로터리 플레이트(110'; 도 6 참고)의 안착홈이 하방을 향하게 한다.
더 나아가 본 실시의 턱관절 운동기(200)는 구동모터(240)에 인가되는 전력량과 스크류축(241)의 회전수를 센싱하는 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하고, 제어모듈(260)은 감지센서(250)가 센싱한 스크류축(241)의 회전수 감소를 확인해서 구동모터(240)에 가해지는 구동 펄스폭비율(DUTY RATE)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어모듈(260)은 감지센서(250)가 센싱한 구동모터(240)의 소모전력을 확인해서 구동모터(240)에 걸리는 부하 확인을 통해 마우스피스(100)가 받는 압력 변화를 확인한다.
한편, 턱관절 운동기(20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마우스피스(100, 100')는 사용자의 윗치(21) 및 아래치(31)와 각각의 안착홈(113)에 정확히 삽입되어야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인체의 구강은 윗치(21)가 아래치(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윗치(21)가 맞닿는 마우스피스(100)는 아래치(31)가 맞닿는 마우스피스(100')에 비해 턱관절 운동기(200) 쪽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의 승강대(230')는 기준대(230)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형태로 되어서, 승강대(230')가 본체(210)로부터 길게 인출되므로, 동일한 규격의 마우스피스(100, 100')도 기준대(230)와 승강대(230')에 각각 연결되면 인체의 윗치(21)와 아래치(31)에 맞는 배치 형태를 이룬다.
본 실시에서는 기준대(230)와 승강대(230')의 길이에 차이를 두었으나, 이외에도 기준대(230)와 승강대(230')의 길이는 일정하게 하고, 마우스피스(100, 100') 자체를 윗치(21) 전용과 아래치(31) 전용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아래치(31) 전용 마우스피스는 윗치(21) 전용 마우스피스에 비해 서포터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태를 이룬다.
이외에도 본 실시의 턱관절 운동기(200)는 외부 통신망과의 통신을 위한 중계기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모듈(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270)은 턱관절 운동기(200)가 계측한 사용자의 턱관절 근육의 근력 데이터를 중계기 등에 보내서 기록하고, 이렇게 기록된 수집데이터를 전문가 등에게 발송해서, 비전문가인 사용자도 구강 운동을 직접 수행하여 전문가에게 원격으로 관리를 받을 수 있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턱관절 운동기의 동작에 따른 두개골 골격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의 (a)도면은 사용자가 한 쌍의 마우스피스(100, 100')를 물고 턱관절 운동을 준비 중에 있음을 보인다. 이러한 준비 중에도 한 쌍의 마우스피스(100, 100')의 자체 두께로 인해서 사용자의 하악골(30)은 상악골(20)과 벌어진 상태가 된다.
그런데 상악골(20)과 하악골(30)이 서로 멀어지면 윗치(21)와 아래치(31)는 이전보다 더욱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본 실시의 마우스피스(100, 100')는 서포터(120, 120')를 기준으로 로터리 플레이트(110, 110')가 회전하면서 윗치(21)와 아래치(31)의 경사에 맞춰지고,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마우스피스(100, 100')의 로터리 플레이트(110, 110')의 안착홈(113)과 각각 맞닿는 윗치(21)와 아래치(31) 전체가 안착홈(113)으로부터 이탈됨 없이 안락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6의 (b)도면은 턱관절 운동기(200)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마우스피스(100, 100')가 서로 멀어지고, 마우스피스(100, 100')가 가하는 밀림에 의해서 하악골(30)이 상악골(20)로부터 더욱 벌어진다.
이 경우엔 턱관절 운동기(200)의 본체(210)를 쥐고 있는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한 쌍의 마우스피스(100, 100')의 로터리 플레이트(110, 110')는 서로 다른 회전각도를 이룬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로터리 플레이트(110, 110')는 윗치(21)와 아래치(31)의 경사도에 맞춰 회전하므로, 사용자는 마우스피스(100, 100')의 로터리 플레이트(110, 110')의 안착홈(113)과 각각 맞닿는 윗치(21)와 아래치(31) 전체가 안착홈(113)으로부터 이탈됨 없이 안락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와 상,하악골 간의 역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서포터(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터리 플레이트(110)는 치아(본 설명에서는 '윗치(21)'로 함)의 경사각을 따라 회전하면서 윗치(21)와의 맞물림을 항시 유지하므로, 로터리 플레이트(110)의 안착홈(113)에 삽입된 윗치(21)는 사용자 구강의 벌림 정도에 상관없이 안착홈(113)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그 자세를 유지한다. 따라서 윗치(21)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은 로터리 플레이트(110) 전체가 항시 받게 되고, 로터리 플레이트(110)가 받는 상기 압력의 전체는 서포터(120)의 회전축대(122)로만 집중된다. 물론, 상기 압력은 회전축대(122)를 통해 서포터(120)에 전달되고, 이렇게 전달된 압력은 그대로 스크류축(241)의 회전에 가해지는 부하가 된다.
결국, 사용자 구강의 벌림 정도에 상관없이 사용자는 항상 안락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고, 하악골(30)의 움직임을 위한 관절근육의 근력은 소실없이 턱관절 운동기(200)에 전달되어서, 턱관절 운동기(200)는 사용자 턱관절의 관절근육 강화와 치료 등을 위한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측두골 20; 상악골 21; 윗치
30; 하악골 31; 아래치
100, 100'; 마우스피스 110, 110'; 로터리 플레이트
111, 112; 펜스 113; 안착홈 114; 축홈
120, 120'; 서포터 121; 받침돌기 122; 회전축대
122a; 갈림홈 123, 123'; 삽탈홈 130; 패드
200; 턱관절 운동기 210; 본체 221; 상측 마우스피스
222; 하측 마우스피스 230; 기준대 230'; 승강대
240; 구동모터 241; 스크류축 250; 감지센서
260; 제어모듈 270; 통신모듈 280; 배터리

Claims (8)

  1. 서포터; 치아가 삽입해 안착하는 호 형상의 안착홈이 평면에 구성되고, 상기 서포터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리 플레이트;를 포함한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로터리 플레이트가 안착하는 받침돌기가 돌출해 형성되고, 상기 받침돌기의 선단을 따라 회전축대가 돌출되며;
    상기 로터리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축대가 삽입해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축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대는 상기 축홈과의 긴밀한 맞물림을 위한 신축성을 갖도록, 상기 회전축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갈림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플레이트는, 상기 안착홈에 삽입된 치아의 이탈 방지를 위해서, 상기 안착홈의 선단과 후단을 따라 펜스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플레이트의 안착홈에 탈부착하는 쿠션 재질의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턱관절 운동기와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일측면에 삽탈홈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
  7. 기준대;
    상기 기준대와 나란하도록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암나사를 구비한 승강대;
    상기 암나사를 관통하며 나선결합한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기준대와 상기 승강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에 설치되는 서포터와, 치아가 삽입해 안착하는 호 형상의 안착홈이 평면에 구성되고 상기 서포터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터리 플레이트를 갖춘 마우스피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운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는 상기 기준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인출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턱관절 운동기.
KR1020160164940A 2016-12-06 2016-12-06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 KR101861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940A KR101861206B1 (ko) 2016-12-06 2016-12-06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940A KR101861206B1 (ko) 2016-12-06 2016-12-06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206B1 true KR101861206B1 (ko) 2018-05-25

Family

ID=6229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940A KR101861206B1 (ko) 2016-12-06 2016-12-06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2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596A (ko) 2019-02-28 2020-09-08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근력 향상장치 및 구강근력 향상장치 제조시스템
KR20200105590A (ko) * 2019-02-28 2020-09-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개구장애 재활장치
CN113940657A (zh) * 2021-10-22 2022-01-18 宁波口腔医院集团有限公司 一种颞下颌关节动态核磁共振的检查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1818B2 (ja) * 1998-07-17 2008-12-03 正俊 大西 顎運動装置
WO2009150685A2 (en) 2008-06-09 2009-12-17 Bodyreset S.R.L. Apparatus for mechanical stimulation for improving articular fun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s
WO2011162604A1 (en) * 2010-06-21 2011-12-29 Endeavor Yachts B.V. Device and method against effects of bruxism
EP2937071A1 (en) 2012-12-19 2015-10-28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Mouth-opening training device
US9220653B2 (en) 2011-08-15 2015-12-29 Therapeutic Mobilization Devices, L.L.C.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emporomandibular joint range of motion and strengthening/massaging jaw musc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1818B2 (ja) * 1998-07-17 2008-12-03 正俊 大西 顎運動装置
WO2009150685A2 (en) 2008-06-09 2009-12-17 Bodyreset S.R.L. Apparatus for mechanical stimulation for improving articular fun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s
WO2011162604A1 (en) * 2010-06-21 2011-12-29 Endeavor Yachts B.V. Device and method against effects of bruxism
US9220653B2 (en) 2011-08-15 2015-12-29 Therapeutic Mobilization Devices, L.L.C. Method and device for improving temporomandibular joint range of motion and strengthening/massaging jaw muscles
EP2937071A1 (en) 2012-12-19 2015-10-28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Tokyo Medical and Dental University Mouth-opening training de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5596A (ko) 2019-02-28 2020-09-08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근력 향상장치 및 구강근력 향상장치 제조시스템
KR20200105590A (ko) * 2019-02-28 2020-09-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개구장애 재활장치
KR102161608B1 (ko) 2019-02-28 2020-10-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개구장애 재활장치
CN113940657A (zh) * 2021-10-22 2022-01-18 宁波口腔医院集团有限公司 一种颞下颌关节动态核磁共振的检查装置
CN113940657B (zh) * 2021-10-22 2024-02-23 宁波口腔医院集团有限公司 一种颞下颌关节动态核磁共振的检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3979B2 (ja) 口腔周辺筋強化用マウスピース
EP3052044B1 (en) Patient controlled dental device
AU6422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treatment
US20070224567A1 (en) Dental orthotic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200053548A (ko) 구강 훈련 기구
US20180214332A1 (en) Maxillofacial rehabilitation device
US4955367A (en) Cam-operated oscillator system for the mandible
KR101861206B1 (ko)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
KR100686607B1 (ko) 혀보호대가 구비된 치과환자용 개구기
US2023038101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treating mouth and jaw disorders
KR101929187B1 (ko) 턱관절 운동기
US8105210B2 (en) Jaw relaxation exercise appliance
US20230000663A1 (en) Maxillary and mandibular devices that prevent disengagement therebetween, controller station, and methods of treating and/or diagnosing medical disorders
JPH05317335A (ja) 顎関節の位置のずれを矯正する装置
EP4094717B1 (en) System for generating occlusal loading based on simulated human ingestion actions
WO2009150685A2 (en) Apparatus for mechanical stimulation for improving articular function of temporomandibular joints
KR102425662B1 (ko) 턱관절 교정 장치
CN113164228B (zh) 悬臂牵引装置
WO2018154425A1 (en) Physio-therapeutic device for guided mouth opening
JP6120780B2 (ja) 口腔装置
CN218279864U (zh) 一种口腔矫形支撑钳
JP6557398B1 (ja) 調整板
CN213098442U (zh) 一种带舌导器的隐形矫治器
CN215230098U (zh) 腮部肌肉功能康复训练装置
WO2023195959A1 (en) Jaw-unlock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