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1608B1 - 개구장애 재활장치 - Google Patents

개구장애 재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1608B1
KR102161608B1 KR1020190024123A KR20190024123A KR102161608B1 KR 102161608 B1 KR102161608 B1 KR 102161608B1 KR 1020190024123 A KR1020190024123 A KR 1020190024123A KR 20190024123 A KR20190024123 A KR 20190024123A KR 102161608 B1 KR102161608 B1 KR 10216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mouthpiece
opening
teeth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590A (ko
Inventor
권호범
이정배
최성재
김규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디메텍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4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1608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1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 A63B23/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 A63B23/03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head or the neck for face muscles for insertion in the 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개구장애 재활장치는 장치 몸체부와;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고정되는 마우스피스 고정부와;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와의 상하 간격이 가변되는 마우스피스 이동부와; 상기 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에 포함되는 기어이에 순차적으로 걸려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를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 및, 상기 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의 걸림 동작을 실시 또는 해제시키는 이동 규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구장애 재활장치{Apparatus for Rehabilitating trismus}
본 발명은 개구장애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턱관절 장애 환자 및 악안면 결손으로 개구장애를 겪고 있는 환자의 치료와 훈련을 위한 개구장애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개구장애(Trismus)는 환자가 정상적인 범위로 입을 벌리지 못하는 모든 상태의 장애를 말한다.
정상적인 개구량은 개략적으로 40-60 mm 정도이다. 상기 개구량은 상하악 전치 사이의 거리 측정하여 취득된다.
임상적으로 개구량을 측정하는 방법은 검지 손가락의 손톱 부위의 폭(FB: Finger breadth)을 사용한다.
상기 검지 손가락의 손톱 부위의 폭은 대개 17-19mm 정도를 이루며, 정상적으로 환자들은 2FB, 3FB가 정상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남성의 개구량이 여성에 비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구장애(Trismus)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음식섭취를 힘들게 하여(스프, 미음 등의 식이제한) 영양 상태의 불균형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구강 위생이 불량해 질 수 있다. 치과 치료를 하기 어렵다. 언어 장애가 발생된다. 안면 외형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준다. 목, 어깨 통증 및 합병증을 유발한다. 사회 활동에도 영향을 주며, 우울감을 동반해 결과적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낳는 문제점들이 있다
개구 장애(Trismus)의 원인과 질환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다. 개구장애의 주요 원인 질환으로는 측두하악관절장애, 악관절 강직, 구강암, 두경부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약물치료, 치성감염, 악안면골절, 선천성 질환, 관절염, 화상, 피부경화증, 기타질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악안면 골절(교통사고, 외상, 폭력, 낙상 등의 이유)로 인해 발생할 수 있고 특히 하악골절의 경우 동통으로 인해서도 개구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편측성일 경우 86.7%, 양측성일 경우 100% 개구장애가 나타난다. 그 밖에 파상풍 감염을 보이는 환자의 약 75%에서 개구장애가 관찰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로 보아서는 구간의 약 5%에서 개구장애 증상을 보인다고 집계되고 있다 (통계청, 2010년) 대한민국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8년-2012년까지'턱관절 장애'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진료인원은 연평균 9.3%씩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른 개구 장애를 극복 또는 예방할 수 있도록 환자의 마우스 개구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함과 아울러, 측정된 개구량으로 반복적으로 개구 훈련을 자발적으로 실시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109283호(공개일: 2016.09.21)가 있다.
본 발명의제 1목적은환자의 개구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환자의 개구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환자의 개구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환자 개인의 치아 교합면에서의 압력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개구장애 재활장치는 장치 몸체부와;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고정되는 마우스피스 고정부와;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와의 상하 간격이 가변되는 마우스피스 이동부와;상기 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에 포함되는 기어이에 순차적으로 걸려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를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 및,상기 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의 걸림 동작을 실시 또는 해제시키는 이동 규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는 상하를 따라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는,상기 이동홈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홈을 따라 승강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는,상기 이동홈에 배치되며, 후면부에 상기 기어이가 형성되는 판 상의 이동 플레이트와,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하악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악 지지 부재는,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의 상악 지지 부재와 상하를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치 몸체부의 상기 전방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는,상기 개구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개구의일측에 상하 회전되도록 제 1힌지 연결되는 누름 레버 몸체와,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이에 탄성을 통해 순차적으로 걸리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 부재는,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이 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 제 2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걸림 부재의 상단에 상기 기어이에 걸리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걸림단을 갖고,
상기 제 2힌지에는, 상기 걸림단이 상기 기어이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유도하는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 전방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규제부 몸체와,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어이에 강제 걸림 또는 해제되는 규제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강제 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하단에는, 규제바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바가 형성되되,
상기 규제바는, 상기 걸림바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강제 접촉 또는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제바의 하단에는, 후방측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개구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의 상하 폭을 지시하는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악 지지 부재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 각각에는, 슬라이딩 탈착 가능한 탄성 재질의 교합면 부재가 각각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상악 지지 부재에는, 사용자의 상악 치아들이 교합되는 상측 교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하악 지지 부재에는, 사용자의 하악 치아들이 교합되는 하측 교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상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 1압력값들을 측정하여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1압력 센서들이 배치되고,
상기 하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 2압력값들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압력 센서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 1,2압력값들을 외부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1접촉부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 1접촉부들 각각은, 승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과, 상기 제 1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1접촉단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접촉부들 각각은, 승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과, 상기 제 2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2접촉단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압력값들이 기설정되는 제 1기준 압력값에 이르도록 상기 제 1실린더들의 제 1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1접촉단들과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 사이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키고,
상기 제 2압력값들이 기설정되는 제 2기준 압력값에 이르도록 상기 제 2실린더들의 제 2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2접촉단들과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 사이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환자의 개구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개구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개구량을 조절함과 동시에 환자 개인의 치아 교합면에서의 압력 분포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이동부의 이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이동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개구량이가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규제부를 통해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플레이트의 규제 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하부)" 또는기재의 "상 (또는하)"에임의의구성이구비또는배치된다는것은, 임의의구성이상기기재의상면 (또는하면)에접하여구비또는배치되는것을의미한다.
또한, 상기기재와기재상에 (또는하에) 구비또는배치된임의의구성사이에다른구성을포함하지않는것으로한정하는것은아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장치 몸체부(100)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개구장애 재활장치는 장치 몸체부(100)를 갖는다.
상기 장치 몸체부(100)는 측면부에서 볼때 전체적으로 'ㄱ'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장치 몸체부(100)는 제 1몸체(110)와 제 2몸체(120)를 갖는다. 상기 제 1몸체(110)는 일정 길이를 이루는 수평 몸체이다.
상기 제 1몸체(110)의 상단에는 일정 폭을 갖는 개구(111)가 형성된다.
상기 제 2몸체(120)는 상기 제 1몸체(110)의 일측에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 2몸체(120)는 제 1몸체(110)와 일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하를 따라 형성되는 몸체이다.
상기 제 2몸체(120)의 측부에는 상하를 따라 일정 길이를 이루는 이동홈(121)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이동홈(121)은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2몸체(120)의 상단에는 다른 개구(122)가 형성된다. 상기 다른 개구(122)는 후술되는 이동 플레이트()의 상단을 외부로 돌출시키는데 사용된다.
마우스피스 고정부(200)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고정부(200)는 장치 몸체부(100)의 전방부에 고정된다.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200)는 제 2몸체(120)의 일측에서전방측을 따라 돌출된다.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200)는 상술한 이동홈(121)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200)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상악 지지 부재(210)를 포함한다.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의 상단에는 사용자 또는 환자의 상악 차이가 접촉된다.
마우스피스 이동부(300)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는 장치 몸체부(100)의 전방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는 이동홈(121)을 따라 승강됨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200)와의 상하 간격이 가변된다.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는 이동 플레이트(310)와, 하악 지지 부재(320)를 구비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310)는 이동홈(121)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310)는 이동홈(121)을 따라 승강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310)는 제 2몸체(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다른 개구(122)를 통해 상방을 따라 돌출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는 판 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의 일단은 상기 이동 플레이트(310)에 고정된다.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의 타단은 상기 제 2몸체(120)의 전방측을 따라 돌출된다.
상기 이동 플레이트(310)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의 상하 폭을 지시하는 눈금이 형성된다.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에는, 사용자의 상악 치아들이 교합되는 상측 교합 부재(220)가 배치된다.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에는, 사용자의 하악 치아들이 교합되는 하측 교합 부재(321)가 배치된다.
강제 이동부(400)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이동부(400)는 상기 장치 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300)에 포함되는 기어이(311)에 순차적으로 걸려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300)를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이동 플레이트(310)의 후방부에는 기어이(31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제 이동부(400)는 누름 레버 몸체(410)와, 걸림 몸체(420)를 구비한다.
상기 누름 레버 몸체(410)는 제 1몸체(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개구(111)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개구(111)의 일측에 상하 회전되도록 제 1힌지(H1) 연결된다.
상기 걸림 몸체(420)는 상기 누름 레버 몸체(410)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이(311)에 탄성을 통해 순차적으로 걸린다.
상기 걸림 부재(420)의 하단은 상기 누름 레버 몸체(410)의 타단에 제 2힌지(H2)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걸림 부재(420)의 상단에는 상기 기어이(311)에 걸리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걸림단(421)을 갖는다.
상기 제 2힌지(H2)에는, 상기 걸림단(421)이 상기 기어이(311)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유도하는 탄성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동 규제부(500)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규제부(500)는 상기 장치 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400)의 걸림 동작을 실시 또는 해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 규제부(500)는 고정 몸체(510)와, 이동 규제부 몸체(520)와, 규제단(530)을 갖는다.
상기 고정 몸체(510)는 누름 레버 몸체(410)의 타단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 몸체(510)에는 수평 방향을 따르는 슬라이딩 홈(51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520)는 상기 슬라이딩 홈(5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상기 규제단(530)은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어이(311)에 강제 걸림 또는 해제된다.
여기서 상기 규제단(530)은 상기 기어이(311)에 끼워지도록 끝단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규제부(500)는 상기 강제 이동부(4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하단에는 하방을 따라 돌출되는 규제바(5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 부재(420)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바(421)가 형성된다.
상기 규제바(521)는 상기 걸림바(421)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520)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강제 접촉 또는 해제된다.
또한 상기 규제바(521)의 하단에는, 후방측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개구장애 재활장치를 사용하여 개구 훈련을 위한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이동부의 이동 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이동부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개구량이가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규제부를 통해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규제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플레이트의 규제 상태가 해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개구량 측정 전의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는 이동 전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는 마우스피스 고정부(200)와 서로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
이때 이동 규제부 몸체(520)는 슬라이딩 홈(511)에서 전방측으로 이동되며,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전단에 형성된 규제단(530)은 이동 플레이트(310)의 후단에 형성된 일정 위치의 기어이(311)에 맞물릴 수 있다.
이에 이동 플레이트(310)는 승강 이동이 규제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의 상태에서 환자의 개구량을 측정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상악 치아는 마우스피스 고정부(200)의 상단에 마련된 상악 지지 부재(210)에 지지될 수 있다.
동시에 사용자의 하악 치아는 마우스피스 이동부(300)의 하단에 설치된 하악 지지 부재(320)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서로 밀착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피스 고정부(200) 및 마우스피스 이동부(300)를 상악 및 하악 치아를 사용하여 입에 문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동 규제부 몸체(520)를 슬라이딩 홈(511)을 따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단부에 형성된 규제단(530)은 이동 플레이트(310)의 기이어(311)로부터 분리된다.
동시에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된 규제바(521)는 걸림 부재(420)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바(422)를 후방측으로 당길 수 있다.
이때, 걸림 부재(420)는 제 2힌지(H2)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되 탄성 스프링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플레이트(310)는 상하를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마우스피스 이동부(300)의 하악 지지 부재(32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악 지지 부재(210)와의 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다. 동시에 이동 플레이트(310)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즉 하악 지지 부재(320)와 상악 지지 부재(210)와의 간격이 점차적으로 벌어지면서 환자의 개구량이 증가될 수 있다.
동시에 이동 플레이트(310)는 이동홈(121)을 따라 하강되어 일정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 플레이트(310)의 전단에 형성된 기어이(311)는 해당 위치에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이 일정의 개구량을 이루도록 상악 지지 부재(210)와 하악 지지 부재(320)가 벌어진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규제부(500)는 해당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동 규제부 몸체(520)를 고정 몸체(510)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511)을 따라 우측(제 2몸체의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규제바(521)의 하단은 걸림바(422)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걸림바(422)는 규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동시에 걸림 부재(420)는 탄성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된다.
회전되는 걸림 부재(420)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단(421)은 해당 위치에서 마주보는 이동 플레이트(310)의 일정 위치 기어이(311)에 끼워져 맞물리게 된다.
또한 이동 규제부 몸체(520)의 끝단에 형성된 규제단(530)은 전방측으로 이동하여 해당 위치에서 마주보는 이동 플레이트(310)의 기어이(311)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이동 플레이트(310)의 이동은 규제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규제를 해제하는 경우 이동 플레이트(310)는 별도의 탄성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0~50mm 또는 그 이상의 여러 단계를 이루는 기어이를사용함으로서, 개구량을세밀하게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플레이트에 눈금을 표시함으로써, 별도의 측정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장치 몸체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눈금을 통해 개구량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악 지지 부재(210)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320) 각각에는, 슬라이딩 탈착 가능한 탄성 재질의 교합면 부재(220, 321)가 각각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다른 환자에게 적용하는 경우 해당 교합면 부재(220, 321)를 교체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교합면 부재(220, 321)는 의료용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특히,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 1압력값들을 측정하여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1압력 센서들이 배치된다.
상기 하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 2압력값들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압력 센서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어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 1,2압력값들을 외부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상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1접촉부들이 배치된다.
상기 제 1접촉부들 각각은, 승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과, 상기 제 1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1접촉단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 2접촉부들 각각은, 승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과, 상기 제 2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2접촉단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압력값들이 기설정되는 제 1기준 압력값에 이르도록 상기 제 1실린더들의 제 1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1접촉단들과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 사이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킨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2압력값들이 기설정되는 제 2기준 압력값에 이르도록 상기 제 2실린더들의 제 2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2접촉단들과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 사이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킬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환자가 일정의 개구량을 이루는 상태를 이룸과 아울러, 이의 상태에서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치아들 각각에 균등한 압력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개구 운동에 있어서 각 치아들에 불균등한 힘 작용으로 인해 척 근육에 무리를 주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는 여러가지 실시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 만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것으로 이해되어야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의하여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것으로 해석되어야한다.
100 : 장치 몸체부
110 : 제 1몸체
120 : 제 2몸체
121 :이동홈
200 : 마우스피스 고정부
210 :상악 지지 부재
300 : 마우스피스 이동부
310 : 이동 플레이트
311 : 기어이
320 :하악 지지 부재
400 : 강제 이동부
410 : 누름 레버 몸체
420 : 걸림 몸체
500 : 이동 규제부
510 :고정 몸체
520 : 이동 규제부 몸체
530 :규제단

Claims (10)

  1. 장치 몸체부;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고정되는 마우스피스 고정부;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승강됨에 따라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와의 상하 간격이 가변되는 마우스피스 이동부;
    상기 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에 포함되는 기어이에 순차적으로 걸려 상기 마우스 피스이동부를 설정된 간격으로 순차적 이동시키는 강제 이동부; 및,
    상기 장치 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의 걸림 동작을 실시 또는 해제시키는 이동 규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부에는 상하를 따라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되는 이동홈이 형성되고,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는,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홈을 따라 승강 이동되고,
    상기 마우스피스 이동부는,
    상기 이동홈에 배치되며, 후면부에 상기 기어이가 형성되는 판 상의 이동 플레이트와,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장치 몸체부의 전방측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하악 지지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하악 지지 부재는,
    상기 마우스피스 고정부의 상악 지지 부재와 상하를 따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이동 플레이트는 상기 장치 몸체부에 형성되는 다른개구를 통해 상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되,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전면부에는, 상기 상악 지지 부재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의 상하 폭을 지시하는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상악 지지 부재와 상기 하악 지지 부재 각각에는, 슬라이딩 탈착 가능한 탄성 재질의 교합면 부재가 각각 더 설치되되,
    상기 상악 지지 부재에는, 사용자의 상악 치아들이 교합되는 상측 교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하악 지지 부재에는, 사용자의 하악 치아들이 교합되는 하측 교합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상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 1압력값들을 측정하여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1압력 센서들이 배치되고,
    상기 하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경우 발생되는 제 2압력값들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 2압력 센서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 1,2압력값들을 외부에 표시하고,
    상기 상측 교합 부재에는,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1접촉부들이 배치되고,
    상기 제 1접촉부들 각각은, 승강되는 제 1축을 갖는 제 1실린더들과, 상기 제 1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1접촉단들을 포함하고,
    제 2접촉부들 각각은, 승강되는 제 2축을 갖는 제 2실린더들과, 상기 제 2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과 접촉되는 제 2접촉단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 1압력값들이 기설정되는 제 1기준 압력값에 이르도록 상기 제 1실린더들의 제 1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1접촉단들과 상기 상악 치아들 각각 사이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키고,
    상기 제 2압력값들이 기설정되는 제 2기준 압력값에 이르도록 상기 제 2실린더들의 제 2축을 승강시켜 상기 제 2접촉단들과 상기 하악 치아들 각각 사이의 접촉 정도를 가변시키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몸체부의 상기 전방부의 후방에 위치되는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강제 이동부는,
    상기 개구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개구의일측에 상하 회전되도록 제 1힌지 연결되는 누름 레버 몸체와,
    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이에 탄성을 통해 순차적으로 걸리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이 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 제 2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걸림 부재의 상단에 상기 기어이에 걸리도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걸림단을 갖고,
    상기 제 2힌지에는,
    상기 걸림단이 상기 기어이에 탄성적으로 걸리도록 유도하는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누름 레버 몸체의 타단에전방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 규제부 몸체와,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타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어이에 강제 걸림 또는 해제되는 규제단을 포함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규제부는, 상기 강제 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의 하단에는, 규제바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 부재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바가 형성되되,
    상기 규제바는,
    상기 걸림바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규제부 몸체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경우 강제 접촉 또는 해제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바의 하단에는,
    후방측을 따라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개구장애 재활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24123A 2019-02-28 2019-02-28 개구장애 재활장치 KR102161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23A KR102161608B1 (ko) 2019-02-28 2019-02-28 개구장애 재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23A KR102161608B1 (ko) 2019-02-28 2019-02-28 개구장애 재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590A KR20200105590A (ko) 2020-09-08
KR102161608B1 true KR102161608B1 (ko) 2020-10-06

Family

ID=7245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123A KR102161608B1 (ko) 2019-02-28 2019-02-28 개구장애 재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16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9752A1 (en) * 2005-10-21 2007-04-26 Craniomandibular Rehab, Inc. Tissue stretching device
KR101566146B1 (ko) 2015-03-17 2015-11-06 이성완 저작근 운동 기구
KR101861206B1 (ko) 2016-12-06 2018-05-25 윤태흠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420A (en) * 1988-11-28 1991-07-30 Therabite Corporation Jaw exerciser
KR20150104749A (ko) * 2014-03-06 2015-09-16 김용락 입 운동 장치
KR101929187B1 (ko) * 2016-12-06 2018-12-14 윤태흠 턱관절 운동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89752A1 (en) * 2005-10-21 2007-04-26 Craniomandibular Rehab, Inc. Tissue stretching device
KR101566146B1 (ko) 2015-03-17 2015-11-06 이성완 저작근 운동 기구
KR101861206B1 (ko) 2016-12-06 2018-05-25 윤태흠 턱관절 운동용 마우스피스와 턱관절 운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590A (ko)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llagher et al. Maxillary protraction: treatment and posttreatment effects
Dawson Centric relation: Its effect on occluso-muscle harmony
Tingey et al. Mandibular rest position: a reliable position influenced by head support and body posture
Klocke et al. Anterior open bite in the deciduous dentition: longitudinal follow-up and craniofacial growth considerations
Tollaro et al. Mandibular skeletal changes induced by early functional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sion: A superimposition study
Gopi Chander et al. An appraisal on increasing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in full occlusal rehabilitation and its outcome
Vela et al. Differences in craniofacial and d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Mexican Americans and European Americans
Riesmeijer et al. A comparison of craniofacial Class I and Class II growth patterns
Sabir et al. Maintaining occlusal stability by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occlusal scheme in complete removable prosthesis
Bourdiol et al. Only severe malocclusion correlates with mastication deficiency
CN107510511A (zh) 一种颞下颌关节正畸系统及其制作个性化矫治器的方法
KR102161608B1 (ko) 개구장애 재활장치
Maddalone et al.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of muscular origin with a silicon oral device (Alifix®): electromyographic analysis
Horton et al.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Hawley and perfector/spring aligner retainers on postorthodontic occlusion
Thongudomporn et al. The effect of maximum bite force on alveolar bone morphology
Doshi et al. Early management of skeletal open bite with spring-loaded and magnetic bite blocks.
Artese et al. Early treatment for anterior open bite: Choosing adequate treatment approaches.
Giglio et al. Orofacial functions and forces in male and female healthy young and adults
Klocke et al. Muscle activity with the mandibular lip bumper
Altmann Myofunctional therapy and orthognathic surgery
Hajimahmoudi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Inter-Occlusal-Distance and Closest Speaking Space in Different Angle’s Occlusion Classes
Negrutiu et al. Dietary habits and weight loss in orthodontic patients.
Mew Facial changes in identical twins treated by different orthodontic techniques.
US8444415B2 (en) Dental measurement apparatus and system
US20040241605A1 (en) Maxillary protraction device with chin-c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