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120B1 - 맛 감지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맛 감지 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120B1
KR101077120B1 KR1020100040759A KR20100040759A KR101077120B1 KR 101077120 B1 KR101077120 B1 KR 101077120B1 KR 1020100040759 A KR1020100040759 A KR 1020100040759A KR 20100040759 A KR20100040759 A KR 20100040759A KR 101077120 B1 KR101077120 B1 KR 10107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te
ball
tongue
model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중
Original Assignee
(주)미래세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래세움 filed Critical (주)미래세움
Priority to KR1020100040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태그가 부착된 공과 혀 모형을 이용하여 혀의 맛 감지 부위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맛 감지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학습장치는 태그가 부착된 맛 공; 혀의 맛 감지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수단이 분포되어 있는 혀 모형; 상기 혀 모형의 구강저 부위에서 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과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을 외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가 내부 공간에 형성된 모형 몸체; 상기 모형 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음향 시스템; 상기 모형 몸체에서 배출된 맛공을 보관하기 위한 공 보관함; 상기 맛공에 부착된 태그를 읽기 위한 RFID 리더;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여 맛 감지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효과적인 조명을 창출하는 조명 컨트롤러; 음성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 롬에 저장된 맛 음성과 효과음을 재생하여 상기 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사운드 프로세서; 및 상기 RFID 리더로부터 맛공의 태그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태그를 식별하여 감지된 맛 공에 따라 해당 표시수단을 점등하도록 조명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감지된 맛 공에 따라 해당 맛을 나타내는 음성이나 효과음을 재생하도록 음성 제어신호를 상기 사운드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맛 감지 학습장치{TESTE SENSING EDU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과학관 등에 전시하여 과학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과학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RFID 태그가 부착된 공과 혀 모형을 이용하여 혀의 맛 감지 부위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맛 감지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학관에는 테마별로 존을 구분하여 다양한 전시물이 전시되어 있다. 과학관에 전시된 전시물은 관람자 특히 어린이나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유익한 과학 학습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인체 중에서 혀는 구강저(口腔底)에서 구강으로 돌출한 근육성의 기관으로, 미각·저작 외에 언어의 발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표면은 점막으로 덮여 있고, 전체를 설근(舌根)·설체(舌體)·설첨(舌尖)의 세 부분으로 나눈다. 혀의 지각은 혀의 앞쪽 3분의 2를 삼차신경(三叉神叉經)이, 혀의 뒤쪽 3분의 1 부분을 혀인두신경과 미주신경이 담당한다. 혀의 점막에는 설선(舌腺)이라고 하는 작은 침샘[唾液腺]이 있어 건강한 사람의 혀는 반드럽고 윤이 나며 촉촉하다.
또한 혀에는 수 많은 맛을 느끼는 미뢰가 있기 때문에 혀로 맛을 느낄 수 있으나 각 부위에 특정 맛을 느끼는 미세포가 다르게 분포되어 있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맛과, 쓴맛, 신맛, 짠맛을 감지하는 부위가 서로 다르다.
한편, 어린이나 학생들에게 혀의 맛을 느끼는 부위를 학습시키기 위한 종래의 맛 감지 학습 전시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혀의 모형을 준비해놓고 부위별로 느끼는 맛을 표시해주는 정도여서 매우 단조로워 학습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RFID 태그가 부착된 공과 LED가 설치된 혀 모형 및 음향시설을 이용하여 재미있고 능동적으로 혀의 맛 감지 부위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맛 감지 학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학습장치는 태그가 부착된 맛 공; 혀의 맛 감지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수단이 분포되어 있는 혀 모형; 상기 혀 모형의 구강저 부위에서 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과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공을 외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가 내부 공간에 형성된 모형 몸체; 상기 모형 몸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음향 시스템; 상기 모형 몸체에서 배출된 맛공을 보관하기 위한 공 보관함; 상기 맛공에 부착된 태그를 읽기 위한 RFID 리더;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여 맛 감지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효과적인 조명을 창출하는 조명 컨트롤러; 음성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 롬에 저장된 맛 음성과 효과음을 재생하여 상기 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사운드 프로세서; 및 상기 RFID 리더로부터 맛공의 태그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태그를 식별하여 감지된 맛 공에 따라 해당 표시수단을 점등하도록 조명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 컨트롤러로 전달하고 감지된 맛 공에 따라 해당 맛을 나타내는 음성이나 효과음을 재생하도록 음성 제어신호를 상기 사운드 프로세서로 전달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맛공은 RFID 태그가 부착된 신맛 공, 제2 RFID 태그가 부착된 짠맛 공, 제3 RFID 태그가 부착된 단맛 공, 제4 RFID 태그가 부착된 쓴맛 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수단은 혀 모형에서 혀의 신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신맛 LED, 혀 모형에서 혀의 짠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짠맛 LED, 혀 모형에서 혀의 단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단맛 LED, 혀 모형에서 혀의 쓴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쓴맛 LED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혀 모형은 맛 공을 배출홀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ID 태그가 부착된 공과 맛 감지 부위를 나타내는 LED가 설치된 혀 모형 및 맛과 관련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향시설을 이용하여 재미있고 능동적으로 혀의 맛 감지 부위를 학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맛 감지 학습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맛 감지 학습장치의 구성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맛 감지 학습장치의 동작 순서도,
도 4는 일반적인 혀의 맛 감지 분포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맛 감지 학습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맛 감지 학습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혀의 맛감지 위치에 대응하여 신맛 LED(121)와 짠맛 LED(122), 단맛 LED(123), 쓴맛 LED(124)가 분포되어 있는 혀 모형(104)과, 혀 모형(104)의 구강저 부위에서 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103)과 배출홀(103)을 통해 배출되는 공을 외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105)가 내부 공간에 형성된 모형 몸체(102)와, 모형 몸체(10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음향 시스템(138)과, 모형 몸체(102)에서 배출된 공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106)과, 신맛 공(111), 짠맛 공(112), 단맛 공(113), 쓴맛 공(114)으로 구성된다. 혀 모형(104)에는 맛 공(111~114)을 굴릴 때 공이 배출홀(103)측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가이드 홈(104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맛 감지 학습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맛 감지 학습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131)와, 제1 RFID 태그가 부착된 신맛 공(111), 제2 RFID 태그가 부착된 짠맛 공(112), 제3 RFID 태그가 부착된 단맛 공(113), 제4 RFID 태그가 부착된 쓴맛 공(114), 혀 모형(104)에서 혀의 신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신맛 LED(121), 혀 모형(104)에서 혀의 짠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짠맛 LED(122), 혀 모형(104)에서 혀의 단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단맛 LED(123), 혀 모형(104)에서 혀의 쓴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쓴맛 LED(124), 각 맛 공(111~114)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읽기 위한 RFID 리더(132),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각 맛 LED들(121~124)을 제어하여 맛 감지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효과적인 조명효과를 창출하는 조명 컨트롤러(134), 음성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 롬(136)에 저장된 맛 음성과 효과음을 재생하는 사운드 프로세서(137), 사운드 프로세서(137)의 재생신호에 따라 소정의 맛 음성과 효과음을 출력하는 음향시스템(138), RFID 리더(132)로부터 태그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태그를 식별하여 감지된 맛 공(111~114)에 따라 해당 맛 LED(121~124)를 점등하도록 조명 제어신호를 조명 컨트롤러(134)로 전달하고 감지된 맛 공(111~114)에 따라 해당 맛을 나타내는 음성이나 효과음을 재생하도록 음성 제어신호를 사운드 프로세서(137)로 전달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MCU; 133)으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맛 감지 학습장치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맛 감지 학습장치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맛 감지 학습장치는 전원이 온되면 "어떤 맛을 가지고 있을까요, 혀가 어떻게 맛을 감지하는지 알아볼까요...." 등의 안내음성을 출력하여 전시물 관람자에게 호기심을 유도함과 아울러 사용법을 안내한다(S101,S102).
이어 관람자가 보관함(106)에서 임의의 맛공을 꺼내들고 혀 모형(102) 위로 굴리면 RFID 리더(132)가 맛공에 부착된 RFID태그를 식별한다(S103,S104).
감지된 RFID 태그가 신맛 공(111)이면, MCU(133)는 조명 컨트롤러(134)를 제어하여 혀 모형의 신맛 LED(121)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아이 셔"와 같은 신맛을 나타내는 음성을 재생하도록 사운드 프로세서(137)를 제어한다. 예컨대, 조명 컨트롤러(134)는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신맛 LED(121)를 점멸하거나 다양한 색상의 LED를 순차적으로 점등하여 혀 모형(104)에서 신맛을 감지하는 부위를 관람객이 시각적으로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S105~S107).
감지된 RFID 태그가 짠맛 공(112)이면, MCU(133)는 조명 컨트롤러(134)를 제어하여 혀 모형의 짠맛 LED(122)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아이 짜"와 같은 짠맛을 나타내는 음성을 재생하도록 사운드 프로세서(137)를 제어한다. 예컨대, 조명 컨트롤러(134)는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짠맛 LED(122)를 점멸하거나 다양한 색상의 LED를 순차적으로 점등하여 혀 모형에서 짠맛을 감지하는 부위를 관람객이 시각적으로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S108~S110).
감지된 RFID 태그가 단맛 공(113)이면, MCU(133)는 조명 컨트롤러(134)를 제어하여 혀 모형의 단맛 LED(123)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아 달구나"와 같은 단맛을 나타내는 음성을 재생하도록 사운드 프로세서(137)를 제어한다. 예컨대, 조명 컨트롤러(134)는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단맛 LED(123)를 점멸하거나 다양한 색상의 LED를 순차적으로 점등하여 혀 모형에서 단맛을 감지하는 부위를 관람객이 시각적으로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S111~S113).
감지된 RFID 태그가 쓴맛 공(114)이면, MCU(133)는 조명 컨트롤러(134)를 제어하여 혀 모형의 쓴맛 LED(124)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아이 써"와 같은 쓴맛을 나타내는 음성을 재생하도록 사운드 프로세서(137)를 제어한다. 예컨대, 조명 컨트롤러(134)는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쓴맛 LED(124)를 점멸하거나 다양한 색상의 LED를 순차적으로 점등하여 혀 모형에서 쓴맛을 감지하는 부위를 관람객이 시각적으로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한다(S114~S116).
그리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맛 LED(121~124)를 소등하고,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혀에서 신맛, 짠맛, 단맛, 쓴맛을 감지하는 위치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S117,S118).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2: 몸체 103: 배출홀
104: 혀모형 104a: 가이드 홈
105: 가이드 106: 공 보관함
111~114: 맛 공 121~124: 맛 LED
131: 전원공급장치 132: RFID 리더
134: 조명 컨트롤러 136: 음성 ROM
137: 사운드 프로세서 138: 음향시스템

Claims (3)

  1. 태그가 부착된 맛 공;
    혀의 맛 감지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수단이 분포되어 있는 혀 모형(104);
    상기 혀 모형(104)의 구강저 부위에서 공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홀(103)과 상기 배출홀(103)을 통해 배출되는 공을 외부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105)가 내부 공간에 형성된 모형 몸체(102);
    상기 모형 몸체(102)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음향 시스템(138);
    상기 모형 몸체(102)에서 배출된 맛공을 보관하기 위한 공 보관함(106);
    상기 맛공에 부착된 태그를 읽기 위한 RFID 리더(132);
    조명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하여 맛 감지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효과적인 조명을 창출하는 조명 컨트롤러(134);
    음성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 롬(136)에 저장된 맛 음성과 효과음을 재생하여 상기 음향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사운드 프로세서(137); 및
    상기 RFID 리더(132)로부터 맛공의 태그 감지 정보가 입력되면 태그를 식별하여 감지된 맛 공(111~114)에 따라 해당 표시수단을 점등하도록 조명 제어신호를 상기 조명 컨트롤러(134)로 전달하고 감지된 맛 공(111~114)에 따라 해당 맛을 나타내는 음성이나 효과음을 재생하도록 음성 제어신호를 상기 사운드 프로세서(137)로 전달하는 마이크로컨트롤유닛(133)을 포함하는 맛 감지 학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맛공은
    RFID 태그가 부착된 신맛 공(111), 제2 RFID 태그가 부착된 짠맛 공(112), 제3 RFID 태그가 부착된 단맛 공(113), 제4 RFID 태그가 부착된 쓴맛 공(1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수단은
    혀 모형(104)에서 혀의 신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신맛 LED(121), 혀 모형(104)에서 혀의 짠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짠맛 LED(122), 혀 모형(104)에서 혀의 단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단맛 LED(123), 혀 모형(104)에서 혀의 쓴맛 감지 위치에 배치된 쓴맛 LED(1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 감지 학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혀 모형은
    맛 공을 배출홀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 감지 학습장치.
KR1020100040759A 2010-04-30 2010-04-30 맛 감지 학습장치 KR101077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759A KR101077120B1 (ko) 2010-04-30 2010-04-30 맛 감지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759A KR101077120B1 (ko) 2010-04-30 2010-04-30 맛 감지 학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120B1 true KR101077120B1 (ko) 2011-10-26

Family

ID=45033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759A KR101077120B1 (ko) 2010-04-30 2010-04-30 맛 감지 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1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900B1 (ko) * 2019-02-21 2020-06-2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외국인 환자를 위한 구강관리 교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166Y1 (ko) 2003-11-11 2004-02-11 장성용 혀 운동 촉진 기구
US20050074730A1 (en) 2003-04-24 2005-04-07 Daigle Marie A. Phonology and articulation to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4730A1 (en) 2003-04-24 2005-04-07 Daigle Marie A. Phonology and articulation tool
KR200341166Y1 (ko) 2003-11-11 2004-02-11 장성용 혀 운동 촉진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900B1 (ko) * 2019-02-21 2020-06-23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외국인 환자를 위한 구강관리 교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815116U (zh) 一种套圈玩具
US20130260886A1 (en) Multi-sensory Learning Game System
US8814625B1 (en) Tactile, visual and aural toy for entertainment and learning
KR101077120B1 (ko) 맛 감지 학습장치
US20130130589A1 (en) "Electronic Musical Puzzle"
CN202715167U (zh) 一种新型跳绳
JP2012157427A (ja) 呼吸訓練用の入力装置
CN202003521U (zh) 发音矫正及语音辅导系统
KR20150018955A (ko) 학습용 보드게임 도구
WO2006023298A3 (en) Electronic word game
CN201799105U (zh) 一种拨浪鼓
CN202128883U (zh) 幼儿感统训练无伤害智能玩具装置
US7636664B2 (en) Golf commentator
KR101604591B1 (ko) 사운드 스텝들
CN205434958U (zh) 一种幼儿教育用3d跳舞毯
TW469145B (en) Golf practicing device
CN204683626U (zh) 一种音乐调控的心理训练装置
US20140049389A1 (en) Devices f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of a Personalized Sensory Experience and Systems and Methods Using Same
CN202122817U (zh) 圆形棋
CN104399248B (zh) Pad互动玩具及系统
KR102203529B1 (ko) 성냥 모형을 이용한 유아용 학습용 교구
GB2499425A (en) A spatial awareness training device with a plurality of timed lights
CN201410288Y (zh) 一种发声玩具
CN207165075U (zh) 一种用于心肺音听诊位置的检测装置
KR200283625Y1 (ko) 어린이 교통안전 교육학습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