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136Y1 - Miro game board for learning - Google Patents

Miro game board for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136Y1
KR200341136Y1 KR20-2003-0034570U KR20030034570U KR200341136Y1 KR 200341136 Y1 KR200341136 Y1 KR 200341136Y1 KR 20030034570 U KR20030034570 U KR 20030034570U KR 200341136 Y1 KR200341136 Y1 KR 2003411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moving
learning
maz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5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철수
Original Assignee
(주)키즈퍼니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키즈퍼니쳐 filed Critical (주)키즈퍼니쳐
Priority to KR20-2003-00345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13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1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136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용 미로 게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쌍을 이루며 상호 연관관계를 갖는 하나의 배경그림과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이동그림들을 상부플레이트 위에서 짝짓기 형태로 옮겨가며 미로 게임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아동들이 미로 게임을 즐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배경그림에 대한 기억과 이에 연관성을 가지는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 학습용 미로 게임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labyrinth game board, and more specifically, a single background picture and a plurality of moving pictur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pairs and mutual relationships are configured to perform a maze game while moving in a mating form on an upper plate. By doing so, it relates to a learning maze game board that enables children to naturally learn the memory and background related to the background picture in the process of enjoying the maze game.

이같은 본 고안은, 편평한 시트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안내레일이 형성된 미로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배경그림이 도시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안내레일에 하부가 끼워지고, 상부는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돌출되어 미로형의 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동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설치된 이동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플레이트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돌출된 이동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상면에는 상부플레이트 상면에 표현된 배경그림과 쌍을 이루는 이동그림이 도시된 이동블럭;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lat sheet, a labyrinth-shaped groove portion formed with a guide rail o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he upper plate shown in the background picture on the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moving pins having a lower portion fitted to the guide rail of the upper plate and having an upper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to be movable along the maze groove; A lower plate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such that the moving pin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do not deviate; A movable block detachably fitted to the movable pi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the upper surface of which includes a moving figure paired with a background image represented on the upp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학습용 미로 게임판{Miro game board for learning}Miro game board for learning}

본 고안은 학습용 미로 게임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쌍을 이루며 상호 연관관계를 갖는 하나의 배경그림과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이동그림들을 상부플레이트 위에서 짝짓기 형태로 옮겨가며 미로 게임으로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아동들이 미로 게임을 즐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배경그림에 대한 기억과 이에 연관성을 가지는 내용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 학습용 미로 게임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labyrinth game board, and more specifically, a single background picture and a plurality of moving pictur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pairs and mutual relationships are configured to perform a maze game while moving in a mating form on an upper plate. By doing so, it relates to a learning maze game board that enables children to naturally learn the memory and background related to the background picture in the process of enjoying the maze game.

일반적으로, 미로 게임은 아동들의 지능개발을 위한 교육용 교구 교재로서, 다양한 테마를 주제로 한 블럭이나 그림을 상부플레이트에 세우거나 도시하여 미로형태로 구성하고, 아동들이 실수를 거듭하면서 미로를 통과하는 과정을 통해 재미와 호기심, 정신집중력 등을 키우도록 하고 있다.In general, maze games are educational teaching materials for children's intelligence development.They build blocks or pictures on the top plate of various themes and form them in a maze form, where children make mistakes through the maze. Through the process, fun, curiosity and mental concentration are developed.

이러한 미로 게임은 최근 아동들의 학습용 교구 교재에서 발전해 여가시간에도 즐겨 하는 놀이문화로 점차 변해가고 있는데, 미로 게임의 형태는 단순한 동화속 그림이나 블럭 이외에도 보다 복잡하면서 다양한 테마가 있는 미로 게임이 도입되어 성인들도 즐겨하는 놀이문화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These maze games have recently evolved from children's teaching aids to a more entertaining play culture in their spare time. The maze game type has more complex and various themed maze games in addition to simple fairy tales and blocks. It is also a trend that is spreading to the enjoyment culture.

이같은 미로 게임의 진행 형태는 테마의 주인공이 출발선에서부터 도착점에 이르기까지 최단거리를 최단시간안에 도착하도록 여러 갈랫길 중에서 지름길을 찾아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때에는 테마의 주인공이 출발선에서 도착점까지 가는 길 중 실수를 반복한 구간을 기억하여 같은 구간에서 실수가 반복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하면서 미로를 통과하게 된다.The progress of this maze game is to find a shortcut among several forks so that the main character of the theme arrives at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starting line to the starting point. In this case, the main character of the theme goes from the starting line to the arrival point. Remembering the section where you made a mistake on the road, you will pass through the maze, taking care not to repeat the mistake in the same section.

그러나, 이렇게 진행되는 미로 게임은 아동들이 게임을 즐기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재미와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는 있으나, 이는 단순히 주인공이 출발점에서 출발하여 도착점에 이르게 되면, 미로 게임이 곧바로 종결되는 형태로 운영됨에 따라 미로게임이 종결된 후에는 별다른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However, the maze game progressed in this way can be expected to have some fun and learning effects in the process of children's enjoyment of the game. However, the maze game is operated as soon as the main character starts from the starting point and reaches the end point. Therefore, after the maze game is finished, you will not be able to expect any learning effects.

즉, 통상적인 미로 게임은 테마의 주인공이 출발선에서 시작하여 길을 잃지 않고 단시간안에 도착점에 이르러 미로를 통과하는 과정을 통해 기억력 증대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미로 게임을 즐기는 아동들은 미로를 통과하는 과정에만 집중력과 기억력을 동원하게 됨에 따라, 미로 통과 전 상황과 미로 통과 후의 상황에 대해서는 주인공과 미로 사이의 연관관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함으로써, 미로 게임을 통한 학습효과는 상당히 미미한 상태인 것이다.In other words, in a typical maze game, the main character of the theme starts from the starting line and gets lost in a short time without passing through the maze. As the concentration and memory are used only in the proce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haracter and the maze is not properly understood in the pre-maze situation and the post-maze situation, so the learning effect through the maze game is insignificant.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경그림의 특정부위와 상호 연관관계를 갖는 다수개의 이동그림들을 상부플레이트의 배경그림 위에서 미로를 따라 반복적으로 움직여 맞추도록 함으로써, 이동하는 동안에 배경그림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가는케 함은 물론, 기억연상 학습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by repeatedly moving a plurality of moving pictures having a correlation with a specific part of the background picture along the maze on the background picture of the upper plate, while moving the background The aim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pictures as well a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memory association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미로 게임판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learning maze game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이 결합된 후 일측면을 절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after the combination of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미로 게임판의 사용상태도.Figure 3 is a state of use of the maze game board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각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each major part of drawing>

10: 상부플레이트, 12: 안내레일, 14: 미로형의 홈부, 16: 배경그림, 18: 확장홈부, 20: 이동핀, 22: 미끄럼접촉판, 24: 축부, 26: 고정링, 30: 하부플레이트, 40: 이동블럭, 42: 이동그림.10: upper plate, 12: guide rail, 14: labyrinth groove, 16: background, 18: expansion groove, 20: moving pin, 22: sliding contact plate, 24: shaft, 26: retaining ring, 30: lower Plate, 40: moving block, 42: moving picture.

이와 같은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편평한 시트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안내레일이 형성된 미로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배경그림이 도시된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안내레일에 하부가 끼워지고, 상부는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돌출되어 미로형의 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동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설치된 이동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플레이트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돌출된 이동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상면에는 상부플레이트 상면에 표현된 배경그림과 쌍을 이루는 이동그림이 도시된 이동블럭;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lat sheet, a groove-shaped groove portion formed with a guide rail o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the upper plate is shown in the background picture; A plurality of moving pins having a lower portion fitted to the guide rail of the upper plate and having an upper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to be movable along the maze groove; A lower plate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such that the moving pin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do not deviate; A movable block detachably fitted to the movable pi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the upper surface of which includes a moving figure paired with a background image represented on the upp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이동핀은,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끄럼접촉판과, 이미끄럼접촉판의 중앙에 수직하게 세워져서 미로형의 홈부를 거쳐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돌출되는 축부와, 이 축부의 상측 외주연에 끼워지며 상기 이동블럭을 흔들림없이 고정하는 고정링으로 이루어 진다.The moving pin may include a sliding contact plat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a shaft part vertically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already sliding contact plate,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through the labyrinth groove, and the upper outside of the shaft part. It is fitted to the periphery and consists of a fixing ring for fixing the moving block without shaking.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둘레면에는, 이동핀의 확장된 미끄럼접촉판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미로형 홈부의 끝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확장홈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it is preferable to form at least one or more expansion groove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abyrinth groove portion so that the extended sliding contact plate of the moving pin can be easily inserted from the outsid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미로 게임판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이 결합된 후 일측면을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미로 게임판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lan view of the learning maze game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 one side after Figure 1 is combined,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the learning maze game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학습용 미로 게임판(100)은 상부플레이트(10)와, 이동핀(20)과, 하부플레이트(30)와, 이동블럭(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learning maze game boar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late 10, a moving pin 20, a lower plate 30, and a moving block 40. It is configured by.

상기 상부플레이트(10)는 편평한 경질의 시트로 이루어지며,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그어지는 미로형의 홈부(14)가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불규칙하게 교차 형성된다. 상기 미로형의 홈부(14) 하측에는 상측보다 확장된 폭으로 제공되는 안내레일(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레일(12)의 폭은 미로형의 홈부(14) 절개폭보다 적어도 1.5배를 유지하며 형성된다.The upper plate 10 is made of a flat hard sheet, and the maze grooves 1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irregularly intersected linearly or nonlinearly. A guide rail 12 is provided below the labyrinth groove 14 and has a width wider than an upper side, and the width of the guide rail 12 is at least 1.5 times greater than the labyrinth groove 14 cut width. Formed.

그리고 상기 미로형의 홈부(14) 시작점과 끝점을 가리키는 양측단에는홈부(14) 보다 큰 직경 또는 폭을 갖는 확장홈부(18)가 형성된다. 이같은 확장홈부(18)는 하부의 안내레일(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으로 개방되는 것으로써, 이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0)의 둘레면을 따라 이동핀(20)의 확장된 미끄럼접촉판(22)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이상이 제공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labyrinth-shaped groove 14 having a starting point and an end point thereof, the expansion groove 18 having a larger diameter or width than the groove 14 is formed. The expansion groove 18 is opened to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as the guide rail 12 of the lower, which is extended sliding contact plate 22 of the moving pin 20 alo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plate 10 At least one is provided so that can be easily inserted from the outside.

확장홈부(18)는 도 1에서 예시하고 있듯이 상부로 개방된 원형의 홈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도 3에 예시하고 있듯이 측면으로 개방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expansion groove 18 may be configured as a circular groove that is open upward,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is laterally open as illustrated in FIG. 3.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는 미로형의 홈부(14)를 포함하는 상면에 다양한 형태의 사물을 묘사한 배경그림(16)이 도시된다. 도시되는 배경그림(16)은 세계지도 또는 우리나라의 전도나, 종합운동장의 모습 또는 연주회의 모습 등 여러가지의 대상을 복합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고, 사물 이외에도 뜻과 의미가 부합되는 문자 형태도 도시가 가능하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10 is shown a background picture 16 depicting various types of objects on the upper surface including the labyrinth groove 14. The illustrated background picture (16) may be preferably used to express various objects such as world map or evangelism of Korea, the appearance of a general stadium or the appearance of a concert. Character forms can also be shown.

이렇게 미로형의 홈부(14)와 배경그림(16)이 도시된 상부플레이트(10)에는 홈부(14)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이동핀(20)이 끼움 설치된다. 상기 이동핀(20)은 안내레일(12)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끄럼접촉판(22)과, 이 미끄럼접촉판(22)의 중앙에 수직하게 세워져서 미로형의 홈부(14)를 거쳐 상부플레이트(10) 상측으로 돌출되는 축부(24)를 가짐으로써 전체적으로 'ㅗ'형을 이루게 되는 것이며, 이같은 축부(24)의 상측 외주연에는 상기 이동블럭(30)을 흔들림없이 고정하는 고정링(26)이 설치된다.The labyrinth groove 14 and the background plate 16 is shown in the upper plate 10 is shown, the moving pin 20 is fitted to be movable along the groove (14). The movable pin 20 is slidably contacted plate 22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12, and is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sliding contact plate 22 to pass through the labyrinth groove 14 By having the shaft portion 24 protruding upwards of the upper plate 10 to form a 'ㅗ' as a whole, a fixed ring for fixing the moving block 30 without shaking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portion 24 ( 26) is installed.

상기 이동핀(20)이 설치된 상부플레이트(10)의 바닥부에는 이동핀(20)이 상부플레이트(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부플레이트(30)를 설치한다.The lower plate 3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0 on which the moving pin 20 is installed so that the moving pin 2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upper plate 10.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하부플레이트(30)가 결합된 후에는 이동블럭(40)을 이동핀(20)의 상측에 끼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이동블럭(40)은 축부(24)의 상측 외주연에 고정되는 고정링(26)으로 인해 그 설치높이와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하며 긴밀하게 고정되는 것이다.After the lower plate 30 is coupled to the upper plate 10, the moving block 40 is fitted to the upper side of the moving pin 20. At this time, the movable block 40 is to be tightly fixed and easily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and spacing due to the fixing ring 26 is fixed to the upper outer periphery of the shaft portion (24).

이같은 이동블럭(40)의 상면에는 상부플레이트(10)에 도시된 배경그림(16)과 한쌍을 이루는 형태의 이동그림(42)이 도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배경그림(16)으로 세계지도가 도시된 경우에는 이동블럭(40)에 도시되는 이동그림(42)은 여러국가의 국기나 도시명 또는 관광명소 등이 도시되어 상호 연계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lock 40 may be shown a moving picture 42 in pairs with the background picture 16 shown in the upper plate 10, for example, the background on the upper plate 10 In the case where the world map is shown in the figure 16, the movement figure 42 shown in the movement block 40 may show the national flag, the city name, or the tourist attraction of various countries, thereby maintaining the interconnection.

이 밖에도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배경그림(16)으로 다양한 형태의 악기들이 도시될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악기에 사용되는 도구들을 이동블럭(40)에 도시하여 이동블럭(40)을 미로형의 홈부를 따라 움직여 해당 악기의 위치로 가져가는 동작을 통해 악기와 도구의 일체성을 학습하도록 하게 된다.In addition, various types of instruments are shown on the upper plate 10 as a background picture 16. In this case, tools used in the instrument are shown on the moving block 40 to move the moving block 40 to a maze type. By moving along the groove to the position of the instrument to learn the integrity of the instrument and the instrument.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미로 게임판(100)은, 쌍을 이루며 상호 연관관계를 갖는 그림들을 짝 맞추기 형태로 모아 아동들에게 기억 연상 학습과 연계학습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상기 미로 게임을 이용한 학습 형태는 상부플레이트(10)에 도시된 배경그림(16)과 연계성이 있는 이동블럭(40)을 잡고 상부플레이트(10)의 미로형 홈부(14)를 따라 이동핀(20)을 이동시켜 찾아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aze game board 100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ired with mutually related pictures in a matching form to enable children to associate with the memory learning and link learning. The learning type used is to move the moving pin 20 along the labyrinth groove 14 of the upper plate 10 by holding the movable block 40 associated with the background picture 16 shown in the upper plate 10. You will be visited.

이때, 상기 이동핀(20)이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미로형의 홈부(14)는 아동들로 하여금 시행착오를 겪게 하기도 하는데, 이때 이동핀(20)이 머물고 있는 곳의 정보를 수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서 학습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이 아동들은 이동블럭(40)의 이동그림(42)과 가장 연계성이 있는 배경그림(16)의 위치를 천천히 찾아가는 놀이를 통해 기억연상 학습과 연계성 학습을 동시에 습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labyrinth groove 14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moving pin 20 may cause children to undergo trial and error, where the moving pin 20 is staying By providing an opportunity to obtain information, the learning effect can be maximized. In this way, the children can learn the memory association learning and the linkage learning at the same time by slowly finding the position of the moving picture 42 of the moving block 40 and the background picture 16 which is the most connected.

이렇게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아동들이 어느정도 학습효과를 습득한 후에는 아동들이 쉽게 실증내지 않도록 이동블럭(40)을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이동블럭(40)의 교체시에는 이동핀(20)에서 이동블럭(40)을 상측으로 빼낸 후, 다른 그림이 도시된 이동블럭(40)을 이동핀(20)에 고정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내용의 학습용 미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After the children learn the learning effect to some extent through this repetitive learning, it is preferable to replace the moving block 40 so that the children do not easily demonstrate, when the moving block 40 in the moving pin 20 After removing the moving block 40 to the upper side, by fixing the moving block 40 shown in the other picture to the moving pin 20, it is possible to enjoy a more detailed learning maze game.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0)에 설치된 이동핀(20)이 파손되어 교체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상부플레이트 홈부(14)의 끝단으로 이동핀(20)을 이동시킨 후, 확장홈부(18)를 통해 이동핀(20)을 빼내어 분리함으로써, 효과적인 교환설치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oving pin 20 installed in the upper plate 10 is damaged and needs to be replaced, the moving pin 20 is moved to the end of the upper plate groove 14, and then moved through the expansion groove 18. By taking out and removing the pin 20, an effective exchange installation becomes possible.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미로 게임판은 쌍을 이루며 상호 연관관계를 갖는 다수개의 그림들을 상부플레이트 위에서 짝짓기 형태의 미로 게임으로 구성함으로써, 아동들이 미로 게임을 즐기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기억연상 학습과 연관성 학습을 습득할 수 있어 아동들의 지능개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Therefore, the maze game board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air of pairs of mutually related pictures as a matching maze game on the upper plate, so that the children naturally enjoy the memory association learning and the association learning in the process of enjoying the maze game. It is a useful design that can be learned and can greatly help children's intelligence development.

Claims (3)

편평한 시트로 이루어지며, 저면에 안내레일이 형성된 미로형의 홈부가 형성되고, 그 상면에 배경그림이 도시된 상부플레이트와;A top plate made of a flat sheet, and having a labyrinth-shaped groove having a guide rail formed on a bottom thereof, and having a background picture on the top thereof;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안내레일에 하부가 끼워지고, 상부는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돌출되어 미로형의 홈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이동핀;A plurality of moving pins having a lower portion fitted to the guide rail of the upper plate and having an upper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to be movable along the maze groove;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설치된 이동핀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플레이트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A lower plate install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such that the moving pin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do not deviate; 상기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돌출된 이동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상면에는 상부플레이트 상면에 표현된 배경그림과 쌍을 이루는 이동그림이 도시된 이동블럭;A movable block detachably fitted to the movable pin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the upper surface of which includes a moving figure paired with a background image represented on the upper plate; 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미로 게임판.Maze game board for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s provided,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동핀이,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미끄럼접촉판과, 이 미끄럼접촉판의 중앙에 수직하게 세워져서 미로형의 홈부를 거쳐 상부플레이트 상측으로 돌출되는 축부와, 이 축부의 상측 외주연에 끼워지며 상기 이동블럭을 흔들림없이 고정하는 고정링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미로 게임판.The sliding pin is a sliding contact plate which is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guide rail, the shaft portion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sliding contact plate and protrudes above the upper plate through the labyrinth groove, and the upper outside of the shaft portion. Maze game board for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fixed r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periphery and fixed to the moving block without shak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둘레면에는, 이동핀의 확장된 미끄럼접촉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미로형 홈부의 끝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확장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미로 게임판.Maze game board for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at least one expansion groov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abyrinth groove so that the extended sliding contact plate of the moving pin can be inserted.
KR20-2003-0034570U 2003-11-04 2003-11-04 Miro game board for learning KR20034113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570U KR200341136Y1 (en) 2003-11-04 2003-11-04 Miro game board for 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570U KR200341136Y1 (en) 2003-11-04 2003-11-04 Miro game board for lear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136Y1 true KR200341136Y1 (en) 2004-02-11

Family

ID=49343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570U KR200341136Y1 (en) 2003-11-04 2003-11-04 Miro game board for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136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683A1 (en) * 2018-07-18 2020-01-23 주식회사 파코웨이 Assembly learning tool using polyomino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7683A1 (en) * 2018-07-18 2020-01-23 주식회사 파코웨이 Assembly learning tool using polyomino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76144A (en) Improvement in combined alphabet and building blocks and game-boards
US10453357B2 (en) Intelligence toy used with graph cards
GB633951A (en) Educational toy and game
KR20200065242A (en) 3-D tools of multi-functional children&#39;s story books
KR200341136Y1 (en) Miro game board for learning
KR100602589B1 (en) Block toy
KR100297950B1 (en) A method for studying english word and it study board
US1497087A (en) Game board
KR20110002655U (en) Play tool of study for children
US1602841A (en) Map game
KR200340929Y1 (en) Puzzle for learning
US3624808A (en) Board game apparatus
JP3062042U (en) Educational materials for learning with jigsaw puzzles for each prefecture of Japan map
KR102409265B1 (en) Coding education apparatus using polyomino
KR200314562Y1 (en) Puzzle game goods
JP2009000948A (en) Card book
Whiting Our quest into the depths of gamification
KR200389971Y1 (en) Paduk pieces for education
KR100934481B1 (en) Sudoku game machine
JPH0648783U (en) Puzzle block toys
KR101974511B1 (en) The teaching tool with puzzle model
KR100745463B1 (en) The baduk pieces
KR200174448Y1 (en) Block set for pleasure
US1520666A (en) Puzzle
KR100314635B1 (en) A method for studying the chines characters and it study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