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1125Y1 -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 - Google Patents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1125Y1
KR200341125Y1 KR20-2003-0034315U KR20030034315U KR200341125Y1 KR 200341125 Y1 KR200341125 Y1 KR 200341125Y1 KR 20030034315 U KR20030034315 U KR 20030034315U KR 200341125 Y1 KR200341125 Y1 KR 200341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locking tape
cutting
spectacle lens
spec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43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연희
Original Assignee
송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연희 filed Critical 송연희
Priority to KR20-2003-00343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11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1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11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3/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3/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on lenses or surfaces of similar shape on other work; Accessories therefor grinding of lenses, the tool or work being controlled by information-carrying means, e.g. patterns, punched tapes, magnetic 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절한 초점을 가지도록 성형된 안경렌즈를 안경테에 끼우기 위하여 통상 안경렌즈의 상/하면에 흡착구(SUCTION)를 압압, 고정시켜 렌즈의 주연을 절삭구로 컷팅함에 있어서, 렌즈가 흡착구로부터 미끄러져서 밀리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안경렌즈의 각 상/하면에 부착시키는 블록킹 테이프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블록킹 테이프의 중심에 원형공을 형성하거나 주연부에 비접착 돌출부를 형성하여 블록킹 테이프를 부착한 상태에서도 렌즈의 도수 측정이 가능하게 하고, 또한 렌즈로부터 박리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BLOCKING TAPE FOR A SPECTACLE LENS CUTTING}
안경렌즈의 가공은 먼저 유리나 투명 합성수지 등을 원시나 근시 또는 난시등의 보정을 위하여 적절한 초점거리를 갖도록 렌즈를 원형 상태로 가공하고, 이를 안경대리점으로 유통시키는 단계와, 소비자의 시력 조건에 맞추어 선택된 안경렌즈를 소비자가 택한 디자인의 안경테에 끼우기 위하여 적절한 형상으로 컷팅하는 단계로 구분된다.
적절한 도수를 갖도록 생산된 안경렌즈는 통상 원형으로 가공, 유통되고, 이를 구입한 안경대리점에서 안경테에 맞도록 컷팅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안경테에 끼우기 위한 컷팅 공정시 초점거리 축(CYL)을 선명하게 인쇄함과 동시에 안경렌즈의 밀림이나 축 이동 없이 정확하게 컷팅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블록킹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안경렌즈 컷팅 공정은 도 5에서와 같이 렌즈(20)의 상/하면 중심에 각각 흡착구(SUCTION)(10)를 밀착, 고정시켜 렌즈의 주면을 절삭구(11)로써 특정한 형상으로 컷팅한다.
그러나, 근래 렌즈는 단순한 구면(球面) 가공에 그치지 아니하고, 구면 수치를 최소화하기 위한 비구면(非球面) 가공 또는 다초점렌즈 등의 가공과 아울러, 렌즈에 전도성을 부가하여 먼지나 분진 등이 렌즈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게 한 코팅 기술(대한민국특허등록 제 228056호)과, 렌즈에 내수성이 우수한 발수성 박막을 코팅한 기술(일본국 특개평 5-215905호) 및 초경도 실현을 위한 다중박막코팅 또는 미끄럼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렌즈 표면에 불소화합물을 진공증착하는 기술(일본국 특개평 9-111223호) 등이 소개되면서, 렌즈의 표면 마찰력이 매우 작아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표면 마찰력이 작은 발수 또는 다중박막 초경렌즈는 가공 기계상에 정확한 초점 위치를 선정하기 위하여 렌즈 표면상에 초점거리 축을 인쇄하게 되는데, 이때 표면의 발수성 또는 미끄럼성으로 인하여 초점 인쇄가 선명하게 찍히지 않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렌즈 오목면 및 볼록면 상/하면에 각각 고무 또는 실리콘재의 흡착구(10)를 압압, 고정시켜 가공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구(10)와 렌즈(20) 표면의 마찰저항이 감소하여 절삭구(11)에 의한 절삭 가공(11′)시 렌즈(20)의 중심축이 흡착구(10)의 중심축으로부터 위치가 변경(20′)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렌즈 컷팅을 위한 절삭구(11)가 렌즈(20)의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렌즈(20)를 흡착구(10)에서 밀게 되거나 또는 절삭구(11)의 회전력에 의하여 렌즈가 흡착구로부터 회전하여 축이 돌아가는 현상이 발생하며, 이는 렌즈(20) 표면의 발수 코팅 또는 다중박막층으로 인하여 마찰계수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문제는, 안경렌즈를 정확한 형상으로 컷팅할 수 없고, 미세한 가공오차를 허용하게 되어 안경테와 안경렌즈의 결합이 부적합하게 되거나 또는 초점 위치가 변경되어 목적하고자 하는 렌즈 초첨이 흐트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1목적은 발수코팅 렌즈 또는 초경도 렌즈를 적절한 형상으로 컷팅하는 공정 중에 흡착구와 렌즈의 밀착력을 향상시켜 렌즈가 흡착구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밀리지 않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목적은 렌즈 가공 기계에 렌즈를 조립하기 위한 초점거리 축 인쇄를 보다 선명하게 찍힐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경렌즈의 상/하 표면에 마찰력이 높은 필름 또는 테이프를 임시로 접착 가능하게 하고, 렌즈와 흡착구 사이에 상기 필름 또는 테이프를 매개로 밀착시키게 하고, 아울러 테이프 중심에 구멍을 형성하여 테이프 부착 상태에서도 렌즈의 도수 측정이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컷팅공정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컷팅공정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테이프의 평면도 및 단면도와 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테이프의 평면도와 단면도와 그 사용상태도.
도 5는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컷팅공정의 측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컷팅공정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흡착구(SUCTION) 11 : 절삭구
20 : 안경렌즈 21 : 블록킹(BLOCKING) 테이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컷팅공정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렌즈 컷팅공정의 평면도로서, 종래 기술의 도 5, 도 6의 각부 요소와 동일 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20)를 소정의 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그 주연을 컷팅하기 위한 공정시 렌즈(20)의 볼록면과 오목면 상/하 표면에 블록킹 테이프(21)를 부착하며, 이 블록킹 테이프(21)는 유연성을 가지며 일측에 점착성이 부여된 접착제층(22)이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제작된다.
이후, 블록킹 테이프(21)의 표면에 초점거리 축을 인쇄하여 렌즈 가공 기계(미도시)의 하(下) 흡착구(10)에 안착시킨 후, 상(上) 흡착구(10)를 하강시켜 상/하 블록킹 테이프(21)의 각 표면과 상/하 흡착구(10)가 밀착되게 한다.
즉, 원형의 렌즈를 컷팅 기계에 장착하기 전에 각 표면에 블록킹 테이프(21)를 부착함으로서 초점거리 축 인쇄를 블록킹 테이프 표면에 함으로서 렌즈 표면에 인쇄할 때보다 선명하게 할 수 있고, 렌즈(20)가 블록킹 테이프를 매개로 하여 상/하 흡착구(10)와 각각 밀착되게 하여 마찰력을 크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정 후, 도 2에서와 같이 절삭구(11)로써 특정된 형상으로 컷팅 가공하면, 흡착구(10)는 블록킹 테이프(21) 표면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20)가 절삭구(11)의 절삭힘에 의하여 미끄러지거나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후, 흡착구(10)로부터 가공된 렌즈(20)를 꺼내고, 볼록킹 테이프(21)를 렌즈(20)로부터 박리시키면 가공된 렌즈(20)는 정밀한 외형 치수를 가지게 되고 또한 최초 렌즈에 부여된 초첨 위치가 흐트러지거나 변경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킹 테이프의 평면도 및 단면도와 그 사용상태도로서, 블록킹 테이프(21)의 외주 소정부에 돌출부(21′)를 구성한 것이며,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는 블록킹 테이프에 도포된 접착제층(22)과 중첩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돌출부(21′)가 형성되지 아니한 블록킹 테이프(21)의 경우, 블록킹 테이프(21)의 전면적이 렌즈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박리시킬 때 손톱이나 박리도구에 의하여 렌즈 표면에 손상이나 흠집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돌출부(21′)를 구성하여 이것이 블록킹 테이프(21)의 손잡이 역할을 하게 함으로서 블록킹 테이프의 접착을 손상 없이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킹 테이프의 평면도 및 단면도와 그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킹 테이프의 중심에 소정의원형공(21″)을 형성한 것이며, 이는 렌즈의 도수를 측정할 수 있게 한 공간이다.
즉, 그 사용상태도와 같이 블록킹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에서 렌즈의 도수를 측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블록킹 테이프로 인하여 렌즈의 도수 측정이 불가능하여 이를 제거후 측정해야 하지만, 블록킹 테이프에 원형공(21″)이 형성된 경우, 블록킹 테이프를 제거하지 않아도 렌즈의 도수 측정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블록킹 테이프에 의하면, 렌즈의 컷팅 가공 공정시 렌즈 표면에 초점거리 축의 인쇄가 선명하게 되어 렌즈 가공기계에 장착하기가 용이하고, 또한 블록킹 테이프를 매개로 렌즈와 흡착구를 밀착시키기 때문에 렌즈가 흡착구의 중심축으로부터 벗어나거나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보다 정교한 치수의 렌즈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의 초점이 흐트러지는 일이 없으므로, 최초 렌즈에 부여된 초점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블록킹 테이프의 외주 소정부에 접착제가 도포되지 아니한 돌출부를 구성함으로서 임시로 접착된 블록킹 테이프를 렌즈로부터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고, 원형공이 형성된 블록킹 테이프의 경우 블록킹 테이프가 부착된 상태에서도 렌즈의 도수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안경렌즈(20)의 상/하 각 표면에 부착되도록 유연성(FLEXIBLE)을 가지고 일측면에 접착제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테이프는 외곽이 원형으로 되고, 중심에 원형공(22″)이 형성된 도넛(DOUGHNUT)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 테이프의 주연 소정부에 접착체층(22)이 형성되지 아니한 돌출부(2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
KR20-2003-0034315U 2003-11-03 2003-11-03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 KR200341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315U KR200341125Y1 (ko) 2003-11-03 2003-11-03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4315U KR200341125Y1 (ko) 2003-11-03 2003-11-03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1125Y1 true KR200341125Y1 (ko) 2004-02-11

Family

ID=4934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315U KR200341125Y1 (ko) 2003-11-03 2003-11-03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11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20B1 (ko) 2016-02-02 2016-09-07 민병직 일축 면가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20B1 (ko) 2016-02-02 2016-09-07 민병직 일축 면가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0280A (en) Apparatus for holding workpieces during lapping, honing, and polishing
US6942746B2 (en) Lens blocking system
EP06607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sking removable optical lens markings during lens grinding
JP4185851B2 (ja) 玉型加工用粘着テープの粘着力評価方法
JP4598749B2 (ja) 粘着テープ及び粘着テープの貼り付け方法
KR100573553B1 (ko) 안경용 렌즈의 옥형가공에 사용하는 축 어긋남 방지 키트및 이를 사용한 안경용 렌즈의 옥형가공방법
US53657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agnetic head sliders
EP1699592B1 (fr) Support de blocage pneumatique d'une lentille optique
KR200341125Y1 (ko) 안경렌즈 컷팅용 블록킹 테이프
US8303382B2 (en) Polishing pad and method of fabrication
EP0079262A1 (fr) Procédé d'obtention d'un disque-copie à partir d'une gravure originale portée par une matrice
US20080047301A1 (en) Tool and a Method for Polishing Optical Surfaces
US10828745B2 (en) Polishing pad and polishing method
JP2004148444A (ja) レンズロックシート
JP2004122302A (ja) レンズの加工方法
JP4544249B2 (ja) レンズ保持構造及び玉型加工方法
JP2001326271A (ja) スピンチャック
JP3960443B2 (ja) 切り欠きレンズの塗装に用いるレンズ固定治具およびレンズ塗装方法
JP2006267848A (ja) レンズ取付シートおよびこのレンズ取付シートを用いた薄膜形成方法
JP2584628Y2 (ja) 眼鏡レンズ固定装置
JP2007118099A (ja) レンズの加工方法及びレンズの加工に用いられる保持シート
CN216764775U (zh) 一种眼镜片凹面防滑贴膜
JP2001170853A (ja) 研削・研磨加工用の光学素子保持具
JP2007156226A (ja) 粘着テープ及び眼鏡レンズの玉型加工方法
JPS61214965A (ja) 弾性研摩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