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0573Y1 -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 - Google Patents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0573Y1
KR200340573Y1 KR20030033178U KR20030033178U KR200340573Y1 KR 200340573 Y1 KR200340573 Y1 KR 200340573Y1 KR 20030033178 U KR20030033178 U KR 20030033178U KR 20030033178 U KR20030033178 U KR 20030033178U KR 200340573 Y1 KR200340573 Y1 KR 2003405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lunger
contact
elastic pie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33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박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박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박전자
Priority to KR20030033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05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05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05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냉장고에 적용되어 냉동/냉장실로 구분되는 실내의 양 도어에 있어 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양 도어의 인접부위에 설치되어 도어와의 접촉을 통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개선된 기능의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에 관한 것인바, 본체, 터미널 단자, 플런저 및 커버로 분리 구성되는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좌/우측에 힌지 고정된 채 전/후진되게 내측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이 삽입된 플런저의 외주면 일측이 연장되어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작동부재와 접촉되어 좌우로의 작동이 가능한 복수개의 제1, 제2탄성편과; 상기 플런저는 각각의 제1탄성편과 제2탄성편과 밀착된 채 탄력적인 작동으로 좌/우 양 터미널 단자의 끝단에 접점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중앙부를 기준에 좌/우 "

Description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Door switch}
본 고안은 도어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가전제품에 사용되는 도어 스위치는 각각 실내외로 구분되는 양도어에 있어 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양도어의 인접부위에 설치되어 도어와의 접촉을 통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개선된 기능의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중 특히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는 도어의 열림 상태를 램프의 발광을 통해 외부에서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냉장고의 원활한 작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제어기능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냉동 및 냉장실의 전면 일 측에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도어가 닫혀있을 시 스위치의 플런저와 밀착된 채 이를 압압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바, 최근에는 냉동 및 냉장실로 분리되어 있던 양 스위치를 하나로 단일화하되, 플런저만을 복수로 구성하여 도어 개폐시 적절히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도어 스위치의 주요 구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터미널 단자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 되어 탄력적으로 전/후진 작동될 수 있도록 스프링이 내삽되어 있는 복수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일체로 돌출 되어 플런저의 슬라이드 작동시 플런저 바디와 함께 상기 터미널 단자와의 접촉작동을 구현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플런저가 전/후진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그 바디의 다소 돌출된 부분이 좌/우측 터미널 단자의 일 측을 절개하여 전개시킨 압지편을 밀어줌으로서 상기 터미널 단자가 신축적으로 작동하여 또다른 인접된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였는바, 그러나 상기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르면 장기적인 반복사용에 탄력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전개된 압지편이 연속 반복적인 사용으로 형태가 변경될 우려가 있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하로 접촉 작동하는탄력 접점부 역시 겹층구조로 이루어져 제작 및 조립에 번거러움이 수반된다는 제반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등록번호 제222889호는 그 구성이 본체, 터미널 단자, 플런저 및 커버로 분리 구성되는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좌/우측에 힌지고정된 채 전/후진되는 플런저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좌우로의 작동이 가능한 복수의 캠; 상기 각각의 캠과 밀착된 채 탄력적인 작동으로 좌/우 양 터미널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 1탄성편; 및 상기 제 1탄성편과 내측의 터미널 단자가 접촉될 수 있도록 위 탄성편의 절곡된 중앙위치에서 플런저의 작동부재에 의해 상/하로 탄력 작동되는 제 2탄성편이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선등록 고안은 AC측의 접촉위치가 서로 상하로 분산되어있어 장기간 사용시에 접촉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이를 접촉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플런저와 탄성편사이에 캠이 위치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플런저가 직접 간섭하는 것보다 반복적인 작동으로 인한 탄성력 저하로 오작동을 유발 및 복잡성을 갖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22889호의 개량 고안으로서 내부는 플런저에 의해 접촉되어 좌우로 작동이 가능한 복수의 캠 구성을 없애 조립의 편의성과 내구성을 강화하고, AC측의 접점되는 방법이상측하고 하측이었으나 이를 일방향에 좌우로 균일화하여 도어 스위치의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플런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단자와 탄성편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5: 터미널 단자 6,6a,6b,6c: 접점부
7: 제 1탄성편 8: 제 2탄성편
9: 제 3탄성편 10: 절연물
11: 플런저 12, 12a: 작동부재
13: 본체 14: 커버
20: 도어 스위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 터미널 단자, 플런저 및 커버로 분리 구성되는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 본체, 터미널 단자, 플런저 및 커버로 분리 구성되는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좌/우측에 힌지 고정된 채 전/후진되게 내측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이 삽입된 플런저의 외주면 일측이 연장되어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작동부재와 접촉되어 좌우로의 작동이 가능한 복수개의 제1, 제 2탄성편과; 상기 플런저는 각각의 제1탄성편과 제2탄성편과 밀착된 채 탄력적인 작동으로 좌/우 양 터미널 단자의 끝단에 접점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중앙부를 기준에 좌/우 ""형상으로 연장절곡된 끝단에 대응하는 접점부가 각각 위치하는 터미널 단자와; 상기 터미널 단자 내측에 각각의 다른 터미널 단자가 접점될 수 있도록 끝단에 접점부를 형성하여 위 탄성편의 절곡된 중앙위치를 경사면을 갖도록 감싼 절연물을 플런저의 작동부재의 의해 간섭되어 상/하로 탄력 작동되는 제 3탄성편이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작동상태를 도시해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4는 본 고안 플런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단자와 탄성편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해 가전제품중 특히 냉장고에 적용되어 냉동 및 냉장실 도어의 개폐상태를 표시하여 주기 위한 개선된 기능의 도어 스위치(20)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는 본체(13)와, 상기 본체(13)에 긴밀하게 끼움 처리되어 소정의 피치간격을 유지하면서도 견고성을 갖도록 5개의 터미널 단자(1)(2)(3)(4)(5)가 마련되는데, 이때 터미널 단자 (1)과 (5)와 (4)는 램프작동용으로 기능하는 것이며, (2)와 (3)은 마이컴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체(13)에는 이 5개의 터미널 단자(1)(2)(3)(4)(5)와 충분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우수한 탄성력을 포함하는 제 1탄성편(7) 및 제 2탄성편(8), 제 3탄성편(9)이 제공되는데, 터미널단자(4)는 본체(13)의 내 상단중앙부를 기준으로 ""형으로 일측에 연장된 채 절곡되어 있으며, 일측으로 연장된 끝단부 외측에는 돌출된 접점부(6a)와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선상으로 돌출된 접점부(6c)가 형성되어 고정되고, 이와는 달리 제 3탄성편(9)은 본체(13)의 내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 고정되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터미널 단자(2)가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단자(4)의 내중앙부와 연결된 채 제 3탄성편(9)의 선단부 직 상단에 위치되도록 절곡 중앙위치에 경사면을 갖도록 돌출된 절연물(10)이 위치하고, 제 3탄성편(9)의 후단부는 터미널 단자(2)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제 1탄성편(7)과 제 2탄성편(8)은 접점부(6),(6c)는 제일 외각에 위치 고정되는 터미널 단자(1)와 단자(5)의 선단 내주면과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위치 설정되는데, 역시 터미널 단자(4)의 선단 내주면으로도 돌출된 접점부(6a)(6c)와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 1탄성편(7)과 제 2탄성편(8)이 플런저(11)에 의해 벌려지거나 혹은 눌려짐으로 상기 터미널단자(4)의 각접점부(6a)(6c)와 마주하여 접점되가나 혹은 이격될 수 있도록 제 1탄성편(7)과 제 2탄성편(8) 좌/우측 각 선단에 힌지 결합된 플런저(8)의 작동에 의해 제 1탄성편(7)과 제 2탄성편(8)이 밀려져 압압할 수 있도록 작동부재(12)(12a)가 일체로 같이 구성된다.
상기 플런저(11)는 본체(13) 내측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게 역시 좌/우 복수로 마련되는데, 본체(13)의 상단을 연통한 채 슬라이드 식으로 끼움 처리되어 전면을 향해 돌출됨으로 외부의 압력으로(도어) 탄력적인 출몰 작동이 가능할 수 있게 설치되며, 탄력적인 작동을 위해 우수한 탄성력을 보유하는 스프링(15)이 각각 내삽되어 본체(13)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13)의 일직선 방향에 따른 출몰작동에 의해 일측에 위치한 제 1탄성편(7), 제 2탄성편(8)의 외주면과 제 3탄성편(9)의 절연물(10)을 밀어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플런저(11)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된 채 각각 제 1탄성편(7), 제 2탄성편(8), 제 3탄성편(9)의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각각 작동부재(12)(12a)에 의해 제 3탄성편(9)의 절연물(10)에 의해 상/하로 탄력 작동되어 소정의 접촉성 작동을 구현하게 된다.
물론 상기 본체(13)와 대응하여 상호 착탈식으로 긴밀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대응하는 형상으로 커버(14)가 마련되어 한 쌍으로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냉장고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는 도어 스위치(20)는 닫혀진 도어로 인해 플런저(11)가 눌리어진 상태가 유지되고, 따라서 플런저(11)의 작동부재(12)(12a)에 따라 제 1탄성편(7)이 축소되어 터미널 단자(4)의 접점부(6a)와 제 1탄성편(7)의 접점부(6)가 이격됨은 물론 제 3탄성편(9) 역시 작동부재(12a)의 간섭을 벗어나 탄력적으로 상승됨으로 그 직 상단부에 위치되는 터미널 단자(3)의 연장부와 접촉하게 되어 각 냉동/냉장실의 실내 램프가 소등되는 것이고, 이때 어느 하나의 도어나 혹은 양 도어가 다 같이 개방될 경우 그간 눌리어진 상태의 플런저(11)가 탄력 스프링(15)에 의해 돌출되어 전진함으로 그간 눌리어진 상태의 제 1탄성편(7)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각 접점부(6)와 접점부(6a)가 다시 접촉되는 것이며, 반대로 상승되어 접촉상태이던 제 3탄성편(9)의 절연물(10)은 작동부재(12a)로 인해 하향 눌리어져 분리 이격됨으로 상기에서와 같은 반대 작동을 구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장기적인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높은 신뢰성의 스위치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서, 조립의 단순화와 연속 반복적인 사용에도 탄력성의 저하 및 형태 변화의 우려 없이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작동의 신뢰성과 제작 및 조립시의 경제성 및 간편함을 구현한다는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를 예거하였으나, 굳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국한되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실시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Claims (1)

  1. 본체, 터미널 단자, 플런저 및 커버로 분리 구성되는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좌/우측에 힌지 고정된 채 전/후진되게 내측 길이방향으로 스프링이 삽입된 플런저의 외주면 일측이 연장되어 등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작동부재와 접촉되어 좌우로의 작동이 가능한 복수개의 제1, 제2탄성편과;
    상기 플런저는 각각의 제1탄성편과 제2탄성편과 밀착된 채 탄력적인 작동으로 좌/우 양 터미널 단자의 끝단에 접점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중앙부를 기준에 좌/우 ""형상으로 연장절곡된 끝단에 대응하는 접점부가 각각 위치하는 터미널 단자와;
    상기 터미널 단자 내측에 각각의 다른 터미널 단자가 접점될 수 있도록 끝단에 접점부를 형성하여 위 탄성편의 절곡된 중앙위치를 경사면을 갖도록 감싼 절연물을 플런저의 작동부재의 의해 간섭되어 상/하로 탄력작동되는 제 3탄성편이 구비되어 터미널 단자와 탄성편이 좌우측으로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
KR20030033178U 2003-10-23 2003-10-23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 KR2003405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3178U KR200340573Y1 (ko) 2003-10-23 2003-10-23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33178U KR200340573Y1 (ko) 2003-10-23 2003-10-23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0573Y1 true KR200340573Y1 (ko) 2004-02-05

Family

ID=4113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33178U KR200340573Y1 (ko) 2003-10-23 2003-10-23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05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357B1 (ko) 2007-12-12 2008-03-05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WO2009015121A3 (en) * 2007-07-23 2009-04-02 Honeywell Int Inc Sealed dual plunger switch assembly with simultaneity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15121A3 (en) * 2007-07-23 2009-04-02 Honeywell Int Inc Sealed dual plunger switch assembly with simultaneity
CN101772816A (zh) * 2007-07-23 2010-07-07 霍尼韦尔国际公司 具有同时性的密封的双柱塞开关组件
US8993903B2 (en) 2007-07-23 2015-03-3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ealed dual plunger switch assembly with simultaneity
KR100809357B1 (ko) 2007-12-12 2008-03-05 두얼메카닉스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도어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7160A (en) Low profile switch
KR101540872B1 (ko) 시소 스위치
KR20080004582A (ko) 푸쉬-버튼 스위치
US9947492B2 (en) Electrical pushbutton switch
WO2016098568A1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3983341A (en) Simplified slide switch
US2626335A (en) Electric switch
KR200340573Y1 (ko)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
US2249977A (en) Electrical connection means
US20110120842A1 (en) Multi-position push switch
US6441332B1 (en) Switch assembly incorporating contact wedge
CN107978477B (zh) 电快速开关
EP1798471B1 (en) Microswitch assembly which can be associated to a gas cock, in particular for cooktops and the like
US4319100A (en) Dual in-line programming slide switch
JP2013020739A (ja) スイッチ
KR200222889Y1 (ko)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KR20160070020A (ko) 전기 푸시버튼 스냅 스위치
KR20190000633A (ko) 푸시 스위치 유닛
GB2400495A (en) Switch
JP3802298B2 (ja) スイッチ装置
JP4088166B2 (ja) スイッチ装置
JP2010272370A (ja) テーブルタップ
EP0184815B1 (en) Snap acting mechanism
KR200345976Y1 (ko) 가전제품용 플런저 스위치
KR20030044219A (ko)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