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889Y1 -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889Y1
KR200222889Y1 KR2019990010857U KR19990010857U KR200222889Y1 KR 200222889 Y1 KR200222889 Y1 KR 200222889Y1 KR 2019990010857 U KR2019990010857 U KR 2019990010857U KR 19990010857 U KR19990010857 U KR 19990010857U KR 200222889 Y1 KR200222889 Y1 KR 2002228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iece
terminal
contact
plung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0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0563U (ko
Inventor
박병하
Original Assignee
박병하
주식회사박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하, 주식회사박전자 filed Critical 박병하
Priority to KR2019990010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889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5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5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8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889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히 냉장고에 적용되어 냉동/냉장실로 구분되는 실내의 양 도어에 있어 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양 도어의 인접부위에 설치되어 도어와의 접촉을 통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개선된 기능의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에 관한 것인바,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 터미널 단자, 플런저 및 커버로 분리 구성되는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좌/우측에 힌지고정된 채 전/후진되는 플런저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좌우로의 작동이 가능한 복수의 캠; 상기 각각의 캠과 밀착된 채 탄력적인 작동으로 좌/우 양 터미널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 1탄성편; 및 상기 제 1탄성편과 내측의 터미널 단자가 접촉될 수 있도록 위 탄성편의 절곡된 중앙위치에서 플런저의 작동부재에 의해 상/하로 탄력 작동되는 제 2탄성편이 구비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DOOR SWITCH OF REFRIGERATOR}
본 고안은 도어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에 적용되어 냉동/냉장실로 구분되는 실내의 양 도어에 있어 그 개폐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양 도어의 인접부위에 설치되어 도어와의 접촉을 통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개선된 기능의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는 도어의 열림 상태를 램프의 발광을 통해 외부에서 손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냉장고의 원활한 작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제어기능을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냉동 및 냉장실의 전면 일 측에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도어가 닫혀있을 시 스위치의 플런저와 밀착된 채 이를 압압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바, 최근에는 냉동 및 냉장실로 분리되어 있던 양 스위치를 하나로 단일화하되, 플런저만을 복수로 구성하여 도어 개폐시 적절히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도어 스위치의 주요 구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터미널 단자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돌출 되어 탄력적으로 전/후진 작동될 수 있도록 스프링이 내삽되어 있는 복수의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일단에 일체로 돌출 되어 플런저의 슬라이드 작동시 플런저 바디와 함께 상기 터미널 단자와의 접촉작동을 구현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플런저가 전/후진 슬라이드 작동하면서 그 바디의 다소 돌출된 부분이 좌/우측 터미널 단자의 일 측을 절개하여 전개시킨 압지편을 밀어줌으로서 상기 터미널 단자가 신축적으로 작동하여 또다른 인접된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였는바, 그러나 상기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르면 장기적인 반복사용에 탄력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전개된 압지편이 연속 반복적인 사용으로 형태가 변경될 우려가 있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상/하로 접촉 작동하는 탄력 접촉부 역시 겹층구조로 이루어져 제작 및 조립에 번거러움이 수반된다는 제반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기적인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스위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 연속 반복적인 사용에도 탄력성의 저하와 형태 변화의 우려 없이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하로 접촉 작동하는 탄성편의 구성 역시 이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우수한 접촉성이 유지되도록 하여 작동의 신뢰성과 제작 및 조립시의 경제성 및 간편함을 구현함에 그 안출된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 터미널 단자, 플런저 및 커버로 분리 구성되는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좌/우측에 힌지고정된 채 전/후진되는 플런저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좌우로의 작동이 가능한 복수의 캠; 상기 각각의 캠과 밀착된 채 탄력적인 작동으로 좌/우 양 터미널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 1탄성편; 및 상기 제 1탄성편과 내측의 터미널 단자가 접촉될 수 있도록 위 탄성편의 절곡된 중앙위치에서 플런저의 작동부재에 의해 상/하로 탄력 작동되는 제 2탄성편이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 스위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분리 도시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3,4 : 터미널 단자 2a,4a : 접촉부
5 : 제 1탄성편 5a : 접촉부
6 : 제 2탄성편 7 : 캠
8 : 플런저 9 : 스프링
10 : 도어 스위치 A : 본체
B : 커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되는 도어 스위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내부 구성의 조립 상태도를 표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해 냉장고에 적용되어 냉동 및 냉장실 도어의 개폐상태를 표시하여 주기 위한 개선된 기능의 도어 스위치(10)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는 본체(A)와, 상기 본체(A)에 긴밀하게 끼움 처리되어 소정의 피치간격을 유지하면서도 견고성을 갖도록 4개의 터미널 단자(1)(2)(3)(4)가 마련되는데, 이때 터미널 단자(2)와 (4)는 램프작동용으로 기능하는 것이며, (1)은 콤프레셔 그리고 나머지 (3)은 구동 팬의 작동 구현용으로 기능한다.
또한, 본체(A)에는 이 4개의 터미널 단자(1)(2)(3)(4)와 충분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우수한 탄성력을 포함하는 제 1탄성편(5) 및 제 2탄성편(6)이 제공되는데, 제 1탄성편(5)은 본체(A)의 내 상단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연장된 채 절곡되어 있으며, 각 연장된 단 부의 외측으로는 돌출된 접촉부(5a)가 고정되고, 이와는 달리 제 2탄성편(6)은 본체(A)의 내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 고정되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터미널 단자(1)가 연장되어 상기 제 1탄성편(5)의 내중앙부와 연결된 채 제 2탄성편(6)의 선단부 직 상단에 위치되도록 절곡 처리되어 있고, 제 2탄성편(6)의 후단부는 터미널 단자(3)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전술한 제 1탄성편(5)의 접촉부(5a)는 제일 외각에 위치 고정되는 터미널 단자(2)와 단자(4)의 선단 내주면과 탄력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위치 설정되는데, 역시 각 터미널 단자(2)(4)의 선단 내주면으로도 돌출된 접촉부(2a)(4a)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 1탄성편(5)이 벌려지거나 혹은 눌려짐으로 상기 접촉부(2a)(4a)와 마주하거나 혹은 이격될 수 있도록 제 1탄성편(5)의 좌/우측 각 선단에 힌지 결합된 채 평상시에는 제 1탄성편(5)의 벌려짐에 의해 일 측으로 치우쳐 있다가 후술하는 플런저(8)의 작동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져 제 1탄성편(5)을 압압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캠(7)이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플런저(8) 역시 좌/우 복수로 마련되는데, 본체(A)의 상단을 연통한 채 슬라이드 식으로 끼움 처리되어 전면을 향해 돌출됨으로 외부의 압력으로(도어) 탄력적인 출몰 작동이 가능할 수 있게 설치되며, 탄력적인 작동을 위해 우수한 탄성력을 보유하는 스프링(9)이 내삽되어 본체(A)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플런저(8)의 일직선 방향에 따른 출몰작동에 의해 일 측으로 치우쳐진 캠(7)의 일단과 그 외주면이 접촉함으로 타측방향으로 캠(7)을 적절하게 밀어줄 수 있는데, 상기 플런저(8)의 외주면과 일체로 형성된 채 각각 제 2탄성편(6)의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된 작동부재(8a)에 의해 제 2탄성편(6)이 상/하로 탄력 작동되어 소정의 접촉성 작동을 구현하게 되는데, 물론 상기 본체(A)와 대응하여 상호 착탈식으로 긴밀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커버(B)가 마련되어 한 쌍으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적 체계를 유지하는 본 고안의 작동 관계를 살펴보게 되면, 최초 냉장고의 적정 위치에 설치되는 본 고안의 도어 스위치(10)는 닫혀진 도어로 인해 플런저(8)가 눌리어진 상태가 유지되고, 따라서 캠(7)에 의하여 제 1탄성편(5)이 축소되어 터미널 단자(2)(4)의 접촉부(2a)(4a)와 제 1탄성편(5)의 접촉부(5a)가 이격됨은 물론 제 2탄성편(6)역시 작동부재(8a)의 간섭을 벗어나 탄력적으로 상승됨으로 그 직 상단부에 위치되는 터미널 단자(1)의 연장부와 접촉하게 되어 각 냉동/냉장실의 실내 램프가 소등되는 것이고, 콤프레셔 및 구동 팬의 제어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어느 하나의 도어나 혹은 양 도어가 다 같이 개방될 경우 그간 눌리어진 상태의 플런저(8)가 탄력 스프링(9)에 의해 돌출되어 전진함으로 그간 눌리어진 상태의 캠(7)은 제 1탄성편(5)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각 접촉부(2a)(4a)와 접촉부(5a)가 다시 접촉되는 것이며, 반대로 상승되어 접촉상태이던 제 2탄성편(6)은 작동부재(8a)로 인해 하향 눌리어져 분리 이격됨으로 상기에서와 같은 반대 작동을 구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각각의 탄력 작동부와 냉장고의 콘넥터측인 고정측을 일체화함으로 부품재료의 연장을 가능토록 배려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장기적인 사용에도 안정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높은 신뢰성의 스위치 제공이 가능한 것으로서, 조립의 단순화와 연속 반복적인 사용에도 탄력성의 저하 및 형태 변화의 우려 없이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어 작동의 신뢰성과 제작 및 조립시의 경제성 및 간편함을 구현한다는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를 예거하였으나, 굳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국한되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Claims (1)

  1. 본체, 터미널 단자, 플런저 및 커버로 분리 구성되는 도어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좌/우측에 힌지고정된 채 전/후진되는 플런저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좌우로의 작동이 가능한 복수의 캠; 상기 각각의 캠과 밀착된 채 탄력적인 작동으로 좌/우 양 터미널 단자와 접촉될 수 있도록 본체의 내중앙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쪽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 1탄성편; 및 상기 제 1탄성편과 내측의 터미널 단자가 접촉될 수 있도록 위 탄성편의 절곡된 중앙위치에서 플런저의 작동부재에 의해 상/하로 탄력 작동되는 제 2탄성편이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KR2019990010857U 1999-06-18 1999-06-18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KR2002228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57U KR200222889Y1 (ko) 1999-06-18 1999-06-18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0857U KR200222889Y1 (ko) 1999-06-18 1999-06-18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563U KR19990040563U (ko) 1999-12-06
KR200222889Y1 true KR200222889Y1 (ko) 2001-05-15

Family

ID=5475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0857U KR200222889Y1 (ko) 1999-06-18 1999-06-18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8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49B1 (ko) * 2007-03-03 2007-12-04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냉장고 실내등 점등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563U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0872B1 (ko) 시소 스위치
KR101197963B1 (ko) 푸쉬-버튼 스위치
US6903293B2 (en) Switch device having good sense of operational touch even when sliding operating knob or rocking operating knob is attached thereto
US5957273A (en) Universal switch
US4488018A (en) Miniature switch
KR101489112B1 (ko) 차량용 실내 램프
US4357511A (en) Modular push-button switch with lighted push-button element
KR200222889Y1 (ko)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US4300025A (en) Refrigerator door switch
CN111223693A (zh) 开关总成
KR200340573Y1 (ko) 가전제품의 도어 스위치
JP3720942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0337480B1 (ko) 누름버튼 인출형 푸쉬 스위치
US4181825A (en) Electric switch for motor reversing
US6559400B2 (en) Switch structure for car electrical part
KR100487786B1 (ko) 냉장고의 도어스위치
JPH07312140A (ja) 貯蔵庫用扉スイッチ
KR101326762B1 (ko) 조명 푸쉬스위치
KR100312562B1 (ko) 자동차용 룸램프의 스위치 조작장치
JPH0722827Y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8077976A (ja) スイッチ
JP3593690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1143571A (ja) スイッチ装置
KR200365289Y1 (ko) 와이드 스위치의 가동부와 노브의 결합구조
RU1806415C (ru) Выключ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